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화엄경의 문학성 연구 - 불교문학으로 분석한 화엄경 -

        강기선 새한철학회 2023 哲學論叢 Vol.112 No.2

        This article is a thesis that analyzes the literary quality inherent in Avatamska Sutra by approaching 「A Study on the Avatamsaka Sutra」 from the aspect of Buddhist literature. The content of this paper was analyzed in two aspects. First, in Chapter Ⅱ, the understanding of Buddhist literature,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transmission, the understanding of the Avatamsaka Sutra, and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literature and Buddhism were examined in Chapter Ⅱ. And in Chapter Ⅲ, Avatamsaka Sutra analyzed from the aspect of Buddhist literature was analyzed based on the literary metaphor contained in the name of ‘Avatamska’, the characteristics of Avatamska Sutra in prose, and the four viewpoints of literature contained in Avatamsaka Sutra. The fact that can be known through this analysis is that the Buddhist literature contained in “A Study on the Avatamska Sutra’s Literary Character-Available in Buddhist Literature” is a concept that can be related to the literary interpretation of the author using Buddhist materials as the subject. Therefore, it is important in that it plays a role in clarifying the religious character and domain of Buddhism while negotiating literature and Buddhism.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Avatamsaka Sutra contains useful teachings that help us to restore our Buddha nature by purifying our inner world in the three poisons.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Avatamsaka Sutra, which was analyzed as Buddhist literature, the teachings that led to the first right enlightenment [正覺] were presented in various literary genres, metaphors, and forms. The metaphorical expression of ‘Avatamska’ contained in the name of the sutras implies that in order for all beings to enter enlightenment, the Bodhisattva, a practice of Buddhism, should be solemnized with the aid and information. This is a very useful teaching in Buddhist literature. 이 글은 「화엄경의 문학성 연구」를 불교문학의 측면에서 접근하여 화엄경 에 내재된 문학성을 분석한 논문이다. 본 논문의 내용은 크게 2가지 측면에서 접근하여 분석해보았다. 먼저 제Ⅱ장에서는 불교와 문학과의 관계 교섭에 대하여 불교문학에 대한 이해와 불교 전승의 특징과 화엄경 에 대한 이해 그리고 문학과 불교의 접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제Ⅲ장에서는 불교문학의 측면에서 분석한 화엄경 을 ‘화엄’ 이름에 담긴 문학적 비유와 산문체로 본 화엄경 의 특성 그리고 화엄경에 담긴 문학의 4가지 관점을 토대로 분석해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화엄경의 문학성 연구-불교문학으로 분석한 화엄경」에 담긴 불교문학은 불교적 소재를 주제로 삼아 작가가 문학적으로 풀어 낸 것과 연관 지을 수 있는 개념이다. 따라서 문학과 불교를 교섭하면서 불교라는 종교적 성격과 영역을 해명하는 역할을 한다는 측면에서 중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화엄경 에는 삼독에 빠진 우리들의 내면을 정화하여 불성(佛性)을 회복하는데 도움이 되는 유익한 가르침이 담겨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불교문학으로 분석한 화엄경 에는 처음 바른 깨달음[正覺]을 이루신 교설이 다양한 문학적 장르와 비유, 형식 등으로 설해져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경전의 이름에 담긴 ‘화엄(華嚴)’이라는 비유적 표현은 모든 존재가 깨달음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불교의 실천행인 보살도를 의보와 정보로 장엄해야 한다는 함의가 내재되어 있다. 이것이 바로 불교문학의 매우 유용한 가르침인 것이다.

      • KCI등재후보

        대장경 전산화 현황과 전망

        신병삼 ( Byoung Sam Shin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1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17 No.1

