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리사진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웹 사진관 구성에 관한 연구

        안종욱 ( Chong Uk Ah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2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0 No.3

        Most teachers admit that the inducement of advanced teaching equipment including the internet, help teaching-learning processes. they also think how to use them effectively. Building continuous and effective systems to offer both teachers and students well-chosen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can make the internet used for and educational med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geographical photo-studio on the web so that the geographical photographs which have been basic materials as interpretation of landscape, can be shared and spread to be used successfully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This job will help to increase the value of the geographical photographs which have not been used well because of the limits of educational environments such as geography texts, even though they have been regarded as significant educational materials. Web photo-studio is not only a try for the geography teachers or people related to geography to share the materials on the internet, but also the starting point for advanced web based instruction.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sharing the materials for the teachers and prolonged plan which can induce participation of the teachers can make wev photo studio developed as an effective system in the geography education.

      • KCI등재

        중·고등학교 사회과 디지털교과서의 콘텐츠 개발 방향

        안종욱(Ahn, Chong Uk),문영주(Mun, Young Joo),김명정(Kim, Myung-Jung)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3 사회과교육 Vol.52 No.3

        본 연구는 향후 발전적으로 적용될 중·고등학교 사회과 디지털교과서의 설계·개발시 사회과의 특성을 고려한 콘텐츠의 방향성 정립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 중·고등학교 사회과 디지털교과서 콘텐츠 개발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먼저, 다른 교과와는 달리 사회과의 구조가 지리, 역사, 일반사회라는 서로 차별적인 지식 영역에 기반한 교육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즉 지리와 역사 영역은 서책형식의 콘텐츠가 갖고 있는 시청각 자료의 한계라는 측면을, 일반사회 영역은 교사-학생 간, 학생-학생 간 상호 소통에 기반한 의사결정 능력, 사회 참여 능력, 민주적 생활태도 등과 관련한 교수·학습 측면에 좀 더 주의를 기울이는 영역 특수성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학교 현장의 교수·학습 상황을 고려한 현장 적용성과 현실성을 갖춘 콘텐츠의 개발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즉 디지털교과서에 들어갈 각종 콘텐츠는 학생들이 평소 경험하기 힘든 시·공간, 다시 말해, 생각하거나 상상하기 어려운 것을 구현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하며, 디지털교과서와 같은 플랫폼을 통해 수합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안전하게 잘 활용하는 방안도 설계 및 개발 과정에서 모색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ontents design and development Digital Textbook in Middle and High school Social Studies. The study of the high school Social studies contents development direction of digital textbooks has been proposed as follows: Frist, There are some need to consider that discriminating knowledges base on in education content, such as,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ncluded the geography, history, and general social studies. This is because, area of the geography and history contents proportion have restricted application about audiovisual material in textbook. Also general social studies is need to reflect the teacher-student or studentstudent decision-making based on mutual communication, social participation skills, like democratic attitude to life that can uplift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area. Digital Textbook in Social Studies, in other word, will ensure that educational issues of discrimination in domain specificity. Second, we presents the purpose and need, the development of the contents should be emphasized on the situation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field. That is, contents on Digital Textbooks should be implemented for students, such as, difficult to imagine or think, experience, and space. Also, development Digital Textbooks, during the platform designs should be contemplate for student how to utilize those a variety of information.

