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종류주식을 활용한 가업승계 - 의결권 없는 상환우선주와 신탁의 활용을 중심으로 -

        오영표 ( Oh Young Pyo ) 한국중견기업학회 2023 중견기업연구 Vol.10 No.1

        가업의 사주가 고령화되고 있는 현재 가업승계를 지원하는 정책의 필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 중에서 가업 사주가 가장 크게 고민하는 자녀 갈등 없이 안정적으로 가업을 승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종류주식을 활용한 가업승계 방법’을 검토하였다. 가업승계에 다양한 종류주식을 활용할 수 있지만, 이 논문에서는 의결권 없는 종류주식을 활용하여 후계자에게는 의결권 있는 주식을 승계하고 비후계자에게는 의결권 없는 상환우선주를 승계함으로써 후계자에게는 완전한 경영승계를 보장하고 비후계자에게는 경제적 권리를 승계받을 수 있는 구조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종류주식을 무상이전하는 방법으로 증여, 사인증여, 유증이라는 3가지 기존 방법보다 신탁을 활용하면 훨씬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가업승계가 가능하다. 결국 사주는 종류주식을 활용하면서 동시에 신탁을 활용하여 가업승계를 계획하고 실행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종류주식과 신탁을 활용한 가업승계를 더 많은 사주가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도 개선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류분제도를 대폭 개선할 필요가 있다. 가업승계에 있어 유류분 사전 합의를 허용할 필요가 있다. 유류분 포기권자의 진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치를 가정법원의 허가로 정하고 유류분 사전 합의를 허용하면 부작용은 없을 것이다. 그리고 유류분제도의 현실적 존재 이유를 유족의 생계 보장으로 축소하면서, 유류분금액의 한도를 30억 이내로 제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종류주식의 발행한도를 총발행주식수의 50% 상향할 필요가 있다. 모든 기업에 허용하기 어렵 다면, 가업승계를 위한 경우에 한해서라도 종류주식 발행한도를 상향해야 한다. 종류주식과 신탁을 활용한 가업승계를 실무에서 많이 활용하고, 그 방법도 더 정교하게 만들어지길 기대한다. 셋째, 분쟁없는 가업승계도구로 신탁이 활용될 수 있도록 자본시장법상 신탁회사의 의결권행사한도에 대해 가업승계신탁에 한하여 예외를 인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사주가 생전에 가업승계신탁계약을 체결하여 가업 주식의 소유권이 신탁회사에 이전되더라도 가업상속공제와 가업증여특례의 사전 및 사후 요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상증법 및 조세특례제한법을 개정하여야 한다. The necessity of a policy to support the succession of the family business cannot be overemphasized as the owner of the family business is aging. Among them, the “family business succession method using class shares” was reviewed as a way for the family business owner to stably succeed the family business without the conflict of children. Various types of shares can be used for family business succession, but in this paper, the structure of inheriting voting shares to successors and non-voting shares to non-successors in order to ensure complete management succession was reviewed. In addition, more efficient and stable family business succession method is possible by using revocable trust than three existing methods of gift, gift upon death, and will. Therefore, the owner of family business needs to plan and implement the family business succession using the trust as well as non-voting shares. The improvements to make family business succession using class shares and trus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to drastically improve the forced heirships system of civil law. It is necessary to allow prior agreement on the inheritance of the family business. There will be no side effects if a device that can secure the authenticity of the person who has the right to give up the forced heirships system is set with the permission of the family court and a prior agreemen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limit the amount of the forced heirships system to 3 billion while reducing the realistic reason for the existence of the forced heirships share only to guarantee the livelihood of the bereaved family. Second,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issuance limit of class non-voting shares by 50% of the total number of issued shares. If it is difficult to allow all companies, the issuance limit of class shares should be raised even in the case of family business succession. Third, exceptions need to be recognized only for family business succession trusts to the limit on the exercise of voting rights of trust companies under the Capital Markets Act so that trusts can be used as family business succession tools without disputes. In addition, even if the owner enters into a family business succession trust contract and the ownership of family business shares is transferred to the trust company,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Article 18 Basic Deductions) and the Restriction Special Taxation Act(Article 30-6 Special Taxation on Gift Tax on Succession to Family Business) must be revised to meet the prior and post requirements of family business inheritance deduction and family business gift special cases.