        대장경 전산화는 지구촌의 모든 가족들이 정보화 시대에 대장경을 통해 불교적 가치관과 소양을 지닐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다. 필자는 2005년 1월 1일부터 2011년 6월 현재까지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EBTC)에서 근무하고 있다. 본 논문은 필자가 근무하고 있는 ``전자불전 문화콘텐츠연구소``의 사업 중 ``한국불교전서 전산화``와 ``한글대장경 전산화``와 관련된 부분을 확충해서 전체 ``대장경 전산화``의 일반론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대장경 전산화의 현황을 우선 알아보고 전망에 대해 개괄적으로 서술하였다. 대장경 전산화에 대해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는 한국불교전서와 한글대장경의 전산화를 주로 담당하였다. 고려대장경연구소는 고려 재조대장경의 전산화를 완수하고, 초조대장경의 전산화의 영역까지 확대해서 전산화의 과제를 담당하고 있다. 그리고 외국의 전산화에 대해서 미국, 일본, 중국, 대만 등의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대장경의 전산화는 21세기형 격의(格義)불교이다. 격의 불교는 불교 이외의 모든 종교의 관념에 불교의 술어(述語)를 끼워 맞춰서 불교를 이해하는 것이다. 21세기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시대이므로 이 시대에 알맞은 불교의 위치설정이 중요한데, 이것이 이 시대의 격의불교이다. 21세기 인류는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했던 크나큰 사회적 변동의 한 가운데 서 있다.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 접촉을 통해 정보의 흐름이 현실사회에 양향을 줄 수 있는 사회, 바로 유비쿼터스 시대인 것이다. 이러한 정보화 혁명의 시대에 발맞춘 디지털 대장경은 21세기형 격의 불교라고 가히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대장경 전산화에 대해 몇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전산화할 대장경을 선정하는 부분에서 우선 한국대장경(한국관련불 교문헌)의 규명정립이 우선 이루어져야 한다. 그 후 그 외 한문 대장경, 산스크리트, 빨리어, 티벳어 등으로 발전해야 한다. 둘째 선정된 대장경에 상응하는 산스크리트 원전 등 종합적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대장경의 번역에 있어서 명확한 독자층의 규정과 하나의 통일된 번역안의 정립이다. 넷째 번역 이후 증의와 교정의 완벽한 편집과정을 위한 증 의규정과 교정지침이 필요하다. 다섯째 대장경의 세계화를 위한 영역(英譯)이 필수적이다. Buddhist Tripitaka computerization is necessary certainly. Because We want in order for all families of the global village to keep a sense of value and a knowledge of Buddhism through Buddhist Sutras in information age. I am working from 2005 January 1st until 2011 June present time in EBTC(Institute of Electronic Buddhist Texts & Culture contents; 電子佛典文化 Contents硏究所). The present paper expands the digitization of Hanguk Pulgyo Chonso(韓國佛敎全書) and Hangul Tripitaka(Korean alphabet-한글-大藏經) among EBTC enterprises and discusses about the general consideration of whole Buddhist Tripitaka computerization. And The Research institute of Tripitaka koreana accomplished the computerization of the Tripitaka Koreana and is magnifying in even different territory of Tripitaka now. Also the present paper tried to observe about Tripitaka computerization of the foreign nation about present condition of the United States, Japan, China and Taiwan etc. Conclusively the Buddhist Sutras computerization is 21st century style Buddhisms. The 21st century is Ubiquitous time. The location set of proper Buddhism is important in this time. The 21st century human beings stand one middle of big social fluctuation that will not experience until now. Digital Buddhist Tripitaka which keeps in step in time of like this informationalization revolution is 21st century style Buddhisms. From rightly like this point the present paper will propose 5 kinds about Buddhist Tripitaka computerization. First, Korean Buddhist Sutras(韓國大藏經; the Korean literature relation Buddhism) does to become accomplished the close examination triangular position first of all from the part which selects Buddhist Sutras which will computerize. Afterwords The computerization of Tripitaka must develop with external Chinese writing Buddhist Sutras, Sanskrit, Pali, Tibet etc. Second, the synthetic analysis must become accomplished about the Sanskrit etc. source book which corresponds in Buddhist Sutras which is selected. Third, Provision of the class of readers which is clear and the translation methodology which one is unified must take a triangular position in the point of a Buddhist Tripitaka translation. Fourth, the guide for an elaboration and for editing are necessary after translation. Fifth, the English translation of Buddhist Tripitaka is essential in order for a globalization of Buddhist Sutras. Key words: Buddhist Tripitaka, computerization, information age, EBTC(Institute of Electronic Buddhist Texts & Culture contents), Hanguk Pulgyo Chonso, Ubiquitous, Korean Buddhist Sutras(the Korean literature relation Buddhism), Sanskirt, Pali, Tibet, English translation.

      • KCI등재

        불교 경전 번역의 변천에 관한 고찰

        박윤철(Park Yoon Cheol) 한국통번역교육학회 2017 통번역교육연구 Vol.15 No.1

        This research focuses on examining the history and transition of Buddhist sutra translation. Its intention comes from the fact that its analytical data on the transitional process of Buddhist sutra translation were not sufficient. So, this research tried to find how Buddhist sutra introduced to Korea and what processes it has gone through from the past to today. The Buddhist sutra has a variety of types and contents. It is actually divided by Five or Ten Taxonomy. It means that the Buddhist sutra like other religion books has systemicity and formality. And the Buddhist sutra includes divers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its formation process, its translational history, and four meetings for writing sutra. About its formation process, it was made by monks’ a lot of meetings and discussions for a long time. It implies that translators need to know the background knowledge about the Buddhist sutra because translation is related to the second information or theme knowledge. Therefore,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better translation through the history and transition of the Buddhist sutra.

