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화정책의 은행자본경로와 위험추구경로에 대한 실증분석

        이상진 한국은행 2021 經濟分析 Vol.27 No.3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whether bank capital channel and risk-taking channel for monetary policy work for domestic banks in South Korea by analyzing the impact of the expansionary monetary policy on the rate spread between deposit and loan, capital ratio, and loan amount.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e Uhlig (2005)’s sign-restricted SVAR(Structural Vector Auto-Regression) model is used.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the bank's interest rate margin increases, the capital ratio improves, risk-weighted asset ratio increases, and the amount of loans increases in response to expansionary monetary shock. This empirical results confirm that bank capital channel and risk-taking channel work in domestic banks, similar to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lthough the expansionary monetary policy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bank's financial soundness and profitability in the short term as bank capital channel works, it could negatively affect the soundness of banks by encouraging banks to pursue risk in the long run as risk-taking channel works. It is necessary to note that the capital ratio according to the BIS minimum capital requirement of individual banks may cause an illusion in supervising the soundness of the bank. So, the bank's aggressive lending expansion may lead to an inherent weakness in the event of a crisis. Since the financial authority may have an illusion about the bank’s financial soundness if the low interest rate persists, the authority needs to be actively interested in stress tests and concentration risk management in the pillar 2 of the BIS capital accord. In addition, since system risk may increase,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gular stress tests or preemptive monitoring of assets concentration risk. 본 연구는 통화정책 전달경로 중 은행자본경로와 위험추구경로가 국내은행에도 작동하는지에 대해 실증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확장적 통화정책이 은행의 예대금리차, BIS비율, 위험가중자산비율 및 대출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은 기존 연구에서 통화정책 영향분석에 많이 사용된 Uhlig (2005)의 부호제약 SVAR(Structural VAR) 모형을토대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통해 국내외 기존 연구 결과와 유사하게 국내은행에서도 은행자본경로 및 위험추구경로가 작동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확장적 통화충격에 대해 국내은행의 예대금리차는 확대되었으며, 자기자본비율은 개선되었고, 이후 총대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은행자본경로가 작동함을 의미한다. 또한, 실질콜금리에 대한 확장적통화충격에 대해 위험가중자산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위험추구경로가작동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확장적 통화정책 지속 시 은행자본경로 작동으로 단기적으로 은행 건전성과 수익성이 개선되는 효과도 있으나, 위험추구경로 작동으로 중장기적으로 은행의 위험추구(risk-taking) 행위가 심화되어 은행의 실질적 건전성에 악영향을줄 수 있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은 확장적 통화정책 지속 시 편중리스크 발생 및 시스템리스크 증가 등에 대한 선제적인 모니터링 및 감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Impact of Monetary Policy on Bank Lending: Does Market Structure Matter?

        Muntazir Hussain,Usman Bashir 한국국제경제학회 2019 International Economic Journal Vol.33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various factors in the bank lending channel of monetary policy transmission. Using annual data (2000–2012) from the Chinese banking industry,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bank lending channel neither operates through balance sheet characteristics nor through bank risk. However, this study provides significant evidence of the lending channel operates through the market structure. The market power undermines the effect of monetary policy on bank lending. The results have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for the Chinese banking industry. Although higher competition raises concerns about financial stability, however, in this case, higher market power has a detrimental effect on bank lending channel and monetary policy transmission. Such results may argue pro-competitive policy in the Chinese banking market so that the desired objective of monetary policy can be achieved.