      • KCI등재

        중국 「신탁법」에서의 가족신탁 수익자 권리보호에 관한 검토

        오위,곽평 한중법학회 2023 中國法硏究 Vol.52 No.-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economy and the proliferation of high net worth individuals in China, the wealth creation generation is facing the problem of wealth transmission, and family trusts are increasingly favored by high net worth individuals, among which whether the rights of beneficiaries can be effectively protected is the most important concern of family trust creators. As a very mature system in common law, the basic structure of the legal relationship of family trust is a series of rights and obligations between the trustor, the trustee and the beneficiaries of the trust around the family trust property. In terms of the nature of the family trust, the beneficiary is the ultimate recipient of the trust benefits and the owner of the trust purpose, so the beneficiary and its rights are at the core of the family trust relationship. After the trust system was transplanted to China, in order to strengthen the supervision of the trustee, the Chinese legislation maximized the status of the principal, and changed from the common law “beneficiary-centrism” to “principal-centrism”. Although this model played a role in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family trusts in the early stages of legislation, the establishment of such interests has increasingly deviated from the purpose of family trusts to protect the rights of beneficiaries. Based on the Trust Law, this paper studies and discusses the current situation and shortcomings of the protection of beneficiaries’ rights in Chinese family trusts in the context of the Trust Law, and examines how they should exercise their rights and fulfill their obligations in order to maximize the protection of beneficiaries’ righ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various stakeholders of family trusts, i.e., the trustees, trustees, beneficiaries, and the supervisors who are only provided for in the public trust. The rights of beneficiaries can be protected to the maximum extent. At the same time, by drawing on the advanced experience of developed countries in protecting the rights of beneficiaries of family trusts, we can coordin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eneficiaries of trusts and other parties to family trusts by appropriately limiting the rights of trustees, clarifying the criteria for judging trustees’ duties of fidelity and prudence, relaxing the conditions for beneficiaries to exercise the right of termination, and setting up inspectors for private trusts, so as to effectively establish a mechanism for protecting the rights of beneficiaries of family trusts. This will effectively establish a mechanism for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family trust beneficiaries, better protect the status and rights of family trust beneficiaries in China, and promote the realization of family trusts in China. 경제의 고속발전과 더불어 중국에는 순자산액이 높은 사람들이 대량으로 늘어나 부유창조세대들이 재부의 상속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가족신탁은 갈수록순자산액이 높은 사람들의 선호를 받고 있는데 그중 수익자의 권리가 효과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는가는 가족신탁 설립자들이 가장 관심을 가지는 문제이다. 가족신탁제도는 영미법에서 매우 성숙한 제도로 그 법률관계의 기본 구조는 위탁자, 수탁자, 신탁수익자가 가족의 신탁재산을 둘러싸고 발생하는 일련의 권리와 의무의 관계이다. 가족신탁의 본질로 말하면 수익자는 신탁이익의최종 획득자와 신탁목적에 귀결되기에 수익자와 수익자의 권리는 가족신탁관계에서 핵심적 지위에 처한다. 신탁제도가 중국에 도입된 이후 중국은 수탁자에 대한 감독을 강화하기 위해 위탁자의 지위를 최대한 높여 영미법계의 “수익자 중심주의”에서 “위탁자 중심주의”로 입법하였다. 비록 이런 모델이 입법 초기에 가족신탁의 발전을 추진하는 역할을 하였지만 수익자의 권리를 보호한다는 가족신탁의 목적에는 위배되었다. 이 글은 신탁법 을 기초로 하고 신탁법 의 시각에서 중국 가족신탁수익자 권리보호의 현황과 미비점을 연구하고논의하였다. 가족신탁의 각 관계자로부터 출발하여 구체적으로 가족신탁의 위탁자, 수탁자, 수익자 및 공익신탁에만 규정이 있는 감찰인이 어떻게 자신의권리를 행사하고 자신의 의무를 이행해야만 최대한으로 수익자의 권리를 보호할 수 있음을 연구한다. 동시에 선진국의 가족신탁수익자 권리보호의 선진경험을 참조하여 수탁자 권리의 적당한 제한, 수탁자의 충실의무와 신중의무의판단기준 명확화, 수익자 해임권 행사조건의 완화, 사익신탁 감찰인의 설치 등에 대해 명확히 규정하여 수익자와 기타 가족신탁 당사자 간의 관계를 잘 조정한다. 이로써 가족신탁수익자 권리보호 메커니즘을 효과적으로 구축하여 중국에서의 가족신탁수익자의 지위와 권리를 더욱 잘 보장함으로써 가족신탁이 진정으로 중국에서 뿌리를 내리도록 촉진한다.

