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공정서를 가진 스마트폰용 인터랙티브 캐릭터 개발

        함준석 ( Jun Seok Ham ),여지혜 ( Ji Hye Yeo ),박성호 ( Sung Ho Park ),고일주 ( Il Ju Ko ) 한국감성과학회 2011 감성과학 Vol.14 No.4

        본 논문은 상황, 시간, 성격에 따른 정서적 특징이 반영된 인공정서를 개발하고, 이를 가진 인터랙티브 캐릭터를 스마트폰을 통해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의 인공정서는 외부의 정서적 자극과 내부의 욕구에 의한 정서 표현을 위해 정서 모듈과 추동 모듈을 갖는다. 정서 모듈은 시간, 성격, 서로 다른 정서 간의 상호관계에 따른 정서의 변화를 담당하는 모듈이다. 추동 모듈은 장시간에 걸친 욕구 변화에 따라 정서적 민감도에 영향을 주는 모듈이다. 또한 방어기제에 의한 정서표현을 위해, 정서를 정서모듈과 추동모듈에 영향을 받는 제 1경로와, 받지 않는 제 2경로로 나누어 처리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인공정서를 가진 인터랙티브 캐릭터를 스마트폰을 통해 개발하였다. 또한 동일한 입력이 주어졌을 때 상황, 시간, 성격에 따라 어떠한 정서적 차이를 갖고 표현을 하는지 시뮬레이션 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물은 인공정서를 가진 인터랙티브 캐릭터를 실제적으로 구현하고, 스마트폰을 통해 표현함으로서 인공정서의 개인화를 가능하도록 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paper purposes to develop an artificial emotion reflecting emotional features contains situations, time, and characteristics, also to develop an interactive character having this artificial emotion with a smart phone. The artificial emotion has an Emotion Module and Drive Module for expressing emotion according to external emotional stimulus and internal drive. The Emotion Module administrates emotions according to time, characteristic, interrelation between different emotions. The Drive Module controls sensitivities of emotion according to changing drives over long time. Also due to defence mechanism for expressing emotions, emotions are processed by two pathways: The first pathway which is affected by the Emotion Module and the Drive Module, and the second pathway that is not to be done. We developed an interactive character having the artificial emotion with this structure using smart phone. And we simulated the artificial emotion what differences there are according to situations, characteristic, and time under same input conditions. The result of this paper has meanings developing the interactive character having the artificial emotion actually, and making it possible to personalize an artificial emotion with expressing the artificial emotion using smart phone.

      • KCI등재

        심리학 기반 인공감정모델을 이용한 감정의 시각화 -햄릿의 등장인물을 중심으로-

        함준석 ( Jun Seok Ham ),여지혜 ( Ji Hye Ryeo ),고일주 ( Il Ju Ko ) 한국감성과학회 2008 감성과학 Vol.11 No.4