      • KCI등재

        은행의 자기자본이 통화정책의 파급경로에 미치는 영향

        박형근 예금보험공사 2013 金融安定硏究 Vol.14 No.2

        This article attempts to clarify empirically the impact of the capitalization of banks in the transmission of monetary policy shocks. As the ‘bank lending channel’ of monetary policy predicts, better capitalized banks are less affected by the impact of monetary policy than others. It means that better capitalized banks can raise funds they need in the financial market with less difficulty against the monetary shock of central bank. As also predicted by the ‘bank capital channel’ banks of which ‘maturity transformation cost’ is high are more affected by the impact of monetary policy. In addition, better capitalized banks are less affected by the impact of GDP shock. The results gives some implication about monetary policy and supervision policy. First, it is important that monetary policy takes into account the regulation of bank capital and its effect on the economy. Second, to reduce the procyclicality of bank lending, it is important for banks to raise enough capital. Authority should design and develop macroprudential policies instruments to this direction. This article is the first of its kind in South Korea, to have identified the role of bank capital in the transmission of monetary policy. To better analyze the bank capital channel, it is necessary to calculate the ‘maturity transformation costs’ more rigorously. Additional research to identify ways to measure this cost is required. 본고는 통화정책의 파급경로 중 은행대출경로 및 은행자본경로에서 은행자본의 역할을 분석하였다. 먼저 은행대출경로의 이론과 부합하게, 자기자본비율이 높은 은행일수록 통화정책 충격에 대한 은행대출의 반응이 둔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기자본비율이 높은 은행은 양호한 건전성을 바탕으로 대체 자금조달을 상대적으로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은행자본경로의 이론과 부합하게, 만기전환비용(maturity transformation cost)이 커서 이익유보를 통한 자기자본의 적립이 어려운 은행일수록 통화정책 충격에 따른 은행대출의 위축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기자본비율이 높은 은행일수록 경기가 대출에 미치는 영향이 작은 것으로 나타나 자기자본 확충이 이루어질수록 경기순응성이 완화되는 것으로 판단이 된다. 이상과 같은 분석결과는 통화정책 및 감독정책과 관련하여 다음을 시사하고 있다. 먼저 은행의 자기자본이 통화정책의 효과에서 추가적인 변수로 작용한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자기자본비율이 높거나 자산규모가 큰 은행일수록 자금조달 능력이 우수하므로 통화정책의 영향을 덜 받음에 유의하여 정책을 운용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만일 은행산업이 이러한 은행들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면 통화정책의 파급경로 중 신용경로는 그 효과가 제약될 것이다. 그리고 자기자본비율이 높은 은행일수록 경기순응성이 작은 것으로 나타난 분석결과를 감안할 때 자본확충 노력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은행의 자기자본이 통화정책의 파급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자기자본비율 관련 규제정책과 통화정책의 조화로운 운용을 위해 정책당국들이 노력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The Bank-lending Channel of Monetary Policy Transmission in China

        Nan Li,Yeonho Lee 한국경제연구학회 2015 Korea and the World Economy Vol.16 No.2

        This paper comparatively examines the bank-lending channel of monetary policy transmission in China between Chinese and foreign banks. We consider 22 foreign banks and 67 domestic banks that account for about 82-88% of total bank assets in China. We focus on the period 2007-2013 during which foreign banks in China had dramatically increased, following the liberalization of the entry of foreign banks at the end of 2006. In our models, we allow for heterogeneity in banks’ characteristics such as size, capitalization, liquidity, credit risk and efficiency. Using a fixed effect model, we find that bank ownership plays a critical role in determining bank’s response to monetary policy. In specific, foreign banks are found to be less sensitive to China’s monetary policy than Chinese banks, but they are sensitive to the real interest rate of U.S. This finding points to the existence of internal capital markets in case of foreign banks. Foreign banks can use internal capital market to buffer the impact of monetary policy on loans. As a result, they could reduce their loans by less than Chinese banks in response to tight monetary policy. When the Chinese monetary authority conducts monetary policies, therefore, it should keep in mind that larger changes in monetary policy instruments are required to obtain the same desired change in aggregate demand in the presence of the buffering effects of foreign banks. We also find that the effects of price instruments and quantitative instruments of monetary policy on Chinese banks’ lending behavior are different. For example, Chinese banks’ lending is more sensitive to policy lending rate than to required reserve ratio.

