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활동과 환경에 대한 청소년지도사의 혁신적 요구

        전명순 ( Jeon Myong Sun )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1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7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지도사의 청소년활동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여 청소년활동의 방향성을 찾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론/접근: 이를 위해 청소년지도사 88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지도사의 활동환경, 활동정책발굴 등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청소년지도사 7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지도사의 활동환경상황, 여건, 향후 핵심과제발굴 등을 위한 FGI를 실시하였다. 결과/결론: 첫째, 청소년지도사는 연령이 높을수록, 근무기간이 길수록 전략수립에 많은 고민을 하고 있었다. 둘째, 청소년시설은 대체적으로 청소년을 위한 사업을 하기 위한 중장기 전략과 구체적인 실현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고, 그로 인한 청소년의 균형잡힌 성장을 이루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었다. 셋째, 청소년지도사가 지각하는 청소년활동의 요구도에 있어서 청소년지도사는 거의 모든 영역에서 활동의 중요성이 높다고 보았다. 특히, 자기주도활동의 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혁신, 4차산업 등 신기술적 관점에 대한 필요인식을 높게 나타냈으며, 청소년들의 체험적 영역에서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코로나19시대 비대면활동추진을 위해 청소년지도사는 중요한 지원으로 장비의 직접지원에 대한 요청과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자료가 모여있는 플랫폼의 구성이 매우 중요함을 나타냈다. 다섯째, 청소년지도사는 지방자치단체가 청소년 정책에 대한 미래의 비전수립을 하고, 청소년정책 담당공무원이 정책에 대한 인식을 가져야 함을 요구하였다. 여섯째, 청소년시설과 학교연계 활동을 해 나가기 위해 실질적인 학교연계가 가능한 플랫폼 구성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일곱째,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시대에 활동활성화를 위해 청소년의 건강성 수준에 대한 욕구조사를 실시하고, 활동지원을 위한 인프라구축이 이루어져야 함을 나타냈다. 어덟째, 지역의 상황을 고려한 활동여건을 조사하여 청소년활동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시사점: 청소년지도사의 청소년활동에 대한 요구를 알고, 청소년지도사의 활동여건 파악과 현장 적용성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Background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rection of youth activities by identifying the needs of youth instructors for youth activities. Methodology/Approach: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88 youth instructors to discover the activity environment and activity policies of youth instructors, and FGI was conducted on seven youth instructors to discover the environment, conditions, and future core tasks. Findings/Conclusions: First, the older the youth instructors, the longer they worked, the more they were concerned about establishing strategies. Second, youth facilities are generally striving to find mid- to long-term strategies and concrete realization methods for conducting projects for youth, and thereby, making efforts to achieve a balanced growth of youth. Third, in the demands of youth activities perceived by youth instructors, youth instructors saw that the importance of activities is high in almost all areas. In particular, the demand for self-directed activities was the highest, and the need for new technology perspectives such as innovation and 4th industry was high, and the necessity was high in the experiential area of youth. Fourth, for the promotion of non-face-to-face activities in the era of Covid-19, youth instructors indicated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construct a platform where requests for direct support of equipment and data constituting the program are gathered as an important support. Fifth, the youth instructor demanded that local governments establish a future vision for youth policy and that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youth policy should be aware of the policy. Sixth, in order to carry out activities related to youth facilities and schools, it was deemed necessary to construct a platform capable of practical school connection. Seventh, it was indicated that in order to revitalize activities in the non-face-to-face era due to Covid-19, a desire to find youths' health level should be conducted, and infrastructure should be established to support activities. Eighth, it was considered necessary to provide youth activities by investigating the activity condi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local situation. Implic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youth instructor's demands for youth activities, and to grasp the youth instructor's activity conditions and increase the applicability in the field.

      • KCI등재

        A Study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Youth Activities for the Introduc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 Lee Hae Gyoung ),( Son Jin Hee )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1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7 No.4