        감정은 수량, 크기, 종류를 측정하기 어려워 언어로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셰익스피어의 `햄릿`에서 주인공 햄릿의 경우 여러 가지 극적인 상황으로 인해 말로 표현하기 힘든 감정 상태를 가진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재의 감정 상태를 말 대신 위치와 색으로 시각화하여 표현하는 인공감정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햄릿`에 나오는 등장인물들의 감정을 시각화했다. 제안된 인공감정은 네 단계에 걸쳐 구성된다. 첫 번째 단계에선 감정을 인과관계에 따라 분석하여 어떤 종류의 감정자극이 얼마만큼 들어왔는지 분석한다. 두 번째 단계에선, 감정의 생성과 소멸을 표현하는 단위감정그래프를 제안하고, 이를 통해 들어온 감정 자극의 생성, 유지, 소멸을 성격에 따라 표현한다. 세 번째 단계에선 단위감정그래프를 이용하여 같은 종류의 연속된 감정자극을 표현하는 감정그래프를 제안한다. 그리고 감정별로 감정그래프를 하나씩 둬서 각 감정들의 생성과 소멸을 개별적으로 관리한다. 네 번째 단계에선 서로 다른 감정 간의 상호관계에 따라 감정별 감정그래프의 현재 감정을 복합하는 감정장을 제안하고, 감정장상의 위치와 위치에 따른 색으로 현재의 감정 상태를 표현한다. 제안된 인공감정으로 감정상태의 변화를 시각화해보기 위해 `햄릿`에서 등장인물인 햄릿과 거트루드의 감정변화를 인공감정을 통해 시각화하였다. We cannot express emotions correctly with only speech because it is hard to estimate the kind, size, amount of emotions. Hamlet who is a protagonist in `Hamlet` of Shakespeare has emotions which cannot be expressed within only speech because he is in various dramatic situations. So we supposed an artificial emotion, instead of expressing emotion with speech, expressing and visualizing current emotions with color and location. And we visualized emotions of characters in `Hamlet` with the artificial emotion. We designed the artificial emotion to four steps considering peculiarities of emotion. First, the artificial emotion analyzes inputted emotional stimulus as relationship between causes and effects and analyzes its kinds and amounts. Second, we suppose Emotion Graph Unit to express generating, maintaining, decaying of analyzed one emotional stimuli which is outputted by first step, according to characteristic. Third, using Emotion Graph Unit, we suppose Emotion Graph that expresses continual same emotional stimulus. And we make Emotion Graph at each emotions, managing generation and decay of emotion individually. Last, we suppose Emotion Field can express current combined value of Emotion Graph according to co-relation of various emotions, and visualize current emotion by a color and a location in Emotion Field. We adjusted the artificial emotion to the play `Hamlet` to test and visualize changes of emotion of Hamlet and his mother, Gertrude.

      • KCI등재

        드라마 대본 분석을 통한 등장인물의 성격이 반영된 인공정서 캐릭터 개발 - ``솔약국집 아들들``을 중심으로

        함준석 ( Jun Seok Ham ),이신영 ( Shin Young Rhee ),방그린 ( G Reen Bang ),고일주 ( Ii Ju Ko ) 한국감성과학회 2012 감성과학 Vol.15 No.2

        본 논문은 드라마 대본으로부터 성격을 추출해 내고, 추출된 성격을 인공정서 캐릭터에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드라마 대본을 이용하여 등장인물의 성격을 인공정서 캐릭터에 반영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드라마 대본에서 등장인물 별로 텍스트를 분리한다. 분리된 텍스트에 대하여 형태소를 분석하고, 분석된 형태소들을 정서단어 데이터베이스와 매칭하여 정서 단어를 추출한다. 추출된 정서 단어를 이용하여 지배정서를 분석한다. 분석된 지배정서를 인공정서의 성격을 결정하는 수식에 반영하여 캐릭터의 성격을 설정한다. 드라마 등장인물의 성격이 반영된 인공정서 캐릭터를 검증하기 위해 블라인드 테스트를 통해 사용자 평가를 진행하였다. 외관상 동일한 세 개의 인공정서 캐릭터에 각각 서로 다른 등장인물의 성격을 반영하였다. 그리고 사용자에게 세 개의 인공정서 캐릭터에 어떤 등장인물의 성격이 반영된 것인지 맞추도록 하였다. 평가 결과, 사용자들은 높은 비율로 정답을 맞추었고, 이를 통해 등장인물의 성격이 잘 반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looks to extract personality traits from the drama characters within a drama script, and to apply it them to a character that has an artificial emotion. The method of applying the personality of a character from a drama script is as follows. First, we separate a drama script into several pieces, by the characters therin. Next, we extract emotion-related terms by matching morphemes analysis and by using an emotion terms database. Next, we analyze a dominant emotion using extracted emotion terms. Finally last, we apply the analyzed dominant emotion to an equation pertaining to artificial emotion. We made progress in developing user evaluation that features blind testing, to verify that the artificial emotion character bears the personality of a drama character. We apply three drama character personalities to artificial emotion characters bearing the same appearance. The user had to match three artificial emotion characters and drama characters according to personality. The users had a high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thus confirming the efficacy of our method of applying a personality, using information from a drama script.

