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구술(口述)과 기술(記述)의 관계로 본 표해록의 글쓰기

        최영화 ( Yinghua Cui )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科學硏究 Vol.34 No.-

        Records of drifting(漂海錄) categorized by principle agents of description are largely two types: “the drifter records his own drifting experience” and “a third person writes about other person’s drifting experience.” Most existing records of drifting are writings by a third person. Since many drifters did not have enough knowledge to leave records in Chinese characters(漢文), a third person wrote down the events by listening to the drifter’s account. Drifters’ descriptions were gathered in various ways in the writing, and oral and written languages formed a close relation within the text to construct a discourse.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writing procedure of records of drifting based on the dynamics of oral and written languages. The 2nd chapter introduced types of records of drifting and examined the general situation in the drifter’s oral presentation of his story, while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rifter and the recorder of the story. The 3rd chapter discussed the process of transcription and the recorder’s role. The 4th chapter first induced three writing methods which writers of records of drifting utilized in their writings: “description via question and answer,” “sequential description of the drifter’s experience,” and “specialized description on specific subjects” and demonstrated that such writing method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writer’s intention in his record of drifting.

      • KCI등재

        근세 동아시아 해역의 표류연구 동향과 과제

        김경옥 명청사학회 2017 명청사연구 Vol.0 No.48

        This paper is to review researches on drifting in the seas of East Asia in the Premodern, and examine future challenges about it. With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islands and seas’. The reason for it seems to be the excavation of new sources on drifting. For example, Muncheonggi (「問情記」), ecord of questionings by officials of Bibyeonsa (備邊司) to foreigners who were washed up on the Korean peninsula, Pyoherok (『漂海錄』), book on drifting experience of a Korean, Pyoryugi (「漂流記」), compilation of extractions from personal writings and diaries are among them. Another recent development on research on drifting is that, as researchers in East Asia have presented papers on drifting based on sources stored in their countries, the scope of research has been expande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make a total list of all the writings and records on drifting stored in East Asian countries. At the same time, related materials should be declassified, which is necessary in order to compare drifting processes and repatriation itineraries of drifters in the seas of East Asia. It will correct errors in existing drifting records, and, above all, serve to reconstruct marine activities of drifters in East Asian countries. In addition, it is the most urgent to continue to excavate the first sources on drifting and build a system comprehensively operating them.

