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議決權調整型 種類株式의 導入에 따른 法的 課題

        李鮮花(Seon-Hwa Lee) 한국기업법학회 2011 企業法硏究 Vol.25 No.1

        With the increasing needs to various methods to raise finance in corporate practice,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various types of stocks in the Korean Commercial Code. We can divide the rights concerning stocks into two kinds of rights, ‘cash flow’ and ‘control’. Through adjusting rights on cash flow, lots of stocks regarding profit sharing or remaining asset can be designed. For example, there are preference share, deferred share and etc. Higher variety class shares can be made by transforming the voting rights, such as the class stock of eliminating or restraining the act of voting, multiple voting stock, the class stock of refusal rights and the class stock of electing. The corporation laws, including the Model Busininess Corporation Act in the U.S.A., generally do not limit kinds of stocks, but entrusts companies with it. Japan diversified the system of class shares through amendment to the commercial code in 2001, 2002 and enactment of the corporation law. However, the stocks allowed now aren't the same as the class stock of profit sharing and distribution of remaining asset. And the class stocks of eliminating voting rights can be set as participating preferred stock only. The stocks with limited voting rights are useful systems for companies. Namely, the stocks with limited voting rights can be used as an effective means for raising funds without influencing the voting rights of the controlling shareholder. It can also be used as defensive measures and means to effectively fulfil shareholders' voting agreements. To introduce the stock with limited voting rights, we should examine the theoretical and institutional problems in the commercial code. For instance, the commercial code has the shareholders equal treatment rule, and its exceptions are allowed only by the law. But diversification of the system of class shares be regarded as an exceptions to the shareholders equal treatment rule making the rule a little bit confus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shareholders equal treatment rule and establish new theories. Diversification of the systems of class shares also requires to dilute the “one share - one vote” principle and to design distributions on voting rights more freely. Therefore, this principle should be changed into default rules. This study reviews the meeting of shareholders of class shares, where shareholders' rights are protected. It also suggests the concrete way to amend the listing guidelines and regulation of “The Korea Exchange”, because the listing guidelines and regulation should be revised, when class shares are admitted to list on the Exchange.