      • KCI등재

        저신뢰 사회를 만드는 고신뢰 기대? 가족확장성과 신뢰기준의 역할

        허용회,박선웅,허태균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3 No.1

        The present research investigated the psychological nature of low levels of trust in Korean society and the role of family expansionism, a cultural psychological factor, in this phenomenon. Specifically, we examined the possibility that Koreans’ distrust toward social system is, at least partially, due to high standards for trust, which might be closely related to Koreans’ cultural characteristic of family expansionism. In Study 1, the relations between levels of family expansionism, trust standards, and actual levels of trust for parents, judiciary, and politicians were examined among 540 Korean adults. In Study 2, we manipulated levels of family expansionism to examine its effect on trust standards. Results showed that trust standards were higher for politicians than parents. Participants’ trust standards for politics were unrealistically high, especially on the responsibility factor. Actual levels of trust for judiciary and politicians were low when the trust standards for these targets relative to trust standards for parents were high. Moreover, the trust standards and levels of trust for judiciary and politicians (relative to those for paren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levels of family expansionism. In other words, higher levels of family expansionism were linked to higher trust standards and levels of distrust for judiciary and politicians. In addition, Study 2 results showed that trust standards became high when family expansionism was induced. Unlike previous studies which focused on causes of low levels of trust while assuming that Korean society itself is a low trust society, the present research investigated the underlying mechanism behind the seemingly low trust in Korean society. 본 연구에서는 한국 사회에 대한 저신뢰 평가에 기여하는 문화심리적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저신뢰 평가가 한국인 스스로 높은 신뢰 기준을 가지고 있는 것에 귀인될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그 신뢰판단의 기준을 형성하는 데 한국의 문화심리적 특성인 가족확장성(Korean Family Expansionism)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 1에서는 540명의 한국 성인에게 부모, 사법부 및 정치인에 대한 신뢰의 기준 및 실제 신뢰 정도와 그들의 가족확장성을 측정하여, 그 관계를 분석하였고, 연구 2에서는 가족확장성을 활성화시키는 처치가 신뢰기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정치인에 대한 신뢰 기준은 부모에 대한 신뢰 기준보다 더 높았고, 특히 관계(친밀성)요인이 아닌 대상(책임성)요인에서 정치와 사법 현실을 고려할 때 일반인들이 정치에 대해 가지고 있는 기대가 다소 비현실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모에 대한 신뢰기준에 비해 정치인이나 사법부에 대한 신뢰의 기준이 상대적으로 높을수록, 실제 그들에 대한 신뢰정도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 나아가, 사법부 및 정치인에 대한 상대적 신뢰 수준/기준(부모 대비)은 가족확장성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즉, 가족확장성이 높을수록 부모에 비해 사법부/정치인에 대한 더 높은 신뢰 기준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들에 대한 불신 또한 높았다. 또한 연구 2에서는 가족확장성을 활성화시켰을 때 신뢰의 기준이 높아지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한국사회가 저신뢰 사회라는 전제 하에 그 원인을 밝히려는 기존의 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저신뢰 사회라는 인식이 형성되는 이유와 그 속에서 가족확장성이라는 문화심리적 요인이 가지는 의미와 역할을 규명하여 한국 사회의 신뢰 현상의 심층적 의미를 논하였다.

