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he Mediating Effect of Acculturative Stress on the Acculturation-Depression Relationship among Korean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Yunjin Oh,Jee-Sook Lee 호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인간과사회 Vol.30 No.-

        본 연구는 재미 한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문화적응 스트레스, 우울증의 관계를 조사하고, 또한 문화적응정도와 우울증사이에서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매개요인으로 작용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학생들에게 가장 높은 문화적응 스트레스 요인으로 나타난 항목은 그 중요도에 따라 학업실패에 대한 두려움, 학과 경쟁, 영어능력, 미래직업에 관한 항목들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적응정도가 낮을수록 문화 적응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문화적응정도와 우울증사이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재미 한인유학생의 우울증 예측에 있어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재미 유학생의 문화적응 정도와 우울증사이에서 매개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높은 문화적응은 낮은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야기하게 되고 이는 다시 재미 유학생의 우울증을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술된 연구한 계에도 불구하고 재미 한인유학생의 미국문화적응을 이해하는 기회를 제공했으며 문화 적응 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서비스제언을 포함하고 있다. The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acculturation, acculturative stress, and depression among Korean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acculturative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level and depression was tested Findings included: (1) most identified stressors were in the chronological order of fear of academic failure, academic competition, English proficiency, and future career: (2) students with less acculturation experienced high acculturative stress, whereas no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acculturation and depression: (3) acculturative stress strongly predicted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students: and (4) acculturative str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and dep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high acculturation may result in less acculturative stress, thereby decreasing the likelihood of Korean students experiencing depressive symptoms. Although the study presents some limitations, it provides a rare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acculturation process of Korean students in the U.S. The study also suggests the need for providing the specialized services so that the students can better cope with acculturative stress.

      • KCI등재

        한국 내 다국적기업 해외 자회사 현지 매니저의 문화적응 유형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유치연,박영수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2 경영컨설팅연구 Vol.22 No.5

        본 연구의 목표는 한국 내 다국적기업 해외 자회사 현지 매니저의 문화적응 유형을 분류하고, 문화적응 유형에 따라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어 떻게 다르게 나타나는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지 매니저의 문화적응 유형이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될 것이라는 가설과 문화적응 유 형에 따라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 검증을 위해 한국 내 다국적기업 해외 자회사에 근무 중인 현지 매니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 된 설문조사 자료를 토대로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분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한국 내 다국적기업 해외 자회사 현지 매니저의 문화 적응 유형은 네 가지 유형(통합, 동화, 분리, 비주류)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지 매니저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네 가지 문화적응 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합 유형에 속한 현지 매니저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한국 내 다국적기업 해외 자회사 현지 매니저의 문화적응 유형을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 고, 현지 매니저의 문화적응 유형에 따라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다르게 나타남을 실증분석한 연구로서 학문적 시사점을 가진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 내 다국적기업 해외 자회사의 성공적 운영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identifying acculturation types of host country managers (HCMs) working at MNC subsidiaries in Korea. Second, this study examine the difference of HCMs’ acculturative stress according to their acculturation types. For this purpose, we set the hypothesis as follows. First, we suggest the four types of HCMs’ acculturation is partitioned between themaintenance of heritage culture and identity and the relationship sought among groups: integration, assimilation, separation, marginalization. Second, we suggest that the acculturative stress of HCMs are different according to four types of their acculturation. To verify these hypothesis, we conducted latent profile analysis (LPA) a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on the data from 643 HCMs belonging to 60 MNC subsidiaries in Korea originate from11 countries.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Frist, the HCMs’ acculturation is categorized four types as integration, assimilation, separation, marginalization. Second, the HCMs’ acculturative stress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four types of their acculturation, especially the HCMs that is belonging to the integration type shows the lowest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identifying four types of HCMs’ acculturation and examine the difference of HCMs’ acculturative stress according to four types of their acculturation. Second, this study provides the useful information for the manager ofMNC subsidiaries in Korea.