      • KCI등재

        브라질 노동자당의 집권과 계급적 기초

        조돈문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08 동향과 전망 Vol.- No.72

        Lula of the Brazilian PT won the presidential election in 2002. While the PT’s 2002 victory have caught great attention from the whole world as a historical moment, some students of the 2002 election reported that they could not find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ula voters and Serra voters in terms of class composition or sociopolitical attitudes. It is the aim of this study to examine and explain whether there was any difference among social classes in voting preferences, and whether there was any difference between Lula voters and Serra voters regarding class composition and sociopolitical attitudes. So as to do this job, this study analyzes a series of three opinion survey data files done in 2002. Indeed, the PT has been i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itself from a pure working class party into a mass party of class alliance. This study, however, found out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voting preferences among social classes in the 2002 election, which means that the PT carried more working class characteristics than any other major Brazilian parties did and the Brazilians took it seriously. The Brazilians tended to vote for a presidential candidate who would be the most capable in crucial policy areas, and Lula stood out especially in such social policy areas as job creation and poverty reduction. As Cardoso government succeded in getting inflation under control and thus recovering economic stability, the Brazilians began to look for a president who could take care of social problems above all. That’s why issue voting which took the form of economic voting in 1994 and 1998 elections now turned into the form of social voting. Lula supporters expressed strong distrust towards the ruling bloc and state apparatuses, searched for changes in the prevailing order, and demanded an alternative paradigm of economic policies to replace the neoliberal package of economic policies. In addition to that, Lula supporters thought highly of socialism more than Serra supporters did, so that they showed strong preference for radical change in Brazilian society. The voting behavior of Brazilians in the 2002 presidential election could be explained as a combination of class voting, social voting and embodiment of distrust to the prevailing order and eagerness for social change. This study came to falsify the proposition of preceding studies tha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ula supporters and Serra supporters in terms of class composition and sociopolitical attitudes. 브라질 노동자당의 룰라는 2002년 대통령선거에서 승리했다. 노동자당의 대선 승리는 브라질 안팎에서 변혁적 노동계급 정당의 승리로 크게 주목을 받았지만 브라질 대선 연구들은 룰라 지지자들과 경쟁후보 세하 지지자들 사이에 계급 구성뿐만 아니라 사회정치적 태도에서도 차이가 없다는 결과들을 보고했다. 본 연구의 목표는 2002년 브라질 대선에서 계급 간 투표행위의 차별성은 없었는지, 룰라 지지자와 세하 지지자 사이에 계급적 차별성이나 사회정치의식 차별성이 존재하지 않았는지를 규명하고 설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02년 실시된 세 차례의 여론조사 자료를 분석한다. 노동자당이 노동계급 정당으로 창당된 이래 순수 계급정당에서 계급연합 대중정당으로 발전한 것은 사실이지만 2002년 대선에서 계급 간 투표 후보의 차별성은 유의미하게 존재했다. 이는 노동자당이 계급연합 대중정당으로 전환하며 노동계급적 성격이 약화되었다 하더라도 타 정당들에 비해 여전히 노동계급적 성격이 강하며, 이러한 차별성이 유권자들의 선택에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 정책역량 평가와 지지 후보 선택은 거의 일치했으며, 룰라는 고용창출과 빈곤해소 등 사회적 문제들에서 높은 해결 능력을 지닌 것으로 평가되었다. 까르도주 정부의 신자유주의 경제정책으로 인플레이션이 제압되고 경제안정이 회복되면서 시민들은 사회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적임자를 찾은 것이다. 이처럼 1994년과 1998년 대선에서 경제투표 형태로 전개되었던 쟁점투표가 2002년 대선에서는 사회투표로 바뀐 것이다. 룰라 지지자는 세하 지지자에 비해 지배세력과 국가기구에 대해 높은 불신을 보이며 지배질서의 변화를 요구했고, 경제정책에서도 신자유주의 경제정책을 대체할 새로운 경제정책 패러다임을 원했다. 또한 룰라지지자는 사회주의에 대해서도 세하 지지자에 비해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어 사회의 급진적 변화를 추구하며 이념적 진보성을 보여주었다. 2002년 대선의 룰라에 대한 투표행위는 계급투표, 사회투표, 지배질서 거부 및 사회변화 열망이 구현된 투표라 할 수 있으며, 룰라와 세하 지지자들 간에 계급적 구성과 사회정치적 태도의 차이가 없었다는 기존 연구결과들은 경험적 근거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신주인수선택권과 차등의결권에 관한 미국 회사법과 프랑스 회사법의 비교법적 고찰

        원용수 ( Won¸ Yong-soo ) 영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영남법학 Vol.0 No.51

