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교 「경제지리」 과목의 역사적 기원과 의미

        안종욱 ( Chong Uk Ah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2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0 No.3

        현재까지 알려진 것과는 달리 고등학교 ‘경제지리’는 해방 직후 교수요목기에 이미 교과서가 발간되었으며, 문교부의 인정심의를 받아 학교 현장에서도 사용되었다. 또한, ‘경제지리’ 내용은 1950년대에는 대학입학 검정고시, 고등고시 행정과 등 각종 시험에서도 출제가 되어 사회적으로도 그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었다. 교수요목기 이후, 1950년대 중반 제1차 교육과정기에 들어서면서 고등학교 지리과목은 ‘인문지리(일반계 사회과)’, ‘지학(일반계 과학과)’, ‘경제지리(실업계)’로 재배치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가운데 ‘지학’은 계획 단계에서의 과목명이 ‘자연지리’였음에도 불구하고, 제1차 교육과정기를 거치면서 완전히 과학과 과목으로 정체성이 변하게 되었다. 그리고 실업계에 배치된 ‘경제지리’는 10여 년을 제외하고는 해방 이후부터 2012년 현재까지 학교 현장에서 교수되던 과목이었음에도, 그동안 교육과정 편제 및 지리교육과정 논의에서 제대로 다루어지지 않았다. 현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경제지리’가 퇴출된 여러 이유 가운데, 제1차 교육과정기 이후 일반계 고등학교 과목이 아니었기 때문에 교육과정 주류에서 배제되어 왔다는 점은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교육과정 및 지리교육과정의 변화와 관련 논의를 실업계 과목까지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경제지리’ 교과서의 체계 및 내용 변화에 대해서도 보다 치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Economic Geography’ textbook was published right after National Liberation - the Period of Syllabus -, authorized and used in school. Also, in 1950’s, the contents of Economic Geography was recognized its value and importance as it appeared in the highly regarded exam such as university qualification exam and Public Administration exam. In the mid 1950’s, after the Period of Syllabus, subject ‘Geography’ was divided and rearranged into ‘Human Geography (a social science subject in academic high school)’, ‘Earth Science (a science subject in academic high school)’ and ‘Economic Geography(a subject in vocational high school)’. Although, the name ‘Earth Science’ was actually ‘Physical Geography’ at the first place, it turned its identity into one of Science subjects. Moreover, ‘Economic Geography’ which has been taught in vocational high school for more than 50 years, was not considered enough to be involved and issued when Geography Curriculum was developed and revised. Among the number of reasons that why Economic Geography is excluded from National Curriculum, one of the important reasons is Economic Geography was not the academic high school subject since the 1st National Curriculum. Considering this aspect, it needs to extend the issues of Geography curriculum up to vocational school subject, and also related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for ‘Economic Geography’ textbook structure and its contents.

      • KCI등재

        경제지리 교육내용 구성 방법의 문제점과 대안 검토

        조성욱 ( Sung Wook Cho ) 한국지리학회 2014 한국지리학회지 Vol.3 No.1

        This study examined the content changes and analyzed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problems in the subject of economic geography at the secondary education level. Furthermore, this research proposed a new strategy in which the learner-centered storytelling and inquiry-based problem solving are combin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omposition of the economic geography content, the part relevant to economic activities was subsumed into the economics-related units at the elementary education level, and it is necessary to secure a sequence between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education levels. If the common social subject is developed as an integrated course, the establishment of the sequence is expected to be problematic. The subject of Korean geography has included two-units of economic geography-relevant contents, the subject of world geography emphasizes globalization and movement, and the subject of economic geography has increased its content about tertiary industries. Second, as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economic geography subject, this study argued that the content should be chosen from a learner-centered perspective, the unit title should focus on the key themes, and the approach from the present to the past needs to be adopted. To fill in the gap between the discipline of geography and geography education contents, a new unit name should be used rather than providing specific concepts. Other problems include the fragmentation of contents, the discipline-centered framework, top-down structure, and the necessity of improvement in the regional development part. Third, as an alternative for the economic geography curriculum, this study suggested a strategy of the learner-centered storytelling and inquiry-based problem-solving. The former provided the framework in which the learner “me” and “my nation” play a crucial role. The latter offered a three-step strategy: recognition-question-solution.

