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여성문학자의 ‘문예위문’과 전쟁책임

        오성숙 한국일어일문학회 2018 日語日文學硏究 Vol.105 No.2

        This study investigated Japanese literary women who came to collaborate in ‘literary consolation’ more actively as ‘Kagayaku Society’ was renamed as ‘Kagayaku Unit’ in 1939 and published The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for Consolation. First, they attempted to build up a system in which once an occupied territory or colony was acquired with ‘military victory’ by men, they would construct a new continent with ‘literary maneuvering’ by women. Kagayaku Unit was given its mission as the matrix of a new culture. Second, ‘consolation’ and ‘comfort’ have been recognized as women’s activities since the Sino-Japanese War, but with the Second Sino-Japanese War as a momentum, in particular, as the title of a ‘national policy’ was given to Kagayaku Unit’s activity, it came to be characterized by the combination of ‘following the army’ with ‘comfort’ and ‘consolation.’ Third, the literary women fancied themselves as psychological ‘comfort women’ by actively taking part in war collaboration with literary consolation and consolation literature. It was observed that ‘Kagayaku Unit’ provided a momentum for the continued war by taking in charge of sustaining and supporting men’s war in the rear. In this sense, it is difficult for Kagayaku Unit’s literary consolation activity to avoid war responsibilities. 本論文は「輝ク会」が1939年 「輝ク部隊」に改称し、慰問文集を出版しながら、積極的に「文芸慰問」に協力した女性文学者たちを中心に考察したものである。 女流文化団体輝ク部隊は時雨が言うように、世界の何処の国にもない女性の集まりであった。男性による「軍事的勝利」により占領地、植民地を獲得すると、それ以降は女性による「文化工作」により新興大陸を建設していくシステムを構築しようとした。 「慰問」「慰安」は日清戦争から女性の活動として認めているが、日中戦争をきっかけに輝ク部隊の活動に「国策」という名目下で「従軍」と「慰安」「慰問」が結ばれるようになった。 女性文学者が文芸慰問、慰問文学という形で戦争協力に積極的に荷担しながら精神的な「慰安婦」の役割を果たしていたことがわかる。輝ク部隊は銃後で男性の戦争を支える役割を担うことによって戦争の推進力となったことから、その戦争責任が問われるべきだと思われる。

      • KCI등재

        헤이안 시대 일기문학의 상실과 위안

        노선숙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8 비교일본학 Vol.43 No.-

        헤이안 시대의 일기문학은 제한된 공간과 사회 규범 속에서 묶여 살아야했던 여인들의 상실을 적어 내려간 작품군이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연구는 주로 그들 작품의 저변에 흐르는 상실과 비탄에 주목, 자조적이고 고백적인 상실의 문학으로서의 논고가 주를 이루었다. 또한 상실과 관련하여서는 주로 작품론과 관련지은 연구가 대부분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헤이안 시대 일기문학의 창작동기이자 특징으로 인식되어 온 ‘상실(비탄)의 문학’이라는 관점에서 탈피하여 ‘위안의 문학’으로서의 위상을 진단해 보았다. 연구 방법으로는 단순히 각 작품별 위안 (대상 또는 방법)과 관련된 구체적인 용례 및 자기 치유와 관련된다고 판단되는 대목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비탄과 상실을 치유해준 위안이 명확하게 드러나는 작품이 있는가하면 작품 전체의 창작 의도조차 파악하기 어려운 작품도 있었다. 특히 『가게로 일기』는 ‘위안’ 관련 어휘가 전무한 상태에서 ‘위안의 문학’으로서의 가능성을 진단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주목한 참배와 위안이라는 공식에서 벗어나 본고에서는 자연묘사에 착목하였다. 상실감에 짓눌려 무채색이 되어버린 현실 속에서 서서히 호기심과 적극적인 태도로 자연을 관찰하면서 유채색 현실을 예찬하게 되는 작자의 심경변화를 읽어낼 수 있었다. 예찬보다 더 좋은 치유는 없다고 한다. 눈에 비치는 자연을 매 순간 새롭게 인식하면서 작자는 마음의 위안(퀘렌시아)을 획득해 나간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고찰을 통하여 헤이안 시대 일기문학의 ‘위안의 문학’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diary literature of the Heian period is the work based on the loss of women trapped in oppressive space and social norms. On the other hand, narrative literature is based on the bereavement or separation with a loved one, and the sense of spatial loss that comes after leaving from a familiar city. The majority of studies on these works that were born as a result of personal setbacks and losses are focused mainly on loss. In that loss, there are many studies related to the literary work theory and their contents limited only to the loss itself are common. Therefore,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plore the philosophy of the “literary” of “consolation”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on the loss in the diary literature of the Heian period. As a method of research, I exercised a great deal of effort in extracting specific examples of “consolation” found in the text and analyzing them. In some cases the loss and consolation (the object or method) are clear, but in other cases it may be difficult to even capture the creative intent of the entire work. Also, when the diary literature with different personality is inscribed as a “consolation” measure, it is necessary to admit its own limitations and problems. Nevertheless, this paper makes a contribution to the diary literature studies by identifying the framework of “literature of consolation” in addition to “literature of lamentation” and “literature of loss”.