        목적: 청소년활동현장을 탐색하여 고교학점제의 성공적인 도입을 위한 추진 방안을 제언하는 것이다. 방법론/접근: 이를 위해 청소년시설에서 근무하는 청소년지도자와 청소년관련학을 전공하고 있는 예비청소년지도자 300명에게 고교학점제 도입에 대한 청소년활동의 중요도와 실행도를 확인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PA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결론: 첫째, 청소년활동현장이 고교학점제를 성공적으로 도입하기 위해 “전문지도자를 활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다음으로는 “다양한 활동개설”,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운영”, “효율적 활동환경구축”, “타 기관 연계형 공동교육과정 운영” 등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해 청소년활동현장에서 실행하고 있는 것은 “전문지도자 활용”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진로활동 내실화”, “청소년활동 중심으로 수업 개선”, “효율적 활동환경 구축”, “온라인 공동교육과정운영”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IPA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중요도가 높지만 실행이 이루어지지 않은 중점개선 영역에는 “다양한 활동개설”, “타 기관 연계형 공동교육과정 운영”이 포함되었다. 고교학점제를 위해 중요한 요소이면서 청소년활동현장에서 충분히 실행되고 있는 유지강화영역에는 “다양한 활동개설”,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운영”, “지역 기관 및 단체를 활용한 수업 운영”, “전문지도자 활용”, “효율적 활동환경 구축”이 있었다.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낮은 점진개선영역에는 “희망 활동 수요에 대한 사전 조사”, “과정중심평가 활성화”가 포함되었다. 중요도는 낮지만 실행도가 높은 지속유지 영역에는 “개설 활동에 대해 청소년이 직접 신청”, “청소년활동 중심으로의 수업 개선”이 있었다. Purpose: We propose a promotion plan for the successful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y exploring youth activities. Methodology: To this en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ere confirmed to 300 youth leaders and prospective youth leaders majoring in youth-related stud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IPA technique. Findings: First, it is most important to use professional youth workers to successfully prepare for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the youth activity field. Next, various activities, online joint curriculum operation, efficient activity environment establishment, and joint curriculum operation linked to other institutions were considered important. Second, most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what is being implemented in the youth activity field to introduc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s the use of professional leader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areer activities were internalized, classes were improved, efficient activity environment was established, and online joint curriculum was operated, focusing on youth activities. Third, looking at the IPA analysis results, opening various activities and operating other institutions-linked joint curriculum were included in the areas of key improvement that were important but not implemented. Areas of maintenance and reinforcement, which are important factors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are fully implemented in youth activities, included opening various activities, operating classes using local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using professional youth workers, and building an efficient activity environment. The areas of gradual improvement, where both importance and performance are low, included preliminary investigation on the demand for desired activities and activation of process-oriented evaluation. In the areas of maintenance, which are low in importance but high in performance, there were Youth directly apply for opening activities and Improvement of classes centered on youth activities.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청소년활동에 대한 청소년지도사의 경험 연구

        장여옥 ( Chang¸ Yo Ok )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1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7 No.2

        배경: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하여 비대면 청소년활동으로의 전환과 새로운 청소년활동에 대한 인식 변화가 요구되고 있는 시점에서 청소년시설에서 비대면 청소년활동을 경험해본 청소년지도사의 경험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청소년활동을 실시하는 청소년지도사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고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특별시 청소년수련시설에서 근무하는 청소년지도사 9명을 선정하여 2021년 4월에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하여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주제분석법을 사용하여 질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결과는 5개의 대주제와 12개의 하위주제, 18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첫째, 코로나19로 인한 청소년시설의 변화는 진입장벽의 어려움과 소규모 청소년활동 및 민감해진 방역활동이었다. 둘째,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청소년활동은 초기 혼란스러웠던 비대면활동, 비대면 청소년활동의 어려움, 비대면 청소년활동 평가, 비대면 청소년활동에서 청소년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노력이었다. 셋째, 코로나19 상황에서 청소년 지도사에게 필요한 역량은 프로그램 기획 및 디지털 기기 활용 능력이었다. 넷째, 코로나19 상황에서 청소년 지도사에게 필요한 교육은 관계형성 기술, 영상촬영 및 편집 교육, 온라인 학습 도구 활용 교육 등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청소년활동 방향은 혼합형 청소년활동의 활성화였다. 시사점: 본 연구는 비대면 청소년활동을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 비대면활동에 필요한 청소년지도사 역량 강화, 청소년센터의 예산지원 및 평가방식에 대한 변화의 필요성을 시사점으로 제언하였다. Background: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youth workers who experienced non-face-to-face activities at youth facilities is needed at a time when the change of non-face-to-face youth activities and a change in perception of new youth activities are required due to the prolonged COVID-19.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youth workers who conduct youth activities in the situation of COVID-19. Methodology: Nine youth workers working at the Seoul youth training facility were selected and a focus group interview was held in April 2021.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and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method. Finding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5 major topics, 12 sub-themes, and 18 semantic units were derived. First, the changes in youth facilities due to COVID-19 were difficulties in entry barriers, small-scale youth activities, and sensitive quarantine activities. Second, youth activities in the COVID-19 were initially confusing non-face-to-face youth activities, difficulties in non-face-to-face youth activities, evaluation of non-face-to-face youth activities, and efforts to promote youth participation in non-face-to-face activities. Third, the competency needed for youth workers in the COVID-19 was the ability to plan programs and use digital devices. Fourth, the education required for youth workers in the COVID-19 was found to be relationship formation skills, image photographing and editing education, and education using online learning tools. Lastly, the direction of youth activities in the post-corona era was the activation of mixed youth activitie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to establish a systematic for non-face-to-face youth activities, to strengthen the competency of youth workers for non-face-to-face activities, and to change the budget support and evaluation methods of youth facilities.