      • KCI우수등재

        한국경제지리학 연구 틀로서의 공간관계론

        韓柱成(Ju-Seong Han) 대한지리학회 2017 대한지리학회지 Vol.52 No.4

        본 연구는 한국경제지리학 연구 틀의 내용을 재정립하고 이를 현대경제지리학의 주요 이론과 관련지어 살펴보며, 21세기 한국경제지리학을 전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경제지리학의 재정립된 연구 틀의 구성내용과 현대경제지리학 관련 제이론과의 관련성은 매우 높다. 연구 틀인 경제의 공간관계론에서 한국경제지리학은 최근 정보와 지식연구의 영향을 받아 그 연구영역이 확대되어 미래에 새롭게 검토해야 할 내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늘날 글로벌화와 국지화가 동시에 진행되어 국민경제 관점의 중요성을 재검토하는 경우 연구대상과 그 공간적 스케일을 어떻게 설정해야 할까라는 점이다. 둘째, 정보와 지식을 기반으로 한 경제사회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지식유동 등의 가시적이 아닌 비물질 재화의 생산과 유동에 관련된 공간적 관점이나 새로운 방법론 등을 어떻게 조직하는가라는 점이다. 셋째, 사회나 정치, 지식, 제도와 문화로 시야를 넓혀 넓은 의미에서 경제현상의 지역성이나 지역사회의 동태를 밝히는 경향이 강하게 된다. 이러한 움직임은 경제지리학의 내용을 풍부하게 할지 모르나 경제지리학의 구심력을 약하게 할 위험성이 있다. 넷째, 제4차 산업혁명인 지능정보기술에 지능이 발달하면서 연결을 한층 증진시킴으로 초연결과 초지능이 특징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기존 산업혁명에 비해 더 넓은 범위에 더 빠른 속도로 영향을 크게 끼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new research frameworks of Korean economic geography. The frameworks were evaluated in relation with major theories of contemporary economic geography. The direction of Korean economic geography of the 21st century was then be discussed. It was found that the new frameworks are highly compatible with major theories of contemporary economic geography. Economic system and network theory, however, increasingly have more demand to be reexamined for reasons as follows; First, defining study subjects and spatial scales could be debatable on studies of national economics because of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occurring simultaneously. Second, spatial perspectives and study methodologies need to be reexamined due to change in economic activities such as production/flow of invisible goods (e.g. information and knowledge). Third, study scopes of economic geography are expanding to various fields such as social, political, cultural, legislative, and technological areas. This shift in study scopes may enrich contents but may also weaken the identity of economic geography. Fourth, hyperconnectivity and superintelligence, promoted by added intelligence into information technology, will change economic activities faster and wider than during the previous industrial revolutions.

      • KCI등재

        Moving beyond Anglo-American economic geography: the significance of non-Anglo-American model

        Shengjun Zhu,Canfei He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2019 도시과학국제저널 Vol.23 No.2

        This commentary extends the debate, proposed by Professor Robert Hassink and his colleagues, on how studies in the non-Anglo-American context can contribute to current debates in economic geography. By examining some ongoing debates based on China, we agree with Hassink’s view and hopes to point out how Anglo-American economic geography can benefit from critical engagements with China as well as other important and yet overlooked regions, such as Africa, East Europe, South Asia and South America. We stress that the rapidly changing economic geographies in these regions may serve as one of the key sites to reproduce our discipline of economic geography, or to ‘theorize back’ at mainstream, Anglo-American theories of economic-geographic dynamics in specific locales.

      • KCI등재후보

        공간문제에 대한 신경제지리학의 해석 그 논의와 비판적 이해

        정준호(Jun Ho Jeong) 한국공간환경학회 2008 공간과 사회 Vol.30 No.-

        이 글은 경제학의 관점에서 기존의 공간문제를 새롭게 조명한 신경제지리학의 논리구조와 그 특성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추구한다. 이를 위해 경제학 내에서 공간문제의 의미를 되짚어보고, 이것이 어떻게 신경제지리학에서 논의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은 기존 경제지리학과 경제학이라는 두 분과학문간의 이해를 증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이는 시장구조의 차이에 따른 외부효과의 기원과 본질에 대해 공간문제와 결부해 새로운 성찰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seeks a critical understanding of the causal paths and characteristics of New Economic Geography’s modeling in which the spatial problem has been interpreted in a new and innovative way within economics. To this end, some discussions about the spatial problem are reviewed over time within both economics and New Economic Geography. This work may contribute to enhancing an understanding of differences between orthodox New Economic Geography and heterodox New Economic Geography. On the other hand, it could give new room for reflecting on the origin and nature of external effects derived from the different types of market structure with regard to the spatial problem.