      • 대형 인명사고의 특별 위로금 지급에 관한 연구

        이천성 ( Cheon Sung Lee ) 한국손해사정학회 2012 손해사정연구 Vol.6 No.-

        이 연구의 목적은 국가 또는 지자체가 개입되어 처리되어 온 대규모 인명사고의 특별 위로금 지급과 관련한 내용을 사례별로 분석하여 문제점을 찾아보고, 검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에 있다. 즉, 대형 인명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있어 피해자들에게 지급되는 손해배상금 이외의 금원으로서 특별 위로금이라는 것이 무엇이며, 어떤 성격을 갖는지, 누가 왜 얼마를 지급해야 하는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또한, 특별 위로금 지급 사례별 분석을 통해 특별위로금 지급의 당위성, 형평성, 고액화에 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특별 위로금 지급의 폐지와 위자료의 상향, 특별 위로금의 재원인 국민성금 집행의 합목적성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가 향후 예기치 않은 또 다른 대형 인명사고가 발생할 경우, 특별 위로금이라는 명목의 보상금 지급 여부 및 지급액의 범위를 둘러싸고 보상주체와 희생자 유족들 간의 분쟁을 방지하기 위한 논의의 단초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problems in relation to a payment of special consolation by analyzing cases relating to such payment for man-made disaster that was interfered with and dealt with by the country or municipal corporation,and to propose a method solving that problems. In the case of man-made disaster, I studied what the special consolation is, as a monetary source other than damages paid to victims of such disaster, and what a nature of that benefit is and who has to, why it has to and how much it has to pay such benefit. I also pointed out problems with respect to the appropriateness, fairness and large amount to such payment by analyzing cases of that payment, and proposed the abolition and increase of such benefit, the purposefulness of execution on people`s contribution which is the resource of special consolation. I hope this study is concerned to give a opportunity to prevent a dispute between a compensator and family of the victims with respect to a compensation payment under the name of special consolation and its amound, if another man-made disaster is occurred unexpectedly in the future.

      • KCI등재

        베트남전 위문공연에 관한 젠더론적 연구Ⅰ(1964-73)