      • KCI등재

        팔리어 송경 율조에 관한 연구 -미얀마 승단을 통하여-

        윤소희 한국국악학회 2012 한국음악연구 Vol.51 No.-

        본고는 미얀마 승단의 팔리어 송경 율조를 통하여 범패의 성립 배경을 살펴보았다. 미얀마는 석가모니가 주로 활동한 동북인도와 국경을 접하고 있어 10세기 말 인도의 불교도들이 이민족의 잦은 침입과힌두교도들과의 충돌을 피하여 인접지역인 미얀마로 이주하였다. 이 곳은 일 년이 3계절로 인도와 유사한 자연환경에다 경전에서 나타내는 계절과 날짜를 셈하는 달력에 이르기까지 일치하는 점이 많아 불교학계로부터 초기불교 전통을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곳으로 인정받고 있다. 한편 미얀마는 군부정권으로 인하여 외부와의 교류가 활발하지 못하였는데 오히려 이러한 점이 승단의 계율과 초기 불교의 전통을 유지하는데 유리하게 작용하였다. 불교는 석가모니 입멸 후 스승의 말씀을 후세에 전하고자 하는 제자들이 성가모니의 설법의 내용를합송하여 구전으로 전하며 경전이 성립되었다. 석가모니는 당시 마가다지역의 속어인 ‘팔리어’로 설법하였으므로 초기 경전 또한 팔리어로써 암송되었다. 팔리어는 본래 문자가 없었기 때문에 각 나라마다자신들의 문자로 음사하여 문자로 표기하였다. 현재 통용되고 있는 팔리어 표기는 스리랑카어인 샹할레이즈(Sinhalese), 미얀마어(Myanmar), 동남아 몬족의 캄마어(Khmer), 태국어(Thai), 산스크리트어인 데바나가리어(Devanagari), 몽골어(Mongol), 그리고 영문자(Roman)의 7 가지다. 본고에서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로마나이즈 가사와 뜻을 병기하여 표준어 팔리어 송경 발음으로 낭송하고, 이를 채보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석가모니가 깨달음을 성취한 후 처음으로 설법한 『초전법륜경』, 미얀마 사람들에게 가장 널리 암송되는 『보호경』, 범패의 기원이 되는 가타(게송:詩體) 형식의 『법구경』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팔리어는 매우 축약적인 언어에다 성조에 따라 뜻이 달라 경전 독송에 수반되는 율조는 매우 중요하다. 이들 율조는 석가모니가 말하는 어투에 따라 9가지가 있다. 에세이나 이야기 식의 서술형으로 된‘숫다’, 법구경과 같이 시(詩) 형식으로 된 ‘가타’, ‘숫다’와 ‘가타’가 혼합되어 있는 ‘계야’, 문답식으로된 ‘위야가라나’, 감탄조의 ‘우다나’, “이렇게 말하였다”라는 조로 시작하는 ‘이띠 보타까’, 석가모니의전생이야기를 풀어가는 ‘쨔다까’, ‘대단하다’ ‘신기하다’와 같은 투로 표현되는 ‘아부파다마’조이다. 팔리어 경전의 율조를 분석한 결과 ‘가타’를 제외한 일반 경전의 낭송은 대개 2․3음, 혹은 3․4음의단순한 율조로 촘촘히 읽어 간다. 이에 비해서 게송을 노래하는 ‘가타’는 유려한 선율 곡태를 지니고있다. 팔리어 경전의 송경 율조가 대개 1자 1음의 담백한 선율인 점에 비추어 보면 모음을 길게 늘이는동북아시아의 멜라스마틱한 범패 선율은 초기불교의 ‘가타’를 음악적으로 확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초기불교의 팔리어 송경 율조를 한국의 불교음악과 연관 지어 보면 ‘가타’를 제외한 8가지 송경 율조는 한국의 안채비 소리인 염불이나 독경으로 연결되고, ‘가타’는 외채비 소리인 범패와 연결되었다. 이를 거슬러 추정해 보면 가타(伽陀,偈)를 노래 하는 율조는 대승불교의 의례의 장엄화에 따라 모음을 장인하면서 멜라스마틱한 악곡으로 극대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의 범패에서 한문 가사에 의한 노래들은 대개 모음이 장인되는 멜리스마틱 선율인데 비하여 진언이나 나라니 가사의 범패는 1자 1음의실라빅 스타일로 노래하는 것이 바로 이러한 데서 기인함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I studied about the melody style of Pali Sutra on Myanmar Buddhist Sangha. Myanmar is bordered on the North West of India, so it had been greatly influenced by Buddhism in the early days and the people of the country have kept the original Buddhism. It is very similar to India in that it has three seasons in a year, the natural environment and especially the calender that is same as that of Buddha age. So it is accredited by the scholars of Buddhism studies that Myanmar Buddhism is very important so as to know about the origin of Buddhism and the culture. Sakyamuni spoke and taught in Pali that was the spoken language of Magada in the area of north India. After Buddha died, his disciples began to memorize the Buddha’s sermons in the form of a chant in unison and the chant became the Buddhist sutra. Originally there was not the letter of Pail language, so they should remembered only by the sound of pronunciation in Pali. Now there are 7 kinds of language of Pali sutra, Sinhalese, Myanmar,Khmer, Thai, Devanagari, Mongol and Roman through all of the world. Those Sutras were written in their own country letter as the Pali language sounds. In this Paper, I studied on the Roman Pali Sutra because that is the most wisely used in the world and recorded and analyzed it with three Sutras. The first one is 『The first sermon Sutra』 which is usually read by most of Buddhists in the beginning time to read Sutra. The second is 『PARITTA』 which is the most popular and loved Sutra in Myanmar, the last one is 『DHAMMAPADA』 which is arranged by Poetry. Through this study, I discovered that except the Gata poetry(伽陀,偈) of Dhammapada,all reciting tones are arranged with 2~3 or 3~4, and the melody is syllabic style, the rhythm is close texture. But the melody of 『DHAMMAPADA』 is more musical, some time the melodic interval is wider than the other common sutras. By this result, I knew Korean Yeumbul(reciting sutra and playing psalms․Anchebi Sori) is started from all the common Sutras and Korean Buddhist chants (Beompae․Baggathebi Sori) are originated from the melodies of the Poetry in sutra like 『DHAMMAPADA』. the melodies of the poetry in Buddhist Sutras in Pali was extended to be melismatic. Now I could to say that the Korean Buddhism chants have a thread of connection links from Pali Sutra reciting and they are originated from the original Buddhism Sutras in Pail language.