        이 연구의 내용은 미국 회사법상 신주인수선택권과 차등의결권 및 그 운용사례의 고찰, 프랑스 회사법상 신주인수선택권과 차등의결권 및 그 운용 사례의 고찰 및 양 제도의 비교 고찰로 구성되어 있다. 신주인수선택권은 1980년대 초반에 미국에서 처음으로 개발되어 프랑스와 일본 등의 국가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또한 차등의결권은 미국에서 1898년부터 이용되기 시작하였으며, 오늘날까지 많이 활용되고 있다. 프랑스에서도 19세기 말부터 차등의결권의 일종인 이중의결권과 다중의결권이 관행적으로 허용되어 오다가 1966년의 상사회사법에서 주식회사의 이중의결권이 허용되었다. 오늘날 미국과 프랑스에서 신주인 수선택권과 차등의결권은 적대적 기업인수의 적절한 방어수단으로 평가받고 있다. 신주인수선택권의 발행에 관하여 프랑스 상법에 의하면 적대적 공개매수기간 중에 주주의 사전승인을 얻은 후 이사회 결의로 발행하면 적법한바, 미국법원의 일정한 적법성 판단기준이 필요한지에 관하여 프랑스 판례는 침묵을 지키고 있다. 다만 프랑스법상 “회사의 이익의 한계 내에서” 라는 적법성 판단기준은 주목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기준의 해석에 관하여 프랑스 법원은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고 판단된다. 신주인수선택권이 우리나라 상법에 도입되는 경우 그 적법성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분쟁을 사전에 방지하고 사후에 원활하게 해결하기 위하여 미국 법원이 제시하는 기준이나 관련 프랑스법의 문귀를 신중하게 검토하여 입법에 반영해야 할 것이다. 미국과 프랑스에서의 차등의결권 주식은 대체로 1주당 의결권이 없거나 제한되는 주식은 물론 의결권이 복수 또는 다수로 주어지는 주식이다. 미국에서는 회사법상 1주1의결권을 원칙으로 하지만 정관에 의해 차등의결권 주식을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장회사의 경우 증권거래소를 중심으로 하는 규제가 이루어지는 바, 상장회사가 차등의결권 주식을 발행하는 것을 엄격하게 규제하는 경향을 보인다. 다른 한편 프랑스 차등의결권과 관련한 법제를 살펴보면, 미국의 경우와는 매우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년 3월 29일의 법에 의하여 개정된 프랑스 상법 제225-123조와 제225-124조에 따라, 비상장주식회사의 경우에는 이중의결권의 부여는 정관으로도 제한할 수 없는 제도인 반면에, 상장주식회사의 경우에는 그것은 정관으로 제한할 수 있는 제도이다. 이와 같이 프랑스 상법은 프랑스 경제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상장주식회사를 자율적인 의사에 따라 적대적 기업인수로부터 방어할 수 있도록 강력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입법 태도는 차등의결권과 관련하여 우리나라 상법에의 도입에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요컨대, 신주인수선택권과 차등의결권에 관하여 양국의 제도를 비교 고찰한 결과는 우리나라 상법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This research has the objective of studying the theory and practice of the U.S. and French legal systems of Poison pill and Dual class voting. Poison pill was invented for the first time on earth by the U.S. Law in the early 1980 s. In France, Poison pill has made remarkable progress under the influence of relevant U.S. Law. In 1898, Dual class voting was created by the U.S. International Silver Company. From that time until now, U.S. Law has contributed to the big progress of Dual class voting. On the other hand, French Dual class voting has developed independently for a long time in France. Nowadays both Poison pill and Dual class voting are considered appropriate instruments to defend hostile M&A in the U.S. and in France. In the U.S., relevant case law is inclined to put stress on some standards to invalidate Poison pill. In this respect, Delaware Cour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the Unocal standard. In case Poison pill is introduced in Korean Corporate Law, it can be said that the Unocal standard will be useful in the Korean Courts. In France, Poison pill, which was created for the first time in 1985,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ugmenting capital without incurring immediate indebtedness. French dominant opinion is now considering that the establishment of some standards to decide the validity of Poison pill should be introduced. In the U.S., Dual class voting is frequently used, and permitted by the U.S. Law. However, in case of listed stock companies, enhanced standards are applicable. With respect to French Dual class voting, the Article L.225-123 and L.225-124 of Code of Commerce provide that, in case of unlisted stock companies, it is selective.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listed stock companies, Dual class voting is compulsory. This French legal framework will contribute to the revision of Korean Corporate Law. In conclusion, as far as Poison pill and Dual class voting are concerned, in order to attain the objective of making good legislative theory, it is indispensable to research into the relevant U.S. and French Laws.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of comparative law will be somewhat helpful to Korean legislative theory in the field of Corporate Law.