        이진아 ( Lee Jin-a ) 한국사회사학회 2020 사회와 역사 Vol.0 No.125

        이 글은 1964-73년 사이 수행된 베트남전 위문공연의 양상에 대해 젠더론적인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했다. 당시 이동하는 연예/위문단은 베트남전에 참전했던 한국인 남성을 위문하기 위해 베트남 현지와 한국 내부에서 반복적인 위문공연을 하였다. 베트남전 위문공연은 집단적이고 조직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졌는데, 이들은 한국연예협회와 공보부의 후원과 지지를 통해 장기적으로 지속될 수 있었다. 레퍼토리는 주로 한국인 예능인의 대중가요와 댄스 등이었다. 이들은 순회하는 공연 문화를 통해 특정한 남성성, 즉 파월장병으로 표상되는 지배적 정체성을 생성하고 있었다. 이는 위문공연이라는 프레임 안에서 남성 개별자를 넘어 이들의 가족과 형제까지 모든 구성원들이 위문하고 위문 받는 주체 위치에서 박정희 정권의 국민으로 호명되고 상상되는 것을 의미했다. 한국성과 남성성이 결합된 기표였던 파월장병은 1960-70년대 위문공연을 통해 ‘한국―베트남’이 연결되는 사회적 공간 안에서 ‘맹호, 청룡, 백마, 비둘기’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변주되면서 일종의 위문예능을 통해 가시화되었다. 이는 서로 일면식도 없었던 이들에게 파월장병이라는 신체 감각과 동질적인 정체성을 구성하는 호명기제이자 문화 장치였다. This study examines consolation performance during the Vietnam War between 1964-73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theory. At that time, the traveling entertainment delegation performed a series of condolence performances repeatedly in Vietnam and Korea to console Korean men who participated in the Vietnam War. The consolation performance during Vietnam War was conducted on a collective and organized level, which could last for a long period through the sponsorship and support of the Korean Entertainment Association and the Ministry of Public Affairs. The repertoire mainly consisted of popular songs and dance by Korean entertainers. They created a dominant identity represented by a certain masculinity, soldiers who were dispatched to Vietnam, through a circulating performing culture. This meant that all members including their families and brothers beyond male individuals, were called and imagined to be members of the Park Chung-Hee regime in the position of subjects who give and receive the consolation. Through the consolation performance in the 1960s and 1970s, in a social space where “Korea―Vietnam” was connected, the soldiers who were dispatched to Vietnam symbolized the combination of Korean feature and masculinity, and was transformed into various names such as “Fierce tiger,” “Blue Dragon,” “White Horse,” and “Pigeon” became visible through a kind of consolation entertainment. This calling system and cultural device formed the body sense and the same identity of soldiers who were dispatched to Vietnam to those who were complete strangers one another.

      • KCI등재

        무당굿의 위로와 치유의 기능

        홍태한 무형유산학회 2024 무형유산학 Vol.9 No.1

        이 글은 무당굿의 위로와 치유의 기능을 살핀 글로 글쓴이가 현장에서 주로 조사한 자료를 대상으로 살폈다. 먼저 무당굿의 위로와 치유의 기능을 두 가지로 제시했다. 하나는 ‘미래에 대한 확신을 얻고 위로받기’이고 다른 하나는 ‘맺히고 막힌 것 풀어내기’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사람들은 굿판에서 미약한 존재가 가진 강한 힘의 역설을 깨닫게 되고, 현실을 떠나 새로운 힘을 얻을 수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이제 굿을 가지고 미신이다 아니다의 논쟁은 의미가 없다. 우리가 소중한 것들을 잊고 살아갈수록 굿은 필요하다. 소중한 것들은 막상 가지고 있을 때에는 모르다가, 잃은 후에야 그 값을 안다. 굿이 그러하다. 미신이라고, 근대화의 장애가 된다고 하여 외면하다가는 과거와 비현실로 돌아갈 수 있는 통로를 잃는 셈이다. 그 속에 담긴 무궁무진한 우리의 속살을 잃는 것이다. 지금이야 말로 굿의 가치를 알고 굿의 역동성을 살릴 때이다. 굿을 알수록 의미가 깊어지고, 굿을 지킬수록 우리 삶은 값져진다. 우리 삶의 차원이 달라지고 마침내는 인간과 신이 하나가 되는 대동의 세상이 열린다. This article has taken a look at the functions of Mudang-gut (shaman dance) for consolation and healing with the main focus on observed data surveyed by the writer. First of all, the article suggests functions of Mudang-gut on two aspects of consolation and healing. One is to ‘gain the assurance on future and be consoled’ and the other is to ‘resolve the clogged and mingled ones’. And through this endeavor, people think that they are enlightened of paradox of a meager being possessing a strong power from the gut site, and gain a new power by departing from the reality. Therefore, it is meaningless to dispute whether the gut (shaman dance) is superstitious or not. As we live on by forgetting the precious ones, the gut is even more necessary. Those precious ones are not treated as such when they are in the possession, but their true value are felt after losing them. If it is neglected for it is a superstition or interfering with the modernization, it may lose the path to return to the past and un-realistic status. It is like losing the unlimited nature of our intrinsic value that is contained within. Now is the time to realize the value of the gut and bring back the dynamics of the gut. The more people know about the gut, the more meaningful it gets, and the more the gut is protected, the more enriched of our lives. It opens up the different level of our lives and the world of universal harmony with humans and gods united as one ultimately.