      • KCI등재

        훈민정음(訓民正音)과 불교경전(佛敎經典)의 상관관계(相關關係) 연구(硏究)

        정우영 ( Chung Woo-you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5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3 No.4

        ‘訓民正音’ 原典으로서의 『訓民正音』 解例本과 『性理大全書』, 佛敎經典 등 三者의 關係를 文獻學的 觀點에서 검토한 결과, 해례본의 句讀點ㆍ圈點 등은 『性理大全書』에서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解例本에 獨特하게 사용된 「解說:訣」의 편찬체재는 儒家類에서는 발견되지 않고 『妙法蓮華經』 같은 佛經의 「長行:重頌」 체재를 모델로 하여 편찬된 것이다. 이는 讀者들에게 解例本의 核心인 ‘五解’를 完全히 理解시키려는 敎育的 配慮와, 해례본을 佛敎經典에 相應하는 品格 높고 尊崇할 만한 訓民正音 原典 즉 ‘訓民正音經’ 수준으로 제작하려던 의도로 해석된다. ‘訓民正音’ 文字와 運用 規定의 公式的 規範文獻은 『訓民正音』 ‘例義篇’과 그 諺解本이다. 15세기 말까지의 官版 한글문헌을 國語學史的 觀點에서 분석한 결과, 제1차는 1461년 『楞嚴經諺解』에서 <ㅸ>이 폐지되고, 제2차는 1465년 『圓覺經諺解』에서 各自竝書와 <ㆆ>이 폐지됐으며, 제3차는 1496년 『六祖法寶壇經諺解』 등을 통해 東國正韻音에서 朝鮮漢字音으로 교체되었다. 이 變化는 ‘訓民正音’ 文字와 運用 規定의 ‘改定’ 조치로서, 이들 세 시기에 나온 諺解 佛敎經典이 ‘諺文二十七字’ 체계로 조정되었음을 公示하는 規範文獻의 역할을 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This paper studies the two main topics; (i) the relationship in bibliographical perspectives between 『Hunminjeongeum』 Haeryebon(訓民正音 解例本) as an original source of ‘Hunminjeongeum’(訓民正音) and the Buddhist Sutras(佛敎經典); (ii) the relationship in historical Korean linguistic perspectives between ‘Hunminjeongeum’ as a writing system and the Korean translations of the Buddhist Sutras(佛經諺解). The comparison in bibliographical perspectives between 『Hunminjeongeum』 Haeryebon, 『Seongnidaejeonseo』(性理大全書), and the Korean translations of the Buddhist Sutras reveals that, as noted by the previous studies, 『Hunminjeongeum』 Haeryebon received quite a few influences from 『Seongnidaejeonseo』 as a Confucian literature in terms of formal features such as punctuation and small circle(圈點) marking. Besides, 『Hunminjeongeum』 Haeryebon, which has the unique feature of “explanations(解說):slokas(訣)”, was proved to be compiled adopting the form and system of “sutra(長行):geya(重頌)” in the Korean translations of the Buddhist Sutras, particularly that of Lotus Sutra(妙法蓮華經), among others. This means that 『Haeryebon』 was published with a view to educationally having readers fully understand its core content and making 『Hunminjeongeum』 Haeryebon a work of dignity and high esteem paralleling the Buddhist Scriptures. The basic framework of the writing system in 『Hunminjeongeum』 was formulated in Yeui Part(例義篇) of 『Hunminjeongeum』 Haeryebon in September 1446. 『Hunminjeongeum』 Eonhaebon was published as the first official prescriptive literature as a result of translating Yeui Part into Korean language in order to instruct the writing system in 『Hunminjeongeum』. The Korean historical linguistic analysis of the Hangul literature published up to the late 15th century shows that the writing and operational regulations of ‘Hunminjeongeum’ underwent significant changes across three stages of period. The first change was made in the light labial sound <ㅸ> that was abolished, being replaced by such forms as ‘오/우/ㅇ’ through 『Neungeomgyeong- Eonhae』(楞嚴經諺解) in 1461. The second change was made in Gakjabyeongseo(各自竝書) and <ㆆ> that were abolished through 『Wongakgyeong-Eonhae』(圓覺經諺解) in 1465. The third change was made replacing Sino-Korean phones in Donggukjeongun(東國正韻 漢字音) with Sino-Korean phonetic transcriptions through 『Yukjobeopbodangyeong-Eonhae』(六祖法寶壇經諺解) and 『Jineon-gwongongㆍSamdansisikmun』(眞言勸供ㆍ三壇施食文) in 1496. Through the changes in the writing system throughout the three stages until the late 15th century, Yeonseo-bop(連書法) and Gakjabyeongseo-bop(各自竝書法) came to be no longer used, and the writing system was adjusted to the Eonmun(諺文) 27 letter system after <ㆆ> was abolished. All in all, the writing regulations of ‘Hunminjeongeum’ experienced three conspicuous changes through the voluminous Korean translations of the Buddhist Sutras. The author designates these Korean translations of the Buddhist Sutras as prescriptive literature, and those three changes should be regarded as measures for revision in the Korean writing system. Why were the Buddhist Scriptures used for the sake of the revisions? It is conjectured that this is because readers of their voluminous Korean translations would be able to naturally learn the writing system of ‘Hunminjeongeum’ in reading them, as well as enjoying the spiritual comfort through the righteous enlightenment of the Buddhist teachings.