      • KCI등재

        (인공) 정서 시대의 과학적 정서 이론과 연기 테크닉의 문제 -알바 이모팅 테크닉을 중심으로-

        이강임 ( Lee Gang-im ) 한국드라마학회 2022 드라마연구 Vol.- No.68

        본 논문은 (인공) 정서 시대에, 다양한 사회적 영역에서 수렴적 이슈가 되고 있는 정서와 연기 테크닉을 연구한다. 필자는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가 우리의 실제 삶과 지배적 ‘젠더’ 개념의 틈에서 발생하는 ‘젠더 문제(gender trouble)’를 심층적으로 다루었듯이, 연기 창조 과정과 연기 테크닉 개발에 있어서, 기존 정서 개념과 현상학적으로 우리가 마주하는 정서 ‘사이’에서 발생하는 ‘정서 문제(emotion trouble)’를 다룬다; ‘정서의 소환,’ ‘정서 재현,’ ‘정서 동일화,’ ‘연기자의 감정선,’ ‘정서적 몰입,’ ‘진정성 있는 연기,’ ‘진짜 정서.’ 과학적 정서 이론의 계보를 살펴보면, 정서 개념은 크게, 본질주의적 정서 개념과 구성주의적 정서 개념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에는 내용적 차이가 존재하지만, 폴 에크만(Paul Ekman)과 수잔나 블로흐(Susana Bloch) 등이 속하는데, ‘보편적 기본 정서,’ ‘내재적 신경 다발,’ ‘순수 정서’와 같은 본질주의적 아이디어를 옹호한다. 본질주의적 접근의 특징은 ‘줄무늬 무지개’로 표현되는 확실하고 명확한 구분과 경계로서의 정서 개념이다. 한편, 정서의 구성주의적 입장을 지지하는 리사 펠드먼 배럿(Lisa Feldman Barret)과 마크 브라켓(Marc Brackett) 같은 인지심리 학자들은, 정서를 ‘스펙트럼으로 나타나는 무지개’처럼, 경계가 모호한 다양한 차이로 정의한다. 필자는 정서 문제에 과학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본질주의적 정서 개념을 비판하며, ‘구성’으로서의 정서 개념을 도출하는 배럿의 ‘구성된 정서 이론’을 살펴본다. ‘구성된 정서 이론’에서, 정서는 우리 몸마음의 신경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되며, 감각, 이미지, 사고, 언어 수행과 동시적으로 발생하는 과정이며, 우리 몸마음의 ‘행위’이다. 살아 숨 쉬는 연기자의 몸이, ‘제2의 몸,’ 즉 ‘가상의 몸’을 구성해서 가상 세계를 살아가는 연기 창조 과정에서, 정서는 언제든지 소환해서 불러낼 수 있고, 필요 없으면, 도로 갖다 놓을 수 있는 재현 가능한 그 어떤 것이 아니다. 뇌과학자이자 인지심리학자인 수잔나 블로흐는 본질주의적 정서 개념을 바탕으로, 연기자가 언제든지, 의지하는 대로, 정서를 유도하고, 관객에게 생생하게 전달할 수 있는, 비법 같은 알바 이모팅 테크닉(Alba Emoting Technique)을 제시한다. 필자는 드니 디드로(Denis Diderot)의 역설을 풀 황금 열쇠를 가질 수 있다고 약속하는 것처럼 들리는, 이 알바 이모팅 테크닉을 ‘구성된 정서 이론’의 전망에서 조명한다. 연기자의 가상의 몸에 숨을 불어 넣고 맥박을 뛰게 할 수 있을 만한 강력한 알바 메소드의 정서 효과기 패턴(Emotional Effector Pattern) 훈련은 그 매력만큼이나, 리스크 또한 적지 않다. 그러나, 무엇보다, 알바 이모팅 테크닉은 연기자가 상징적인 기호로서의 얼굴 표정이나, 제스처에 의존할 것이 아니라, 온전히 집중된 몸마음의 생리신체적 접근을 강조한다. 배럿의 구성된 정서 이론의 신경 메카니즘에서 바라보면, 테크닉의 체화는 신체적 근육의 움직임을 포함하는, 우리 세포와, 신경계, 내장을 변화시키는 재체화(reembodiment)이며, 우리 몸마음의 재구성(reconstruction)이다. 필자는 구성된 정서 이론의 입장에서, 알바 이모팅 테크닉의 본질주의적 태도를 비판하면서도, 알바 이모팅 테크닉의 생리신체적 접근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필자는 알바 이모팅 테크닉과 다른 체화 테크닉들, 즉 이미지 체화법, 신체적 행동법, 가상의 몸, 조형술, 뷰포인트 등의 다양한 테크닉들이, 어떠한 기초적 바탕과 원리에서 상호보완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 논의한다. In this paper, I deal with ‘emotion trouble,’ in a manner Judith Butler looks at the matter of gender. According to Burtler, we do not inherit gender, but we do perform our gender. Likewise, our emotions are not based on a bunch of neuronal bundles with which we react to our environment. Rather, our emotions are the active simulations of our bodymind from which we can predict our present and future against the harsh environment surrounding us. Truly, the matter of emotion is a converging issue throughout many disciplines and fields. We are witnessing the production of a human-like robot and an autonomous agent in terms of having a human-like artificial emotion. Even for the machines, compassion and empathy are the most valuable ethical grounds. As an acting teacher and a director, I face ‘emotion trouble,’ both in a class and in the theatre. What is an emotion? Or, in the way William James questions, where is an emotion? Why do we so care about our emotions? Why do the actors try hard to get right emotions during the course of storytelling? As a practitioner, how can I approach emotions being described as a spectrum of a rainbow? How can we control our emotions even though we do not know much about our emotions? In this paper, I examine ‘emotion trouble,’ especially, regarding an acting technique, focused on a specific acting technique called Alba Emoting Technique(AET) conceived by Susana Bloch. Against the theory of the constructed emotion, I look into the core system of ATE, Emotional Effector Patterns, which are constituted as triad of breathing, facial-expression, and posture.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new emotion paradigm, I examine the promises and hopes of ATE to unlock the Diderot’s paradoxes, not to reject ATE, but to reconsider the matter of embodiment of emotions from the ground.

