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활동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휴대전화 및 컴퓨터 이용빈도의 매개효과

        전명순 ( Jeon Myong-sun ),김태균 ( Kim Tae-kyun )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16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활동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정도를 알아보고, 휴대폰과 컴퓨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첫째, 청소년활동이 학교생활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활동이 휴대전화 이용빈도와 컴퓨터 이용빈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휴대전화 이용빈도와 컴퓨터 이용빈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활동이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휴대전화 이동빈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1) to examined the effects of youth activities on school adjustment and 2) to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s of mobile phones and computers between two factors.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youth activities were found to very effective variables for adaption of school life. Second, youth activity has been shown to have the effect of reducing the frequency of cell phone and computer use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mobile phone using has a statistically signifi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 activities and school life adaptation.

      • KCI등재

        청소년활동과 환경에 대한 청소년지도사의 혁신적 요구

        전명순 ( Jeon Myong Sun )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1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7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지도사의 청소년활동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여 청소년활동의 방향성을 찾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론/접근: 이를 위해 청소년지도사 88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지도사의 활동환경, 활동정책발굴 등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청소년지도사 7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지도사의 활동환경상황, 여건, 향후 핵심과제발굴 등을 위한 FGI를 실시하였다. 결과/결론: 첫째, 청소년지도사는 연령이 높을수록, 근무기간이 길수록 전략수립에 많은 고민을 하고 있었다. 둘째, 청소년시설은 대체적으로 청소년을 위한 사업을 하기 위한 중장기 전략과 구체적인 실현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고, 그로 인한 청소년의 균형잡힌 성장을 이루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었다. 셋째, 청소년지도사가 지각하는 청소년활동의 요구도에 있어서 청소년지도사는 거의 모든 영역에서 활동의 중요성이 높다고 보았다. 특히, 자기주도활동의 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혁신, 4차산업 등 신기술적 관점에 대한 필요인식을 높게 나타냈으며, 청소년들의 체험적 영역에서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코로나19시대 비대면활동추진을 위해 청소년지도사는 중요한 지원으로 장비의 직접지원에 대한 요청과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자료가 모여있는 플랫폼의 구성이 매우 중요함을 나타냈다. 다섯째, 청소년지도사는 지방자치단체가 청소년 정책에 대한 미래의 비전수립을 하고, 청소년정책 담당공무원이 정책에 대한 인식을 가져야 함을 요구하였다. 여섯째, 청소년시설과 학교연계 활동을 해 나가기 위해 실질적인 학교연계가 가능한 플랫폼 구성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일곱째,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시대에 활동활성화를 위해 청소년의 건강성 수준에 대한 욕구조사를 실시하고, 활동지원을 위한 인프라구축이 이루어져야 함을 나타냈다. 어덟째, 지역의 상황을 고려한 활동여건을 조사하여 청소년활동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시사점: 청소년지도사의 청소년활동에 대한 요구를 알고, 청소년지도사의 활동여건 파악과 현장 적용성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Background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rection of youth activities by identifying the needs of youth instructors for youth activities. Methodology/Approach: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88 youth instructors to discover the activity environment and activity policies of youth instructors, and FGI was conducted on seven youth instructors to discover the environment, conditions, and future core tasks. Findings/Conclusions: First, the older the youth instructors, the longer they worked, the more they were concerned about establishing strategies. Second, youth facilities are generally striving to find mid- to long-term strategies and concrete realization methods for conducting projects for youth, and thereby, making efforts to achieve a balanced growth of youth. Third, in the demands of youth activities perceived by youth instructors, youth instructors saw that the importance of activities is high in almost all areas. In particular, the demand for self-directed activities was the highest, and the need for new technology perspectives such as innovation and 4th industry was high, and the necessity was high in the experiential area of youth. Fourth, for the promotion of non-face-to-face activities in the era of Covid-19, youth instructors indicated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construct a platform where requests for direct support of equipment and data constituting the program are gathered as an important support. Fifth, the youth instructor demanded that local governments establish a future vision for youth policy and that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youth policy should be aware of the policy. Sixth, in order to carry out activities related to youth facilities and schools, it was deemed necessary to construct a platform capable of practical school connection. Seventh, it was indicated that in order to revitalize activities in the non-face-to-face era due to Covid-19, a desire to find youths' health level should be conducted, and infrastructure should be established to support activities. Eighth, it was considered necessary to provide youth activities by investigating the activity condi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local situation. Implic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youth instructor's demands for youth activities, and to grasp the youth instructor's activity conditions and increase the applicability in the field.