      • KCI우수등재

        유권자의 계급배반과 정치지식

        오수진(Oh, Sujin),박상훈(Park, Sanghoon),이재묵(Lee, Jae Mook) 한국정치학회 2017 한국정치학회보 Vol.51 No.1

        이 연구는 제20대 총선에서 유권자의 계급투표를 그들의 정치지식 수준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경험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유권자 투표결정에 있어서 선행연구들이 계급변인과 정치지식변인의 개별적 효과에 종종 주목하기는 하였으나, 정치지식 수준에 따른 계급투표의 차별적 현상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적었던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계급의 구분에 있어서도 선행연구들과 차별화를 시도하는데, 기존의 계급투표 논문들이 월소득으로 계급을 측정하고 있는 것과는 다르게, 우리는 여기에서 월소득과 자산을 결합한 지표를 구축하여 한국 유권자들의 계급을 보다 명확하게 확인하고자 하였다. 경험적 분석결과에 따르면 역설적이게도 한국 유권자들은 20대 총선에서 정치지식의 수준이 높을수록 계급배반 투표를 수행하는 경향을 보였다. 즉, 계급이 높은 유권자들은 정치지식이 높을수록 더불어민주당에 투표를, 계급이 낮은 유권자들은 정치지식이 높을수록 새누리당에 투표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제20대 총선에서 계급과 투표행태 간의 관계에 있어서 정치지식의 효과가 유의미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다만, 본 연구 결과는 한국에서 지금까지 미진했던 계급투표 또는 계급배반투표의 원인에 대한 논의가 유권자 그룹, 즉 수요자 중심으로 이루어지기보다는 다양한 시민들의 계급이나 지위를 대변하는 공급자, 즉 정당들의 정책적 차별화를 중심으로 전개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empirically if class-based voting behavior exists among Korean voters and if class-based voting is conditioned on their level of political knowledge. In other words, we focus here on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voters’ class and their level of political knowledge on their vote choices. In addition, as we test these empirical questions, we employ alternative measure of class that incorporating both index of monthly income and assets whereas most of previous researches estimate it only with income data. Empirical finding shows that voters who have higher level of political knowledge tend to do ‘class betrayal voting’. The higher class voters have tendency to vote for the Minjoo party if they have higher level of political knowledge. However, the voting results of the lower class show that they vote for Saenuri party as they have higher level of political knowledge. This result presents the significant effects that the political knowledge ha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 and voting behavior in the 20<SUP>th</SUP> National Assembly Election. In conclusion, this paper has implications that the class voting should be discussed both on the aspect of supply and demand of politics, voter’s political knowledge and class representing party.

      • KCI등재

        2012년 대선, 가난한 이들은 왜 보수정당을 지지했는가?

        한귀영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13 동향과 전망 Vol.- No.89

        이글은 지난 대선에서 가난한 이들의 계급 배반 투표의 실태 및 원인을 살펴보기 위한 탐색적 성격의 글이다. 민주화 이후로 한정할 때, 계급배반 투표는 2007년 대선 이후 강화된 현상이며 이번 대선에서는 세대갈등과 결합해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세대갈등과 계층갈등이 어떻게 교차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유권자집단을 40대 이하와 50대 이상으로 구분해 각 집단 내에서 하위층과 중간이상층의 정치적 선택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50대 이상에서는 빈곤보수 현상이 나타났으나 40대 이하에서는 빈곤진보경향도 일정부분 나타났다. 40대 이하에서 나타난 빈곤진보 경향은 복지효능감, 정치효능감 등과 같은 보다 본질적인 요인에 입각한 것이 아니었다. 반이명박정서 등과 같은 외부적 요인이 작용했던 것으로 추론된다. 그리고 50대 이상에서는 빈곤보수경향이 나타났으며, 하위층과 중간이상층 간 미디어 이용, 정치 참여 및 능동적 선택 등 정치적 태도, 사회문화적 가치 등에서 차이가 현저했다. 고연령층에서 빈곤보수 경향이 구조화되고 있는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se the reason why the poor did cross-class voting in the last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2012. The analytical results shows that the cross-class voting was happened among the people over 50 while the people under 50 chose class voting. However, class voting tendency of the under 50 people was not based on the essential factors for class voting such as social welfare efficacy and political efficacy, but on the external factor such as anti-incumbent president(Lee Myung Bak) sentiment. The cross-class voting tendency of the over 50 people also accompanies striking differences in media use pattern, political attitude, and sociocultural value between the lower and the middle and upper strata.