      • KCI등재

        인공 지능에서 인공 감정으로‒감정을 가진 기계는 실현가능한가?‒

        천현득 한국철학회 2017 철학 Vol.0 No.131

        As artificial intelligence outperforms humans in some cognitive tasks which have been regarded as properly belonging to the human being, there is growing anxiety that people experience. Now, many people attempt to place the uniqueness of the humans in emotion rather than reason or intelligence. Since artificial emotions and emotional robots are emerging as new topics i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robotics, however, philosophical treatment of them is required. I begin with discussing what has motivated to develop emotional robots and why emotions matter in robotics. After reviewing the current status of emotional robots, I examine whether the emotion-possessing robots are possible. The possibility of artificial emotions depends on what emotions really are. Instead of stipulating the definition of emotions, I suggest criteria on which we can assign emotions to other people, animal, or alien objects including artificial agents by considering the key roles played by emotions in intelligent beings. On these criteria, I argue, it is unlikely for genuinely emotional robots to be realized in the near future. Still, even if emotional robots would not appear shortly, unidirectional emotional bonds with social robots equipped with some degree of autonomy are potentially detrimental, which ought to be seriously considered in an ethical discussion of robots. 인공 감정에 관한 철학적 탐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인간의 고유한 영역으로 간주되던 인지적 과제에서 기계의 추월을 염려하는 처지가 되자, 사람들은 이제 이성이 아니라 감정에서 인간의 고유성을 찾으려한다. 하지만 최근인공지능 로봇에 감성을 불어넣는 작업이 새로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이 글은 인공 감정의 실현가능성과 잠재적인 위험을 논의한다. 먼저, 감성 로봇의 개발 현황과 주요한 동기들을 개괄하고, 왜 로봇의 감정이 문제가 되는지 살펴본다. 진정한 감정-소유 로봇이 가능한지 검토하기 위해 감정을 선험적으로 정의하기보다는 감정이 수행하는 몇 가지 핵심 역할을 소개하고 이로부터 어떤 대상에 감정을 부여할 수 있는 기준들을 제안한다. 나는 이런 기준에 비추어 진정한 감정 로봇이 근미래에 실현될 가능성이 낮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감정-소유로봇이 등장하기 이전이라도, 어느 정도의 자율성을 가진 로봇과 맺는 일방적감정 소통은 잠재적으로 위험할 수 있으며, 이에 대비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초등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핵심역량 모델링