      • KCI등재

        일자리 창출을 위한 가업승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심충진 한국세무학회 2013 세무학 연구 Vol.30 No.2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es of small business firms of succession to a family occupation by estimating of firms’ valuation and presents the suggestions through it. Even though benchmarking Germany’s tax system, this study shows another proposals unlike Germany’ tax law as well as the improvement plans on the issue of trust foundation. The major improvement plans are as follows. The heir of 932 firms will feel very small with deduction succession to a family occupation is over 427billion won. The conditions of sales size do not need actually. The introduction of trust foundations could be able to make a family business achieve sustainability management and public interest at the same time. There are two types of trust foundations. Firstly, if hereditary properties of a family business in a form of public trust foundation are given in trust with a public trust foundation, inheritance tax could be exempted and a part of a profit of public trust properties up to 30% could be paid to a truster and its family. Secondly, it is the introduction of the private trust foundation. hereditary properties of a family business is given in trust with a private trust foundation and up to 80% of profits from trust properties could be paid to a truster and its family. If the system of the trust foundation is initiated, improvements as follows may be made regarding conditions of deduction. Firstly, the amount subject to deduction of succession to a family occupation is 70% of inherited properties but it is possible to exempt all of the inherited properties. Secondly, the contribution of inherited properties to trust foundations should not include the scope of inherited properties and joint owners should be included in inheritor. Thirdly, it is not necessary for an inheritee to run a busines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n the holding of the present tax law, if the amounts of over 50% of do not deducted use for public interest, the amounts which the amounts of do not deducted subtract the contribution of public interest would be deducted. 본 연구는 주식의 시장가치를 추정하여 가업상속공제 대상 중소기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그 시사점을 제시하며, 가업상속기업의 지속경영과 공익성을 확보하기 위해 독일의 신탁재단제도를 벤치마킹하였으나 선행연구와 달리 현실에 맞게 구체적인 제안을 하였다. 또한 신탁재단제도 도입 시 파생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제도개선까지 제시하고 있다. 주요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가업상속공제 한도액이 300억원으로 실제 가업상속재산액이 427억원 이상인 932개 기업에서는 공제금액이 적다고 느낄 것이다. 매출액 기준금액의 확대보다는 공제금액 한도액의 확대가 더 실효성이 있다. 가업상속공제 제도 이외에 신탁재단제도를 도입하면 가업승계 기업의 지속경영과 공익성을 동시에 달성될 수 있다. 신탁재단의 유형으로는 두 가지 형태가 있다. 첫째, 공익신탁재단의 형태로서 가업상속재산을 공익신탁재단에 신탁할 경우 상속세를 면제하고 공익신탁재산의 수익금 중 최대 30%를 신탁자 및 그 가족들에게 지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상속인이 반드시 경영에 참가할 필요가 없으며 가업상속재산은 공익성이 확보됨과 동시에 공익신탁재산의 투명한 경영으로 가업상속 기업의 지속경영을 유도할 수 있다. 둘째, 일반신탁재단 형태의 도입이다. 이는 가업상속재산을 일반신탁재단에 신탁하고 신탁자 및 그 가족들은 신탁재산의 수익금 중 최대 80% 까지 지급받을 수 있는 제도이다. 가업상속재산이 일반신탁재단에 신탁될 때에는 상속세를 부과하고 신탁재산의 수익자는 수익금 수령시 소득세를 부담한다. 이러한 신탁재단의 형태들이 도입될 경우 가업승계 대상 기업은 원활히 승계되어 일자리 창출에 상당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신탁재단의 제도가 도입된다면 현재 가업상속공제 대상 요건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이 있어야 할 것이다. 첫째, 가업상속공제 대상금액은 상속재산의 70%인데, 상속재산 전부를 공제대상으로 해도 된다. 둘째, 상속재산의 범위에 신탁재단의 출연금액은 제외하며 공동 경영참여자도 상속인 1인의 범위에 포함시킨다. 셋째, 피상속인의 경영기간에 대한 요건은 필요 없다. 그리고 현행제도 유지시 공제한도액 때문에 공제받지 못하는 금액의 50% 이상을 공익성에 사용할 경우 공제받지 못하는 금액에서 공익성에 지출한 금액을 차감한 후의 금액을 추가로 공제받을 수 있는 방안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신탁제도를 활용한 부동산자산의 승계에 관한 연구 : 소위 ‘가족신탁’을 중심으로