      • KCI등재

        불경번역과 문화요소의 현지화에 대한 연구- 북두칠성연명경 과 관세음보살보문품 비교

        이승재 한국통번역교육학회 2022 통번역교육연구 Vol.20 No.4

        Localization is a kind of the dynamic equivalence in a broader sense of translation, and is essential in global marketing strategy. Translation, viewing from the linguistic relativism, is that two different worlds face each other. The comparison of the Buddhist Great Bear Sutra to the Lotus Sutra’s Universal Gate Chapter on Avalokitesvara examined in this paper confirms localization of the Buddhist Great Bear Sutra to the Taoist context. The localization of the Buddhist Great Bear Sutra to the Big Dipper Sutra in China enabled both the ideological advancement of Taoism in the framework of Buddhism and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Buddhism in the target culture. The successful localization of the Buddhist Great Bear Sutra limited the high-level symbolism of the ‘7 stars’ to Taoism, but various relevant Buddhist paintings in Korea opened creative interpretations of ‘7 stars in Buddhism’ and are on the way of finding the true meaning of it, which confirms Humbolt’s sense of language and world. Thus, the translator’s active role in localization is required not only in microscopically replacing the language but also macroscopically connecting the world view of the original text to the target culture.

      • KCI등재

        조선 후기 화엄칠처구회도(華嚴七處九會圖)의 양식 연구

        김선희 ( Kim Seonhee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7 강좌미술사 Vol.48 No.-

        조선 후기 송광사·선암사·쌍계사, 그리고 통도사의 화엄칠처구회도는 한국불교사상과 불교미술사에서 주목할 만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우선 『화엄경』이 차지하고 있는 사상적, 신앙적 가치는 중국뿐만 아니라 한국불교사에서도 독보적이다. 화엄경변상도의 조성은 그 사상과 신앙에 대한 이해와 실천을 구체화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18 세기 후반과 19 세기 초반에 조성된 송광사·선암사·쌍계사, 그리고 통도사의 화엄칠처구회도는 한국화엄사상의 전래부터 조선 후기에 이르는 시기까지의 축적된 도상의 특징을 담고 있다. 특히 탄압과 소외를 받던 조선 후기 불교계에서 『화엄경』의 유통과 성행은 변상도의 조성을 촉진시키기도 하였다. 당시 조성된 화엄칠처구회도는 이전시기의 그것과 비교했을 때 그 구도와 형태, 그리고 색채나 필선·문양 등에서 뚜렷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18 세기 세 사찰의 화엄칠처구회도는 둥글면서 갸름한 인물 형태에 전통적인 담채기법을 채용하여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 색채 등은 앞 시기의 양식적 특징을 보이는 반면, 복잡한 구도 및 코발트계열의 청색·남색·분홍색·옥색 계열의 색채 구사와 더불어 가늘고 유연한 흰색 필선과 그물장식문양을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반면 19 세기 통도사 화엄칠처구회도는 반원형 구도, 상·중·하 3 단의 배치 등은 불화의 규모가 소형화됨에 따라 일부 표현이 간략화 되는 한편, 내용은 더욱 복잡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이들 변상도는 그 시원인 돈황 막고굴의 변상도와 그 양식 면에서 좋은 비교가 될 뿐만 아니라 한국불교미술사가 지닌 독자성과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Chilcheoguhoedo Buddhist pictures of the Avatamsaka Sutra in Songgwangsa (1770), Seonamsa (1780), Ssanggyesa (1790), and Tongdosa (1811) in the late Joseon has remarkable characteristics in the Korean thought of Buddhism and Buddhist history. First, the "Avatamsaka Sutra" occupies an ideological and religious value in the history of Buddhism not only in China but also in Korea. The composition of the illustration of the Avatamsaka Sutra was effective in shaping the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its thoughts and beliefs. Chilcheoguhoedo Buddhist pictures of the Avatamsaka Sutra in Songgwangsa, Seonamsa, Ssanggyesa, and Tongdosa, which were composed in the late 18th and early 19th centuries, featured the accumulated characteristics of iconography from the time of the Korean thought of the Avatamsaka Sutra to the late Joseon. In particular, the distribution and performance of "the Avatamsaka Sutra" in the late Joseon Buddhist world which was subject to oppression and alienation, also promoted the formation of Byeonsangdo. The Chilcheoguhoedo Buddhist pictures of the Avatamsaka Sutra, shaped at the time, hav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 composition, form, color, Brushstrokes and patterns co mpared with those of the previous period. In Chilcheoguhoedo of three temples in the 18th century, by adopting the traditional coloring technique in the form of a round and slender figure, while the color that gives a soft feeling shows the stylistic characteristic of the previous period, it is characterized by using thin and flexible white lines and netting patterns along with the coloring of the light blue series as well as the complex composition and the cobalt blue series of blue, navy blue and pink. On the other hand, in Cholcheoguhoedo in the 19th century, the semicircular composition, and arrangement of three phases of high-middle-low, etc., some expression of the Buddhist paintings is simplified as the scale of the Buddhist paintings is reduced, while the contents tend to become more complicated. These Byeonsangdos are not only a good comparison with Byeonsangdo of the origins of Duhaung Mogao Caves, but also meaningful in that they can discover the identity and value of Korea history of Buddhist art.