      • KCI등재

        청소년활동의 국내 연구동향 분석을 통한 향후 과제 제시

        전명순 ( Jeon Myong-sun )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17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활동에 관한 10년간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청소년활동의 발전을 위한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자료는 2005년부터 2014년까지 발표된 학술지논문과 대학 및 연구소에 게재된 총 47편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9, 2011년이 가장 많았고, 2007년부터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둘째, 연구자의 동향을 살펴본 결과 1인 단독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이었고, 2인 연구, 3인 연구 순으로 나타났고, 2인 이상에서 기관실무자가 참여한 연구가 적어 협업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은 주로 중, 고등학생 대상으로 한 논문이 제일 많았다. 넷째,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경험적 연구에서 양적 연구방법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질적 연구방법은 매우 미흡했다. 비경험적 연구도 상당부분 존재했다. 다섯째, 연구주제 및 내용에 있어서 청소년활동의 변인들간의 관계를 밝힌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청소년활동의 상황과 발전방안을 제시한 연구, 청소년활동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한 연구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통해 청소년활동에 관한 연구의 논의를 종합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has an object on analyzing studies about youth activities during the past 10 years, resulting in representing tasks for development of youth activities. The data is the total of 47 from 2005 to 2014 represented by academic journals and posted to universities and laborator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2009 and 2011 occupies the data large parts and since 2007 it has been increasing. Second, by researching how researchers study, individual work accounts for the majority followed by dual and triple work. Third, theses whose subjects are mainly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have a majority. Fourth, in terms of methods of studies, empirical and quantitative approach is followed by qualitative one. Non-empirical approach still exists but a few. Fifth, for topics or contents of studies, ones that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of youth activities are followed by ones that represent solutions on development and situation of youth activities and ones that help understand the meaning of youth activities. Through this, a synthesis of studies on youth activities is advanced and the following tasks are being represented.

      • KCI등재

        청소년 실태조사를 통한 청소년활동의 방향성 모색 - 경기도 청소년을 중심으로

        권일남 ( Kwon Il Nam ),전명순 ( Jeon Myong Sun ),서재범 ( Seo Jae Bum )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1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7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경기도 청소년의 청소년활동에 대한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청소년활동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론/접근: 이를 위해 청소년 2153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활동참여정도와 수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결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의 청소년활동 참여수준에 있어서 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었고, 청소년시설을 알게 된 경로는 친구와 선후배를 통해서가 많았고, 청소년동아리활동과 자원봉사활동, 일반적활동의 참여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시설의 아쉬운 점으로는 프로그램의 다양성,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프로그램 부족, 홍보 부족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활동 참여가 의미있고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역에서 제공해 주기를 원하는 활동에는 심리적 자존감을 높여주는 활동, 편안한 쉼과 여가를 즐기는 활동, 사회적 약자지원 청소년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다섯째, 성별, 연령, 지역에 따라 청소년시설에서 제공하는 활동영역에 대한 만족 기대가 달랐다. 여섯째, 지역에 만들어지기를 원하는 시설로는 진로체험중심의 시설과 스포츠특성화시설에 대한 필요를 가장 크게 요구하였다. 일곱째, 비대면으로 다양한 활동이 가능하지만, 필요 장비를 다루는 법, 비대면활동 개발방법에 어려움을 나타냈다. 또한, 경기북부와 경기남부의 청소년은 지역에 만들어지기를 원하는 시설(경기북부-스포츠 특성화시설, 진로체험 중심 특성화시설, 경기남부-녹음, 제작이 가능한 활동시설, 진로체험 중심 특성화시설)에서 차이를 보였다. 시사점: 이러한 결과로 경기도 청소년들의 활동 참여와 청소년활동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Background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irection of youth activities based on a survey on youth activities in Gyeonggi Province. Methodology/Approach: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2153 adolescents about the degree and level of their participation in activities. Findings/Conclus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age in the level of youth participation in youth activities, and the channels to know youth facilities were through friends and seniors and juniors, and youth club activities, volunteer activities, and general activities were highly engaged. Second, the regrets of youth facilities were lack of diversity in programs, lack of programs that can represent the region, and lack of publicity. Third,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on in youth activities was recognized as meaningful and important. Fourth, the activities that the region wanted to provide were highly demanding for activities that enhance psychological self-esteem, activities that enjoy comfortable rest and leisure, and volunteer activities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Fifth, satisfaction expectations for the activity areas provided by youth faciliti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ge, and region. Sixth, as facilities that were desired to be built in the region, the need for career experience-oriented facilities and sports specialized facilities was most demanded. Seventh, it was possible to perform various activities non-face-to-face, but showed difficulties in how to handle necessary equipment and develop non-face-to-face activities. In addition, youths in northern Gyeonggi and southern Gyeonggi showed differences in the facilities they wanted to be built in the region. Implications: As a result of this, Gyeonggi-do youth's participation in activities and direction of youth activities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