      • KCI등재

        장기주식보유자를 위한 ‘테뉴어 보팅’도입과 ‘경영권 방어수단’으로서 활용 방안

        박한성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외법논집 Vol.46 No.1

        Tenure voting has become the main focus of the battle between Samsung C&T and U.S. hedge fund Elliott as a means of protecting corporate control. Tenure voting is a system that grants multiple voting rights to shares held over a certain period of time. Tenure voting is different from ‘dual class rights’ that simply give differential voting rights to a particularly designated share. A reason why “tenure voting” is drawing much attention is because it can be an effective means for companies to defend their managerial rights. In other words, “tenure voting” can provide the protection of managerial rights in hostile M&A, raise the value of long- term stockholders, and manage with a focus on long-term projects rather than short-term ones. Recently,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of Korea announced a plan to reform the private equity fund system. It decided to lift restrictions that limited the exercise of voting rights for more than 10 percent of shares held by hedge fund. As a result, Korea’s corporate management rights defense could become more vulnerable. Furthermore, critics say that the current voting rights system, in which short-term traders who hold stocks for a while, are treated like long-term investors, is not reasonable. True shareholders have also operated the company for decades, raising the need to redesign the voting rights system in a way that treats them properly. Therefore, it is the right time to reconsider the idea of giving incentives to long-term stockholders for voting rights. In light of the reality,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practical introduction of Tenure voting for Korean companies in a rational way. 2009년 금융위기 이후, 세계 각국에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의 경영 투명성을 통한 가치 창출 에 대한 주장이 제기되어왔다. 또한 분기 단위 혹은 1∼2년 단위가 아닌 장기적 단위(Long-Termism)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들도 제시 되어 왔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2년 이상 장기 주식보유자들에게 추가적으로 의결권을 부여할 수 있는 ‘테뉴어 보팅’에 대한 활용 여부 및 우리나라에 도입 가능성에 대 하여 고찰해 보고자 한다. ‘테뉴어 보팅’을 도입 함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는 1주 1의결권에 대한 예외, 주주평등의 원칙에 대한 이해, 경영판단의 원칙에 대하여 전반적인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 나아가 단기 주식보유자들이 기업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고찰해 봄으로써 장기 주식보유자들 이 갖는 장점을 바탕으로 이들에게 주어지는 ‘테뉴어 보팅’에 대한 장점을 찾고자 한다. 테뉴어 보팅이란 일정한 기간 동안 보유한 주식에 대하여 복수의 의결권을 부여하는 제도이다. 이 제도는 단순히 특정하게 지정된 주식에 대하여 차등적인 의결권을 부여하는 ‘차등의결권’과는 차이가 있다. 이처럼 테뉴어 보팅이 주목받는 이유는 기업의 경영권 방어에 효과적 수단이 될 수 있기 때문이 다. 즉 적대적 M&A에 있어서 경영권 보호를 할 수 있고, 장기주식보유자의 가치를 상승시키고, 단기 적인 사업보다 장기적 사업에 초점을 두고 경영을 할 수 있는 장점들이 많이 있다. 현행 우리상법상 1주 1의결권의 원칙이 지켜지고 있는 가운데, 예외적으로 국제적 기업인 구글, 페이스북, 알리바바 등 에서는 차등의결권 등을 도입하여 우리 상법과 다르게 복수의결권을 행사하고 있다. 1주 1의결권의 원칙은 주주의 대리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는 점을 들고 있지만, 이러한 원칙에 대한 예외를 인정할 소 지가 현시점에 충분히 발생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 금융위원회에서는 사모편드(헤지펀드)제도 개편 방안을 발표하였다. 그 내용은 ‘전문투자형 사모펀드’가 보유한 주식 중 10%를 초과하는 부분에 대하여 의결권 행사를 제한하였던 규제 를 풀기로 한 것이다. 결국 우리나라 기업의 경영권 방어가 더 취약해 질 수 있게 되었다. 나아가 잠시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단기매매자도 장기투자자와 같이 대우하는 현행 의결권제도는 합리적이지 않다 는 비판도 있다. 진정한 주주는 수 십년간 회사와 같이 운영을 하였고, 이들을 제대로 대우하는 방향 으로 의결권제도를 재설계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장기 주식보유자에게 의결권에 대한 인센티 브를 주는 방안에 대하여 재고할 시기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단기 주식보유자의 폐해 및 장기 주식 보유자에 대한 우대 필요성에 대하여 고찰, 주요국의 상황을 살펴보고, ‘테뉴어 보팅’의 도입 방안에 대하여 도입 비판론에 대한 입장 및 도입 찬성론에 대한 입장을 고찰해 봄으로써 우리나라 기업에 현 실에 맞는 ‘테뉴어 보팅’의 합리적 도입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의결권의 차등에 관한 종류주식을 상법에, 테뉴어 보팅을 자본시장법에 규정하는 것에 관한 개정의견