      • KCI등재

        『대불정능엄경』의 전역과 『수능엄경』·『수능엄삼매경』과의 관계성 연구

        이영 ( Lee You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9

        705년 唐에서 번역된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이하 『대불정수능엄경』)은 우리나라 사찰 강원의 4교과의 하나로 지정되어 있는 등 매우 중요시된 경전이고 중국에서도 149종의 주석서를 가진 경전이다. 그러나 이 경이 번역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이른 시기부터 위경설이 있어 왔고 최근에는 중국 찬술설까지 대두되었다. 한편 이 경이 번역된 때로부터 500년쯤 전에 이미 이 경과 이름이 비슷한 『수능엄경』·『수능엄삼매경』이 존재했었다. 『대불정수능엄경』에 대한 위경·중국찬술설이 대두된 것은 동일본의 번역자가 2명이 있다거나 傳譯 記事가 역사서인 『唐書』의 기록과 다른 점, 다른 경전과 비슷한 내용 그리고 중국적 색채가 뚜렷한 번역어 등 때문이고 범문 원문이 없으며 역사서에 전역자 기록이 없다는 점도 그 이유가 되었다. 불경은 패엽경으로 편찬된 이래 필사본으로 유통되었고, 전역에 관한 기사는 傳聞 기록일 가능성이 매우 크다. 이런 기록과 『당서』와의 다른 점 때문에 위경이라고 판단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 또 경전 간 용어·내용의 중복은 다른 경전에서도 매우 광범위하고 나타나 있다. 번역어도 번역자의 선택일 수 있으므로 명백한 증거로 보기 어렵다. 따라서 명백한 증거도 없이 기록 간 차이나 번역어 몇 단어만을 가지고 표절이라거나 위경 또는 중국 찬술이라는 주장은 합리적 결론이 아니다. 현존하는 최고의 經錄集인 『出三藏記集』(510~518년)에는 『수능엄경』과 『수능엄삼매경』[또 다른 이름: 『勇伏定經』(291)]이 각각 기록되어 있다. 현존하는 경전은 구마라집이 번역한 『수능엄삼매경』과 『대불정수능엄경』이다. 이들 두 경은 여래의 힘에 관한 유사한 내용이 있다. 전자에는 여래장과 같은 교리가 있고, 후자에는 여래장이라는 단어가 직접 나타나는 등 두 경의 관계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失傳된 『수능엄경』들, 『수능엄삼매경』, 그리고 『대불정수능엄경』이 동일 경전 또는 같은 계통의 경전인지에 대한 정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대불정수능엄경』에 대한 위경설 등의 논란은 재고되어야 한다. Surangama Sutra(705, Pramiti translation. 반자밀제 譯) has been one of the most Buddhist texts in Korea and China. The other hand, some have argued that the sutra was manipulated from Tang Dynasty period. The why they have argued is that there were two translator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ng history(『唐書』) and the notes of the translation and so on. In addition, It is claimed that it was written in China. However, in an early period of Buddhist history, most of sutras were a handwritten book. There is also a possibility that it was the note records, by the story which has been transmitted, not confirmed. With these considerations in mind, it is not a reasonable conclusion if one judges Buddhist Pseudograph by difference of note records without clear evidence. In other respects, Chulsamzanggijip 『出三藏記集』[A Collection of Records on the Emanation of the Chinese Tripitaka], the oldest the list of sutra in China which is currently existing, has lists of Surangama Sutra and Surangamasamadhi Sutra. And 『續古今譯經圖紀』 has notes of Pramiti`s Surangama Sutra. Surangama Sutra does not currently exist. But only fragmentary records remain. One kind of Surangamasamadhi Sutras is completely transmitted. Pramiti`s Surangama Sutra too. It could be said that these three sutras are relevant in terms of content, such as, explanation of Samadhi, Buddha`sermon based on the tathagata-garbha and so on. In general terms, the controversy over the Buddhist Pseudographia should be reconsidered. The relevance of the three sutras needs to be investigated.

      • KCI등재

        논문 : "석굴암 사천왕상"의 도상과 불교 경전

        임영애 ( Young Ae Lim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1 강좌미술사 Vol.37 No.-