      • KCI등재

        백두산 부근 지도의 경계 표시 현황과 기원 탐색

        안종욱 ( Chong Uk Ahn ),김명정 ( Myung-jung Kim ) 한국지리학회 2017 한국지리학회지 Vol.6 No.2

        백두산 부근의 경계 획정 문제는 1712년 처음 가시화된 이후 300여 년이 지났으며, 현재도 미세하게나마 다른 유형의 지도들이 병존한다. 지금까지 대다수의 학생용 교과서들은 천지를 포함한 백두산 정상부가 우리 영토에 속한다는 의식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간도협약(1909)과 조·중 변계 조약(1962) 등도 정계비 건립 이후 백두산 부근의 경계 표시와 깊은 관련을 가진 사건들이다. 특히 `반국가 단체`인 `북한`이 중국과 맺은 조·중 변계 조약은 일부 지도의 천지 동쪽 경계선 표시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이며, 일상에서도 관련 내용을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다. 국가의 경계와 관련해서는 `공인`된 명확한 정리나 지침이 있어야 하며, 필요할 경우 이를 지속적으로 모색하는 것이 당연하다. 이와 함께 왜 현재와 같은 상황이 나타나게 되었는지를 탐구해보는 것도 교수·학습 면에서 의미 있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The lining of Baekdusan area`s demarcation has been seemingly remained unsolved for 300 years when the issues were on the table in 1712. There are still slightly different versions of maps on the border. A majority of Geography textbooks helped Korea students realize that the mountain peak of Baekdusan belonged to Korean territory. The two historical events, the Gando Convention (1909) and the Treaty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on the Demarcation of the Korean-Chinese National Border (1962), were deeply involved in the demarcation of Baekdusan area. In particular, the latter treaty between `the North Korea` as `an anti-state organization` and China seemed to contribute to the demarcation of the Cheonji`s east area in some maps, which in turn influenced the contemporary maps. It is natural that there should be official guidelines or regulations on the national border. It is also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proper demarcation lines on maps and relevant guidelines. Finally, it is meaningful to examine what historical factors had influenced the current demarcation situation.

      • KCI등재

        세계 지리 교과서에 기술된 분쟁 및 갈등 지역의 지명 표기 현황과 쟁점

        안종욱(Ahn, Chong Uk)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5 사회과교육 Vol.54 No.1

        독도 영유권 및 동해 명칭 표기와 관련한 일본의 무리한 주장이 반복되면서, 국가 간 영유권 분쟁이나 갈등 관련 내용의 비중이 지리교육과정 및 교과용 도서에서도 강화되고 있다. 그러나 분쟁 및 갈등 지역에 대한 현 교과용 도서의 지명 표기는 일관성·논리성 면에서 많은 한계를 갖고 있으며, 이로 인해, 독도나 동해 표기 문제와 관련해서 국제적 지지를 받지 못하는 외교적 불이익을 초래하거나, 교육적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시각을 학생들에게 심어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세계 지리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기반으로 교과용 도서의 지도 표기와 내용 기술시 분쟁 및 갈등 지역의 지명 표기와 관련한 현안과 쟁점을 검토하였으며, 교과용 도서 편찬과 관련된 정부 기관, 외교부, 국토부 관계자 등이 참여하는 전문 협의체 구성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roportion of contents related territorial disputes or conflicts between nations has been enhanced in the Geography Curriculum and Textbooks, because of Japan’s unreasonable claims on the sovereignty of Dokdo and the name ‘East Sea’. Until recently, Textbooks have a number of limitations about naming of foreign geographical feature in consistency and logicality aspect. For that reason, our country’s rational arguments about the sovereignty of Dokdo and the name ‘East Sea’ are not accepted by international society. Furthermore, students can have an undesirable perception in the educational aspects. This study deals with current state and issues about naming of foreign geographical feature in the compilation of the Curriculum Books such as the School Atlas and World Geography Textbooks used in high school. In addition, this suggests professional council should consist of specialists in the field and the officials of government departments, for instance,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government agencies related to the compilation of the Curriculum Books.