      • KCI등재

        조선후기 유구 지식의 형성과 표해록

        최영화 열상고전연구회 2016 열상고전연구 Vol.54 No.-

        본고는 조선후기에 작성된 표해록을 통시적으로 고찰하여, 조선후기 유구 지식의 형성과정과 이러한 지식이 지식체계에 편성하는 과정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선후기 유구 표류담의 가공을 통해 유입된 유구 지식은 굉장히 다면적이다. 유구의 풍속, 문물, 문화로부터 유구의 정세, 언어, 주변 국가와의 관계 등이 모두 관심의 대상이었다. 유구에 대한 정보와 지식은 주로 유구에 직접 표류했던 사람들을 통해 조선에 유입되었지만, 일부 일본이나 중국 등 주변 국가에 표류했던 표류민을 통해서도 조선에 전해졌다. 이에 본고는 조선후기 지식인들의 유구 정보의 수집과 지식화의 경향에 초점을 맞추어, 표류를 매개로 한 유구 지식의 축적 과정을 추적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머리말에 이어서 2장에서는 폐쇄적이던 전근대시기에 유구 정보의 전달자로서 표류민의 긍정적인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 지식인들이 유구 정보와 표류민을 대하는 맥락에 대해 알아보았다. 조선후기 지식인들은 표류민이 확보하고 있었던 유구 정보에 중시를 돌렸으나 이들의 증언을 맹신한 것이 아니라 辨證의 방법으로 표류담을 대하는 태도를 보여주었음을 논증하였다. 宋廷奎의 『海外聞見錄』과 金景善의 『濟州漂人問答記』 등에서 이러한 경향을 살펴볼 수 있었다. 3장에서는 漂流談의 가공을 통한 유구 지식의 형성 과정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조선 중후기에 작성된 유구 표해록 8종을 정리하고, 각각의 표해록에 보이는 지식화의 과정, 지식화의 경향이나 유구 문화를 대하는 태도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조선후기 표해록에서 감지되는 변화를 크게 (1) 사회 운영 구조에 대한 관심, (2) 유구 문화에 대한 관심, (3) 유구와 주변국가와의 관계에 대한 주목, (4) 남방 해로에 대한 관심 등 네 가지로 귀납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문제들은 시대 변화와 함께 변화를 보이는 사안들로서, 해당 사항과 관련된 정보와 지식은 지속적인 更新을 필요로 하는 정보들이었음을 설명하였다. 4장에서는 표해록의 저술을 통해 유입된 유구 지식이 새로운 저술에 수용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표해록에서 제시한 유구 지식들은 李圭景의 『五洲衍文長箋散稿』, 李裕元의 『林下筆記』, 成海應의 『蘭室譚叢』, 李肯翊의 『燃藜室記述』, 黃胤錫의 『頤齋亂藁』, 근대시기 崔南善의 『故事通』 등 잡다하고 다양한 지식을 집합해놓은 저술에 선별적으로 인용되었음을 밝혔다. 구체적으로 표해록에서 제시한 유구 지식들이 인용되는 맥락을 살펴보고, 표류를 통해 유입된 유구 지식이 더욱 방대한 지식체계에 재편되었음을 논증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과정이 유구를 포함한 해외에 대한 관심을 자극하여 문화의 다양성을 수용할 수 있는 기반을 다져놓았음을 밝혔다. Information and knowledge about Ryuku (present Okinawa) were introduced to Chosun directly through people drifting in Ryuku, and it was performed by those drifting in neighboring countries, for example, Japan or China, too. This study focuses on late Chosun intellects’ collection of Ryuku information and tendencies of becoming knowledge in order to trace the process of accumulating Ryuku knowledge with the mediation of drifting. To attain the goal, this author has adopted the following procedure. First of all, after the preface, Chapter 2 examines the positive roles of drifting people as delivers of Ryuku information during the closed, pre-modern era and investigates the context of how those intellects treated Ryuku information and drifting people. Chapter 3 examines the formation of Ryuku knowledge through processing on the tales of drifting. In detail, this researcher organizes eight records of drifting about Ryuku written in mid- and late Chosun and examines the process of becoming knowledge found in each of the records of drifting, tendencies of becoming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s Ryuku culture. Chapter 4 looks into the process of accepting that Ryuku knowledge introduced into new books through writing those records of drifting. Furthermore, it has revealed that the process intrigued people about foreign countries including Ryuku and laid the grounds to accept the diversity of culture.