        김광수(Kim, Gwang-Su),정재호(Chung, Jae-Ho) 한국부동산정책학회 2020 不動産政策硏究 Vol.21 No.2

        The inheritance system and gift system, which had been mainly used as the property succession system for the heirs to the property, have been lacking in carrying out the property succession process that fully reflects the will of the heirs. Furthermore, as th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aged 65 or older in the Republic of Korea has entered an aged society, which exceeded 14 percent as of 2017, the demand for heirs to set the succession procedures for real estate assets in advance before the death of their heirs gradually increased. In the course of such social change, the revised Trust Act stipulated the trust system of substituting wills(Living Trust for Will Substitute) and the trust system of changing the beneficiary(successive beneficiary trust), so that even after the revised Trust Act took effect, the use of asset succession using the trust system has not been activated. This seems to be due to the general perception that a trustee of the trust system should be a financial institution and the psychological rejection thereof. However, in the process of using the trust system, if a family trust that determines the trustee as a family member designates the property succession process using the trust system of substituting wills(Living Trust for Will Substitute) and the trust system of changing the beneficiary(successive beneficiary trust), the truster may be free from this psychological rejection. Therefore, through the family trust system, the proxy function of a delegation contract that entrusts the management and disposal of real estate to a person who can trust the management and disposal of real estate on his behalf, the substitute function of a guardian system that can manage and dispose of property if his or her judgment ability is impaired, and the substitute function of a will that can determine the successor of a property after his or her death can also be determined by the trust system of changing the beneficiary.

      • 가업승계에 있어서 공익신탁과 공익법인의 활용가능성

        이중기 ( Lee Choongkee ) 한국중견기업학회 2023 중견기업연구 Vol.10 No.1

        신탁의 가장 큰 장점은 하나의 자산에 대해 형식적 소유권, 실질적 지배권 그리고 경제적 수익권을 분리해 각 권능에 대한 보유자를 새롭게 창설할 능력을 갖는다는 점이다. 따라서 기존의 자산을 출연하여 신탁재산으로 새로 통합시키는 경우 신탁은 기존 권리자들의 권리를 새롭게 설계할 수 있다. 기업을 성장시킨 창업자도 신탁을 이용해 기업의 형식적 소유권, 실질적 지배권 그리고 경제적 수익권을 다양하게 설계하여 창업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지배권과 수익권을 후계자, 기타 가족 및 친구들에게 분리하여 귀속시킬 수 있다. 이 글은 가업의 승계와 관련해 지배권의 승계 혹은 수익권의 분배 목적으로 신탁구조를 활용하는 방안 및 동시에 기업의 주식 혹은 배당수익으로 공익신탁을 설정해 공익활동에 활용하는 방안, 및 이 두가지 목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신탁구조를 설정하는 방안 등을 개락적으로 설명하였다. 결론적으로, 수익자신탁에서는 수익권을 창설할 수 있기 때문에 수익자의 수익권에 의결권행사지시권을 포함시키는 것에 초점을 맞춘 “후계자의 권리 설계”가 논의의 중심이 되는데 반해, 공익신탁에서는 수익자가 존재할 수 없기 때문에 창업자가 의결권행사지시권을 일단 유보하고 이 권리를 어떻게 “후계자에게 승계”하는가에 논의의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One of the problems that founders of a family business face is how to continue to maintain and develop the family business after his resignatio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unlisted companies, the founder considers (i) who in the family will inherit “control rights” and (ii) how to distribute “economic beneficiary rights” among family members. In this article, I specifically looked at the ways of setting up a trust for the family business in which the founder grants the “control rights” to the successor and distributes the beneficial rights among family members, and the issues that arise in the trust scheme for family business succession. Firstly, I looked at the succession scheme that can be set up by way of “beneficiary trust” in which the successor holds beneficiary status with beneficial interests including control rights as well as profit distribution in the family business while other family members may hold only beneficial interests for profit distribution. Secondly, I investigated the succession scheme that can be set up by way of “public interest trust” in which a beneficiary status cannot be designed. This article concludes that in designing the beneficiary trust scheme in which the “the successor’s beneficiary status” can be designed, the focus is how to design the successor’s beneficial interests and how to include the right to instruct voting. On the other hand, in designing the public interest trust scheme in which beneficiary status is not allowed, the focus should be put on how the founder reserves the right to instruct voting to himself and how to conveys the reserved instruction rights to the “successor”.