      • KCI등재

        청소년의 체험활동 경험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 누적적 경험의 효과를 중심으로

        황여정 안암교육학회 2018 한국교육학연구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youth activities on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using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tudy」 data colle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Especially, this study tried to reflect various aspects of youth activities, such as participation in activities, number of types of activities, and satisfaction with activities. Also, this study paid particular attention to examining the cumulative effect of youth activiti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tion of youth activities, the satisfaction level of experiential activities, and the number of kinds of experiential activities varied according to income level and regional scale. Next, the results of the OLS regression analysis on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show that participation in youth activities, number of kinds of activities that participated in, and satisfaction with activities during the first-year of high-school all influence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effects of cumulative experience during middle school during middle school shows that it is difficult to ensure long-term effects by only participating in youth activities. Positive effects persisted only when adolescents participated in high quality youth activities during middle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qualitative aspects of youth activities are important for sustaining the effectiveness of youth activities. 본 연구는 체험활동 참여 경험이 청소년기에 함양해야 할 핵심역량인 공동체의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특히 이 과정에서 본 연구는 체험활동 참여 여부, 참여한 체험활동의 종류 수, 체험활동 만족도 등 체험활동 경험의 다양한 측면을 반영하고자 하였으며, 중1부터 고1까지 경험한 체험활동의 누적적 효과를 살펴보는 데 각별한 관심을 기울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초4패널 4〜7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주요 배경변인에 따라 체험활동 참여 여부, 참여한 체험활동의 종류 수, 그리고 체험활동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중학교 3년간의 누적적 경험과 고교 1학년 시기 경험에서 모두 소득수준과 지역규모에 따른 차이가 관찰되었다. 다음으로, 체험활동 경험이 공동체의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OLS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최근 1년(고교 1학년) 사이의 체험활동 경험은 참여 여부, 참여한 체험활동의 종류 수, 체험활동 만족도 모두 공동체의식 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비해 중학교 3년간의 누적적 경험의 효과는 양질의 체험활동을 경험했을 때에만 그 효과가 장기적으로 발휘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체험활동이 소기의 성과를 거두고 그 효과가 장기적으로 지속되려면, 체험활동의 질적 수준이 담보되어야 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확인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청소년들이 양질의 체험활동에 참여할 기회를 확대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활동 성취기대수준이 청소년활동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활동 지원정도의 조절효과

        박동진,김송미,박경아 한국웰니스학회 2022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활동 성취기대수준이 청소년활동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청소년활동 지원정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8 청소년활동 참여실태 조사’ 에 참여한 청소년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청소년활동 성취기대수준은 청소년활동만족도에의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활동 성취기대수준이 청소년활동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청소년활동 지원정도는 유의한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청소년활동을 통한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논의하였다. 또한 본 연구결과가 가진 함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level of support to youth activities in the effects of level of achievement expectation to youth activities on satisfaction to youth activities. For this purpose, the data of youth who participated in the ‘2018 Youth Activity Participation Survey’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of level of achievement expectation to youth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to youth activities. Second, in the effect of level of achievement expectation to youth activities on level of satisfaction to youth activities, the level of support to youth activitie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ays to support the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of youth through youth activities were sought and discussed. And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 KCI등재