      • KCI등재

        일반논문 : 조선시대 표류노드 시각망 구축 과정 -표류 기록의 의미 요소 추출을 중심으로-

        이수진 ( Sujin Lee ) 온지학회 2015 溫知論叢 Vol.0 No.45

        이 논문은 ‘동아시아 교류에 관한 인문정보를 최근 연구 흐름에 맞추어 좀 더 빠르고 정확한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구축할 수 없을까’하는 고민에서 시작되었다. 조선시대 수많은 표류 기록을 검토하여 그 결과 물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시각적 데이터 관계망으로 재현해낸다면, 이 분야의 지식을 종합적으로 살필 수 있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표류 사건이 기록된 문헌을 검토하여 ‘표류 인물’, ‘출해 목적’, ‘표류원인’, ‘표류 기간’, ‘표착 지점’, ‘송환 시기’등 의미 있는 요소를 추출하고이를 설계된 온톨로지에 따라 관계성을 정의하여 시각적 데이터 관계망으로 제공한다. 관계망의 한 노드를 클릭하면 ‘표류 인물’, ‘출해 목적’,‘표류 원인’, ‘표류 기간’, ‘표착 지점’, ‘송환 시기’ 등 해당 내용이 수록된고문헌 텍스트와 그 번역문, 사진 또는 영상자료 등 구조화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복합적인 공간 정보는 구글 맵을 활용한 전자지도라는 효율적인 방식으로 제공한다면, 이후 문화산업의 자료로 활용될수 있을 뿐 아니라 세계를 이해하는 교육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다. 일반 대중들도 손쉽게 접근할 수 있어서 전통 인문학 지식 정보를 수용·확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표류노드 시각망 구축을 위한 과정을 ‘문헌검토 요소추출’ → ‘현장답사’ → ‘시각망 구축’ → ‘결과물 출판’의 4단계로 나누어 구성해 보았다.첫째, ‘문헌검토 요소추출’은 표류사건이 기록된 문헌을 검토하여 ‘표류인물’, ‘출해 목적’, ‘표류 원인’, ‘표류 기간’, ‘표착 지점’ 등의 시각망 구축에 필요한 요소를 추출하는 단계이다. 둘째, 추출한 요소를 바탕으로 주요 출해 지역, 표착 지역에 대한 현장답사를 진행한다. 셋째, 표류 사건이 기록된 문헌을 분석하여 의미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시각적 데이터관계망으로 구축한다. 그리고 마지막 단계에서 이러한 시각망 구축 전과정을 담은 결과물을 출판하도록 한다. 이 중에서도 특히 1단계인 ‘문헌 요소 추출’ 과정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조선시대 표류에 대한 기록을 담고 있는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표인영래등록(漂人領來謄錄)」, 「제주계록(濟州啓錄)」 등의 관변기록을 검토하여 시각적 관계망 구축에 필요한 의미 있는 테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을 다루었다. This study introduced the process of building the visual network of drift nodes. The process for building “the visual network of drift nodes in the Joseon Dynasty” is as follows. Step 1 extracts data from public and private literature containing records on drifts in the Joseon Dynasty, focusing on drifters, purpose of sailing, cause of drift, period of drift, place of landing, date of repatriation, etc. With basic data for implementing “the visual network of drift nodes,” Step 2 visits and surveys the places of departure and landing, and has opportunities for correction and efficient academic activities through consultation with experts in modeling the optimal implementation of drift node visual networks. Based on the previous works, Step 3 structures drift-related data and prepared image materials, and visualizes them on an electronic map. This is reproducing such data into visual contents by networking various drift-related elements based on their relations. The map is provided in hypertext in connection to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including not only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the age, gender, and government post of the drifters but also drift route, cause of drift, purpose of sailing, period of drift, images or videos of the place of landing, life and associated people in the place of landing, and literature containing drift records. The last step publishes a book with the outcome of these academic activities including various items of humanities knowledge related to drifts in the Joseon Dynasty planned and built into digital contents, a serious of processes, developed contents, etc. Now materials for implementing the visual network are being organized. Based on the organized drift-related data, further research should be made on how to develop “the visual network of drift nodes in the Joseon Dynasty.” That is, we need to explore digital technologies for visualization, and methods for the optimized implementation of data. The optimal implementation will be chosen through an advisory council and the visual network will be implemented.

      • KCI등재

        조선조 제주교육사 형성의 동인(動因)으로서 표류에 관한 연구

        김해영(Jin, Hai-ying),양진건(Yang, Jin-geo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9 敎育思想硏究 Vol.23 No.3

