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광객의 기후변화인식에 따른 관광위험, 관광만족 및 행동 의도 차이 검증을 통한 제주 관광 경쟁력 제고 방안

        이민재(Lee, Min-Jae),황윤섭(Hwang, Yun-Seop),서원석(Seo, Won-Seok)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5 觀光硏究論叢 Vol.27 No.4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쓰나미, 폭설 등의 발생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관광위험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인식과 관광위험, 관광만족 및 행동 의도 간 관계를 탐색하여 관광위험 측면의 기후변화 대응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설계되었다. 이를 위해, 관광객들의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라 기후변화인식이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기후변화 인식에 따라 관광위험과 관광 만족 및 행동의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인구 통계적 변수 중 국적에 따라 기후변화 인식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내국인은 기후변화에 대한 인지와 태도에서, 중국인은 기후변화에 대한 위험 지각과 저감 의도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기후변화 인식(인지, 태도, 위험 지각, 저감 의도)이 평균 이상인 집단이 평균 이하인 집단에 비해 관광 위험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후변화에 대한 위험 지각과 저감 의도 보다는 기후변화에 대한 인지와 태도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위험 지각과 저감 의도가 평균 이상인 집단이 평균 이하인 집단보다 관광 만족 및 행동 의도에서도 높은 평균을 보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종합하고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recognize the implication on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in tourism sector exploring the differences in travel risk and tourists’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To this end, we examined the demographic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and verified the differences in travel risk and tourists’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The result of survey shows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between the Korean and Chinese. Korean has higher score in climate change awareness and attitude, and Chinese in perceived climate change risk and behavior intention then the other group. Another important result is that the group with higher perception than average on climate change (awareness, attitude, risk perception, behavior intention) perceives greater travel risk than the other group does. Finally, the group with higher score than average in the perceived climate change risk and behavior intention seems to be more satisfied with, and intend to repeat and recommend travelling to Jeju. More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suggested.

      • KCI등재

        온라인 여행 커뮤니티에서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따른 관광객의 행동 변화

        정남호 ( Nam Ho Chung ),한희정 ( Hee Jeong Han ),박상철 ( Sang Cheol Park ),구철모 ( Chul Mo Koo ) 한국지식경영학회 2014 지식경영연구 Vol.15 No.1

        Due to advance in Internet technology, most tourists tend to search travel information in the Online Travel Communities(OTC). Given this new paradigm in terms of finding travel information, most of relevant studies in this area are still dealt with explaining tourists`` behaviors regardless of the types of communications. Therefore, to overcome some limitations in previous studies, we attempt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both formal and informal communications and tourists`` behavioral changes in the OTC context. Specifically, we developed a research model by employing the PPM(push-pull-mooring) framework and tested it to understand why and how tourists`` behaviors might be changed. Survey data collected from 323 online tourists were used to test the model the model using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implications of our empirical findings for both research and practice are discussed.

      • KCI등재

        해맞이 관광객의 관광활동 인식 결정요인

        김성조,유창근 한국관광학회 2008 관광학연구 Vol.32 No.2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egmented sunrise-watching travelers’ perception of travel behavior, and to give an aid for marketing strategy to suppliers by providing marketing implications identified. Samples used for the analysis were travelers who visited Jung Dong Jin, a place of interest for sunrise-watching, at January 1, 2007.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extract perception of travelers’ behavior, and cluster analysis was followed by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for market segment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sunrise tourists perceive sunrise tour as a travel behavior that has environment cognition, symbolic meaning of time, esthetics, and diversification.

      • KCI등재

        통행행태와 거주이전 관계에 관한 연구

        서종국(Jong Gook Seo)(徐鍾國)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3 Crisisonomy Vol.9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통행행태와 거주이전과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통근행태와 입지선택인 거주이전과의 관계에 관한 다양한 이론과 실증적인 선행연구를 고찰하였고 이를 통하여 가설을 설정하고 우리나라 통근자들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규명하였다. 2000년과 2005년 인구주택센서스 자료를 이용하여 거주지 변화와 통행수단 선택에 대해 이항프로빗모형을 추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거주지변화와 통근수단선택에 있어서 개인별 사회경제적 변인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하면서 각기 정(+) 또는 부(-)의 일관성 있는 관계를 나타냈다. 거주지 변화 변수와 통근수단 변수는 각기 입지패턴과 통행행태의 대체로써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영향을 주고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들이 생활하는 도시의 특성에 대한 가치를 어떻게 평가하느냐에 따라서 교통수단의 선택은 달라진다는 것이다. 또한 교통수단의 선호도에 따라서 주거입지선택의 결과도 다르게 나타날 것이고 반대의 현상도 나타날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다. 통근자들은 통행행태와 거주지 변화를 동시에 고려하면서 자기강화적인 선택을 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ting behaviors and residential relocation.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earch on the leading hypothesis concern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vel behaviors and residence location choice was investigated, and set the hypothesis to test by this empirical study. Using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Data for 2000 and 2005 binomial probit model was estimated for residential changes and travel mode.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model of changes in residence and commute mode choice, individual socio-economic variabl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each positive (+) or negative (-) showed a consistent relationship. Changes in residence and commuting mode choice interact with each other as replacement variables for location pattern and travel behavior. The travel mode choice are depending on how individuals rate the vale on characteristics in the city. In addition, residence choice are depending on the preference of commuting mode. Commuters have taken into account the changes in behavior and residential choice at the same time that self- reinforcing.