      • KCI등재

        결혼 이주 여성의 문화변용, 문화 적응 스트레스 및 우울의 관계

        김현실 한국보건사회학회 2012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3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living in Daegu and Kyungpook area, and to identify the impacts of acculturative stress and pattern of acculturation on their depression in this population. Methods: Research objectives were accomplished by conducting an anonymous questionnaire survey with 173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18.0. Results:Women who received higher monthly income and perceived higher level of recognition about their mother country and their culture by Korean reported less depression compared to women receiving low monthly income and perceiving lower level of recognition about their mother country and their culture by Korean. Women who perceived lower level of recognition about their mother country and their culture by Korean reported also higher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than women perceiving higher level of recognition about their mother country and their culture by Korean. The patterns of acculturation among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living in Daegu and Kyungpook area appeared separation, marginalization, assimilation, and integration in that order. Assimilation and integration among the patterns of acculturat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cculturative stress, but separation and marginaliza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cculturative stress.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depress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those who reported greater acculturative stress tended to report higher levels of depression.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depression were acculturative stress and acculturation showing 44.6% of the variance in depression.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 the author suggest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social service program based on the women's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and the patterns of acculturation. 본 연구에서는 대구ㆍ경북지역에 거주하는 173명의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우울, 문화 변용, 문화 적응 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대상자의 국적은 베트남, 평균연령은 20-29세, 한국 거주기간은 2년 이상 4년 미만, 학력은 중학교 졸업, 종교는 불교, 가족 월수입은 100-200만원, 결혼 동기는 ‘잘 사는 나라에서 살고 싶어서’, 남편 소개 경로는 결혼중개업체를 통하여, 자녀 수는 한 자녀가가장 많았다. 사회 인구학적 변수 중 월수입이 높을수록, 자신의 모국과 모국문화에 대하여 한국인의인지도가 높다고 지각할수록 우울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국과 모국 문화에 대한 한국인의 인지도가 낮을수록 문화 적응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우울정도에 따른 문화변용 유형 및 문화적응 스트레스에서의 평균 차이 분석 결과 정상집단은 우울집단 보다 통합이 유의하게 높은 반면 주변화는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우울집단은 정상집단보다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경북 지역 거주 결혼이주여성의 문화 변용 유형은 분리, 주변화, 동화, 통합의 순으로 높은점수를 보였다. 결혼 이주 여성의 문화변용 유형과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문화변용 유형과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포함시켰을 때 설명력44.6%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향후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정도 및 문화적응 유형별 사회 지원 및 사회 적응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있었다.

      • 결혼이주여성의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요인 연구

        박연희(Park Yeon hee) 한국복지실천학회 2014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5 No.1

        결혼이주여성들은 자신들의 행복한 삶을 위해 국제결혼을 결심한다. 이들은 결혼과 함께 이주하여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면서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직면하게 된다. 또한 결혼이주여성들은 가족의 구성원으로 적응하는 단계에서도 가족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들은 남편과 시부모, 자녀와의 관계, 경제적 어려움, 건강상의 문제 등 가족적 요인들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즉 가족관계 스트레스와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결혼이주 여성의 가족건강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결혼이주여성의 낮은 수준의 가족건강성은 그 가족 구성원 전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 대상으로 가족건강성을 증진시키는데 기본적인 관심을 가진다. 이를 위해 결혼이주여성의 가족건강성이 어떠한지를 파악하고 가족관계 스트레스 및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그 결과를 토대로 결혼이주여성의 가족건강을 유지하고 증진을 위한 가족복지와 다문화복지의 분야에 기초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바람직한 다문화 가족복지 프로그램 개발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상과 같은 필요성을 바탕으로 서울·경기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최종 289부의 설문지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가족관계 스트레스, 문화적응 스트레스 그리고 가족건강성에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이 인식하게 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낮고 높음의 차이가 가족관계 스트레스 영향 정도에 대한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가족관계 하위요인인 남편관계 스트레스, 자녀관계 스트레스, 시부모관계 스트레스와 경제관련 스트레스 그리고 건강관련 스트레스 모두 결혼이주여성이 인식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고 낮음에 따라 통계적으로 영향관계가 있었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결혼이주여성이 인식하게 되는 가족관계 스트레스가 낮고 높음의 차이가 문화적응 스트레스 영향 정도에 대한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결혼이주여성이 인식하는 가족관계 스트레스가 높고 낮음에 따라 통계적으로 영향관계가 있었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결혼이주여성이 인식하게 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가족건강성에 영향 정도에 대한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결혼이주여성이 인식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고 낮음에 따라 영향관계가 있었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결혼이주여성이 인식하게 되는 가족관계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가족건강성에 영향 정도에 대한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가족건강성을 구성하는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문제해결능력, 대화기술, 가족원간의 가치체계공유들은 결혼이주여성이 인식하는 가족관계 스트레스가 높고 낮음에 따라 통계적으로 영향관계가 있었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가족원과의 유대 요인은 결혼이주여성이 인식하는 가족관계 스트레스가 높고 낮음에 따라 통계적으로는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간적 범위의 제한을 가지고 시작하여 우리나라 전체의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향후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에 걸친 전체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Married migrant women decide the international marriage for their happy lives. They face acculturative stress as they move with their marriage and adapt themselves to new environments. Additionally, married migrant women have family problems also in the procedure of adapting themselves as a family member. These problems are closely related with various family factors including the relationships with husband, parents-in-law and children, economic difficulties and health problems. In other words, family stress and acculturative stress give influences on the family strengths of married migrant women. Low level of family strengths of the married migrant women gives serious influences on all family members. Therefore, this study has a basic interest to improve the family strengths targeting married migrant women. For this, family strengths of married migrant women are to be identifi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ss, acculturative stress and family strengths are to be investigate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has an objective to provide the basic data in the areas of family welfare and multiple culture welfare to maintain and improve family health of married migrant women and at the same time, to develop the desirable family welfare program. Based on this necessity, married migrant women who are currently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areas were targeted as study subjects. 289 final survey papers were used in this study and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married migrant women were identified to have influencing relationship influences in family stress, acculturative stress and family strengths. Second, difference analysis was conducted about the levels of differences in acculturative stress which the married migrant women are aware on the influencing levels of family stress. Study results showed there are statistical influencing relationship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categories of the relationship stress with husband, children and parents-in-law and economic and health stress which are all subcategories of family relationships according to the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that the married migrant women understand. Third, difference analysis was conducted about the influencing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according to the level of family stress that married migrant women understand. Study results showed statistical influencing relationship an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family stress that married migrant women understand. Fourth, difference analysis was conducted about the influencing level of family strengths according to the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that married migrant women understand. Study results showed statistical influencing relationship an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that married migrant women understand. Fifth, difference analysis was conducted about the influencing level of family strengths according to the level of family stress that married migrant women understand. Examining the subcategories composing the family strengths, study results showed that problem solving capabilities, communication skills and value system sharing between family members had statistical influencing relationship an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level of family stress. However, boding factors between family members were identified to have no statistical influencing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level of family stress. This study starts with the spatial range limit, so there are limits to generalize the country-wide targeting married migrant wome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it is necessary to put all the married migrant women in the future long-term study.

