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eminization of Migration and Global Gender Injustice

        Hee-Kang Kim(김희강)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4 OUGHTOPIA Vol.29 No.2

        이 논문의 목적은 이주의 여성화를 규범적인 관점에서 평가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논문은 다음의 세 가지 작업을 진행한다. 첫째, 이주의 여성화를 젠더화된 국내외의 제도에서 형성된 체계적이고 패턴화된 여성이주로 특징짓는다. 젠더화된 국내외 제도의 복잡한 관계는 여성들의 집단적인 이주를 생성, 유지, 공고화하는 맥락이 된다. 이러한 특징의 이주의 여성화 사례로 필리핀에서 홍콩으로 이주하는 여성노동이주와 베트남에서 한국으로 이주하는 여성결혼이주를 살펴본다. 둘째, 이주의 여성화를 규범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토머스 포기(Thomas Pogge)의 글로벌 정의 논의에 주목한다. 포기는 전 세계적 빈곤과 경제 불평등 문제를 다루기 위하여 ‘글로벌 제도 질서(global institutional order)’ 개념을 사용한다. ‘글로벌 제도 질서’의 시각에서 본다면, 이주하는 개인의 문제가 아니고, 또한 이주를 받아들이는 국가의 문제도 아닌, 글로벌 질서의 측면에서 국제이주를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포기의 논의를 이론 틀로 하여 이주의 여성화를 평가해 본다. 무엇보다도 논문은 이주의 여성화가 생산, 유지, 공고화되는 젠더화된 국내외의 제도적 맥락을 평가함으로써, 어떻게 이러한 제도가 글로벌 젠더 부정의과 이주여성의 취약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지를 밝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feminization of migration from a normative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ttempts to relate feminization of migration to the issue of global gender injustice. Feminization of migration is characterized as a patterned migratory movement of women constituted in the domestic and global context of gendered institutions and structures.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domestic and global levels of gendered institutional structures provides a context for producing and reproducing feminization of migration. This paper does not intend to demonstrate that feminization of migration itself is unjust. Rather, relying on some theoretical insights from Thomas Pogge’s accounts of global justice, it purposes to access domestic and global institutional structures on which feminization of migration is placed. This paper plans to show how the gendered context of domestic and global institutional structures, wherein feminization of migration is located, is closely associated with global gender inequality and the vulnerability of migrant women.

      • KCI등재

        Women and International Migration: Background of the Feminization of Migration and its Implications

        박채복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08 Asian Women Vol.24 No.2

        Migration is a complex worldwide Phenomena. With the emergence of new threats such as international terrorism, drug problems, international crime, international human trafficking, etc., the issue of migration is deemed a serious threat to the security of individuals and societies. Although migration patterns, processes, and the experiences of migrants are gendered, the research trend of analyzing the issue of migration from a gender viewpoint became active only in the 1980s. The paper shows three basic themes, by examining the issue of migration from a gender viewpoint and the international political meaning by clarifying the background and social consequences of the migration of women. To make such content more systematic, this paper will first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change termed globalization and the feminization of migration, and discuss the structural background of the feminization of migration and the socioeconomic marginalization of the migrant women.