      • KCI등재

        The Bank-lending Channel of Monetary Policy Transmission in China: A Comparison between Chinese and Foreign Banks

        LINAN,이연호 한국경제연구학회 2015 Korea and the World Economy Vol.16 No.2

        This paper comparatively examines the bank-lending channel of monetary policy transmission in China between Chinese and foreign banks. We consider 22 foreign banks and 67 domestic banks that account for about 82-88% of total bank assets in China. We focus on the period 2007-2013 during which foreign banks in China had dramatically increased, following the liberalization of the entry of foreign banks at the end of 2006. In our models, we allow for heterogeneity in banks’ characteristics such as size, capitalization, liquidity, credit risk and efficiency. Using a fixed effect model, we find that bank ownership plays a critical role in determining bank’s response to monetary policy. In specific, foreign banks are found to be less sensitive to China’s monetary policy than Chinese banks, but they are sensitive to the real interest rate of U.S. This finding points to the existence of internal capital markets in case of foreign banks. Foreign banks can use internal capital market to buffer the impact of monetary policy on loans. As a result, they could reduce their loans by less than Chinese banks in response to tight monetary policy. When the Chinese monetary authority conducts monetary policies, therefore, it should keep in mind that larger changes in monetary policy instruments are required to obtain the same desired change in aggregate demand in the presence of the buffering effects of foreign banks. We also find that the effects of price instruments and quantitative instruments of monetary policy on Chinese banks’ lending behavior are different. For example, Chinese banks’ lending is more sensitive to policy lending rate than to required reserve ratio.

      • KCI등재

        내생적 통화공급과 통화정책의 효과

        채희율 ( Hee-yul Chai ) 한국금융학회 2017 금융연구 Vol.31 No.1

        대부분의 경제학 교과서에는 통화공급이 외생변수로 취급된다. 즉 중앙은행이 본원통화의 규모를 정하고, 이로부터 통화승수효과에 의해 통화공급 규모가 정책적으로 결정된다고 설명 한다. 그러나 현대경제에서 통용되는 통화는 대부분 상업은행이 민간에 대해 신용을 공여하면서 창출된다. 예금통화는 신용에 의해 결정되고 본원통화는 본원통화 수요에 대응해서 공급된다. 이 글은 이러한 변수들간 관계를 도식적으로 설명하는 간략한 모형을 제시하였고, 그러한 관계를 뒷받침하는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통화량 목표제 기간에서는 본원통화의 통제를 통해 은행대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었으나 물가안정목표제가 자리 잡으면서 이러한 가능성이 약화 되었으며 은행대출 변화가 본원통화의 변화를 초래하는 인과관계가 뚜렷이 나타났다. 다만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예대율 규제 도입 등의 영향으로 본원통화의 변화를 통해 은행신용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가 다시 나타났지만 은행신용으로부터 본원통화로 가는 인과관계는 더 강화되었다. 기준금리 변화에 따라 은행신용이 변화했는지를 분석한 충격반응함수 분석은 또 다른 각도에서 통화가 내생적으로 공급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인데, 물가안정목표제 기간에서 기준금리 변화가 은행대출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물가안정목표제 기간에 전반적으로 통화가 내생적으로 공급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이러한 분석의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화정책의 전파경로로서 은행대출경로의 중요성이 크게 약화되었다. 중앙은행이 긴축정책을 통해 은행대출의 공급을 줄이고, 확장정책을 통해 은행대출의 공급을 늘리는 것이 매우 어렵게 되었다는 사실은 오늘날 통화정책의 유효성이 저하된 하나의 중요한 원인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양적완화와 같이 직접 유동성을 공급하려는 정책은 중앙은행 대차대조표의 대변이 아니라 차변의 구성 변화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즉 중앙은행이 `얼마만큼`의 자산을 매입하는가 보다는 `어떠한` 자산을 매입해야 하는가라는 점이 더 중요하다. Standard economics text book describes money supply as exogenous variable: Money is supplied according to the money multiplier process, given the monetary base fixed by the central bank. However, the money in the modern economy is largely determined by commercial banks when they offer loans to the public. Money is determined through lending, and monetary base is su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demand for it. This paper proposes a simple conceptual framework explaining the process of endogenous money supply, and investigates empirically the nature of money supply in Korea. The empirical investigation is based on the Granger causality tests and the impulse response analysis to a BOK`s policy rate shock. The Granger causality tests are conducted between monetary base and bank loans. The test between bank loans and money supply is excluded because the two variables affect each other within the same period so that the results from the Granger causality test might be misleading. The sample for the Granger causality tests is divided into three subsets: period I refers to the M2 targeting and before the 1997 crisis; period II refers to the inflation targeting and befor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period III refers to the inflation targeting an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 sample for the impulse response analysis covers the inflation targeting period. The results from the Granger causality tests show that, while the central bank had been able to control the bank loans through the control of monetary base during the period when it targeted monetary aggregates before 1998, it became difficult for it to control bank loans since the adoption of inflation targeting. Reverse causation which run from bank loans to monetary base became predominant during the inflation targeting period. While the causality running from monetary base to bank loans reappeare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presumably due to loan-deposit ratio regulation, the causality from bank loans to monetary base was reinforced in the same period. Another empirical results from the impulse response analysis to a BOK`s policy rate shock during the inflation targeting period show that a positive shock to a policy rate does not have an important impact on bank loans. These results altogether can be regarded as the evidence for the endogeneity of money supply during the inflation targeting period.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of bank lending channel is weakening. The fact that the central bank can hardly increase or decrease bank loans through control of the policy rate or the monetary base is one of the reasons why the monetary policy became ineffective in these days. Second, the policy aiming at increasing directly monetary aggregates like quantitative easing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asset side of the central bank`s balance sheet rather than the liability side. In other words, more accent should be given to “what kind of”, rather than “how many” assets the central bank is acquiring. Third, policy makers and regulators should bear in mind that bank lending might fluctuate abruptly engendering huge macroeconomic consequences, as banks can lend loans and create money ex nihilo.