      • KCI등재

        상속세 및 증여세법상 수익자연속신탁 과세제도-일본과의 비교법적 검토를 중심으로-

        황헌순 한국세무학회 2021 세무학 연구 Vol.38 No.1

        In the past, trusts commonly not were used as a means of property management in Korea. However, the demand of trust is increased as a means of rational property management In the face of economic growth and an aging society. So trust law completely revised in 2011. As a result, new trust system are imposed for example Living trust for will substitute and Beneficiary Consecutive Trust. The situation of legislation is similar in Japan. It is a kind of welfare trust or family trust in case of Beneficiary Consecutive Trust. In the case of Japan, the review of the relevant tax system was discussed along with the revision of the trust law. But it is pointed out that the readjustment of the tax system was insufficient in Korea. This paper reviews the case of Japan, which has a similar legal system with Korea for Beneficiary Consecutive Trust. From this point, conside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the implications or points that we can get from Japan’s case. From this study, it makes the difference below;first,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uses the concept about trusts with successive beneficiaries same as trust law’s meaning. It assume change of beneficiaries only by former beneficiaries death. Second, there is the no regulation Term of existence of trust in trust Law. From this situation, taxpayer can try various things for example deferral of tax and so on. So the consideration needs to discuss for tax-avoidance. Third, the difference in timing of gift in trust beneficiary rights is needed to consider. it is different compare with Japan system. Taxpayers can try to avoiding progressive tax rates by setting numerous beneficiaries. For these things, we need to check other countries examples. Japan and US’s example will help for it. and we need to think about concept and case of trusts with successive beneficiaries and timing of gift in trust beneficiary rights by considering Japan’s system. The purpose of legislation in Japan is prevention of tax avoidance and vitalization of newly imposed trusts system. And we need to consider consistency with other tax law and tax respite system. In our case, it is necessary to refer to Japan’s case of similar legislation in addition to its own efforts for the use of the newly introduced trust system and prevention of tax avoidance. 과거 우리나라에서는 상사신탁 이외의 신탁이 재산관리 수단으로써 보편적으로 활용되지는 않았다. 하지만, 최근 고령화시대에 접어드는 등 사회적 수요에 따라 합리적 재산관리의 수단으로써 신탁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 전면개정된 현행 신탁법은 위와 같은 수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유언대용신탁, 수익자연속신탁 등 새로운 신탁유형을 규정하게 되었다. 조세와 관련해서는 수익자연속신탁을 설정한 결과, 위탁자 사망 후의 상황에 대한 논의가 행해지므로 상속세와 증여세가 깊이 관련될 것이다. 하지만 우리의 경우 신탁법 개정시에 세제는 그에 수반하여 충분히 개정되지 않은 측면이 있다고 지적된다. 이에 본고는 상속세 및 증여세법상 수익자연속신탁에 대해 우리나라와 유사한 법개정 경위를 가진 일본과의 비교법적 고찰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이로부터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살펴볼 수 있다. 첫째, 현행 상속세 및 증여세법은 수익자연속신탁의 개념에 대해 신탁법의 개념을 차용하고 있으며, 신탁법에서는 사망으로 인해 수익자가 변경되는 경우만을 상정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신탁법상 수익자연속신탁 규정을 보면, 당해 신탁의 존속기간에 관한 규정이 없다. 신탁법상 논의 뿐만 아니라 세법에서도 수익자연속신탁의 존속기간 부재로 인해 납세자는 신탁을 활용함으로써 장기간의 과세이연, 혹은 신탁계약에 따라서는 신탁원본에 대한 과세가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신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조세회피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존속기간 제한규정이 필요하다. 셋째, 현행 상속세 및 증여세법은 신탁수익권의 과세시기에 대해 수익실현시과세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때, 한 명의 수익자가 수익을 받는 경우에 비해 위탁자가 상속세 및 증여세법상의 누진세율의 적용을 회피하기 위해 다수의 수익자를 설정해 둠에 따른 조세회피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대한 검토 결과 첫째, 수익자연속신탁에 있어 사망 이외의 방법으로 수익자가 변경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세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수익자연속신탁의 존속기간과 관련해서는 일본과 미국의 경우 신탁에 대한 존속기간을 법에서 규정해 두고 있으므로 위에서 언급한 문제에 대해 보다 효율적으로 대비할 수 있을 것이며, 우리도 지나친 장기간의 과세이연, 조세부과의 불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외국과 같은 입법조치가 필요하다. 셋째, 신탁수익권 과세시기의 문제에 있어서

