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수출식품안전감독체계의 현황 및 개선방안

        강정화,이안형,고비 한중법학회 2019 中國法硏究 Vol.39 No.-

        경제의 글로벌화에 따라 국제식품무역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각국 소비자들 을 위해 좋은 수입 식품을 제공하였다. 각국의 식품안전 보장수준의 차이로 선 진국은 자신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동물검역과 식품안전기준 방면에서 무역 장벽을 설치하여 외국 식품의 수출을 저애하였다. 국제 식품무역에서 수출국 의 수출식품이 수입국의 식품안전 요구에 부합되지 않아 많은 식품무역 분쟁 이 발생하여 수출국 식품의 국제시장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수출식품 의 안전성을 높이고 국제 식품무역의 원활한 발전을 추진하기 위하여 각국에 서는 과학적이고 규범화된 수출식품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하여 수출식품안전을 보장하고 있다. 현재 중국은 세계 제2위의 식품수출국이다. WTO에 가입한 이래 수출식품 의 수량과 규모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중국은 매년 220여 개 나라와 지역에 식품을 수출하며 관련수출식품의 품질도 부단히 제고되고 있다. 최근 몇 년 동 안 체계적, 산업적, 지역적 수출식품안전사건이 발생하지 않고 있지만 최근 몇 년간 수출식품안전에 신형의 문제가 야기되어 수출식품안전관리체계도 여러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중국의 일부 수출식품은 농약 잔류, 미생물, 식품첨가 제 등의 영향을 받아 수입국에서 불안전한 식품으로 판정되고 수출이 금지되 어 중국 식품의 국제적 신용에 큰 손해를 주었다. 2018년 3월에 중국 국무원에서 제8차 기구개혁을 진행하면서 수출식품안전 관리체계를 개편하였다. 이러한 개혁에 힘입어 통일적이고 효율적인 중국 수 출식품안전관리체계가 점차 보완되게 될 것이다. 현재 중국은 이미 기본적으 로 전면적이고 다원화된 수출식품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하였지만 아직 수출식품 안전법률법규와 식품안전기준의 제정과 보완이 미비하고 수출식품안전관리체 계가 제대로 정비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수출식품안전관리능력이 낙후한 문제들이 존재하고 있다. 기구개혁을 함에 있어서 중국에서는 수출식품안전관 리에 관한 새로운 입법이념을 세우고 관련 법률법규 및 식품안전기준을 보완 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그리고 수출식품안전관리체계를 새로이 구축하여 보다 효율적인 수출식품안전관리을 도모하며 체계적이고 다원화된 수단으로 수출식품안전을 보장해야 한다. With the economic globalization, the international food trade has been developing rapidly, providing consumers with high-quality imported food. Due to the gap in food security levels in different countries, developed country often set up trade barriers of animal quarantine and food safety standard to prevent foreign entering the country in order to safeguard their own interests. Therefore, in the international food trade, the export food of the exporting country doesn’t meet the food safety requirements of importing country, and food trade disputes often occur, which affects the international reputation of the exporting country’s food. In order to improve the safety of export food and promote international food trade, many countries have established scientific and standardized export food safety supervision system to ensure the safety of export food. Now China is the world’s second largest food exporter, and since joining the WTO, the volume and size of Chinese food exports to foreign countries have been growing by the hammer. Every year, China exports food to more than 220 countries and regions. The safety and quality of food exported has been steadily improved, and there have been no systematic, industrial or regional export food safety incidents in recent years. But in recent years, new problems have emerged in export food safety, and the supervision of food safety is also faced with new problems and challenges. Some of the food exported by China due to residues of agricultural veterinary drugs, microorganisms, food additives is banned from as unsafe food by importing countries. It caused great damage to the credibility of Chinese food in the international market. In March 2018, state council carried out its eighth institutional reform. The institutional reform involves the adjustment and reform of export food safety supervision system. With the deepening of the reform, the unified, authoritative and efficient supervision system of Chinese export food safety will be gradually improved. At present, China has basically established an omni-directional and multi-level supervision system for export food’s safety, but there are still some problems, such as backward construction of laws and regulations on export food safety and food safety standards, the need to further rationalize the supervision for export food safety, and the need to further improve the supervision capacity of export food safety. In the new situation of institutional reform, China should be innovated exported food safety supervision legislation idea, accelerate the improvement and revision of export food safety laws and regulations and food safety standards, improve export food safety effectiveness of law enforcement, actively build new-type export food safety supervision mechanism, strengthen the export food safety work through multiple approaches.