      • KCI등재

        중국에서 기준금리의 변화가 기업의 자금조달에 미치는 영향-중국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전용복 한국동북아경제학회 2013 동북아경제연구 Vol.25 No.4

        Since the ‘credit view’ on transmission mechanism of monetary policy (TMMP)was suggested in the late 1980s, a big literature of related empirical studies hasbeen documented. Although so many applied studies on the TMMP in China havealso been carried out, their employment of aggregated data can undermine theresults of their empirical studies. The present study is expected to fill this gab. Byusing a firm-level dataset for non-financial Chinese firms, it empirically investigatesif the so-called bank-lending channel works in China. For the Chinese economy, itfinds that: first, bank debts measured by the ratio of bank borrowings to total asseta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policy interest rate for both domestic private andstate-owned enterprises, implying the existence of bank-lending channel; second,firm characteristics including size, capitalization ratio, and liquidity are notsignificant factor in determining external financing; finally, they are not so bindingfor financing foreign-invested firms. To sum, the Chinese firms are under stronginfluence of price-based monetary policies, as they are exclusively relying on bankdebts among other external resources of finance

      • KCI등재

        개별 은행의 신용공급 충격이 기업의 투자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영주 한국국제금융학회 2023 국제금융연구 Vol.13 No.1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of idiosyncratic bank shocks on investment at the firm-level and aggregate level by applying the methodology proposed by Amiti and Weinstein (2018) to matched bank-firm loan data, which covers all loans provided by banks to listed firms in Korea. Our results at the firm-level indicate that negative bank shocks have a detrimental impact on the investments of firms that rely heavily on bank loans for investment or lack access to alternative financing tools. However, adverse bank shocks do not affect large firms or those with access to alternative financing sources. Additionally, our findings at the aggregate level suggest that bank shocks are a significant driving force behind economic fluctuations in Korea over the business cycle. 본 연구는 Amiti and Weinstein(2018)의 접근법과 우리나라 상장기업과 은행간 대출자료를 이용하여 개별 은행의 신용공급 충격(idiosyncratic bank shocks)이 기업 단위 투자와 고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은행의 신용공급 충격은 은행차입 의존도가 높거나 대체 자금조달 수단이 부족한 기업들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기업이나 자본시장을 통한 자금조달 수단을 보유한 기업의 경우 신용공급 충격의 영향이 제한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거시경제 효과를 분석한 결과 개별 은행의 신용공급 충격은 금융위기 뿐만 아니라 평상시 경기변동 주기에서 경제 전체의 대출, 설비투자 및 고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신용공급 충격이 우리나라의 주요한 경기 변동요인 중의 하나로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중국에서 은행대출경로 : 중국 은행별 데이터를 이용한 분석