      • KCI등재

        A Study on Changes of Travel Behaviors of Chinese Student in South Korea : A Comparison of the Year 2007 and 2013

        장운요,박근수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6 No.-

        Studying abroad not only benefits the students themselves, but also improves the global understanding and promotes the communications between people of different cultures. Chinese students represent a clearly identifiable tourist market segment in Korea and should be expected to become an considerable inbound Chinese tourism market.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as well as necessary to analyze Chinese students’ travel behavior and their characteristics related to it to understand upcoming Chinese tourism market in cultural aspects. So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travel behaviors of Chinese students in South Korea in 2007 and 2013. Results show that relaxing, sight-seeing and escape are the main motivations. The landmarks become more attractive places, and the attractiveness of tradition and film location are strengthened. The main resource of tourism information depends on word of mouth. The traditional promotion channels, such as TV, newspaper and brochure are changed into the modern way. Chinese students in Korea want to travel longer than before and with small groups,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loyalty to Korea travel become very high now.

      • KCI등재

        정보통신 이용행태와 직장인의 통행빈도 변화의 연관성 연구

        성현곤,신기숙,추상호 대한교통학회 2010 大韓交通學會誌 Vol.28 No.2

        본 연구에서는 정보통신 이용행태와 통행행태, 특히 통행발생빈도 변화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도권에 거주하면서 수도권에 직장을 둔 직장인 995명을 대상으로 개인특성, 통행특성, 토지이용특성, 정보통신이용특성 등을 설문조사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통행특성으로는 차량이용빈도, 통근수단, 그리고 통근시간을, 토지이용특성으로는 주거지와 직장근처 지하철역까지의 거리를, 정보통신이용특성으로는 인터넷이용빈도, 자료 및 정보획득, 커뮤니케이션 & 여가활동, 인터넷구매 및 판매, 금융 및 전자민원, 핸드폰서비스이용량, 그리고 이메일이용빈도 등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통행특성과 토지이용특성이 정보통신이용특성과 더불어 상호 영향을 미치면서 통행빈도의 변화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통근시간이 길고, 주거지와 직장에서 지하철을 이용하기 어려울수록 인터넷을 이용하여 자료 및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실제 통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the association of change of travel frequencies wit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commuting behavior for 995 workers in the Korea Capital Region. The study surveyed total 995 commuters whose their individual character, commuting behavior, land use as well as ICTs. The measures of the commuting behavior was comprised of a main commuting mode, a use tern, total travel time, and those of land use was the distance from house/office to subway station, and those of ICTs was data and information collection, communication and leisure, online selling or purchases, finance and a civil application, cellular phone service using capacity and so on. The results indicate that commuting behavior, land use, and ICTs are positively associated to change of travel frequencies. Specifically, longer total travel time, or far from house/office to subway station, tend to reduce commuting behavior and collect data and information through internet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한국내 중국 학생 여행행동 변화에 관한 연구

        장운요,박근수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6 No.-

        외국에서 유학하는 것은 학생들 스스로에게도 학업적인 측면에서 선진학문을 공부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문화 간의 이해와 소통을 촉진하는 작용을 하기도 한다. 중국 학생들은 국내 관광시장의 차별화된 목표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향후 인바운드 중국관광시장의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한국에서의 중국 학생들의 여행행동의 특징과 변화를 분석하는 것은 향후 중국관광시장을 문화적인 측면에서 이해하는데 중요하며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다. 이 연구에서는 과거 7년 동안 중국학생들이 한국에서의 여행을 하는데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분석하고 그 특징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2007년과 2013년 두 차례에 걸쳐 한국 내 중국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국학생들의 여행목적은 휴식, 관광, 벗어남 등이 가장 큰 여행목적으로 나타났으며 역사적인 건물들이 더 매력적인 여행목적지로 부각되었다. 또한 전통과 영화촬영지에 대한 매력도는 더 높아졌고 여행정보 획득경로는 구전(口傳, word of mouth) 요인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자리 잡았다. 여행정보 획득경로 중 전통적인 경로인 TV, 신문, 브로슈어등은 더 현대적인 경로로 변화하였다. 과저 7년 동안 중국학생들은 과거보다 더 오랜 기간 여행하기를 원하며 과거보다 더 작은 그룹으로 여행하기를 원한다. 한국 여행에 대한 이들의 만족도와 충성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tudying abroad not only benefits the students themselves, but also improves the global understanding and promotes the communications between people of different cultures. Chinese students represent a clearly identifiable tourist market segment in Korea and should be expected to become an considerable inbound Chinese tourism market.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as well as necessary to analyze Chinese students` travel behavior and their characteristics related to it to understand upcoming Chinese tourism market in cultural aspects. So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travel behaviors of Chinese students in South Korea in 2007 and 2013. Results show that relaxing, sight-seeing and escape are the main motivations. The landmarks become more attractive places, and the attractiveness of tradition and film location are strengthened. The main resource of tourism information depends on word of mouth. The traditional promotion channels, such as TV, newspaper and brochure are changed into the modern way. Chinese students in Korea want to travel longer than before and with small groups,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loyalty to Korea travel become very high now.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