        문준우 한국경영법률학회 2016 經營法律 Vol.26 No.2

        There are good theses about Different Classes of Shares concerning dual class of Voting Rights and tenure voting. But there are alomost never theses how the COMMERCIAL ACT and the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S ACT introduce the Different Classes of Shares concerning dual class of Voting Rights and the tenure voting. Therefore if the COMMERCIAL ACT introduces the Different Classes of Shares concerning dual class of Voting Rights, it must revise or establish Matters Absolutely Required to be Entered in Articles of Incorporation, Particulars of Exceptional Incorporation, Transferability of Shares, Stock Option, Appraisal Rights of Opposing Shareholders, Standards for Distribution of Profits, Distribution of Surplus Assets, Issuance of Convertible Bonds, Issuance of Bonds with Warrants. And this thesis suggests how the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S ACT regulates the tenure voting. 주식회사는 이윤을 추구하는 법인이다. 법은 주식회사가 그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조정하면서 수익을 거둘 수 있도록 규정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주식회사가 그 이해관계자 간의 이익을 조정하면서, 유능하고 청렴한 자에게 차등의결권주식을 부여함으로써 주식회사에 수익이 더 생기거나 장래 수익이 증가될 수 있다면, 법은 차등의결권주식 도입을 적극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의결권의 차등에 관한 종류주식을 상법에 도입할 필요성이 있고, 주권상장법인이 테뉴어 보팅을 발행할 수 있도록 자본시장법을 개정하여야 한다는 ‘전제’에서 기술되었다. 본 논문은 의결권의 차등에 관한 종류주식을 상법에 도입하는 경우, 정관의 절대적 기재사항ㆍ변태설립사항ㆍ주식의 양도성ㆍ주식매수선택권ㆍ종류주식ㆍ의결권의 차등에 관한 종류주식ㆍ발행사항의 결정ㆍ반대주주의 주식매수청구권ㆍ이익배당의 기준ㆍ잔여재산의 분배ㆍ전환사채의 발행ㆍ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등이 어떻게 개정 또는 신설되어야 하는지 등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주권상장법인이 테뉴어 보팅을 발행할 수 있게 한다면, 자본시장법에 도입하는 방법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차등의결권 주식의 도입가능성에 대한 연구