      • KCI등재

        공동주택재건축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신탁방식의 적용가능성

        김종서,장희순 한국지적학회 2010 한국지적학회지 Vol.26 No.2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whether a trust-method is applicable to the multi-family reconstruction project. On the basis of the Entirely Revised Bill of the Trust Act, we examine the trust-methods using the classification in terms of the Prime, Sub-Prime, legal and functional possibility. We find both Prime and Sub-Prime trust-methods are applicable to the multi-family reconstruction projects a result of the legal investigation. In terms of the functional investigation, using the trust-methods may lead to several advantages : i) It supplies the capital for a business by the issue of a bond for the Trustee, the establishment of a pledge right for the Beneficiary right, and the securitization of Beneficiary certificate. ii) The Prime trust-method prohibits the irregularity of the Union and reduces the periods of a claim for the property sales and projects. iii) The Sub-Prime trust-method may lead to decrease the irregularity of the Union by transferring the executor’s position to the Trustee. Thus, we conclude that a trust-method is applicable to the multi-family reconstruction. 본 연구는 공동주택재건축사업의 활성화를 위해 신탁방식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한 것이다. 신탁법전부개정안에 기초하여 프라임(Prime) 신탁방식과 서브프라임(Sub-Prime) 신탁방식, 법률적 가능성과 기능적 가능성으로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법률적 검토결과 프라임 신탁방식과 서브프라임 신탁방식 모두 재건축사업에 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기능적 검토결과 ⅰ)수탁자의 사채(社債)발행, 수익권의 질권설정, 수익증권의 유동화로 사업자금 조달이 가능하고, ⅱ) 프라임 신탁방식의 경우 조합의 부조리가 발생할 수 없으며, 매도청구소송기간의 단축 및 사업기간 단축의 효과가 예상된다. ⅲ) 서브프라임 신탁방식의 경우 시행자의 지위가 수탁자에게 이전되어 조합에서 발생하는 부조리의 상당부분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신탁방식은 재건축사업에 적용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 종중과 종가 -법률관계, 분재 사례에 대한 대법원 판례를 중심으로