      • KCI등재

        고등학교 「경제지리」 과목의 역사적 기원과 의미

        안종욱 ( Chong Uk Ah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2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0 No.3

        현재까지 알려진 것과는 달리 고등학교 ‘경제지리’는 해방 직후 교수요목기에 이미 교과서가 발간되었으며, 문교부의 인정심의를 받아 학교 현장에서도 사용되었다. 또한, ‘경제지리’ 내용은 1950년대에는 대학입학 검정고시, 고등고시 행정과 등 각종 시험에서도 출제가 되어 사회적으로도 그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었다. 교수요목기 이후, 1950년대 중반 제1차 교육과정기에 들어서면서 고등학교 지리과목은 ‘인문지리(일반계 사회과)’, ‘지학(일반계 과학과)’, ‘경제지리(실업계)’로 재배치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가운데 ‘지학’은 계획 단계에서의 과목명이 ‘자연지리’였음에도 불구하고, 제1차 교육과정기를 거치면서 완전히 과학과 과목으로 정체성이 변하게 되었다. 그리고 실업계에 배치된 ‘경제지리’는 10여 년을 제외하고는 해방 이후부터 2012년 현재까지 학교 현장에서 교수되던 과목이었음에도, 그동안 교육과정 편제 및 지리교육과정 논의에서 제대로 다루어지지 않았다. 현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경제지리’가 퇴출된 여러 이유 가운데, 제1차 교육과정기 이후 일반계 고등학교 과목이 아니었기 때문에 교육과정 주류에서 배제되어 왔다는 점은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교육과정 및 지리교육과정의 변화와 관련 논의를 실업계 과목까지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경제지리’ 교과서의 체계 및 내용 변화에 대해서도 보다 치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Economic Geography’ textbook was published right after National Liberation - the Period of Syllabus -, authorized and used in school. Also, in 1950’s, the contents of Economic Geography was recognized its value and importance as it appeared in the highly regarded exam such as university qualification exam and Public Administration exam. In the mid 1950’s, after the Period of Syllabus, subject ‘Geography’ was divided and rearranged into ‘Human Geography (a social science subject in academic high school)’, ‘Earth Science (a science subject in academic high school)’ and ‘Economic Geography(a subject in vocational high school)’. Although, the name ‘Earth Science’ was actually ‘Physical Geography’ at the first place, it turned its identity into one of Science subjects. Moreover, ‘Economic Geography’ which has been taught in vocational high school for more than 50 years, was not considered enough to be involved and issued when Geography Curriculum was developed and revised. Among the number of reasons that why Economic Geography is excluded from National Curriculum, one of the important reasons is Economic Geography was not the academic high school subject since the 1st National Curriculum. Considering this aspect, it needs to extend the issues of Geography curriculum up to vocational school subject, and also related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for ‘Economic Geography’ textbook structure and its contents.

      • KCI등재

        영화를 통한 인천의 장소 정체성 분석

        안종욱(Chong Uk Ahn) 한국지역지리학회 2005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1 No.6

        `서울의 관문`, `제2의 항구도시`, `위성 도시` 등은 인천이 인구규모 3위의 광역시임에도 서울의 변경이자 주변적 존재임을 인식시키는 표현들이다. 인천의 학생, 주민들을 비롯한 타지역 사람들에게도 이러한 인식은 무의식적으로 자리하고 있으며, 인천에 대한 부정적 장소감으로 발달하였다. 본 연구는 영화를 중심으로 소설, 교과서 등에 나타난 인천이란 도시 경관의 주변적 이미지를 분석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영화 등의 재현된 텍스트는 현실 공간과 일정한 간극이 존재할 수밖에는 없지만, 현실 공간 인식의 문제점들을 명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필자는 재현된 텍스트의 분석을 통해 인천이 갖고 있는 장소감들의 근원을 살펴보고자 하며, 나아가 Deleuze의 노마디즘을 기반으로 하여 주변성, 종속성, 자본과 경제 우선주의 대해 끊임없이 도전하는 능동적 주체로서의 `탈주`를 인천이 만들어가야 할 새로운 장소 정체성의 지향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Although Incheon metropolitan city is the third largest city in Korea, it is called `the gateway to Seoul`, `the second city of port`, and `the satellite city`. The people in Incheon as well as other regions unconsciously recognize this city as `border` and `periphery` of Seoul through those expressions. These perceptions also develop a negative sense of place about Incheon. This study starts with analysis about marginal landscape images of Incheon in texts such as movies, stories, and geography textbooks. The represented text as movie has a gap between real space and it. Nevertheless, Its strong point is a making problems clear about recognition of reality. I will inquire the origin of senses of place about Incheon through analysis of represented texts. Moreover, I will present the notion of `flight` that stands on the basis of Deleuze`s Nomadism. Here, `flight` means that the active subject continuously challenges and reforms the nature of periphery and dependency, the capital, and the economic subordination, and it will have to be new identity and direction of Incheon.