      • 다문화가족여성의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요인 연구

        정신섭(Jung, Shin Sub) 한국복지실천학회 2021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여성 대상으로 가족건강성을 증진시키는데 기본적인 관심을 가진다. 이를 위해 가족건강성이 어떠한지를 파악하고 가족관계 스트레스 및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그 결과를 토대로 결혼이주여성의 가족건강을 유지하고 증진을 위한 가족복지와 다문화복지의 분야에 기초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바람직한 다문화 가족복지 프로그램 개발을 모색하는데 있다. 서울 ․ 경기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을 연구대상으로 삼았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가족관계 스트레스, 문화적응 스트레스 그리고 가족건강성에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낮고 높음의 차이가 가족관계 스트레스 영향 정도에 대한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가족관계 하위요인인 남편관계 스트레스, 자녀관계 스트레스, 시부모관계 스트레스와 경제관련 스트레스 그리고 건강관련 스트레스 모두 결혼이주여성이 인식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고 낮음에 따라 통계적으로 영향관계가 있었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관계 스트레스가 낮고 높음의 차이가 문화적응 스트레스 영향 정도에 대한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결혼이주여성이 인식하는 가족관계 스트레스가 높고 낮음에 따라 통계적으로 영향관계가 있었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문화적응 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가족건강성에 영향 정도에 대한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결혼이주여성이 인식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고 낮음에 따라 영향관계가 있었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문제해결능력, 대화기술, 가족원간의 가치체계공유들은 결혼이주여성이 인식하는 가족관계 스트레스가 높고 낮음에 따라 통계적으로 영향관계가 있었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가족원과의 유대 요인은 결혼이주여성이 인식하는 가족관계 스트레스가 높고 낮음에 따라 통계적으로는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Married migrant women decide the international marriage for their happy lives. They face acculturative stress as they move with their marriage and adapt themselves to new environments. Additionally, married migrant women have family problems also in the procedure of adapting themselves as a family member. These problems are closely related with various family factors including the relationships with husband, parents-in-law and children, economic difficulties and health problems. In other words, family stress and acculturative stress give influences on the family strengths of married migrant women. Low level of family strengths of the married migrant women gives serious influences on all family members. Therefore, this study has a basic interest to improve the family strengths targeting married migrant women. For this, family strengths of married migrant women are to be identifi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ss, acculturative stress and family strengths are to be investigate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has an objective to provide the basic data in the areas of family welfare and multiple culture welfare to maintain and improve family health of married migrant women and at the same time, to develop the desirable family welfare program. Based on this necessity, married migrant women who are currently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areas were targeted as study subjects. 289 final survey papers were used in this study and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married migrant women were identified to have influencing relationship influences in family stress, acculturative stress and family strengths. Second, difference analysis was conducted about the levels of differences in acculturative stress which the married migrant women are aware on the influencing levels of family stress. Study results showed there are statistical influencing relationship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categories of the relationship stress with husband, children and parents-in-law and economic and health stress which are all subcategories of family relationships according to the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that the married migrant women understand. Third, difference analysis was conducted about the influencing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according to the level of family stress that married migrant women understand. Study results showed statistical influencing relationship an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family stress that married migrant women understand. Fourth, difference analysis was conducted about the influencing level of family strengths according to the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that married migrant women understand. Study results showed statistical influencing relationship an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that married migrant women understand. Fifth, difference analysis was conducted about the influencing level of family strengths according to the level of family stress that married migrant women understand. Examining the subcategories composing the family strengths, study results showed that problem solving capabilities, communication skills and value system sharing between family members had statistical influencing relationship an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level of family stress. However, boding factors between family members were identified to have no statistical influencing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level of family stress. This study starts with the spatial range limit, so there are limits to generalize the country-wide targeting married migrant wome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it is necessary to put all the married migrant women in the future long-term study.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자녀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부모효능감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유지애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원 2023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Vol.8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f marriage migrant women’ acculturative stress on children’ acculturative stress. Also,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ter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on relationship between marriage migrant women’ and children’ acculturative stress. The data analyzed in this study were obtained from the Wave 1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Ⅱ) of fourth-grad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 total of 2,224 respondents were selected as final subjects.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rriage migrant women’ acculturative stres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 acculturative stress. Second, marriage migrant women’ acculturative stress was found to have moderating effect by parental efficacy on children’ acculturative stress. Specifically, the greater the level of parenting efficacy, the smaller the influence of acculturative stress of marriage migrant women on children's acculturative stress. On the contrary, it was confirmed that the lower the level of parenting efficacy efficacy, the stronger the degree of influence of marriage migrant women's acculturative stress on their children's acculturative str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measures were discussed to lower the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of marriage migrant women and their children and to increase parental efficacy.