        김화섭 ( Kim Hwa-seop ) 한국계보연구회 2013 한국계보연구 Vol.4 No.-

        종중과 종가(종손) 사이에서 발생하는 법률관계를 대법원 판례를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바람직한 관계 설정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종중 이란 공동 선조의 분묘 수호와 제사 및 종중원 상호간의 친목 등을 목적으로 공동 선조의 후손 중 성년 이상의 사람을 종중원으로 하여 구성되는 자연발생적인 관습상의 종족 집단체로서, 특별한 조직 행위를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고 관습상 당연히 성립하는 것이다. 종중 대표자는 종중 규약이나 특별한 관례가 있으면 그에 따라 선출하고 그것이 없으면 일반 관습에 의하여 종장 또는 문장이 총회를 소집하여 출석자의 과반수 결의로 선출하여야 하며, 평소에 종장이나 문장이 선임되어 있지 아니하고 그 선임에 관한 종중 규약이나 관례가 없으면 생존하는 종중원 중 항렬이 가장 높고 나이가 많은 연고항존자가 종장 또는 문장이 되는 것이 우리나라의 일반관습이다. 종중 총회는 종중의 규약이나 관행에 의하여 매년 일정한 날에 일정한 장소에서 정기적으로 종중원들이 집합하여 종중의 대소사를 처리하기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종중 총회 소집 절차가 필요하지 않으나, 그 외에 별도로 종중 총회를 소집함에 있어서는 특별한 규약이나 종중 관행이 없는 한 종중원 중 통지 가능한 모든 성년 이상의 남자에게 소집 통지를 함으로써 각자가 회의와 토의와 의결에 참가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한다. 종중의 법적 성격은 권리 능력 없는 사단(비법인 사단)이므로 종 중 소유의 재산은 종중원의 총유이다. 따라서 그 관리 및 처분에 관하여 먼저 종중 규약에 정하는 바가 있으면 이에 따라야 하고, 그 점에 관한 종중 규약이 없으면 종중 총회의 결의에 의하여야 하므로, 비록 종중 대표 자에 의한 종중 재산의 처분이라고 하더라도 그러한 절차를 거치지 않은 행위는 무효이다. 종가는 계보상의 줄기와 가지의 관계를 나타낼 때에 쓰는 말로서, 이론 상으로는 본계(本系)에서 갈라지는 마디의 수만큼 종가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집단적인 동질성을 가지는 부계 친족 집단의 큰집을 가리킬 때에 사용하는데, 종가의 가계는 끊겨서는 안 되는 것으로 여겨 자손이 없을 때에는 양자에 의해서라도 그 가계를 계승시키려 하였다. 또한, 종가가 경제적으로 어려울 경우에는 그 친족 집단이 종가를 공동으로 돕는 것을 이념으로 하였으나 호주 상속, 재산 상속 제도의 확립과 함께 축소되었다. 종중와 종가(종손) 사이의 법적 분쟁은 1910년대 실시된 토지조사사업 당시 「조선부동산등기령」에서 ‘종중’의 등기 권리 능력을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종중 재산을 종중의 명의로 등기할 수 없었고, 토지조사사업을 거치면서 많은 종중 재산들이 종손 혹은 종중의 일부인 이름으로 등기를 마쳤는데, 바로 이 등기 명의인들이 다른 종중원과의 협의 없이 종중 재산을 처분하면서 심화되었다. 최근에는 과거 활동도 하지 않고 실체도 불분명하던 종중이 총회를 개 최하여 대표자 선정, 규약 제정을 하고 종손 또는 종가의 재산을 종중이 명의신탁한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먼저 소송을 제기하는 경우가 늘어가고 있는데, 위와 같은 대법원의 명의신탁인지 여부에 관한 판단 기준을 따르면 대부분의 종손 명의 부동산은 종중 소유라고 판단될 여지가 많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way to establish a sound relationship between families of the same clan and the head family (the eldest grandson of the head family) by looking into their legal relationship in the precedents of the supreme court of Korea. The families of the same clan is a spontaneous and customary ethnic group comprised of adult members of the family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graves of their ancestors, holding a memorial service for their ancestors and promoting their family bond. Therefore, no other special acts are required to organize the group but it is naturally established customarily. The representative of the families of the same clan is elected following the family custom, if there is any. If there is no particular family custom, it is elected following general customs: A leader of the clan or the family calls a general meeting and the decision will be made by majority. If there is no elected leader of the family and particular family custom or rule for its appointment, in Korean general custom, the oldest and the highest alive member of the family tree will family line. Moreover, it was a tradition for the whole kinship group to help the head family when it is having hard time, however, the tradition faded away with the establishment of inheritance systems of family headship and property. Legal conflicts between the families of the same clan and the head family (the eldest grandson of the head family) became worse during the land investigation business in 1910: The families of the same clan could not register their property in their name, as the families of the same clan was not acknowledged to be entitled to make registration according to the Real Property Registration Act in Joseon. During the land investigation business, a lot of properties owned by the families of the same dan were registered in the name of the eldest grandson of the head family or a member of the family clan and such registered titleholders disposed their properties without consent of other members of their family. There have been more cases that the families of the same clan, which did not actively function or clearly exist in the past, start to hold a general meeting to elect their representatives and set their rules. Their goal is to file a lawsuit insisting that there was a title trust agreement between the families of the same clan and the eldest grandson of the head family/the head family.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judgment of the Supreme court, it could become a problem that the properties in the name of the eldest grandson of the head family are likely to be judged as the properties owned by the families of the same clan.

      • KCI등재

        자녀양육신탁의 효용과 쟁점

        이연갑(Lee Yeon Kab) 한국가족법학회 2017 가족법연구 Vol.31 No.2

        In constrast to the situation of Anglo-American countries, the child support trust is a rare thing in Korea, despite its long history of trust law. In this article, the author tries to explain the usefulness and structure of the child support trust in terms of Korean trust law. First, the author argues that the child support trust could be used as an incentive for child support payment. At least some of non-custodial parents seems to delay or deny the payments because of concerns that the payments could be used not for the child or children of their broken marriage, but for the custodial parent or her/his newly married spouses or their child or children. If it could be guaranteed that the payment could be used soley for her/his child or children, he/she would be more willing to pay the support. According to the author, the child support trust could provide that guaranty. Second, although in principle, the child support trust should be settled only after the parents agreed to, the author maintains that the family court could order the non-custodial parent to settle the trust for the benefit of the child or children, in certain limited circumstances. Third, the author predicts that the close family member or a friend of the trustor (non-custodial parent) could usually be the trustee of the child support trust, because the size of the trust property is comparatively small, which would make the trust companies less inclined to serve as trustees for the child support trust. Moreover, Capital Market Law of Korea, which provides the minimum standard of capital for the trust business, makes it almost impossible for the lawyers, paralegals or social welfare NGOs to serve as trustees. Therefore, there should be careful assistance by the lawyers for those who are going to serve as trustees, especially in the drafting stage of the trust settlement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