        청소년 실태조사를 통한 청소년활동의 방향성 모색 - 경기도 청소년을 중심으로

        권일남 ( Kwon Il Nam ),전명순 ( Jeon Myong Sun ),서재범 ( Seo Jae Bum )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1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7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경기도 청소년의 청소년활동에 대한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청소년활동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론/접근: 이를 위해 청소년 2153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활동참여정도와 수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결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의 청소년활동 참여수준에 있어서 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었고, 청소년시설을 알게 된 경로는 친구와 선후배를 통해서가 많았고, 청소년동아리활동과 자원봉사활동, 일반적활동의 참여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시설의 아쉬운 점으로는 프로그램의 다양성,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프로그램 부족, 홍보 부족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활동 참여가 의미있고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역에서 제공해 주기를 원하는 활동에는 심리적 자존감을 높여주는 활동, 편안한 쉼과 여가를 즐기는 활동, 사회적 약자지원 청소년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다섯째, 성별, 연령, 지역에 따라 청소년시설에서 제공하는 활동영역에 대한 만족 기대가 달랐다. 여섯째, 지역에 만들어지기를 원하는 시설로는 진로체험중심의 시설과 스포츠특성화시설에 대한 필요를 가장 크게 요구하였다. 일곱째, 비대면으로 다양한 활동이 가능하지만, 필요 장비를 다루는 법, 비대면활동 개발방법에 어려움을 나타냈다. 또한, 경기북부와 경기남부의 청소년은 지역에 만들어지기를 원하는 시설(경기북부-스포츠 특성화시설, 진로체험 중심 특성화시설, 경기남부-녹음, 제작이 가능한 활동시설, 진로체험 중심 특성화시설)에서 차이를 보였다. 시사점: 이러한 결과로 경기도 청소년들의 활동 참여와 청소년활동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Background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irection of youth activities based on a survey on youth activities in Gyeonggi Province. Methodology/Approach: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2153 adolescents about the degree and level of their participation in activities. Findings/Conclus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age in the level of youth participation in youth activities, and the channels to know youth facilities were through friends and seniors and juniors, and youth club activities, volunteer activities, and general activities were highly engaged. Second, the regrets of youth facilities were lack of diversity in programs, lack of programs that can represent the region, and lack of publicity. Third,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on in youth activities was recognized as meaningful and important. Fourth, the activities that the region wanted to provide were highly demanding for activities that enhance psychological self-esteem, activities that enjoy comfortable rest and leisure, and volunteer activities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Fifth, satisfaction expectations for the activity areas provided by youth faciliti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ge, and region. Sixth, as facilities that were desired to be built in the region, the need for career experience-oriented facilities and sports specialized facilities was most demanded. Seventh, it was possible to perform various activities non-face-to-face, but showed difficulties in how to handle necessary equipment and develop non-face-to-face activities. In addition, youths in northern Gyeonggi and southern Gyeonggi showed differences in the facilities they wanted to be built in the region. Implications: As a result of this, Gyeonggi-do youth's participation in activities and direction of youth activit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청소년 주말활동 활성화 방안 모색

        박선영 한국청소년학회 2013 청소년학연구 Vol.20 No.2

        This study aimed to discuss on how to promote youth activities during the weekends as Korean formal education started five-school-day system since 2012. Document analysis was adopted as a research method. The research content are; the youth policies and background in the UK, the types of youth activities in the weekends, supportive policies for youth weekend activities. As a conclusion, firstly this study suggests that youth weekend activitie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prevention of youth juvenile. Secondly, youth activities including weekend activities can contribute for social integration. Thirdly, youth activities needs partnership and supports from various organisation. Finally, there should be a new paradigm for youth activities and youth policies. 이 연구에서는 2012년 한국에서 주5일 수업제 전면 도입 이후 더욱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청소년 주말활동 활성화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 방법을 통하여 영국의 청소년 주말활동의 구성과 내용을 분석하고 한국의 주말 청소년활동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였다. 연구내용으로는 첫째, 영국의 주말 청소년활동 정책과 프로그램을 포괄하는 상위의 청소년정책과 정책 수립 배경에 대한 논의와, 둘째, 주말 청소년활동의 유형, 셋째, 주말 청소년활동 지원 정책으로 구성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한국에서의 추말 청소년활동 활성화 방안으로 첫째, 청소년활동을 통한 청소년문제의 해결과 예방, 사회통합의 한 방안으로서의 청소년 주말활동 활성화, 청소년의 적극적인 주말활동 참여를 위한 다각적 지원과 협력의 필요성, 청소년활동에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제언하였다.