        7세기 후반에 시작된 신라의 사천왕상은 8세기 중엽 석굴암 사천왕상에서 절정을 이루었다. 호국의 임무를 띠고 등장한 사천왕상은 『금광명경』을 배경으로 한다. 그런데 『금광명경』에는 이들사천왕상의 역할에 관한 언급만 있을 뿐 도상이나 형상에 관한 언급은 찾아볼 수 없다. 반면 654년 중국 당에서 번역된 『다라니집경』에는 ``북방 다문천이 보탑을 들었다``라고 분명히 기술하고 있어 사천왕상의 도상이 『다라니집경』에 의지했을 것이라고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다라니집경』 번역 이전에도 이미 수많은 예가 존재하고 있고, 북방 다문천을 제외한 나머지 천왕의 지물 역시 일치하지 않고 있어 『다라니집경』과 관련시키기는 어렵다고 본다. ``석굴암 사천왕상``과 『다라니집경』과의 도상 일치 여부가 이 글의 궁극적인 논의점이 아니다. 이 글에서 필자가 함께 이야기하고 싶은 것은 종교미술에서 작가의 텍스트 의존도에 관한 문제이다. 불교미술의 도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불전의 내용과 신앙의 성격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하지만, 이 두 자료가 늘 일치점을 갖는 것은 아니다. 물론 시대마다 작가의 텍스트 의존도는 다를 수 있다. 당시 작가들의 경전에의 접근성에 따라 상황이 달라질 수 있고, 또 동아시아 국가 간의 활발한 왕래로 관련 모본이 얼마나 유통될 수 있었는지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 8세기 중엽이라는 시기 ``석굴암 프로젝트``를 맡았던 김대성이 석굴암 존상들을 하나하나 만들면서 모두 텍스트에 의존하였을 것이라고 상정하기는 어렵다. 물론 석굴암 조성의 배경이 되었던 사상 및 신앙의 기본 틀은 분명히 존재한다. 하지만 존상 하나하나를 조각하면서 한두 권의 도상 관련 경전에 의지하기 보다는 기존의 작품이나 모본 등 그들 나름대로 다양한 모델을 참조하려고 애썼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종교미술의 작가가 얼마만큼 텍스트를 염두에 두었을 것인지, 불교미술 연구자들이 지나치게 도상과 불교경전을 연결시키려 했던 것은 아닌지, 새로운 시각과 논의가 필요한 때라고 생각한다. Four Heavenly Kings Statues which became popular at the end of the 7th century were peaked in the Seokgulam in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Four Heavenly Kings Statues with the responsibility of National Defense are backed by "Jinguangmingjing Suvarnaprabhasa sutra." However, the shapes or figures of Four Heavenly Kings were not mentioned in "Jinguangmingjing Suvarnaprabhasa sutra," although it mentioned the roles of Four Heavenly Kings. On the other hand, in "Tuoluonijijing Dharani`s collections of sutra" which was translated in Tang in China, it is explicitly described as ``Vaisravana has lifted a Precious Stupa``. Thus,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the statues of Four Heavenly Kings followed the "Tuoluonijijing Dharani`s collections of sutra." However, there were many other cases before the translation of "Tuoluonijijing Dharani`s collections of sutra" and articles of other Heavenly Kings than Vaisravana are not consistent with the description in the book. Thus it is difficult to relate Four Heavenly Kings Statues with "Tuoluonijijing Dharani`s collections of sutra." However, the consistency of the Statues of ``Seokgulam Four Heavenly Kings`` with ``Tuoluonijijing Dharani`s collections of sutra`` is not the ultimate object of this article. What the author wants to speak in this article is the dependency of the artist to the text in religious art. Although it is said to be essential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Buddhist sutra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faith in order to understand the Buddhist Statues, those materials are not always consistent. The dependency of the artist to the text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era. It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accessibility to the sutras and how widely the Example of the Statues had been distributed at the time owing to the active exchanges between East Asian countries. It is hard to say that Kim Dae Seong was heavily dependent upon the text when he was creating the statues in Seokulam in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Of course there existed the ideology and the basic frame of the faith on which Seokulam was based. However, he might try to refer to various models such as existing works or examples rather than depend on a few sutras related to the statues. We need to have a new insight and discuss how much the religious artists had cared about the text when they built the statues and if there is possibility that the Buddhist Art Researchers tried too much to connect between statues and Buddhist sutras.

      • KCI등재

        텍스트에서 이미지로, 그리고 다시 이미지에서 텍스트로: 5-6세기 중국 불비상(佛碑像)에 나타난 시각적 구현 방식의 변화

        하정민 ( Jungmin Ha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7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20 No.-