      • KCI등재

        1950년대 지학의 등장과 지리교육과정의 변화

        안종욱 ( Chong Uk Ahn ) 한국지형학회 2011 한국지형학회지 Vol.18 No.2

        해방 이후 현재까지 교육과정의 변화 가운데, 현 지리교육과정의 기본 구조를 결정했다고 판단되는 시점은 교수요목기에서 제1차 교육과정기로 이해되는 기간이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제1차 교육과정기에는 이전까지 ``자연환경과 인류생활``, ``인문지리``, ``경제지리``의 3과목이었던 고등학교 지리과목이 ``인문지리``라는 1개의 선택과목으로 줄어들었다. 또한, 과거 지문학의 일부 내용인 천문, 지질, 생물 관련 일부 내용이 교수요목기의 지리 영역에는 포함되어 있었지만, 제1차 교육과정기의 ``인문지리``에서는 이러한 내용이 사라지게 되었다. 이와 같은 지리영역의 축소는 당시 교육과정에서 ``지학`` 과목이 신설되었다는 것과 맥을 같이 한다. ``지학``은 원래 ``자연지리``로 기획된 것인데, 공식적인 시간배당기준표가 공표되기 10개월 전인 1953년 6월에 공개된 문교부 시안에는 ``지학``대신 ``자연지리``라는 과목이 나타나 있다는 사실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아쉬운 점은 ``자연지리``라는 이름을 끝까지 지키지 못하고 과학과의 하위 과목인 ``지학``으로 과목명이 변경되었다는 점이다. 현재 지리교육이 당면하고 있는 위기의 기저에는 이러한 제1차 교육과정기 자연지리 영역의 축소 및 지학의 등장이 자리하고 있다. 이러한 현 위기의 극복을 위해서는, 지리가 축적해온 자연 및 인문 환경에 대한 포괄적인 관점과 학문적 소산을 바탕으로, 현재보다 더 많은 교육적 의미를 가진 교과목으로 변화시키고자 하는 지리교육계의 노력이 요구된다. Among the changes of the Curriculum from the liberation to the present, the biggest change in the highschool geography course appeared during the period from the Period of Syllabus to the 1st National Curriculum. More specifically, during the 1st National Curriculum the highschool geography course which previously had three subjects, ``Natural Environment and Human Lives``, ``Human Geography``, ``Economic Geography`` was reduced to one subject, ``Human Geography.`` In addition, while some contents related with astronomy, geology, and biology had been contained in the physiography course, they were left out from the human geography course of the 1st National Curriculum. This reduction of the geography course was related to the context that earth science was newly established in the 1st National Curriculum. Originally the draft plan released in June, 1953, which was 10 months before the formal time allotment criteria list had been made public, contained ``Physical Geography`` instead of ``Earth Science``. What is sorry is that the name of ``Physical Geography`` did not remain and was changed to ``Earth Science``. The underlying causes of the crisis the geography education is now facing are the reduction of Physical Geography and the emergence of ``Earth Science`` during the 1st National Curriculum. To overcome the present crisis, the subject of geography should be changed more meaningful one based on the comprehensive perspective and academic product that geography has accumulated.