        본고에서는 조선시기 제주도가 폐쇄된 섬이라는 특징과 자연환경 때문에 표류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감안해 조선시기 제주도 교육사형성의 또 다른 중요한 동인으로서 표류의 영향이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살펴보았다.우선,제주의 지리적ㆍ환경적 특징에 대해 살피면서 제주도와 표류와의 관계에 대해 정리하였다.다음,표류인들이 남긴 표류기에 나타난 교육적 진술들과 교육적 해석이 가능한 내용들을 정리함으로써 교육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을 살펴보았다.마지막으로 그러한 표류기록에 나타난 이문화접촉,이문화이해,이문화전파의 과정을 통해 제주인들의 의식변화가 어떻게 진행이 되었고 그러한 의식변화가 제주 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규명하여 보았다.결론적으로 선상,과거,유배 등 위로부터,외부 로부터 주어진 수동적인 동인과 달리 표류는 제주인들에 의해 능동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교육에 대한 영향이 아래로부터,내부로부터 주었다는 점에서 다른 동인과 매우 차별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또한 표류의 영향으로 형성된 교육은 지배계층에 의한 지배를 위한형식적 교육인 것이 아니라 지방 민중에 의한 민중의 삶을 위한 사회교육이었다는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rifting which are another important of the formation in the Jeju educational history during the Joseon Dynasty,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re wa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drifting and the educational history of Jeju due to its isolation form the mainland and its natural environment. First of all, we looks for the Jeju's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features to find out relationship between Jeju Island and the drift. Then, organized the contents of educational interpretation and educational statements which are left by drifting peoples to find out the direct formation about education. Finally, with the drift appeared cross-cultural contact and cross-cultural understanding, cross-cultural spread, we can identify how did the Jeju people change in consciousness and formation of changes in consciousness about Jeju education. As a result, like board, past, exile which is passive from the top, from the outside is very different with the drift of Jeju people which is active by the impact on education from below, from the inside In addition, the education which is formed by influence of drift is not Formal Education for the ruling class to dominated, that is Social Education for the people's life by local people.

      • KCI등재

        표류물의 충돌해석을 위한 LS-DYNA의 적용성 검토

        황태건,김태윤,최선용,고찬현,이우동 (사)한국연안방재학회 2022 한국연안방재학회지 Vol.9 No.2

        The characteristics of a secondary disaster are not well known with respect to the drift-impact by storm surge or tsunami. A numerical analysis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a secondary disaster must be capable of simulating fluid dynamics as well as structural behaviors. In this sense, a fluid-structure interaction analysis is necessary with specialized numerical model such as LS-DYNA. In this study, we numerically simulated the breakaway-drift-impact process of a container due to break waves using LS-DYNA, and additionally examined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 Furthermore, we investigated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an LS-DYNA analysis through the wave pressure comparison of measured values in a hydraulic experiment and the calculated values. In the analysis of drift-impact of a container due to dam-break waves, the drift velocity had a dominant effect, which is in line with previous experiments. In the collision analysis of drifting object due to storm surge/tsunami, the LS-DYNA simulation was proven as an appropriate numerical approach in this study.

      • KCI등재

        현대시의 유랑의식 보론(補論) -윤동주와 김윤의 시를 중심으로

        최종환 ( Jong Hwan Choi ) 韓國世界文學比較學會 2009 世界文學比較硏究 Vol.28 No.-

        This paper explores into poetic works under the theme of the consciousness of drifting by those Korean poets who have experienced the oppression by the Imperialist Japan before and after the National Liber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poetry, it is suggested that the images showing the pain of the drifter have been responsible mainly for the works before the Korean war.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it turns out that some of our poets have a `line of continuity of the consciousness of drifting` from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to present age. In particular, Yun Dong-ju and Kin Yoon, in their poetic worlds, show their recognition of the reduced self due to the harm done by Japan as "shameful-name," "a worn-out shoe", etc. We can observe their adjacency on the side of poetic history to the effect that their pain as drifters appear centered on orphanhood and abandonment, and is overcome through the symbolic system of maternity. By relating Yoon Dong-Ju and Kim Yoon`s, our Modern portry will be endowed with a new literary topological-space from the viewpoint of theme of consciousness of drifting.