      • KCI등재

        이세보의 유배일기 『신도일록』에 수록된 시조의 연작성과 자기 위안(慰安)

        김윤희 ( Kim Yun-hee ) 온지학회 2017 溫知論叢 Vol.0 No.51

        본 연구는 19세기의 인물 이세보의 유배 일기 『신도일록(薪島日錄)』에 수록된 시조들의 특징과 그 의미를 고찰해 본 것이다. 이세보는 안동김씨 일파를 주축으로 한 관료들의 탄핵을 받아 1860년 29세의 나이로 1860년부터 3년간 전남 신지도에서 유배 생활을 보냈는데 『신도일록』은 이 때에 창작된 일기이고 후반부에 92수의 시조가 수록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현전하는 조선시대의 유배시조 중 이세보의 작품이 과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유배 생활 이후에 다른 가집에 유배시조가 추가적으로 창작된 정황으로 보아 『신도일록』에 수록된 시조는 연구사적으로도 그 의미가 크다 할 수 있다. 작품들을 검토해 본 결과 『신도일록』에 수록된 92수의 시조 속에는 이세보가 유배지에서 겪은 감정적 부침(浮沈)이 형상화되어 있는데 `해배(解配)에의 염원`은 구심점을 형성하고 있었다. 그로 인해 특정 소재나 주제로 `연작(連作)`되어 있는 현상이 곳곳에서 발견되었다. 특히 의 식적으로 유교적 명분론을 되새기며 충효라는 가치를 지향했지만 실존적인 불안감은 지속적으로 그를 힘들게 했던 것으로 보인다. 질병이나 곤궁함을 소재로 한 시조들이 연작되어 있는 현상도 이세보가 겪은 고통이 육체적 차원을 넘어 자신이 신봉했던 유교적 가치를 추구할 수 없게 된 현실로 인해 유발된 정신적 고통의 표상임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이처럼 이세보의 유배 시조에 보이는 심리적, 육체적 고통에 대한 직시와 형상화 그리고 `충효(忠孝)`와 `선악(善惡)`의 관념으로 이를 극복하고자 한 의식적 노력은 궁극적으로 `자기 위안(慰安)`과 연결되어 있는 현상으로 보인다. 범박하게 정리를 해본다면 공적(公的) 자아로서의 극복 의지와 신념을 충효(忠孝)나 의리(義理)와 같은 유교 윤리에 투사했지만 그것이 실현되지 못할 것이라는 절망감이나 실존적 고통이 질병(疾病)이나 곤궁(困窮) 등의 소재로 형상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그 양자 사이의 정신적 치유나 위안의 기제로 작동했던 것이 바로 `선악(善惡)` 관념이었다. 이러한 감정의 부침(浮沈)이 바로 연작적 시조 작품들을 통해 형상화되어 있는 것이다. 일기로 충족되지 못한 감정적 잉여와 그 증폭의 상황 속에서 시조 창작은 그에게 매우 중요한 자기 위안의 방식이었음이 `연작성(連作性)`이라는 특징에서 확인된다고 볼 수 있다. 해배(解配)에 대한 희망과 기대를 저 버리지 않도록 유배지에서의 실존적 고뇌를 위무(慰撫)해준 것이 바로 그의 일기와 시조 작품들이었던 것이다. 나아가 유배라는 실존적 고통과 그 과정에서 촉발된 절대 고독의 감정에 대응하는 이러한 문학적 형상화 방식과 의미는 자기 위안, 심리 치유의 방식과 연계하여 그 효용성이 재조명 될 수도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Sijo in 『Sindoillok』, the diary of exile written by Yi Se Bo from the 19th Century. Yi Se Bo was impeached by the government officials led by the Gim Family of Andong and was exiled to Sinjido Island in Jeollanamdo for 3 years from 1860 when he was 29. He wrote 『Sindoillok』 there and included 92 pieces of Sijo at the end of it. Yi Se Bo`s work takes a majority of Sijo about the exile from the Joseon Dynasty and more Sijo about the exile was added to another publication after his exile, manifesting that Sijo in 『Sindoillok』 has historical value.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pieces, the 92 pieces of Sijo in 『Sindoillok』 represents the emotional agony Yi felt during his exile and his `wish for the release` is the center of all emotions. For that reason, there is a series of work on a certain topic or theme. Also, the representation of psychological and physical pain in Yi`s Sijo and the efforts to overcome it with the notions of `loyalty` and `good and evil` would ultimately be related to `self-consolation.` Although he projected the determination and faith to return to an official self through the Confucian ethics such as loyalty or integrity, the despair and existential agony that it may not be attainable are represented as a disease or poverty. Also, the notion of `good and evil` served as a mechanism of mental remedy or consolation. He constantly created his diary and Sijo to appeal his pain and innocence and keep his hope and expectations for the release while consoling his painful days during the exile. The literary representation and characteristics to respond to the existential agony of `exile` and the human emotion of solitude could be highlighted as a way of self-consolation and psychological remedy.