      • KCI등재

        中国出口食品安全监管体系的现状及改善方案

        康贞花,康贞花,李安馨 한중법학회 2019 中國法硏究 Vol.39 No.-

        경제의 글로벌화에 따라 국제식품무역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각국 소비자들 을 위해 좋은 수입 식품을 제공하였다. 각국의 식품안전 보장수준의 차이로 선 진국은 자신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동물검역과 식품안전기준 방면에서 무역 장벽을 설치하여 외국 식품의 수출을 저애하였다. 국제 식품무역에서 수출국 의 수출식품이 수입국의 식품안전 요구에 부합되지 않아 많은 식품무역 분쟁 이 발생하여 수출국 식품의 국제시장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수출식품 의 안전성을 높이고 국제 식품무역의 원활한 발전을 추진하기 위하여 각국에 서는 과학적이고 규범화된 수출식품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하여 수출식품안전을 보장하고 있다. 현재 중국은 세계 제2위의 식품수출국이다. WTO에 가입한 이래 수출식품 의 수량과 규모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중국은 매년 220여 개 나라와 지역에 식품을 수출하며 관련수출식품의 품질도 부단히 제고되고 있다. 최근 몇 년 동 안 체계적, 산업적, 지역적 수출식품안전사건이 발생하지 않고 있지만 최근 몇 년간 수출식품안전에 신형의 문제가 야기되어 수출식품안전관리체계도 여러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중국의 일부 수출식품은 농약 잔류, 미생물, 식품첨가 제 등의 영향을 받아 수입국에서 불안전한 식품으로 판정되고 수출이 금지되 어 중국 식품의 국제적 신용에 큰 손해를 주었다. 2018년 3월에 중국 국무원에서 제8차 기구개혁을 진행하면서 수출식품안전 관리체계를 개편하였다. 이러한 개혁에 힘입어 통일적이고 효율적인 중국 수 출식품안전관리체계가 점차 보완되게 될 것이다. 현재 중국은 이미 기본적으 로 전면적이고 다원화된 수출식품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하였지만 아직 수출식품 안전법률법규와 식품안전기준의 제정과 보완이 미비하고 수출식품안전관리체 계가 제대로 정비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수출식품안전관리능력이 낙후한 문제들이 존재하고 있다. 기구개혁을 함에 있어서 중국에서는 수출식품안전관 리에 관한 새로운 입법이념을 세우고 관련 법률법규 및 식품안전기준을 보완 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그리고 수출식품안전관리체계를 새로이 구축하여 보다 효율적인 수출식품안전관리을 도모하며 체계적이고 다원화된 수단으로 수출식품안전을 보장해야 한다. With the economic globalization, the international food trade has been developing rapidly, providing consumers with high-quality imported food. Due to the gap in food security levels in different countries, developed country often set up trade barriers of animal quarantine and food safety standard to prevent foreign entering the country in order to safeguard their own interests. Therefore, in the international food trade, the export food of the exporting country doesn’t meet the food safety requirements of importing country, and food trade disputes often occur, which affects the international reputation of the exporting country’s food. In order to improve the safety of export food and promote international food trade, many countries have established scientific and standardized export food safety supervision system to ensure the safety of export food. Now China is the world’s second largest food exporter, and since joining the WTO, the volume and size of Chinese food exports to foreign countries have been growing by the hammer. Every year, China exports food to more than 220 countries and regions. The safety and quality of food exported has been steadily improved, and there have been no systematic, industrial or regional export food safety incidents in recent years. But in recent years, new problems have emerged in export food safety, and the supervision of food safety is also faced with new problems and challenges. Some of the food exported by China due to residues of agricultural veterinary drugs, microorganisms, food additives is banned from as unsafe food by importing countries. It caused great damage to the credibility of Chinese food in the international market. In March 2018, state council carried out its eighth institutional reform. The institutional reform involves the adjustment and reform of export food safety supervision system. With the deepening of the reform, the unified, authoritative and efficient supervision system of Chinese export food safety will be gradually improved. At present, China has basically established an omni-directional and multi-level supervision system for export food’s safety, but there are still some problems, such as backward construction of laws and regulations on export food safety and food safety standards, the need to further rationalize the supervision for export food safety, and the need to further improve the supervision capacity of export food safety. In the new situation of institutional reform, China should be innovated exported food safety supervision legislation idea, accelerate the improvement and revision of export food safety laws and regulations and food safety standards, improve export food safety effectiveness of law enforcement, actively build new-type export food safety supervision mechanism, strengthen the export food safety work through multiple approaches.