      • KCI등재

        조기 해외 유학 아동과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적응: 문화적응이론에 근거하여

        권미경,이순형 한국인간발달학회 2010 人間發達硏究 Vol.17 No.1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s of South Korean students who undertook Early Study Abroad (ESA) in a different culture. This study focused on two aspects of their stress levels; their daily life stress which they feel as students and the acculturative stress which they feel as people from a different culture. This was done in order to examine ESA’s psychological and school adjustment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xpecting factors, the stresses, and their adjustment in the different age groups. The participants were 618 ESA coming from five different countries. The statistical methods adopted for the data analysis were multiple regression and the 2 stage least squares metho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 First, students did not experience much daily life stress nor acculturative stress. However, the two aspects of stress play an important part in describing their adjustment. Second, the daily life stress and the acculturative stress were negatively related to the level of self respect, the level of self control, and positively related to the level of push factors in all ages. Third, the influential variables affecting school adjustment were the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and the satisfaction with life as a student abroad. Fourth, the influence of the country in which the student studies makes a difference only in the stress level of the elementary group. The influence of sexual differences was only revealed in the stress levels of the adolescent group. Lastly, the level of daily life stress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explaining the adjustment of the elementary group. The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explaining the adjustment of the adolescent group.

      •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사회적지지가 문화적응스트레스와 부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한우,송형철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15 기업경영리뷰 Vol.6 No.2