      • KCI등재

        불안의 전면화와 현대사회의 점복행위-점복인․점복관련업종사자들의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염은영 남도민속학회 2022 남도민속연구 Vol.44 No.-

        For all ages and countries, divination is omnipresent as human finiteness and the desire for prediction coexist. Just as Korean society changes, divination exists, changing along with the society. Understanding the existence of ubiquitous divination helps apprehend the aspects of divination in modern society, and gives insight into changes in divination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terpret the transformation and social context of divination. The researcher interprets the trans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flux of diviners, the change in the age of diviners, the tendency of divinatory practice, and the content of divina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of diviners. First, the ‘Diviner as the Second Occupation’ type emerges. The resignation of highly educated is accelerated by the flexibility of labor,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employment in neoliberalism. As a result, more people choose the divinatory field as their ‘second occupation’, due to its relatively low entry barriers and the fact that there is no retirement. Second, the educational degree of diviners is appreciated as people born after the 1980s, where the percentage of college graduates is high, flow into the divinatory field. The social treatment of diviners tends to improve as the diviners have higher degrees. Third, due to the influx and migration into the divinatory field with its low entry barriers, the phenomenon of layering in divination appears. The phenomenon appears to be a trendy change on the outside, but internally is an aspect of commercialization. The tendency of existing diviners re-entering the field by learning divination that is relatively easier is growing. Fourth, due to the generalization of anxiety, the age group of people approaching divina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generation. In particular, the age group which uses mass media relatively freely and is highly adaptable to changes is receptive to new types of divination, such as tarot. Fifth, as the mass media develops and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diviners has appreciated overall, the entertainment and consolation of divination rather than blind faith in divination is highlighted. The public seeks divination to vent their anxiety and to find consolation. They require divination when facing null option due to the overflow of information of modern society. Therefore, divination has surfaced as a consolation factor.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점복행위는 인간의 유한성과 예견욕구가 결합되면서 편재(遍在)한다. 한국사회 역시 시대의 변화와 함께 점복행위도 변모하면서 현재(現在)한다. 편재된 점복행위의 현재성을 파악하는 것은 현대사회 점복행위의 양상을 이해하고 나아가 향후 점복행위의 변모에 대한 통찰을 준다. 이 연구는 한국사회 점복행위의 현재성에 집중하여 사회적 맥락에 따른 현대사회의 전면화된 불안과 점복행위의 양상을 고찰하는 데 연구목적을 둔다. 신자유주의적 시장질서가 전면화된 2000년 이후 점복인의 유입과정과 문점인의 연령변화 그리고 점복행위 실행성향과 문점내용에서 어떠한 변화와 특성이 있는가를 파악하고자 한다. 점복인과 점복연관업에 대한 계량적 조사와 기초자료들을 대상으로 해야 하나 적절한 성과가 없어 연구자의 현장경험에 입각한 점복인들의 심층면접을 통해 해석하고자 한다. 첫째, ‘제2의 직업형’ 점복인이 등장한다. 노동유연성이라는 신자유주의의 고용방식의 특성에 의해 고학력자의 퇴사 시기가 빨라진다. 이로 인해 비교적 진입장벽이 낮고 은퇴시기가 없는 ‘제2의 직업형 점복인’으로 점복업에 진입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둘째, 대졸자의 비율이 높은 1980년대 이후 출생자들이 점복업으로 유입되면서 점복인의 학력이 상승되었다. 점복인의 학력이 상승되고 이로 인해 사회적 대우도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셋째, 진입을 쉽게 할 수 있는 점복영역으로 유입과 이동이 많아져서 점복영역의 중층화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은 외형적으로는 트렌디한 변화로 보이지만 내면적으로는 상업화의 한 단면이다. 기존 점복인들이 상대적으로 진입장벽이 낮은 서양 점술을 배워서 진입하는 경향이 커지고 있다. 넷째, 불안의 전면화로 인해 점복행위로 접근하는 연령이 특정 세대로 국한되지 않고 전연령대에 걸쳐 있다. 특히 대중매체를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사용하고 변화에 적응력이 높은 연령층이 타로와 같은 새로운 점복에 수용적이다. 다섯째, 대중매체가 발달하고 문점인들의 학력이 전반적으로 상승하면서 점복을 맹신하기보다는 점복의 위락적・위안적 성격이 부각된다. 현대인들은 정보의 범람으로 인해 선택부재의 상황이 되면 불안을 호소하고 위무를 찾고자 점복행위를 하는데, 이는 점복위무적 기능으로 표면화된다.