      • KCI등재

        우리나라 농식품수출과 물류성과지수의 연관성 연구

        조성제(Sung-Je Cho),박현희(Hyun-Hee Park) 한국통상정보학회 2021 통상정보연구 Vol.23 No.3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분야는 지속적인 성장추이를 보이고 있는 분야이다. 특히 무역자유화로 인한 농식품 시장의 개방속도가 빠르게 전개되면서 국내 농식품 수출산업은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농식품 수출증가는 국내농업의 소득증가를 비롯한 농업을 경쟁력있는 산업구조로 재편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최근 농식품 수출을 확대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모색되고 있다. 특히 물류활동의 역할은 농식품 수출증대 요인으로 가장 큰 관심이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농식품의 특성상 신선도유지와 안전성 확보라는 차원은 물류기능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과 물류효율성으로 나타내는 물류성과지수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국가로는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주요국가인 일본, 미국, 중국과 신흥시장으로 등장하는 신남방국가를 선정하였다.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과 물류성과지수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물류효율성이 수출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농식품 수출확대를 위한 방안으로 물류효율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보다 다양한 물류관련 활동을 적극 모색하고 활용할 필요가 있다. Korea s agri-food export sector is a sector showing a continuous growth trend. In particular, as the pace of opening the agri-food market due to trade liberalization develops rapidly, the domestic agri-food export industry is facing a new turn. The increase in agri-food exports is becoming an essential factor for the reorganization of competitive industrial structures, including the increase in income of domestic agriculture. Recently, the role of logistics activities as part of expanding agri-food exports is emerging as a new factor. In particula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past products of agri-food, the dimension of maintaining freshness and securing safety further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logistics functions.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s agri-food exports and logistics efficiency index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gri-food exports and logistics performance index for major agri-food exports, Japa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nd emerging markets, the analysis results were derived as an important factor in agri-food exports. In addition to logistics functions to expand agri-food export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linkage of logistics-related activities that are directly or indirectly to agri-food.

      • KCI등재

        농식품 수출 활성화 방향과 정책과제

        임정빈 ( Jeong Bin Im ),안동환 ( Dong Hwan An ) 한국식품유통학회 2010 食品流通硏究 Vol.27 No.4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olicy direction for promoting agro food export in Korea. To achieve the goal of the stud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value and importance of agro food export in Korea. Also the analysis of external and internal environments around the Korean agro food export are conducted, particularly with the analysis of trade pattern and major factors affecting the export.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considering the recent and future potentiality of agro food industry, the possibility of Korean agro food export is promising. Secondly, the Korean agro food trade patterns show the increase of specialization and the decrease of intra trade with major trade partners. Thirdly, the Korean agro food export tends to be increased by reducing the distance from Korea to major trade partners. Fourthly, many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exist simultaneously in the Korean agro food expor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ective action plan to enhance the Korean agro food export in terms of diversification of export products and countries, decrease in high dependence on overseas Koreans, differentiation of export marketing by trade partner, expansion of R & D on agro food industry and change of the concept on agro food export.