        This study is intended for social support of immigrant women from 284 people in China, the Philippines, Vietnam, living in a rural area of South Jeolla Province with respect to the validation study on the impact of the couple between adaptation and acculturation stress . Examined the differences in acculturation stres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immigrant women, Professional women's presence in the form of marriage and marriage duration Korean class immigrant women Religion ,'whether acquired nationality Korea, 'South Korea period of stay, ''my education ',' family monthly income, and variab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ther words, women with women with the lowest acculturation job was found to have a stress, showed that the level of your better Korean women have a relatively low stress culture adaptation. The average monthly family income is more to play with high income showed fewer cases of acculturation stress. Looking at the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immigrant women, family monthly income "variabl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mmigrant women discuss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ouple commun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average monthly income of the family'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statistically. Looking at the difference of a couple of adaptation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immigrant women 'marriage duration', 'Korea period of stay,' 'my academic' and 'vocational absence of women'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statistically. In case of their husband is a farmer, it shows higher acculturation stress compared to other occupational groups viewed the difference between acculturation stress due to husband's job. If you have any reason to provide a varie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her husband's job is to reduce the stress of acculturation to immigrant women should care for immigrant women farmer should be always in mind the problems of inconvenient transportation. You also need to visit a service to the community they live in should be a little more active. 본 연구는 전라남도 지역의 농촌에 거주하는 중국, 필리핀, 베트남 등의 출신의 결혼이주여성 284명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가 문화적응스트레스와 부부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한 연구이다. 결혼이주여성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문화적응스트레스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여성의 직업유무, 결혼기간과 혼인형태, 한국어수준, 종교, 한국국적취득여부, 한국체류기간’, 학력, 가족월평균소득 등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직업을 가진 여성이 가장 낮은 문화적응스트레스를 보였으며, 한국어 수준이 좋아진 여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월평균수입이 높을수록 수입이 적은 경우보다 높은 문화적응스트레스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월평균소득에 따라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사회적지지와 부부의사소통의 차이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결혼이주여성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부 적응의 차이는 결혼 기간, 한국체류기간, 본인학력 및 여성의 직업유무 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남편이 농부인 경우가 다른 직업군에 비하여 높은 문화적응스트레스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 등 결혼이주여성에게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하며, 특히 농촌에서는 불편한 교통의 문제도 고려해야한다. 또한 이들이 살고 있는 지역사회로 찾아가는 서비스도 좀 더 활성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재한 몽골 중.고등학생의 한국어 능력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문화적응 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Jambal Minjinlkh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4

        목적 본 연구는 재한 몽골 중⋅고등학생의 한국어 능력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문화적응 유형의 조절효과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독립변인은 한국어 능력, 종속변인은 문화적응 스트레스, 조절변인으로 문화적응 유형을 설정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으로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방법 본 연구의 모집단은 재한몽골학교 중⋅고등학생이고, 비확률적 표본추출방법으로 52명(남자: 32명, 여자 20명)을 추출하여 2021.05.10.-2021.05.14.일까지 자료를 수집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기술통계, 상관분석,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연구 가설을 검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능력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관계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한국어 능력은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어 능력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관계에서 문화적응 유형인 통합, 동화, 분리, 주변화 중 통합유형에서만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한국어 교육 향상 방안으로 방과 후 시간에 문화를 통한 한국어 교육을 추가할 필요가 있고, 재한몽골학교 교육과정을 통합 유형으로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즉 학생들의 한국어 능력 향상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한국문화에 대한 적응력을 높일 수 있도록 정책적⋅제도적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moderating effect of acculturation type on the effect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n acculturation stres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level of proficiency in Korean, the dependent variable was acculturation stress, and the acculturation type was set as the conditioning variable, and the moderating effect was examined through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Methods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is Mongoli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and 52 people (32 men and 20 women) were extracted using a non-probable sampling method and collected data from 2021.05.10.- 2021.05.14.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general characteristic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proficiency and the stress of acculturation showed a negative (-) correl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Korean proficiency had a negative (-) effect on acculturation stress. Third, among the acculturation types, integration, assimilation, separation, and marginalization,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only in the integration type in relation to the l Korean proficiency and the stress of acculturation. Conclusions To improve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add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culture to after-school classroom teaching, and the curriculum in International Mongolia School should be implemented as an integrated type.

      • KCI등재

        다문화가정 중학생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또래관계와 문화적응 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정민 ( Min Jeo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4

        본 연구 목적은 다문화가정 중학생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을 밝혀내고 변인들간의 관계를 살펴 다문화가정 중학생들의 적응을 돕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다문화가정 중학생 211명이며 연구 도구는 부모-자녀 의사소통, 또래관계의 질, 자아탄력성, 문화적응 스트레스이다. 연구 분석을 위해 SPSS 22.0, Amos 22.0을 사용하여 상관관계와 구조모델을 살펴보았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자녀 의사사통, 또래관계, 자아탄력성, 문화적응 스트레스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간에 자아탄력성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또래관계와 문화적응 스트레스 간에 자아탄력성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자녀 의사소통, 또래관계,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구조모델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문화가정 중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관련 요인들의 경로를 밝혔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help middle school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to figure out the factors related to acculturation stress. The participants were 211 middle school students. All the students administered four scales,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friendship quality questionnaire, ego-resilience, and acculturation stress scale. The correlation and structural model were analyzed by SPSS 22.0 and Amos 22.0.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y were significantly related among parents-adolescent communication, friendship quality, ego-resilience and acculturation stress. Second, ego-resilience exerted as mediating variable between parents-adolescent communication and acculturation stress. Third, ego-resilience exerted as mediating variable between peer relation and acculturation stress. Fourth, the structural model was found to be valid relation to acculturation stress. This research suggested implications regarding the path of factors related to acculturation stress for middle school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