      • KCI등재후보

        경제지리학 네트워크 연구의 이론적 고찰

        구양미(Koo, Yangmi) 한국공간환경학회 2008 공간과 사회 Vol.30 No.-

        이 글은 여러 학문분야에서 중요한 연구 대상이 된 네트워크를 경제지리학의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경제지리학에서 네트워크는 연구대상과 범위가 매우 다양하지만, 최근의 연구경향은 크게 네트워크 거버넌스 접근과 사회 네트워크 접근의 두 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다. 먼저 네트워크 거버넌스 접근에서 논의되어온 네트워크의 형태와 유형을 살펴본 후, 새로운 접근으로 모색되고 있는 SNA(사회 네트워크 분석)와 ANT(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에 대해 고찰했다. 경제지리학에서 SNA는 개별 행위자의 특성에 초점을 두면서 네트워크의 구조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 툴로서 도입된 경향이 강하다. 이에 비해 ANT는 네트워크의 구조가 형성된 프로세스에 관심을 가지면서, 사람과 사물 등 여러 이질적 행위자의 실행에 의해 파워가 형성되는 과정에 관심을 두었다. SNA와 ANT는 경제지리학의 문화적 전환과 관련되어 있으며, 경제지리학의 진화론적 접근으로 연결된다. 경제지리학 네트워크 연구에서 다양한 방법론의 도입과 적용을 통해, 네트워크의 다차원성이나 복잡성의 증가에 관심을 가지고 더 많은 연구와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Network” became one of the key issues in various fields of study. This paper focused on the review of researches on the networks in economic geography. Recently, with regard to the study of the network, there are two approaches, namely, the network governance approach and the social network approach. In this study, at first, forms of networks and network topology were explained based on the network governance approach. Then, SNA(social network analysis) and ANT(actor network theory) were reviewed as new approaches and methodologies of the network analysis in economic geography. SNA was mainly introduced in economic geography as the analytic tool for understanding the network structure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actors. Meanwhile, ANT was interested in the action and the process of the network formation between multiple heterogeneous actors by the exercising of power. These two methodologies are related to the ‘cultural turn’ of new economic geography. With the increasing interest in the complexity and the evolutionary perspective, a wide range of network researches are needed in economic geography.

      • KCI등재

        지식정보사회의 신경제공간과 지리학 연구의 방향

        박삼옥(Sam Ock Park) 대한지리학회 2006 대한지리학회지 Vol.41 No.6

        본 연구는 지식정보사회에서 신경제공간 형성의 메커니즘을 살펴보고 향후 지리학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정보화사회에서 신경제공간의 형성 배경에 대해 개관하고, 그 메커니즘으로 네트워크, 착근성, 집적 및 분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또한 한국에서 혁신활동이 활발한 서울의 강남지역과 낙후지역 중의 하나인 전북 순창지역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한국의 낙후지역에서도 신경제공간의 형성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와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 지리학연구의 방향을 크게 통합적 관점에서의 연구, 지리학연구 방법론 개발, 정책관련연구의 세 가지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examine the mechanism of the new economic spaces and to suggest directions of geographical research in the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It introduces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the new economic spaces and examines network, embeddedness, and agglomeration and dispersion as mechanisms of the new economic spaces. Based on the result of case studies of Kangnam area, the most active innovation region in Korea, and of Sunchang, one of the backward regions in Korea, the paper points out that new economic spaces are now developing even in the peripheral areas. Considering the result of theoretical discussions and case studies, the paper suggests three directions for future geographical research such as research from a integrative viewpoint, development of new methodologies of geographical research, and policy directed research in geography.

      • KCI등재

        금융지리학의 진화: 마르크스주의 지리정치경제학부터 ‘재정치화’하는 문화경제지리학까지

        이재열 ( Jae-youl Lee ),박경환 ( Kyonghwan Park ) 한국경제지리학회 2021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24 No.1

        Financial geography is an evolving subdiscipline in economic geography. This paper identifies and reviews three important ‘waves’ constitutive of the current state of financial geography: including the ‘first’ wave before 1990s when finance was regarded as a byproduct of the over-accumulation process in production sphere in the Marxist geographical political economy tradition; the ‘second’ wave in the mid-1990s during which financial geography was firmly established as a subdiscipline, influenced by the cultural turn and poststructuralist thoughts; and the most recent ‘third’ wave after the 2008∼2009 global financial crisis that urged financial geographers to take power and politics more seriously and ‘re-politicize’ with the analytical ideas of governmentality and financial subjectification from a neo-Foucauldian perspective. These waves have helped financial geography become a practice-oriented academic discourse, in which different philosophical thoughts, foci of analytical level and object, renditions of the subject, perceptions of power and politics, and geographies of finance and financialization coexist and also compete and contest one another.