      • KCI등재

        2015 개정 한국지리 교육과정의 개발 과정과 주요 특징

        안종욱 ( Chong Uk Ahn ),김병연 ( Byung Yeon K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6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는 2015 개정 한국지리 교육과정의 개발 과정과 주요 특징에 대한 것이다. 2015 교육과정 개정은 학생들의 실질적인 학습량 감축과 융합의 시대에 요구되는 핵심 역량의 함양이라는 필요성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번 한국지리 교육과정 개정은 국토 공간의 체계적 이해를 위해 다양한 이슈와 쟁점을 다루고, 계통지리와 지역 지리의 적절한 조화를 모색하며, 교육 내용 적정화를 추구하였다. 이전 교육과정과 비교할 때, 2015 개정 한국지리 교육과정은 ``인구`` 대단원의 설정과 ``지속가능발전`` 대단원의 해체, 학습 내용 중복성의 지양, 성취기준 수 감축 등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지역 지리 대단원의 성취기준 진술에서 경제 및 도시 지리적 측면뿐만 아니라 문화 지리적 측면에서의 접근에 기반한 지역 이해를 강조하고 있다.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process and main characteristics of 2015 Revised Korean Geography National Curriculum. It is based on necessity of cultivating key competency that are asked in the era of convergence and substantial workload reduction. This Korean Geography National Curriculum deals with different issues and debates in regards to systematic understanding of land space. It also pursues optim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 and seeks the appropriate balance between systematic and regional geography. 2015 Revised Korean Geography National Curriculum that investigated in comparison to the previous curriculum reflected settings section of the ``population`` finale, the dissolu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finale, avoiding learning contents redundancy, the reduc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emphasizing regional understanding based on the dimension of cultural geography as well as the dimension of economic and urban geography in the achievement standard statement of regional geography unit.

      • KCI등재

        Bandura의 관찰학습 이론에 기반한 미디어 자료의 지리교육적 함의

        안종욱 ( Chong Uk Ahn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1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1 No.2

        매스미디어 및 이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는 지리적인 정보 제공과 장소감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함에도 지리교육적 측면에서 관련 연구가 부족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Bandura의 관찰학습 관련 이론을 중심으로, TV 등의 미디어를 통해 제공되는 각종 자료들의 지리 교수-학습적 적용가능성 및 그 함의를 고찰하였다. Bandura는 직접 경험이 아닌 관찰에 의한 대리적 강화를 통해서도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이는 실제 경관을 대상으로 하면서도 주로 교실 내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는 지리교육의 본질적인 딜레마를 해결하는데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또한, 그의 주장은 TV 프로그램과 같은 매스미디어에 기반한 자료가 학습의 보조자료가 아닌 내용 그 자체이며, 유사한 맥락적 상황에서 적절한 인지적 판단과 수행을 유도할수 있는 대리적 경험을 제공할 수도 있다는 인식 전환의 근거가 된다. 분절화된 事象들의 집합체라는 오해를 받는 지리교육에 이러한 관점을 적용할 경우, 가치판단 및 이와 관련된 적절한 행동 수행을 유인하는 지리 교수-학습 방법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한다. Mass Media and their various multimedia material have not enough research although they do an important role in supplying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forming the sense of place in terms of geography education. Focused on Bandura`s observational learning theory,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applicability to teaching and leaning of geography and implication of the various materials offered through media such as TV and the Internet. Bandura claimed that learning can be achieved not only through direct experiences but through the vicarious reinforcement by observation, which suggests the solution of the essential dilemma that the leaning of geography mostly takes place in a classroom despite dealing with real landscape. In addition, his argument offers the basis for the paradigm shift that the materials based on the mass media such as TV programs can be the main contents, not the subsidiary material, and offer the vicarious experiences which induce the appropriate cognitive judgement and performance in similar contextual situation. Applying this viewpoint to geography education, which has been mistaken as a collection of fragmented things, can help discover the new possibility of the geography teaching-learning method to induce the appropriate behavioral performance and the relevant value jud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