        전용복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4 산업혁신연구 Vol.30 No.1

        중국은 개혁개방 정책 이후 지속적으로 시장 친화적 개혁을 단행해 왔다. 특히 중국정부는 1998년 아시아 금융위기 이후, 개혁이 상대적으로 지체되어 있던 금융부문에 대해 포괄적이고 집중적인 개혁을 시행해 왔다. 하지만 중국경제 전문가들은 중국의 금융부문이 시장원리에 따라 운영되고 있는지를 두고, 서로 상반되는 견해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통화정책의 파급효과 가운데 하나인 은행대출경로의 유효성을 은행별 데이터를 이용해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연구결과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한다. 첫째, 중국 금융부문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국유상업은행과 합작상업은행에서 은행대출경로가 작동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은행 특성변수가 대출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일관된 패턴을 발견하기 어렵다. 이는 중국의 통화정책이 가격변수(기준금리) 및 시장기제 뿐만 아니라, 기타 비가격 조정에 크게 의존하고 있음을 함축한다. 이러한 가격조정과 비가격조정을 보다 명확히 구분하여 측정하는 것은 향후 연구의 과제일 것이다.

      • 통화정책과 증권시장의 이상현상

        김재거 ( Jae-geo Kim ),김동회 ( Dong Hoe Kim ) 한국금융공학회 2015 한국금융공학회 학술발표회 Vol.2015 No.2

        본 연구는 통화정책의 신용경로가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도 작동하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통화정책의 변화가 주식시장에 존재하는 이상현상을 설명하는 하나의 요인 인지를 분석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기업규모, B/M비율, 투자, 이익, 과거의 수익률 등 주식시장 이상현상의 변수들을 기준으로 분류한 포트폴리오들을 대상으로 통화정책의 충격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는 1999년 7월부터 2013년 12월까지를 분석기간으로 설정하고 분석방법으로는 VAR모형을 기초로 한 GIR함수를 이용한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B/M비율, C/P비율, E/P비율 및 D/P비율 등 가치변수를 기준으로 구분한 가치포트폴리오들에 대한 통화정책의 충격을 살펴보면, 금리인상시 가치주에 속한 포트폴리오가 성장주에 속한 포트폴리오보다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도 통화정책의 신용경로 중 대차대조표경로가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소형주가 대형주에 비해 통화정책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도 통화정책의 신용경로 중 은행대출경로가 작동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투자비중과 이익비중이 높은 포트폴리오가 더 높은 충격반응을 보여, 이러한 결과는 통화정책의 대차대조 표경로를 뒷받침한다고 볼 수 있다. 넷째, 과거 수익률을 기준으로 구분된 포트폴리오에 대한 통화정책의 충격반응은 단기 및 중기에서는 수익률 역전현상을, 장기에서는 모멘텀현상을 시사함으로써 전체적으로는 일관된 모습을 보이지 않아 주식시장에서의 과잉반응현상 적용여부에 대한 명확한 결론을 보여 주지는 못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도 대체로 통화정책의 신용경로가 작동하고 이를 통해 통화정책이 주식시장, 특히 주식시장의 이상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하나의 요인임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We examine whether Korean monetary policy changes affect the returns of stock fortfolios formed on the basis of their value, size and past performance characteristics in a different manner, in other words, whether monetary policy is related with stock market anomalies in Korea, for the period from July 1999 through December 2013.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value besed portfolios, value portfolios are more sensitive to growth portfolios, implying the siginificance of the balance sheet channel. Second, regading market value portfolios, small size company portfolios are more sensitive to big size portfolios, implying the siginificance of the bank lending channel. Third, regarding investment and profits besed portfolios, more investment and profits company portfolios are more sensitive to less company portfolios, implying the significance of the balance sheet channel. Fourth, regarding past performance characteristic portfolios, we cannot find the consistency of excess sensitivity mechanism. As a conclusion, we can find that the credit channel mechanism of monetary policy is in active and thus monetary policy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of determining stock market returns and also closely related with stock market anomalie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