        조수경,최미설 핵심역량교육학회 2022 핵심역량교육연구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ncept of talent for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ra and to provide the foundation for designing the directiv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by modeling core competencies for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er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s initiated in public education. To this end, experts one-to-one interviews, focus group interviews, and Delphi surveys were repeatedly conducted, in which process, core competency components of elementary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were derived and validated. The core competenci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ncluded 15 competencies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understanding’ category, 8 competencies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category, and 8 competencies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ocial emotions’ category, resulting in a total of 31 competencies in 3 categories. As a result of the Delphi survey on the final draft, the overall response average was 3.66/4 points, the CVI average was 0.930, and the CVR average was 0.863, which exceeded the CVI minimum value of 0.70 and the CVR minimum value of 0.455. In particular, the validity and importance of the competencies of 'AI awareness', 'AI utilization'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understanding' category, ‘AI ethics problem recognition’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category, and 'human-AI collaboration', 'active self-management'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ocial emotions' category were found to be high. This study attempted to contribute to expanding the perspective beyond artificial intelligence principle education to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and social-emotional education through modeling of core competencies for elementary schoolers and presented the basis for the systematic perspective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t is also meaningful to lay the foundation for introducing competency-based convergence education into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본 연구는 인공지능 교육이 공교육에 도입되기 시작하는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인공지능 핵심역량을 모델링함으로써 인공지능 시대의 인재상을 명확히 하고, 인공지능 교육의 방향성 수립에 기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전문가 일대일 면담, 포커스 그룹 인터뷰, 델파이 조사 등 의견수렴 및 타당화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였고, 이러한 과정에서 초등 인공지능 교육의 핵심역량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인공지능 교육 핵심역량은 ‘인공지능 이해’ 범주에 15개 역량, ‘인공지능 윤리’ 범주에 8개 역량, ‘인공지능 사회정서’ 범주에 8개 역량이 포함되어 총 3개 범주 31개 역량이 도출되었다. 최종안에 대한 델파이 조사결과, 전체 응답평균 3.66/4점, CVI 평균 0.930, CVR 평균 0.863으로 CVI 최솟값 0.70과, CVR 최솟값 0.455를 상회하는 등 높은 공감대를 획득하였다. 특히, ‘인공지능 이해’ 범주의 ‘AI 인지’와 ‘AI 활용’, ‘인공지능 윤리’ 범주의 ‘AI 윤리 문제인식’, ‘인공지능 사회정서’ 범주의 ‘인간-AI 협업’과 ‘능동적 자기관리’ 역량의 타당도와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 맥락의 인공지능 교육 핵심역량 모델링을 통해 인공지능 이해 교육을 넘어 인공지능 윤리와 사회정서 교육까지로 시야를 넓히는데 기여하고자 하였으며, 초중등 인공지능 교육의 체계를 마련하는데 기초를 제시하였다. 또한 인공지능 교육에 역량중심 융합교육을 도입할 수 있도록 토대를 마련한 것에 의의를 가진다.

      • KCI우수등재

        인공 지능에서 인공 감정으로

        천현득(Hyundeuk Cheon) 한국철학회 2017 철학 Vol.0 No.131

        인공 감정에 관한 철학적 탐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인간의 고유한 영역으로 간주되던 인지적 과제에서 기계의 추월을 염려하는 처지가 되자, 사람들은 이제 이성이 아니라 감정에서 인간의 고유성을 찾으려한다. 하지만 최근 인공지능 로봇에 감성을 불어넣는 작업이 새로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이 글은 인공 감정의 실현가능성과 잠재적인 위험을 논의한다. 먼저, 감성 로봇의 개발 현황과 주요한 동기들을 개괄하고, 왜 로봇의 감정이 문제가 되는지 살펴본다. 진정한 감정-소유 로봇이 가능한지 검토하기 위해 감정을 선험적으로 정의하기보다는 감정이 수행하는 몇 가지 핵심 역할을 소개하고 이로부터 어떤 대상에 감정을 부여할 수 있는 기준들을 제안한다. 나는 이런 기준에 비추어 진정한 감정 로봇이 근미래에 실현될 가능성이 낮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감정-소유 로봇이 등장하기 이전이라도, 어느 정도의 자율성을 가진 로봇과 맺는 일방적 감정 소통은 잠재적으로 위험할 수 있으며, 이에 대비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주장한다. As artificial intelligence outperforms humans in some cognitive tasks which have been regarded as properly belonging to the human being, there is growing anxiety that people experience. Now, many people attempt to place the uniqueness of the humans in emotion rather than reason or intelligence. Since artificial emotions and emotional robots are emerging as new topics i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robotics, however, philosophical treatment of them is required. I begin with discussing what has motivated to develop emotional robots and why emotions matter in robotics. After reviewing the current status of emotional robots, I examine whether the emotion-possessing robots are possible. The possibility of artificial emotions depends on what emotions really are. Instead of stipulating the definition of emotions, I suggest criteria on which we can assign emotions to other people, animal, or alien objects including artificial agents by considering the key roles played by emotions in intelligent beings. On these criteria, I argue, it is unlikely for genuinely emotional robots to be realized in the near future. Still, even if emotional robots would not appear shortly, unidirectional emotional bonds with social robots equipped with some degree of autonomy are potentially detrimental, which ought to be seriously considered in an ethical discussion of robots.