      • KCI등재

        ‘이주의 여성화’ 현상과 한국 내 결혼이주에 대한 이론적 고찰

        황정미(Hwang Jung-Mee) 한국여성연구소 2009 페미니즘 연구 Vol.9 No.2

        최근 국제결혼이 급증함에 따라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정책연구 및 사례연구들 또한 양산되고 있는 반면, 이주의 여성화라는 큰 맥락 안에서 결혼이주 현상을 분석하는 이론적 노력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이론적 연구를 위해 이 글에서는 이주의 여성화, 결혼이주와 노동이주의 관계 등 개념을 검토하고, 이주의 여성화를 추동하는 전지구적 맥락과 한국의 가족의 변화를 연계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먼저 이주의 여성화를 전지구적 맥락에서 설명하는 개념으로 글로벌 케어 체인(global care chain)과 생존의 여성화(feminization of survival)를 검토해 보면, 지구자본주의의 확산으로 제3세계 경제가 취약해지고 생존을 책임지게 된 여성들이 열악한 조건의 이주를 감수하게 된다고 설명하는 후자의 개념이 한국의 결혼이주 급증 현상을 이해하는 중요한 배경이 된다. 남성의 하향혼, 여성의 상향혼 선택이 교차하는 국제결혼 가정에서는 한편으로 가부장적 억압이 강화되는 현상이 나타나지만 반면 남성 가장의 생계부양 기능이 약화될 경우 실제로 가족관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하는 양면성이 나타난다.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많은 지원 정책에도 불구하고 오직 사적 가족에만 소속되는 이주 경로의 취약성은 그대로 남아있다. 결혼이주와 노동이주를 ‘이주의 여성화’ 맥락에서 통합적으로 보고, 여성 시민권의 공식적, 비공식적 차원을 함께 사유하는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Recently, case studies and policy reports on marriage migration in Korea have been dramatically increased. In regards of theoretical reflection of marriage migration and cross-border marriage, we need wider perspective which can connect global tendency of ‘feminization of migration’ and Korean experience of migration. In this article, I examine two concepts of ‘global care chain’ (Hochschild) and ‘feminization of survival’ (Sassen) to find out some theoretical points to link global context of women’s migration toward Korean case of rapid increase in marriage migrants. The tendency of ‘feminization of survival’ is very important clue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Asian women who enter into Korea as wives of Korean men in spite of language barrier, cultural difference, and even the possibility of unstable marriage life such as poverty, divorce and domestic violence. In the context of the family change, increasing cross-border marriage meet current tendencies of diverse families in its form and scale since the economic crisis of last decade. Marriage migrant women are often described as the ‘victim’ of oppressive patriarchy, but I think they are located on the ‘contradictory’ position with the possibility of their resistance against family control. The project of patriarchal family which try to reinforce male hierarchy through downward marriage with women from ‘under-developed’ countries can be seriously injured if male-breadwinning fails. I think current state of marriage migration in Korea is an example of very unstable, irregular form of feminization of migration. In spite of diverse policy measures which provide language program for foreign wives, the mode of belonging for these women in host society before naturalization are still unstable, as only ‘private’ wives of Korean men in private family without any ‘public’ status.

      • KCI등재

        “여성 ‘노동’의 이주화”: 1950-1970년대 여성 돌봄노동 고용의 포스트콜로니얼리즘

        나혜심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7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43

        The feminization of migration is the most characteristic phenomenon in the era of global migration. This phenomenon, in which the number of women is increasing as the subject of migration and migrated by the female laborers who worked for reproduction, is on a historical link with the care work migration after the Second World War. This is because the migration of nursing workers is mainly carried out with a common direction from the past cultural and political colonies to the old empires. This is the impact of past experiences of Christian missionary mission in the past colonial period in the form of medical support for colonial society and women 's education. This experience continued after the end of the empire, so nursing migration after World War II can be regarded as results of postcolonial relationship. Medical support and education in the colonial period was carried out in the way of mission, and the Western nursing culture was transferred to the colonies, replacing the own traditional nursing cultures in the third world. This experience was once again reproduced when the empire was dissolved and the service labor force for expanding the rights of medical care and care in the Western world was lacking. The process of providing women's labor, brokering, providing education, and providing nursing services for Christians recreates the past colonial relationship, which served as a historical and cultural network for nursing migr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이주의 여성화는 글로벌 이주시대 가장 특징적 현상이다. 이주의 주체가 된 여성 숫자가 증가하고 여성노동으로 여겨졌던 재생산노동의 필요가 이주를 매개하는 이 현상은 2자 대전 직후의 간호돌봄노동 이주와 역사적 연관성 위에 있다. 간호노동자의 이주는 주로 과거의 문화적, 정치적 식민지에서 제국으로의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이는 과거, 기독교의 선교가 식민지 사회에 대한 의료지원과 여성교육의 방식으로 진행되었던 상당정도 공통의 역사적 경험이 전제되어 나타났다. 이 경험은 제국들의 해체 후에도 지속되었기에 2차 대전 이후의 간호돌봄노동은 일종의 포스트콜로니얼한 관계성을 구현하는 이주라고 볼 수 있다. 식민시기 의료적 지원과 교육이 선교의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서구의 간호문화는 제 3세계 고유의 것을 대체하면서 식민지로 이전되었다. 이 경험은 2차 대전 후, 제국이 해체되고 서구 세계에 의료와 요양의 권리 확대를 위한 서비스 노동력 부족 시기에 노동이주로 재현되었다. 기독교인의 여성노동력 중개와 교육제공, 그리고 간호서비스 제공의 과정은 과거의 식민지적 관계을 다시 재현하고 있으며 이 재현과정은 소위 신자유주의 이후의 이주를 위한 역사적, 문화적 네트워크로 기능하였다.