      • KCI등재

        보에티우스 『철학의 위안』에서 행복과 자유 의지: 메니포스 풍자 문학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오지은 범한철학회 2017 汎韓哲學 Vol.87 No.4

        A recent interpretation of De Consolatione sees it as one of Menippean Satire, which satirises philosophy. This interpretation is based on the reading according to which Philosophy did not reveal any fruitful paths to happiness, and her insistence on the existence of free will was ultimately not maintained. In this paper, I claim that this interpretation does not provide us reasonable evidences. Firstly, I argue that Philosophy presented praxis and theōria as methods of attaining happiness, and helped Boethius to participate in theōria. Next, I demonstrate that her insistence on the existence of free will did not reach an impasse. I explain the meaning of exordium(Ⅳ.6.19), and make clear that the God described in this book is not the one who compels us to act in a certain way, but the one who weaves ‘the acts performed by ourselves’ and ‘the (mis)fortunes we are going to meet.’ 최근 몇몇 연구자들은 『위안』이 메니포스 풍자 문학에 속하는 것으로서 철학 풍자를 목표로 하는 책이라 해석하며 다음의 두 이유를 내놓았다. 하나는 보에티우스라는 구체적 개인이 어떻게 참된 행복을 달성할 수 있는지에 관해 철학이 말해주는 바가 없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자유 의지가 존재한다던 철학의 기존 주장이 맨 끝에서 번복되었다는 것이다. 이에 본고는 철학이 프락시스와 테오리아를 행복에 가까워지는 길로서 제시했을 뿐 아니라 보에티우스로 하여금 테오리아를 직접 실행하도록 안내했음을 보인다. 다음으로 필자는 exordium(Ⅳ.6.19)의 의미를 구체화함으로써, 이 책에 묘사된 신은 우리를 특정 방식으로 행동하게끔 강제하는 자가 아니라 ‘우리가 자유롭게 한 행동’과 ‘우리가 마주치게 될 운’을 엮는 자임을 설명하며, 자유 의지의 존재에 대한 철학의 옹호는 변함없이 유지됨을 밝힌다. 결국 본고는 앞의 두 이유 때문이라면 『위안』을 메니포스 풍자 문학으로 분류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뜻밖의 위로: 서유럽의 흑사병과 14-16세기 신체적·심리적 고통의 시각화