      • 청소년활동 참여 실태조사 연구Ⅰ

        임희진,송병국,안지선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는 청소년활동의 참여 실태를 조사하여 과학적 정책 지원의 근거를 제공하고, 청소년활동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 확산과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 전문가 자문, 전문가 의견조사, 설문조사, 전문가 워크숍을 실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실태조사 결과, 대부분의 청소년은 한 개 영역 이상의 청소년활동을 경험하고, 절반정도의 청소년들은 4개 영역 내외의 체험활동에 참여하고 있었으며, 체험활동의 참여경로는 학교에서 단체로 참여하는 방식이 가장 많았다. 양부모가정, 학업성적 상위, 경제수준 상층에 속한 학생들의 참여율이 높았고, 이러한 경향은 문화예술행사 관람률 및 참여율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였다. 청소년의 진로체험은 간접 체험 경험률이 높았으나, 청소년들은 직접 체험이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가정의 경제수준이 높은 청소년들이 다양한 체험활동에 참여하고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관련시설 이용률도 높았다. 또한 다양한 체험활동이 청소년들의 긍정적 발달에 도움을 준다는 사실이 확인 되었으며, 특히 체험활동의 폭과 정의적 특성의 관련성 분석을 통해 4개 이상의 체험활동을 경험하는 것이 청소년의 발달에 긍정적이고, 적어도 2개 이상의 체험활동 영역에 참여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청소년활동정책 추진계획의 수립, 청소년체험활동 프로그램의 질 관리, 타 부처 정책사업과의 연계, 지역사회 연계와 학교와의 협력강화, 소외계층 청소년에 대한 지원 강화, 청소년들의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선도적 사업의 추진, 과학적인 청소년활동정책 추진시스템의 구축의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urrent situation of youth’s participation in hands-on activities in order to provide a rationale for an evidence-based policy and to explore adequate measures for promoting youth’s participation in hand-on activities. To do this, we carried out a literature review, expert consultation, a survey of expert opinions, expert workshops, a questionnaire survey, and suggested alternative policies for promoting youth participation in hands-on activities. We found that most youth were participating in one or more domains of hands-on activities: about half of them in four domains of hands-on activities and most youth in hands-on activities in a group organized by schools. Some factors including two parent households, high academic performance, and high economic status increased youth’s participation rates, also when they were participating in art and cultural activities. With regard to career experience, more youth participated in indirect career experience than work-based activities, even though most youth responded that the latter is more helpful. Youth from socio-economically advantaged family background a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diverse activities; they also performed their activities with greater enthusiasm and used the relevant facilities more frequently. Moreover, we verified that participation in diverse hand-on activities contributes to the positive development of youth. Specifically,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nge of hand-on activities youth participated and their emotional characteristics, we determined that they need to participate in more than four hands-on activities, with at least two, for positive development. Finally, we suggested several alternative policies: implementing an integrated and systematic youth activity policy, managing quality of hands-on activities, coordinating with other departments’ policies, connecting communities and schools, supporting deprived youth, promoting youth participation in hands-on activities, and exploring evidence-based policy-making system for promoting youth activities.

      • KCI등재

        단체활동 경력과 교사의 지도성 유형이 청소년의 단체활동 효과 지각에 미치는 영향

        임성택,김진호 한국청소년학회 2006 청소년학연구 Vol.13 No.5-1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time in youth group activities, teachers' leadership styles, and satisfaction with youth group activities on outcomes of youth group activities. Satisfaction with youth group activity was set as a variable mediating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time in youth group activities and teachers' leadership styles on the outcomes of youth group activities. 404 sixth graders were asked to respond the questionnaires constructed to measure various variables of the stud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Lisrel 8.30, the study found that participation time in youth group activities did not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satisfaction with and outcomes of youth group activities. However, both type of teachers' leadership, which consisted of task-oriented and human-oriented leaderships showed the positive direct effects on satisfaction with and outcomes of youth group activities. In addition, teachers' leadership had the indirect effects on outcomes of youth group activities through the mediate variable, satisfaction with youth group activities. All these findings imply that teachers' leadership styles are important determinants of outcomes of youth group activities, even when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time in youth group activities were controlled. Finally, More implications of findings were presented for youth group leaders and youth policy makers. 본 연구는 청소년단체 지도교사의 지도성유형과 청소년들의 단체활동 참여기간, 청소년단체활동에 대한 만족도가 청소년단체활동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 가정하고, 이들 변수들간의 인과구조를 확인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청소년단체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청소년단체활동 참여기간과 지도교사의 지도성유형이 단체활동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매개변수의 역할을 할 것으로 가정되었으며, 청소년단체활동에 대한 만족도를 매개변수로 하여 청소년단체활동의 효과에 가지는 영향력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청소년단체에 가입하여 활동하고 있는 초등학생 404명이었다. 자료는 Lisrel 8.30을 통해 분석되었다. 조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단체활동 참여기간은 청소년의 단체활동에 대한 만족도와 청소년단체활동의 효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단체 지도교사의 지도성유형은 청소년의 단체활동에 대한 만족도와 청소년단체활동의 효과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과업중심 지도성과 인화중심 지도성은 모두 청소년의 단체활동에 대한 만족도와 청소년단체활동의 효과에 각각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단체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청소년단체활동의 효과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단체 지도교사의 지도성유형은 청소년단체활동 만족도를 매개변수로 하여 청소년단체활동의 효과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청소년단체활동 참여기간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단체활동에 대한 만족도와 단체활동의 효과는 청소년의 단체활동 참여기간과는 관계없이 청소년단체 지도교사가 과업중심 지도성과 인화중심 지도성을 발휘할수록 높아진다는 점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결과들이 갖는 의의와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 청소년 자원봉사 활동 실태와 활성화에 관한연구