      • KCI등재

        인공지능과 감정지능 - 누스바움의 감정론을 중심으로 -

        이선 ( Lee Sun )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건지인문학 Vol.0 No.19

        This paper tries to elucidiate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First of all, this paper considers possibilities and limi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rtificial Intelligence can`t learn the ability to feel. According to Martha C. Nussbaum`s theory of emotions, emotions are cognitive and valuable judgment. In the one hand, emotions are cognitiv, because emotions perceive external goods in despites of uncontrollability. In the other hand, emotions are valuable, because the judgment of emotions ist oriented to external objects and the world. Furthermore, she defines emotions as eudaimonistic because they are concerned with the flourishing and well-being of the agent. The eudaimonistic judgment of emotions constitutes an ethical form of emotions compared to Aristotle`s eudaimonia. Finally, this paper seeks to show a new way of intelligence through emotional in-telligence in Nussbaum`s theory of emotions.

      • KCI등재

        Hume의 이론에 있어서 정서와 도덕

        박종훈 ( Chong Hoon Park ) 한국윤리학회 2010 倫理硏究 Vol.78 No.1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emotion and morality in Hume`s theory.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ly, in Hume the concept of ``sentiment`` implies the perceptive faculty including original feeling and reflective impression; the concept of ``emotion`` implies the reflective impression, one part of our sentiment; and the concept of ``passion`` means the violent reflective impression, one part of our emotion. Secondly, because in Hume the moral sentiment is formed by the mixture of the calm passion as a part of passion and the calm reflective impression, not falling under the passion, eventually our moral sentiment becomes derived from our emotion. And we can know that the faculty of sympathy making us form the artificial virtues in our emotion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for the forming of the moral sentiment. Thirdly, Hume`s theory about the correction of sympathy clarifies that the emotion as the moral sentiment has the quality concerning the socialization of emotion. Through this theory of Hume, we can confirm that the morality is closely related with the emotion. Finally, the something else which becomes newly found especially in the course of this study is that Hume sets up the intermediate stage in the process of separation or division of certain things. Here all intermediate stages include the elements of the ends of both sides and the opposite elements exist as the middle stages on the linear continuity. Therefore, we can see Hume show that the intermediate stages as such inevitably exist in the domain of human life.

      • KCI등재후보

        비행슈팅게임 게임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인공감정의 개발과 적용

        함준석,고일주,박준형 (사)디지털산업정보학회 2008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4 No.1

        I Previous scrolling-shooter games connot represen various emotions of charaters as a personality and situations, so it can only represent simple and momentary emotions. This paper purpose to develop and applying an artifical emotion which gives emotional reponses and actions to charater as a persnality and situations of a character. So We proposed an artificial emotion that receives emtional stimulus, analyzes what emotion will be generated, controls various emotions by a personality and time, and exports a curren emotion. To visualize and to test an artificial emotion, We made a scrolling shooter game which has two characters who have a different personality each other. And we applied an artificial emotion to that game, modified it to be able to change status as emotions. To estimate a satisfaction of a artificial emotion for a scrolling-shooter game, we made up a question to two groups-one has people who likes a scrolling shooter game, the other has people who does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