        한유나 ( Yu Na Han ) 한국미학예술학회 2023 美學·藝術學硏究 Vol.69 No.-

        14세기 흑사병이 서유럽에 상륙하면서 해당 병증을 드러내며 고통스러워하는 환자들의 모습이 동시대 미술에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특히 15세기 말에서 16세기 초에 다양한 작품이 제작되었다. 이러한 이미지들은 기존 연구에서 감염되었을 당시의 상태나 병증의 치료와 같은 대처 방식을 기록한 의학사적 사료로서만 관심을 받아 왔다. 최근 근세미술사학계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고통 받는 몸’에 대한 일반적 논의를 적용하면, 흑사병의 고통을 시각화한 작품들을 공포감 조성을 통한 윤리적 계도의 수단으로 해석할 여지가 있다. 당대인들이 전염병을 인간의 죄에 대한 신의 형벌로 이해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이 그림들이 감상자들에게 비판적 메시지보다는 위안을 전달하는 ‘뜻밖의 역할’을 수행했음을 고찰한다. 이 그림들은 감염된 자들에게는 자신들의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비감염자들에게는 자신들에게도 닥쳐올지 모를 고통에 대한 두려움을 가시화하는 역할을 했다. 이는 일레인 스캐리(Elaine Scarry)가 주장했던 것처럼 고통의 표현불가성으로 인한 외부와의 단절을 “대상화된 형태”로 변환하여 그 괴로움을 일부 경감하는 행위로 이해된다. 또한, 문학치료(bibliotherapy)의 핵심 치유 기제인 “너 혼자만이 겪는 고통이 아니다”라는 공감적 체험을 제공했던 것으로도 해석 가능하다. 아비 바르부르크(Aby Warburg)의 논의를 적용할 경우, 불가해한 고통과 공포를 승화시키고 카오스적인 세계 안에서 정위하려는 서유럽인들의 절박한 노력을 담은 일종의 파토스 형식으로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14-16세기 흑사병 환자들의 고통을 재현한 작품들의 조형 언어와 문화사 및 종교사적 맥락이 실제로 이러한 현대이론의 틀과 서로 공명함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이 그림들이 인간의 고통과 치유에 대한 보편적 속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때문에 그 감상에 있어 ‘뜻밖’이지만 또한 친숙한 위로의 기제가 작동함을 밝힌다. After the outbreak of the Black Death, pictorial representations of the pain caused by the plague became increasingly popular, the zenith of which was between the late fifteenth and early sixteenth centuries. These images have attracted scholarly attention mainly as historical records describing the symptoms of the disease and its medical treatments.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however, is to demonstrate that they played an “unexpected” role in comforting contemporary viewers: for those who were already contaminated, the images gave shape to their current pain, while for the noninfected, they materialized the fear of possible infection and the following pain. Here, the images can be understood as “objectified pain” in Elaine Scarry’s term, allowing an otherwise inexpressible inner state to be communicated to the external world, and thereby offering emotional catharsis. In the images of pain, the viewers also discovered the fact that they were not alone in suffering ― a crucial mechanic of consolation particularly emphasized by modern practices of bibliotherapy. Lastly, adopting Aby Warburg’s ideas, these images are to be considered as a kind of Pathosformel embodying Europeans’ efforts in the age of the bubonic plague to sublimate the inexplicable crisis as well as to orient themselves in that chaotic world.

      • KCI등재

        언론의 인격권 침해에 대한 피해구제 수단

        전광백 ( Kwang Baek Jun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홍익법학 Vol.13 No.3

        It is necessary for the media to watch and check the nation power for democracy society. The media which consists of news paper, broadcasting, internet nets, etc has many roles that are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crime report to satisfy people`s right to know, creating public opinions, and criticizing public figure or public society. While the media perform its own duty, there are some possibilities that the personal rights such as fame, private life and the right to one`s portrait are to be infringed by the media. The above situation is increasing especially by the so called yellow media which trends to excessively commercial report indiscreetly recently. The civil code and the speech arbitration law provide some remedies against personal right infringement by the media to restore to the original state as the civil relief means. Those are the right to compensation for damages, the right to request correction, the right to reply, the right to report afterwards, injunction that are claimed together or separately by choice. These rights are grouped into two classes which are named pre-relief remedy and post-relief remedy. The prohibitive measure like provisional disposition as injunction which means the right to prevention precedes the other means. The compensation could be divided into for property interest and consolation. The compensation for property interest is actually not accepted by courts in most media law suits. The plaintiff who is infringed by the media prefers the right to request correction with compensation extremely much as remedy in media law suits. The right of reply is a measure that has intended to protect suffers personal rights from the media through giving an opportunity of the refutation using same method. When a criminal reported by the media is proved not guilty afterward, the right to report afterward could be applicable to announce the fact for his or her reputation recov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