      • KCI우수등재

        경상북도 농산물 수출지원정책의 효과와 과제

        김희호 한국무역학회 2022 貿易學會誌 Vol.47 No.2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of export subsidies on agricultural food exports, focusing on a case of Gyeongsangbuk-do. Using monthly data of agricultural food exports during 2007-2020 and the GLS regression analysis, we test the hypothesis whether the export subsidies would increase the exports of four major agri-food categories with three digit codes of HS such as fruits, vegetables, flowers, and mushrooms. Evidence shows that the export subsidi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s on the agri-food exports except flowers. In order to test the robustness of the analysis, the agri-food export subsidies are reclassified into four sub-subsidy policies, and the analysis re-examines the effects of the sub-subsidies on agri-food exports. It shows that export policies for production stabilization, logistics, and overseas marketing promote the exports of agri-foods significantly. Alternative export policies are drawn in this study since the existing subsidies conflict with the WTO agricultural agreement.

      • KCI등재

        할랄식품 국제표준이 수출에 미친 영향: 말레이시아 사례를 중심으로

        강자은 ( Ja Eun Kang ),나희량 ( Hee Ryang Ra ) 한국동남아학회 2016 동남아시아연구 Vol.26 No.1

        말레이시아 정부는 1959년부터 할랄 관련 제도를 발전시켜왔으며, 2004년에는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할랄식품 가이드라인인 할랄식품 국제 표준(MS1500)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할랄식품국제 표준이 말레이시아 할랄 관련 식품 수출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고자 1989년부터 2013년까지 16개국에 대한 수출액을 대상으로 중력모형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은 통합최소자승법(Pooled LS), 표면무관회귀분석(SUR), 확률효과모형(Random Effect)등 3가지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변수로는 말레이시아의 할랄 관련식품 수출액, 수입국의 실질GDP, 교차환율, 수입국과의 항구 간 운항거리와 MFN평균관세, 할랄가변수를 이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수입국 실질 GDP에 따른 영향은 전반적으로 수입국 실질 GDP가 증가할수록 수출액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입국과의 항구간 거리에 대한 결과 또한 GCC에 대한 분석을 제외하고는 예상과 일치하게 거리가 멀수록 수출액이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관세에 관한 추정결과는 대체적으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차환율에 관한 추정결과는 예상한 것과 일치하게 모두 수출액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할랄가변수의 추정결과, 말레이시아 수출액이 1989년에서 2003년보다 MS1500이 적용된 2004년에서 2013년이 전반적으로 2배 이상 증가(최고 3.83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할랄식품 국제 표준이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의미하여 나아가 그 중요성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Demands of the halal market have increased as a result of growing Muslim populations in the world. Halal means “permissible” or “lawful” in Arab and specifically refers to Islamic principles or standards regarding certain items or behaviors. Overall, halal is applied to individuals’ behaviors and rules and regulations of institutions in Muslim communities. Halal also includes standards regarding food and other products and services including pharmaceuticals, cosmetics, clothing, retail, and healthcare. The Malaysian government has developed a halal industry at the national level since 1959. In 2004, The Malaysian government established the Halal Food Standard (MS1500). The government took an initiative in Halal industries in order to promote Muslim’s lifestyles and create economic benefits produced by Halal-related businesses. Recently, Korea became interested in the halal market. However, Korea faces limitations concerning exports of halal items due to lack of understanding and knowledge about halal businesses and Muslim cult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Halal Food Standard (MS1500) in terms of effects of the Halal Food Standard (MS1500) on exports of halal-related food in Malaysia. This study is intended to compare two periods from 1989 to 2003 and from 2004 to 2013. The analyses are conducted by utilizing the gravity model that includes Halal as an additional dummy variable. Furthermore, exports of halal-related food in Korea are analyzed in the same condition. By using these results from each analysis, we compare the two situations to identify the value of Halal FoodStandard (MS1500). Estimated results from the study demonstrate that exports of halal-related food in Malaysia increased approximately twice from 2004 to 2013 when compared to 1989-2003; however, exports of halal-related food in Korea increased 1.06-1.48 times in the same situation. In conclusion, the effect of the Halal Food Standard on the exports of halal-related food in Malaysia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Korea is encouraged to consider developing halal-related industry in that its market value is high and it could be a new opportunity to food producers.