      • KCI등재

        경로(신산업) 창출(Path creation)의 신지역정책: 진화경제지리학의 성과를 중심으로

        박경 한국공간환경학회 2019 공간과 사회 Vol.29 No.2

        This article studies how new industries or new path creation occur and diversify, and how this capacity is different between regions and what strategies are needed to create new path creation through surveying recent Evolutionary Economic Geography’s works and discuss its implications. New industries are more likely to occur as technology-related and industry-related variety increased in the region. Related variety is important to solving ‘chicken and egg’ dilemma. Related variety principle can minimize the risk. However, related variety is not the only way to create regional new path . This is because there are many examples of unrelated variety in the real world such as the case of the Danish wind industry or the Silicon Valley of the United States. In particular, non-related variety contributes to long-term regional development and creation of new path. In this respect, it is necessary for Korea’s regional industrial innovation policy to actively accept the achievements of evolutionary economic geography. Until now, Korean regional industrial policies have pursued a strategy of picking winner strategies, but now we need innovation policies that support the linkage between related sectors and the reorganization of knowledge between non-related sectors. 이 글은 신산업 또는 새로운 발전경로(path creation)는 어떻게 발생하고 다각화해 나가는가, 이 역량은 지역별로 왜 다르고 신경로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어떤전략이 필요한 것인가를 최근의 진화 경제지리학(Evolutionary Economic Geography) 의 성과를 통해 검토하고 그 시사점을 논의한다. 새로운 산업은 지역 내기술 관련성과 산업의 연관 다양성이 클수록 발생하기 쉽다. 그러나 연관 다각화가 지역 신산업 창출의 유일한 길은 아니다. 덴마크 풍력산업의 사례나 미국의실리콘 밸리 등 현실 세계에는 많은 비관련 다각화의 사례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특히 비관련 다각화는 장기적 지역발전과 새로운 경로의 창출에 기여한다. 이런점에서 우리나라 지역산업 혁신 정책은 클러스터론을 넘어 신산업 창출의 진화경제지리학의 성과를 적극 수용할 필요가 있다. 기존에는 승자선택(picking winner) 식 전략산업 육성 정책을 추구했으나 지금은 관련 부문 간의 연계와 비관련 부문간 지식의 재조합을 지원하는 혁신정책이 필요하다.

      • KCI등재

        집적경제 요소로서 장소기반 신용이점: 서울 도심부 중부시장을 사례로

        김용창,이후빈,권규상 국토지리학회 2013 국토지리학회지 Vol.47 No.2

        1980년대 말 이래로 진화주의 경제지리학, 신경제지리학을 비롯하여 집적경제에 대한 관심이 다시금 커지고 있다. 그러나 이론적 논의에 비해 집적경제의 미시적 기초를 규명하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다. 본 논문에서는 서울 도심부의 건어물 전문시장인 중부시장을 사례로 집적경제의 미시적 기초를 밝힌다. 도심부 중부시장이라는 특정 장소에 기반 한 거래관계와 이 장소를 벗어난 거래관계의 보완적 이해를 통해 장소기반 신용체계를 규명한다. 특정 장소나 지역에서만 누릴 수 있는 장소기반 신용체계와 이점은 기업들을 유인할 수 있는 외부효과로 기능하면서 집적경제의 원천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밝히며, 유통체계의 변화에 따른 장소기반 신용체계 이점의 변화는 집적생애주기를 파악하기 위한 진화주의적 집적이론의 사례가 될 수 있음도 제시한다. From the late 1980s onwards, there has been a renewed and increased interest in economic agglomeration with the progress of evolutionary economic geography and new economic geography. Although there are many overlapping interests and theoretical specifications, empirical researches focused on the micro foundations that underlie the benefits of agglomeration remained relatively lack. This paper gets to the bottom of the micro foundations through case study of the ‘Jungbu’ traditional market highly specialized for dried fishes and seafoods trading in downtown Seoul. By analysing the interplay between trading networks based on place and external networks beyond the place, the paper shows place-based credit system as a micro foundation of agglomeration economies. This type of place-based credit advantages functions the spatially bounded externalities attracting firms and sources of agglomeration economies, and changes of place-based credit advantages according to changes of distribution channel give evolutionary agglomeration theory the proper case for analysing agglomeration life cyc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