      • KCI등재

        이주의 여성화와 초국가적 가족

        이혜경(Lee Hye-Kyung),정기선(Chung Kiseon),유명기(Yoo Myungki),김민정(Kim Minjung) 한국사회학회 2006 韓國社會學 Vol.40 No.5

        본 연구는 1980년대 말 친척방문과 함께 시작된 중국 조선족의 국내 이주현상을 ‘이주의 여성화’와 ‘초국가적 가족’현상의 맥락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4년 3월부터 12월까지 국내에서 식당종업원 또는 가정부로 일하고 있는 조선족 여성 56명의 심층면접 자료를 구술사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친척방문으로 시작된 중국 조선족의 한국유입이 한국과 중국 간의 경제적 격차로 조선족들에게는 돈벌이의 기회로 활용되면서 점차 노동이주로 변화하였으며, 한국이 조선족의 국내유입을 제한하는 정책을 실시하자 혼인이주가 노동이주의 한 방법으로 활용되었다. 여성이 한국에서 취업이 용이할 뿐 아니라 돈을 모으기도 수월하기 때문에 선호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혼인이주와 함께 이주의 여성화에 기여하고 있었다. 조선족의 한국이주는 가족전략적 차원에서 결정되는데, 가족주기와 계층적 지위에 따라 선택하는 가족전략에도 차이가 있었다. 조선족 여성의 한국취업에 확대가족과 남편의 지원은 필수적인 것이었으며, 이러한 지원에도 불구하고 장기간 부부이산 혹은 가족이산은 자녀탈선과 이혼을 초래하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이주과정에서 조선족 여성은 주체적으로 한국이주를 결정하고, 친정식구연결망을 형성하는 등 적극적인 삶의 자세와 강인한 여성성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Korean-Chinese migration to South Korea which begun in the mid-1980s. The data is from in-depth interviews of 56 Korean-Chinese women who work as domestic servants or restaurant employees. The following issues were addressed during the interviews: 1) why the Korean-Chinese migration is more feminized than other Asian migration to Korea; 2) what role the migrants families play 3) what impact the Korean-Chinese women’s migration to Korea has upon their families. The Korean-Chinese women’s migration to Korea is interpreted from a feminist perspective by focusing on the ‘feminization of migration’ and the ‘transnational famil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migration of the Korean-Chinese to South Korea has transformed from a diaspora to a labor migration due to the economic gap between Korea and China. Many Korean-Chinese migrate to Korea to earn money. However, the Korean government often limits their entry, thus international marriage is sometimes opted as a means to gain entry into Korea. Moreover, Korean-Chinese women are more likely to migrate to Korea because it is easier for them to find a job and save money there. The strategies adopted by Korean-Chinese families to enter Korea usually depend on the family’s life course and their socio-economic status in China. It is essential for the women to get support from their husbands and families in order to migrate overseas. However, long periods of separation sometimes lead to divorce and child deviation. Nevertheless, the Korean-Chinese female migrants have demonstrated strength and determination.