        김정호 한국경영법률학회 2014 經營法律 Vol.24 No.2

        Nowadays we see many cases, in which the incumbent managers or controlling shareholders have some 'super-voting' or 'weighted voting' stocks. Such phenomina are so prevalent worldwide, that we could not escape ourselves from reconsidering the validity of one-share-one-vote principle. The world-famous football club Manchester United, luxury giant Louis Vuitton, the IT innovator Google and the sportsware pioneer Nike, these are only a small portion of cases, where an 'extreme governance' renders a peaceful and stable leadership to the incumbent managers of the promising corporations. In U.S., the Delaware General Corporation Act does not prohibit any sort of dual class common stock. The british, french, danish, hollandish, swedish or italian companies enjoy also the same trend in their business world. German Stock Corporation Act permits also some sort of dual class voting system - capped voting and scaled voting plan - for a non-listed company. In Japan, the recently (2006) codified "Company Act" permits a 'unit-based' voting system, where the shareholder, who possesses less than 'the unit', could have no voting power at all. Korea became nowadays an exception from these trends. There has been some hot discussion on the way to introduce a possible dual class stock in the "Commercial Code Book" or in any special statutes in Korea. The author chose a simple addition to the existing section 369 subsection (1) of Korean Commercial Code as follows ; "Unless otherwise mentioned in the certificate of association, all the shareholders enjoy the one-share-one-vote principle."

      • KCI등재

        2000년대 지방선거에서 나타난 계층균열 구조

        이용마(Yong Ma Lee) 한국정당학회 2014 한국정당학회보 Vol.13 No.3

        이 글은 1998년부터 최근까지 다섯 차례에 걸쳐 실시된 지방선거에서 나타난 계층균열 구조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다. 먼저 계층을 상층, 신중산층, 구중산층, 하층 등 네 계층으로 나누고 각 계층의 투표행태에 대한 분석을 했다. 그 결과 2006년 선거 이후 세 차례 선거에서 신중산층 대 나머지 계층(상층, 구중산층, 하층) 간의 균열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이 균열구조는 신중산층의 진보적 이념 대 다른 계층의 보수적 이념을 토대로 형성된 것이다. 한국 사회의 독특한 계층균열 구조가 일반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향후 각 정당이 계층과 이념을 적극적으로 동원해 균열을 치환하고자 할 경우 이념에 따른 계층균열 구조가 확대되고 정당체계 또한 재편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is article tried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class cleavage structure emerged in 5 local elections since 1998 in South Korea. It classified Korean electorates into four classes, that is, the upper class, the new middle class, the old middle class, the lower class and analyzed the voting behavior of each classe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class cleavage has been clear since 2006. The new middle class has supported liberal or progressive candidates even in Youngnam where the regionalistic cleavage is very strong, while the other three classes(the upper class, the old middle class, the lower class) have supported conservative candidates. Therefore, we can make a conclusion that the class cleavage based on the ideology in the local election has risen and consolidated since 2006. When each party tries to mobilize the cleavage based on the ideology and the class, the party system could also change.

      • KCI등재

        복수의결권 제도의 필요성과 구현방안* - 개정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의 분석을 중심으로