        중국의 ‘불비상(佛碑像)’은 곧게 세워진 판형(板形) 또는 방형(方形)의 석재에 불보살(佛菩薩)이나 석가모니 불전(佛傳) 및 본생담(本生譚)의 장면, 혹은 불교 관련 상징물의 이미지를 부조로 새긴 시각적 조형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불비상은 ‘불교조상비(佛敎造像碑)’라고도 불리며, 중국에서 약 5세기 후반부터 제작되기 시작하여 7세기 초까지 크게 유행하였다. 중국의 불비상은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5세기 불교도들이 중국 전통적인 석비(石碑)의 형태에, 중국 외부에서 들어온 새로운 종교인 불교 이미지들을 결합시켜 제작한 조형물이다. 불비상에 차용된 중국의 전통적인 석비 형태는 불교가 전래되기 이전부터 존재했던 것으로, 한족(漢族) 문인들이 서한(西漢, 기원전 206년-기원후 9년)대부터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한대(漢代) 한족 문인들이 제작한 석비의 표면은 화면 가득 특정 인물이나 사적(事蹟)을 기념하거나, 유교적 사상 및 이상을 표현한 문자로 채워졌다. 이러한 중국의 전통적인 석비는 인도로부터 불교가 전해지면서 그 표면의 시각적 구현 방식이 완전히 변화하였다. 표면 가득 새겨진 한자 텍스트는 불교와 함께 인도에서 들어온 여러 불교 존상들과 상징물들의 이미지로 대체되었다. 한편 불교조상비가 활발히 제작되던 무렵인 6세기 중반에, 불비상의 비면을 가득 채우던 불교 조상이, 불교 관련 텍스트로 변화되는 움직임이 감지되는데 이점은 매우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양상을 보여주는 예들은 산동성(山東省), 하남성(河南省), 하북성(河北省) 등의 일부 지역에서 발견되는데, 석비의 전면 가득 불교 경전에서 가져온 내용을 한자로 새겨 넣었으며, 불보살의 이미지는 없거나 매우 적은 비중으로 제한되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텍스트 중심의 불교 조형물을 ‘불교 각경비(刻經碑)’ 혹은 ‘불비(佛碑),’ ‘불교 석비’로 지칭함으로써, ‘불비상’ 또는 ‘불교조상비’와 구별하고자 한다. 텍스트 중심의 불교 각경비는 중국의 전통적인, 특히 한대의 유교적 배경 하에서 제작된 석비와 시각적으로 매우 유사하다. 그러나 비면에 새겨진 글의 내용은 완전히 변화하여, 중국 외부에서 들어온 종교인 불교의 교리 및 사상이 담겼다. 본고는 중국의 전통적 석비의 형태를 차용하여 발전시킨 5-6세기의 불교조상비와 6세기 중엽에 나타난 불교 각경비에서 그 시각적 구현의 중심이 텍스트에서 이미지로, 그리고 다시 이미지에서 텍스트로 옮겨간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이러한 변화를 이끈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중세 중국 사회에 존재했던 ‘중국적’인것과 ‘비중국적’인 것 사이의 비가시적인 경계를 들 수 있다. 먼저, 유교적 맥락에서 제작된 중국의 전통적인 텍스트 중심의 석비를 이미지 중심의 불교조상비로 변화시킨 것은 5세기 후반 북위(北魏)시대의 비한족 불교도들이었다. 이 변화는 당시 중국의 시각문화를 크게 바꾼, 인도에서 유입된 ‘비중국적’인 불교 조상들의 표현에 힘입은 바 크다. 그리고 이후 불교 이미지 중심의 불비상에서 불교 경전의 일부분을 새겨서 표현한 텍스트 중심의 불교 석비는 6세기 중엽에 일부 지역 한족 불교도들에 의해 제작되었다. 이러한 텍스트 중심의 불교 각경비는 시각적으로 한대의 전통적인 석비로 회귀하는 듯 보인다. 이들 6세기의 불교 각경비는 당시 불교미술의 주류는 아니었다. 현전하는 유물들을 살펴보면, 불보살의 이미지가 그 표현의 중심이 되는 불교조상비 혹은 불비상으로 여전히 활발히 제작되었으며, 텍스트 중심의 불교 석비는 일부 지역에서 적은 수로 제작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각경비들의 출현은 한족 불교도들에게 ‘중국적’인 것과 ‘비중국적’인것을 분별하는 사고가 존재했으며 문화적으로 ‘중국적’인 것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6세기 후반 산동성 추성(鄒城)시 철산(鐵山)에 새겨진 거대한 불교 각경비와 그 각경제기(刻經題記)는 발원자의 한족 혈통을 설명해 주고 있으며 그들의 전통에 대한 존경심과 해박한 지식을 드러내고 있어서 이러한 경향을 알려주는 매우 중요한 예이다. One likely recalls an upright stone tablet carved with Buddhist images and symbols when they think of a Chinese Buddhist stele. These figurative steles, called Buddhist zaoxiang bei, briefly flourished during the late fifth to the early seventh centurie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hese Buddhist steles served as vehicles for making votive images and propagating Buddhism and were incorporated into Buddhist rituals. As is well-known, Buddhists in China did not invent the stele form, but adopted it from the long tradition of use by the Han Chinese, which dated from the Western Han period (206 BCE-9 CE). From their inception, the main surfaces of these pre-Buddhist steles were used to show scripts, typically expressing Confucian ideals. When Buddhism crossed into China from India, it transformed the form and function of the Chinese stone steles. The earlier Confucian emphasis on inscribed texts was replaced with dominant and diverse images of Buddhist deities and elements transmitted from Indian Buddhist art. In the middle of the sixth century, however, traditional text-focused religious steles emerged in some parts of Shandong, Henan, and Hebei Provinces once again. These steles were inscribed with Buddhist sutra texts, with little to no inclusion of sculpted imagery. At first sight, the appearance of these Buddhist steles inscribed with a Buddhist sutra is similar to the Confucian steles from the Han dynasty. However, their contents are purely Buddhist. It is important to note, however, that the shift to text-based steles was not universal; some steles continued to emphasize carved images. This paper traces these countermovements of change in the Buddhist uses of the stele format and explores the impact of an invisible boundary that transformed the visual aspects of the Chinese stele in opposite directions. The key areas that will be examined are the protagonists of these movements and the factors that drove them to make these shifts. The first shift from traditional Confucian text-focused steles into image-focused ones was mainly driven by and for the Northern Wei Buddhists and was clearly due to the impact of Buddhism transforming Chinese visual culture during the period. The second and later shift, in which Buddhist sutra texts became more prominent than Buddhist images, was led by several local Han-Chinese Buddhists. The second shift cannot be viewed as part of mainstream Buddhist art or typical of Buddhist steles created during that time. Rather, these Buddhist text-based steles made up just a small portion of the entirety. Nonetheless, they reveal a significant invisible cultural boundary between the Han Chinese and the non-Han Chinese. The boundary that drove this second shift was in the minds of the donors. Intellectually and emotionally, the Han Chinese responded to the “Han-Chineseness” of the traditional type of Chinese stele and the “non-Han Chineseness” inherent in many aspects of Buddhist imagery. The giant virtual Buddhist stele at Mount Tie is a good indication that some medieval Han Chinese patrons of Buddhist steles inscribed with a Buddhist sutra were motivated by a desire to display their Han Chinese lineage and knowledge of Chinese tra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