      • KCI등재

        아동수기영화 <구름은 흘러도>의 지향점 연구

        허서연 한국영화학회 2022 영화연구 Vol.- No.91

        This thesis aims to examine Director Yu Hyun-Mok’s artistic orientation shown in the aspect of cinematizing his Child Handwritten Film <Even the Clouds are Drifting> based on a collection of children’s memoirs. All the movies produced by Director Yu Hyun-Mok around 1960 show a common feature in which their characters go through hardships because of the tendency of the time. Thus, the work <Even the Clouds are Drifting> produced in that period also aims to show the children’s pain caused by social contradiction of the time. Contrary to other works, the relevant work comes to an end as the problem is solved, which is noticeable. Through the main character Mal-Sook’s voice-over narration, the work delivers lots of information related to narrative to the audience, and also utilizes it as a window for communication, so the characters act through introspection. Through this series of processes, the audience takes the information from the main character Mal-Sook, assimilates to the work, composes the explicit meaning by perceiving and becoming aware of what the movie aims to deliver, and gets an educational opportunity to introspect and act the situation of the time. 이 글은 아동 수기집을 원작으로 한 유현목의 아동영화 <구름은 흘러도>의 영화화 양상을 통해 그의 예술적 지향점을 살펴보는 것을 수행하고자 한다. 1960년을 전후로 하여 유현목 감독이 제작한 영화들은 시대적 경향으로 인해 등장인물이 사회적 모순을 통해 고난을 겪는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동시기 제작된작품 <구름은 흘러도> 또한 원작인 수기집에 담긴 당시의 사회적 모순으로 인해아동이 겪는 고통을 보여주고자 한다. 해당 작품의 결말은 타 작품들과는 달리그 결말이 환경 선화적 형태를 띠며 문제가 봉합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작품은 주인공인 말숙의 보이스-오버 내레이션을 통해 관객에 게 서사와 관련된 다량의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더불어 이를 소통의 창구로 활용하며 등장인물들이 성찰을 통해 행동하게끔 한다. 일련의 과정은 관객이 주인공 말숙의 정보를 취하는 것에서 나아가 작품에 동화되며 작품이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지각하고 의식화하여 외연적인 의미를 구성하게 하며 당시 시대상황에대한 성찰과 행동을 할 수 있게끔 교육적 기회를 제공한다

      • KCI등재

        <표해록>으로 본 18세기 제주도 선비 장한철과 섬사람들

        김미선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0 東洋學 Vol.0 No.78

        This paper examined 18th-century Jeju scholar Jang Han-cheol and Jeju Island people from the viewpoint of the travel record 『Pyohaerok』. To that end, Chapter Ⅱ briefly summarizes the drifting diary of the Joseon Dynasty and examined the process of writing Jang Han-cheol’s 『Pyohaerok』. 『Pyohaerok』 was primarily written while he stayed in Hosando Island after he drifted ashore, and it was secondarily written right after he returned to Jejudo, making the record very specific. Chapter Ⅲ examines Jang Han-cheol and his scholarly life as described in 『Pyohaerok』. His scholarly spirit was manifested when he described his family, and such spirit prevailed all through the record. Jang Han-cheol studied Confucianism, and read a lot of diverse books, making him a learned man, which enabled him to analyze the situations so as to persuade the people as a leader, thus exercising his leadership through the crisis and encouraging the people drifted. Further, he valued Confucian rites. Chapter Ⅳ examines the Island people from the perspective of Jejudo scholar Jang Han-cheol. The record describes the people drifted together as believing in superstition and easily succumbing to distress. After overcoming the crisis, however, Jang Han-cheol understood the brokenhearted island people and affirmatively described them as good-natured. Further, the record illustrated the Cheongsando people who came to the aid of the drifted people and Jejudo people who he came cross while returning home and who helped the distressed people. This offers a glimpse of the Island hometown people’s favorable treatment of the drifted people from the same town in the 18th century 본 논문에서는 『표해록』을 통해 18세기 제주도 선비 장한철과 섬사람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먼저 Ⅱ장에서는 조선시대 표류일기를 간략하게 정리하고, 장한철 『표해록』 작성 과정을 살펴보았다. 『표해록』 은 표류 체험 중 호산도에 있을 때 1차 작성되었고, 제주도로 돌아온 직후 2차 작성되어, 표류 체험이 구체적으로 기록될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표해록』에 나타난 장한철의 삶과 선비적 면모를 살펴보았다. 가족들을 서술할 때 효와 제사를중시하는 선비적 면모가 드러나는데, 이러한 면모는 『표해록』 전체를 관통하였다. 장한철은 유학을 공부하고다양한 책을 읽은 독서인으로서 자신의 지식을 바탕으로 상황을 판단하여 사람들을 설득하였으며, 백성들을이끄는 지도자로서 위기 속에서 사람들을 이끌고 위기가 끝난 후에도 함께 표류한 사람들을 포용하는 모습을보여 주었다. 또 예의를 중시하는 면모도 확인할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제주도 선비 장한철의 눈에 비친 섬사람들을 살펴보았다. 함께 표류한 섬사람들은 미신을 믿고, 쉽게 삶을 포기하는 사람들로 그려지기도 하였다. 하지만 함께 위기를 극복한 후 장한철은 섬사람들의 마음을이해하고 그들의 성품이 착하다고 긍정적으로 기술하였다. 또 표류인을 도와준 청산도 사람들, 귀환 과정에서우연히 만나 도움을 준 제주도 사람들을 통해 18세기에 섬사람들이 표류한 동향 사람들을 호의적으로 대하는것을 볼 수 있었다