      • KCI등재

        성 · 유흥산업으로 유입되는 여성이주

        김희강(Kim, Hee-Kang),송형주(Song, Hyung-Joo)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7 젠더와 문화 Vol.10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여성이주 중 성 · 유흥노동자의 유입 및 흐름에 주목하여, 성 · 유흥산업에 유입되는 여성이주를 국제적 재생산노동분업(international division of reproductive labor)의 맥락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국제적 재생산 노동분업이란 생산노동과 재생산노동이 성별로 또한 국제적으로 분업화된 것으로, 저개발국 여성이 개발국으로 이주하여 재생산노동을 담당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성 · 유흥산업으로 유입되는 여성이주에 대한 기존 연구는 성매매 유입 및 여성이주자를 인권침해의 피해자로 보는 시각에 집중하여 왔다. 반면, 본 논문은 성 · 유흥산업에 유입되는 여성이주를 가부장제와 전 지구적 자본주의가 상호 교차하는 맥락인 국제적 재생산노동분업의 구조 속에서 살펴본다. 본 논문의 장점은 기존에 자주 논의되지 않았던 성 · 유흥이주노동자를 다룸으로써 여성이주의 논의 대상을 단지 확대한다는 점을 넘어선다. 국제적 재생산 노동분업의 맥락에서 여성이주를 살펴보는 것은, 이주를 결정하는 여성의 선택이 거시적 제도와 구조의 동학 속에서 어떻게 구성되는지, ‘이주의 여성화’가 어떻게 전 지구적 체계의 성불평등을 유지시키는데 기여하는지 등을 보여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women’s international migration to the sex/entertaining industri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ternational division of reproductive labor. The international division of reproductive labor refers to the internationally divided as well as gendered separation between productive labor and reproductive labor. That is, it implies that Third World women move to the First World where they mostly perform the reproductive labor of that First World. While many current studies on migrant sex workers/entertainers are largely concerned with the issues of sex trafficking and the violation of women’s human rights, this paper approaches the international migration of sex workers/entertainer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lobal and domestic structures of the international division of reproductive labor, where the systems of patriarchy and international capitalism intersect.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addressing of how migrant sex workers/entertainers are connected to migrant domestic workers and marriage migrants, how migrant women’s choices are constituted within/by broad structures and institutions, and how the ‘feminization of migration’ renders the global system of gender inequality.

      • KCI등재SCOPUS

        The End of Feminized Migration?: Gendering Violent Borders and Geographies of North Korean Migration from the Arduous March to the COVID-19 Era

        ( Eunyoung Christina Choi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4 Asian Journal of Peacebuilding Vol.12 No.1

        This article examines the spatial and temporal changes of North Korean (NK) migration by analyzing the interactive process between NKs’ efforts to cross borders amidst changing geopolitical and economic circumstances and the activities at the domestic, local, state, and international levels to manage displacement from a gender perspective. In doing so, I argue that the border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became violent and that NK migrations became spatially gendered and class-stratified. The proportion of NK women entering South Korea remains high, primarily due to the secondary migration of those who have long resided in China in de facto marriage relationships with Chinese men. In contrast, among recent direct defectors, NK men constitute a significant proportion and they often play an active role in family migration.

      • KCI등재

        이주-정착-귀환의 행위자 네트워크

        이민경(Min-Kyung, Lee)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6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22