      • KCI등재

        한·중 FTA시대, 대(對)중국 식품수출을 위한 중국법제에 관한 고찰

        장은정 ( Jang Eun-jeong )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16 法과 政策 Vol.22 No.2

        With the increasing interest in food safety and health, food industry has recently received global attention as an important industry that creates a big added value. In China, which boasts of 1.3 billion population, its food market is increasing at a fast speed with the help of Chinese economic growth. As national income and life standard have been increased, preference of food products has been changed from quantity to quality, and a trend has been revealed to take a serious view of quality and safety. Also an important issue has been raise that how to produce and supply the high quality and safe food. China was already enacted law, regulation, and system about food system, reorganized civil polity about food safety management, and prepared counter-plan to secure the quality and safety for food products. But a few items have been existed to be complemented and improved. Furthermore in recent years, food safety accidents have taken place frequently in China, and this kind of problems is consequently more compounded to the point of infringing on people’s legal rights. Therefore Chinese prefer imported foods than their lacal food and includes the Korean food. Especially, China is regarding the quality and safety of our foods highly and in addition to this, there is also the effect of Korean wave. So Korea-China FTA is a good opportunity to enter the Chinese food market. As food market grows globally, the Korean government is exerting every effort to improve global competitiveness at the national level. As Korea-China FTA is expected to be a new tonic for Korean economic development with the growing trends of Chinese foods industry, it is urgent to expand our foods industry to enter the Chinese foods market and establish strategies accordingly. However, what is the most difficult thing in entering the Chinese market is lack of understanding of Chinese laws. Chinese foods market is an emerging blue ocean, but related laws are not yet established and various regulatory systems are implemented on imported foods. So it is essential for enterprises to understand foods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within China.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related information necessary for our enterprises and strategies to enter the Chinese market smoothly.

      • KCI등재

        한국식품 수출을 위한 중국의 규제법제에 관한 연구

        윤성민 한국관세학회 2019 관세학회지 Vol.20 No.2

        최근 식품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중국에서는 일반상품에 비해 수입식품에 대한 수요도 급 속히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중국은 식품안전법을 개정하여 규제를 강화하였고, 특히 수입식품에 대한 안 전규범을 세분화하였다. 중국이 비관세장벽으로 수입식품에 대한 규제조치를 강화함에 따라 수입식품으로 인한 식품안전 분쟁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이것은 국가마다 식품위생표준, 식품첨가물기준, 라벨표시기 준이 상이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식품에 대한 중국의 규제 법제를 검토하고, 관련 사례분석을 통해서 한국 수출식품 업계의 대중국 수출확대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의 결론으로 수출국과 수 입국의 수입식품의 안전규범이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한국 기업은 수입국가인 중국의 기준규격을 세밀하 게 주의를 기울이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하여야 할 것이다. In recent years, the frequent occurrence of food safety accidents in China has led to a sharp increase in demand for imported food in China compared to regular foods. As a result, China has revised its Food Safety Act, and in particular has tightened regulations on imported food. As China strengthens regulatory measures on imported food as a non-tariff barriers, food safety disputes with imported food are increasing year by year. This is because each country has different food hygiene standards, food additives standards, and labeling standa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mport food regulation system in China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expansion of export to China through related case analys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Korean companies should pay close attention to Chinese import standards and monitor continuously because importing and exporting food safety standards are not the same.