      • KCI등재

        표류하는 여성 괴물 2 : 『태원지』 속 여성 괴물의 형상과 의미

        김선현 ( Kim Seon-hyeo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21 민족문학사연구 Vol.77 No.-

        『태원지』는 중원 출신의 임성 일행이 대해를 표류하다 태원이라는 공간을 정복 후 새로운 국가를 건설하는 서사를 담고 있는 소설이다. 임성 일행은 표류 과정에서 여러 섬을 거치게 되고, 각 공간의 존재들을 만난다. 표류지의 존재들은 기괴한 형상을 하거나 신이한 능력을 갖춘 존재 혹은 쥐, 구미호 등이 인간의 형상으로 변신한 ‘것’들이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남성으로 간주되는 괴물들과는 다른 감각으로 형용되고 있는 여성 괴물에 주목하였다. 『태원지』의 여성 괴물은 미모로 남성을 유혹해, 깊은 동굴, 겹겹이 둘러싸인 견고한 성곽 속에 유폐시키거나 잡아먹는 존재들이다. 이들은 임성 일행과 대결을 펼치지 않는다. 그저 미모와 유폐, 식인, 살해의 과정 속에 이들에 대한 공포감이 조성될 뿐이다. 이와 같은 여성 괴물의 형상 속에는 동, 서양의 서사가 공유하고 있는 바다 밖 여성 괴물에 대한 상상과 인식이 반영되어 있다. 여기에는 원초적 어머니이자 거세하는 어머니에 대한 공포, 섹슈얼리티에 대한 공포와 경계의 시선이 함께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Taewonji is a novel with the narrative of Lim Seong and his party from Central China(“Jungwon”), who drift along the Great Sea, conquer the area called Taewon, and build a new nation. Lim Seong and his party pass through several islands and meet the beings from each land during the drift. The beings in the drift area have bizarre shapes or have magical abilities or ‘things’ that mice, nine-tailed foxes, etc. have been transformed into human forms. In this study, it focused on female monsters, which are described with different senses from monsters considered to be male. The female monsters in Taewonji seduce men with their beauty, confine them in a deep cave or a strong fortress surrounded by layers of walls, and either eat or kill them. They do not engage in confrontation with Lim Seong and his party. Fear of them is only created in the process of their beauty, confinement, cannibalism, and murder. In the shape of such a female monsters, the imagination and perception of the female monster outside the sea, which Eastern and Western narratives share, are reflected. It seems that the fear of the mother who is primordial and deprives, the fear of sexuality and the vigilant gaze are applied toge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