        이 논문은 한국사회에서 베트남 미등록 노동이주여성들의 이주-정착-순환의 과정을 행위자 네트워크이론(Actor-Network Theory: ANT)으로 분석한 것이다. 행위자 네트워크이론은 초국적 이동 과정에 개입하는 다양한 인간 · 비인간 행위자들의 행위성(agency)에 주목함으로써 이주 연구의 패러다임을 확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ANT의 관점에서 보면, 베트남 노동이주여성의 이주와 정착, 귀환에는 개인의 선택 이면에 송출국인 베트남의 다양한 사회문화적 조건, 한국과 베트남의 양국 관계와 이주정책, 이주브로커 등 다양한 인간 · 비인간 행위자들이 개입하는 복합적 행위성의 결과임을 암시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 토대를 두고, 이 연구는 국내 베트남 미등록 노동이주여성들의 이주와 정착, 귀환을 둘러싼 행위성을 행위자 네트워크에 의해 고찰함으로써 ‘미등록 노동이주여성’라는 호명이 블랙박스로 작동함으로써 드러나지 못하는 이들의 다양한 삶의 맥락과 협상의 과정을 다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한국으로 이주해온 베트남 노동이주여성들이 결혼과 출산 과정을 거치면서 자녀양육과 교육문제가 어떻게 이주의 순환 고리에 작동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트남 미등록 노동이주여성들의 한국으로의 이주는 단순히 경제적 목적을 위한 ‘노동력’의 이동이나 개인의 선택의 문제를 넘어 그 이면에 한-베트남 양국 간 관계의 변화, ‘한류’로 대변되는 베트남의 한국붐과 이를 추동시킨 기술의 발전, 한국의 이주정책 등이 상호 교차하는 복합적인 과정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한국사회 정착과정에서 결혼과 출산, 자녀양육은 베트남 미등록 노동이주여성들의 삶을 재편하는 핵심적인 행위자임을 드러내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체류와 귀환을 결정하는 핵심 변수로 자녀문제가 등장하면서 개인의 선택과 전략이라는 인간 행위자들의 행위성뿐 아니라 제도와 정책, 기술의 발전 등 다양한 비인간 행위자들이 개입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노동이주여성’으로 호명되면서 특정한 관점에 갇혀 있던 블랙박스를 해체하고 변화하는 다양한 환경과의 관계 속에서 자신들의 삶을 적극적으로 재구성해나가는 주체적 행위자로서 베트남 노동여성들의 초국적 이동을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This case study investigates the complex process of migration -settlement-return of the undocumented Vietnam female migrant workers, from the perspective of Actor Network Theory(ANT). In general, migrant worker is recognized as a labor force to cross the border for their economic purpose. However, the mobility of migrant is consisted with the complex process in which various human and non-human actors involved. In this sense, ANT provides the possibility to deepen the understanding for mobility of migrant by considering various factors which cause the transnational mobility. In particular, the mobility of female migrant worker. which caused the feminization of migration, experiences more complex process following the marriage, birth and caring of their children in host country. Considering this singularity of the mobility of women, this article aims to analyse their hope and difficulty focusing on the undocumented Vietnam female workers. For this purpose, I conducted in-depth interview with undocumented Vietnam female migrant workers in Daegu area who married and have children. Research result shows that their migration-settlement-return is the result of complex process in which human and non-human actors involved such as caring and education of their children, the migration policy, the diplomatic relation of two countries,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etc. Based on this result, I discussed the necessity of new perspective to understand the mobility of female migrant workers as a result of multidimensional actor networks which is often neglected by the Black box of labor migration.

      • KCI등재

        “Re-feminization” of dependent women migrants: Negotiating gender roles in the Chinese digital diaspora

        Yalan Huang 이화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학센터 2020 Asian Journal of Women's Studies(AJWS) Vol.26 No.2

        Chinese women migrating to the US on dependent visas have been paid little attention. ICTs provide them a means to form an online community and to express their voices. Through netnography on a popular online forum of female Chinese immigrants in the USA (www.huaren.us), this article investigates how Chinese dependent visa holders describe and perceive their gender roles after migration. This paper finds that two representative gender roles—“miserable homemakers” and “successful career women”—stand out. However, both these groups of women take on more conservative roles in the domain of reproduction for motherhood and home-making after migration, which is defined as ‘re-feminization’ and represents their increased performance in and valorization of domesticity. By comparing gender norms in the US and China, re-feminization is regarded as resistance to hegemonic Chinese gender norms that devalue domesticity, but do not challenge the sexual division of labor that underlies patriarchal gender norms both in China and the US.

      • KCI등재

        네트워크 시각으로 본 디아스포라시대의 결혼이주여성

        이윤주 ( Yoon Joo Lee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1 시민교육연구 Vol.43 No.2

        ``Feminization of migration`` characterizes transnational migration. Nowadays, female transnational marriage migrants from developing countries(especially. South East Asia nation, and china and so on) become a significant minority group in South Korea society. The study analyzes the process of making the diaspora power for the female transnational marriage migrants` political network. The chief method of analysis used network theory. Especially, focus on the Actor-Network Theory and Social Network Analysis. This study emphasizes the possibility which is the female transitional marriage`s soft-power. Given these findings illustrated above, it is critical to acknowledge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and local and government mylticutural policy. Moreover, it is important for multicutural education educators to explore various aspects of female transnational marriage migrants based on a broad range of theoretical approaches, the opening up possibilities for more dynamic multicutur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