        이한준 한국기업법학회 2023 企業法硏究 Vol.37 No.2

        In the past, there has been limited progress in the discussion of introducing a multiple voting share system in the domestic market due to the counterargument that such a system, which grants multiple voting rights, directly violates the principle of one share, one vote. However,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argument for the introduction of a multiple voting share system, at least for venture companies that require stable and swift decision-making abilities from their management teams without diluting their ownership stakes. Subsequently, the amended Act on Special Measures for the the Promotion of Venture Businesses, also known as the "Venture Company Special Act," was passed in the National Assembly on April 27th of this year, marking the first introduction of a multiple voting share system in domestic company legislation. The amended Venture Company Special Act introduced the multiple voting share system exclusively for venture companies that receive investments above a certain amount from external sources. Companies seeking to issue such shares must undergo amendments to their articles of incorporation and obtain shareholder meeting resolutions for issuance, with a requirement of at least 75% agreement from the total voting rights of the issued shares. The issuance is limited to "founder shareholders" who meet strict criteria, including establishing a venture company, serving as a director, and owning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company's issued shares. Each multiple voting share issued can carry a maximum of 10 voting rights per share, and their effectiveness can last up to 10 years. However, they can be converted into common shares in the event of transfer, inheritance, or the listed status of the issuing company before the expiration of the 10-year period.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has broad administrative and supervisory authority over venture companies that issue multiple voting shares. The amended Venture Company Special Act is significant as it establishes the basis for the introduction of the multiple voting share system for the first time in the domestic market. Considering that it is a newly introduced system, allowing issuance only to founders who meet specific requirements and converting multiple voting shares into common shares in the event of transfer or inheritance is appropriate. However, it is regrettable that the law strictly prohibits the listing of companies that issue multiple voting shares as a principle and lacks additional governance regulations for the issuance of such shares. To ensure the effective establishment of the multiple voting share system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implify and rationalize the calculation method for the founder's ownership percentage required by the amended Venture Company Special Act and consider the mandatory adoption and establishment of a cumulative voting and an audit committee to prevent potential side effects of the multiple voting share system. Above all, it is essential to revise the legislation to allow the listing of companies that issue multiple voting shares. If full-scale listing permission is challenging, at least allowing listing on the KOSDAQ market should be considered. While there is a need for these improvements, the legislative enactment of the amended Venture Company Special Act can be seen as a significant achievement that provides us with an opportunity to empirically validate the multiple voting share system. 그간 국내에서는 복수의결권 제도 도입에 대해서 복수의결권 주식은 1주 1의결권 원칙을 정면으로 형해화시킨다는 반론 때문에 도입에 대한 논의가 진전되지 못했다. 하지만, 경영진 및 이들의신속한 의사결정 능력이 지분의 희석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필요가 있는 벤처기업에 한해서라도복수의결권 제도를 도입하여야 한다는 주장이 높아져왔다. 이후 개정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이하 “벤처기업특별법”)이 올해 4월 27일 국회에서 통과되어, 국내 회사법제 사상 처음으로복수의결권 제도가 도입되었다. 개정 벤처기업특별법은 일정 금액 이상을 외부로부터 투자받은 벤처기업에 한하여 복수의결권제도를 도입하였다. 이를 발행하고자 하는 회사는 발행주식 의결권 총수의 75% 이상의 동의로 정관 개정 및 발행시 주주총회 결의를 각각 거쳐야 하고, 벤처기업을 창업하고 이사직을 수행하고 있으며 회사 발행주식의 상당부분을 소유하는 등 엄격한 요건을 충족하는 ‘창업주’를 대상으로만 발행이 가능하다. 발행된 복수의결권 주식에는 1주당 최대 10개의 의결권이 부여될 수 있고, 최장10년간 그 효력이 유지되며, 그 이전에도 양도·상속되거나 발행회사가 상장되는 등의 경우 보통주식으로 전환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복수의결권 주식을 발행한 벤처기업에 대한 광범위한 관리·감독 권한을 가진다. 개정 벤처기업특별법은 국내에서 최초로 복수의결권 제도의 도입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의미가 크다. 처음으로 도입되는 제도임을 감안할 때, 일정액 이상의 투자를 유치한 회사의 일정한요건을 충족하는 창업주에 한하여 발행이 가능하도록 한 점은 긍정적이며, 제도 도입의 취지상 양도·상속시에는 보통주식으로 전환되도록 한 점은 적절하다. 다만, 복수의결권 주식을 발행한 회사의상장을 원칙적으로 금지하였다는 점과, 복수의결권 주식 발행 시 추가적인 지배구조 규제가 결여되어 있다는 점은 아쉬운 측면이다. 향후 보다 실효성 있는 복수의결권 제도의 국내 안착을 위하여, 개정 벤처기업특별법이 요구하는 창업주의 지분보유비율 산정 방식을 보다 단순·합리화할 필요가 있고, 복수의결권 제도의 부작용을예방하기 위해서 집중투표제도와 감사위원회의 의무적 도입·설치를 고려해 볼 만 하다. 무엇보다도, 복수의결권 주식을 발행한 회사의 상장을 허용하는 방향으로의 법률 개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전면적인 상장 허용이 어렵다면, 적어도 우리나라의 경우 코스닥시장에의 상장 정도라도 허용될 필요가있다. 이와 같은 보완의 필요성은 있지만, 개정 벤처기업특별법의 입법은 복수의결권 제도를 실증적으로 검증해 볼 기회를 우리에게 제공해준 입법적 쾌거라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