        김창래 ( Kim Chang Lae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16 사회복지경영연구 Vol.3 No.2

        외국의 청소년들은 어떻게 자원봉사활동을 수행하고 있는지, 우리나라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 실태와 문제점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국□내외 문헌 및 연구논문, 연구보고서, 정기 간행물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고 각종 기관에서 발행하는 통계자료를 살펴보았다. 청소년자원봉사활동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청소년자원봉사 활동에 관한 실태를 분석하여 활성화 방안의 제시를 목적으로 연구 하였으며, 청소년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제시 하였다. 첫째 청소년자원봉사활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자원봉사단체의 연계□협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청소년 자원봉사활동 총괄□조정□지원하는 기구의 신설이 필요하다. 셋째 지역별 청소년 자원봉사 지원네트워크의 구축이 필요하다. 청소년자원봉사활동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학교, 청소년단체, 사회복지단체, 시설 등과의 유기적인 협조체제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넷째 지원체계의 정형화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청소년봉사를 교육과정으로 이해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관심과 자세가 필요하다. 다섯째 교육의 활성화 방안이 필요하다. 자원봉사자들에 대한 교육은 일회적으로 이루어지고 형식적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이를 활성화하여 봉사자들의 경험정도에 따른 단계별 체계화가 필요하다. 여섯째 프로그램의 활성화방안이 필요하다. 청소년들의 활동터전에서 청소, 휴지 줍기, 잡초 뽑기 등의 정화활동을 하거나 단순한 업무보조, 정리정돈 활동 등이 있다. 청소년에게는 봉사학습이 개념이 더 우선되어야 하며, 개개인의 특기와 소질을 개발하여 일회성에 그치는 프로그램 활동을 자제하고, 다양한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직업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학습으로써 봉사를 강조하여 자원봉사자들 스스로 기획하고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활성화하여야 할 것이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s and problems of youth volunteer activities in Korea, we analyzed various literature and data on youth volunteer activities. Through this, the characteristics, concept, management and support system of volunteer activities were examined. In order to find out how volunteer activities are being carried out by foreign adolescents and the actual situation and problems of volunteer activities of youth in Korea, we collected and analyzed data such as national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research papers, research reports and periodicals. I looked at the statistical data issu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ality of youth volunteer activities and to suggest ways to activate youth volunteer activities. Based on the overall situation of youth volunteer activitie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suggested. First, in order for youth volunteer activities to be carried out efficiently, the cooperation and cooperation of volunteer organizations should be done.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organization for coordinating and supporting youth volunteer activities.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youth volunteer support network by region. In order for youth volunteer activities to be successful,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n organic cooperation system with schools, youth organizations,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facilities. Fourth, the formalization of the support system should be don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nd actively accept youth service as a curriculum. Fifth, it is necessary to revitalize education. Educating volunteers is a one-time and formal process. It is necessary to systematize the volunteers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 Sixth,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program. There are cleaning activities such as cleaning, picking up toilet paper and weeding out of the activity grounds of youths, and simple job aids and arranging activities. For youth, the concept of service learning should be given priority,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dividual skills and qualities to refrain from one-off program activities,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job experience for cultivating various professional workers, The volunteers should activate programs that they can plan and implement themsel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