      • KCI등재

        자국 식품 문화코드를 내포한 수입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Huang Fei,양석준(Yang Suk Joon) 글로벌경영학회 2016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3 No.4

        식품의 글로벌화가 진행되면서 많은 국가들은 자국 식품의 수출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한국 정부 또한 최근 한류를 통한 K-FOOD의 확산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한류의 영향이 미치는 지역 외의 한국 식품의 수출은 많은 어려움을 격고 있다. 많은 학자들은 식품을 수출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수출 대상 국가의 식품 문화(food culture)를 이해하는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지적에도 불구하고 각 국가들의 식품에 대한 문화를 실제 활용하능한 전략 수준에서 연구한 결과를 찾아보기는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가장 큰 수출 대상국가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 중국 소비자들의 식품에 대한 문화코드를 찾아보고 이러한 식품문화코드가 소비자들에게 작용하는 과정을 밝혀내며, 이를 통하여 식품문화코드의 적절한 활용방법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과거 문헌 고찰을 통하여 중국인의 식품문화코드로 건강성, 유대감 형성, 식품 체험의 3가지 문화코드를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코드와 외국식품 구매의도간의 관계를 공분산구조모형 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북경과 상해지역 거주 소비자 3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설문에 부실하게 응답한 24명을 제외한 282명의 응답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건강성은 지각된 문화정체성과 태도를 통하여 외국식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대감 형성은 지각된 문화정체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고, 태도를 매개로 외국식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식품 체험은 지각된 문화정체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바로 태도를 매개로 외국식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은 첫째 식품에 대한 문화코드를 식별할 수 있음을 확인한 점, 둘째 중국의 식품 문화코드를 밝혀내었다는 점, 마지막으로 식품 문화코드와 식품에 대한 구매의도간의 매개 변수를 확인했다는 점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실무자들에게 중국의 문화코드를 이해하여 보다 효율적인 식품 마케팅 전략을 구축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As the food globalization progressed, many countries have interest in the export their own food to other countries. Korean government also has interest in spreading out K-food on the world. Despite of the food export effort of Korean government and Korean food companies, we can watch the slow growth of food export performance. Scholars point out the most important factor which help food export is understanding the food culture of target country to export, but it is hard to find the studies on food culture code. In this study we find out the food culture code of China and also figure out how to use Chinese consumer’s culture code for export Korean food to Chinese market. Referring to previous researches, we identify Chinese food culture code – healthiness, connectedness formation and food experience. As the research model, this study set the model that the factors of healthiness, connectedness formation and food experience influenced on the consumer s buying intension in mediation of the perceived cultural identity and consumer’s attitude toward food. The hypothesis verification for the research model was carried out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urvey was carried out to the consumers of Shanghai and Beijing. 306 survey data was gathered and we exclude 24 poor response survey data. Finally, we analyze 282 survey data for the prove research model.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appeared that the healthiness and connectedness formation affected positive (+) influence on the perceived cultural identity. And it is found that the food experience does not influence on the perceived cultural identity. And it was appeared that the healthiness and food experience affected positive (+) influence on the attitude. And it is found that the connectedness formation does not influence on the attitude. Perceived cultural identity affect positive (+) influence on the attitude and attitude do positive (+) influence on the buying intention of imported food. But it is found that the perceived cultural identity does not influence on the buying intention of imported food. The mean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uld be meaningful in that this study confirm the importance of culture code to global marketing. Second, identifying food culture codes of Chinese consumer is the meaningful results of this study. Third finding out the mediator between the food culture code and buying intention also the meaning of this study. And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very helpful to the food marketers who have interest in the export of food to China.

      • KCI등재

        농식품 동북아 물류 허브 육성과 수출확대 전략

        한관순(Han, Gwan-Soon) 한국물류학회 2011 물류학회지 Vol.21 No.1

        우리나라 농식품 업계의 당면과제인 수출 확대를 위해 “농식품 동북아 물류허브 육성과 수출확대 전략”을 연계하여 추진하는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의 수출입시 물류특징을 비교하여 ‘07년 대비 ’09년에는 얼마나 개선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농식품 수출물류인프라 현황을 분석한 결과, 국내 산지유통조직의 저온유통체계 구축 미비로 취급물량의 예냉처리율이 6.7%이고, 신선농산물의 집하운송시 냉장차 이용률이 27.8%에 불과한 실정으로 수출입 대기 중의 품질유지를 위해서 공․항만의 저온창고 정비 등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농수산물 수출물류비 분석결과 전체 기업의 평균 7.3%보다 2.7%P 높은 10.0%로 나타났으며, 그것도 운송비가 대부분인 75.7%로 나타나 운송비를 중심으로 한 물류비 절감이 절실한 실정이다. 농식품업체의 수출확대를 위한 주요 애로사항으로는 운송비의 절감, 선도유지가 가능한 운송수단과 저온물류센터의 확보 및 주요 공․항만에 일괄수출입서비스가 가능한 종합터미널의 구축, 일․미․중․구주․러시아에 해외공동물류센터의 구축 등 수출물류인프라 개발의 필요성과 그 운영의 효율화(판매영업의 전담 및 관리 물류전문인력의 배치), 국내 수출업체들간 과당경쟁에 따른 가격덤핑을 들 수 있다. 또한 농식품 물류인프라의 확충은 세계의 항만 물동량에서 동아시아가 차지하는 비중이 ‘04∼08년 동안 48.1%에서 50.5%로 꾸준히 확대되어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농식품 수출 핵심요소 기술별 기술수준과 격차 및 핵심요소기술의 우선순위 등을 고려할 때, 농수산물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생산 및 가공기술의 개발과 수출시장 개척도 중요하지만, 앞으로는 물류허브 및 인프라개발에 대한 전략 강구로 日, 中과 차별화된 대응방안이 절실함을 살펴본다. 농식품 동북아 물류허브는 경쟁력 있고 매력적인 식품으로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을 수 있고, 일․중․아세안 국가들 및 전 세계를 대상으로 수출확대를 위해 물류체계의 고도화를 통한 부가가치 증대와 물류비 절감을 이룩하고, 심화되는 글로벌 경쟁 속에서 국경을 초월해 수출대상국 소비자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리드타임을 줄이고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공급시스템을 갖춘 물류허브 구축과 수출확대를 도모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some efficient strategies relating to fostering for Logistics Hub and extending Agro-food exports in North-East Asia. The main ideas of this research is how to make efficient Logistics Hub and Agro-food export. There are several conclusions have been settled as below. ① Finding a right direction for Agro-food export market and investment extension.; there is a problem of overseas market disruption because of separation in a form of logistics aids by regional governm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strategic plan of assistance in consideration of market efficiency instead of direct one. ② Securing Agro-food safety at local production level and exporting stage, and Introducing and procuring post-harvest management and processed technology. ③ Explaining about location of Logistics Hub and development of infra structure, and Building export logistics centers from long term view. ④ Building 'Logistics information network system' based on electronic tags(RFID) for Agro-food export. ⑤ Suggesting that some innovations should be necessary ; Setting new measures to reduce export logistics cost, being equipped with logistics education systems, adopting GAP(Good Agricultural Practices) and inducing uniformity in quality and grade of Agro-food. ⑥ Transferring from low cost logistics technology to quality reinforcing logistics technology. ⑦ Establishing of agro-food logistics(export logistics) statistical database for low logistics cost and accurate export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