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퇴계 이황의 리(理)에 대한 해석의 갈래 -“리동(理動)·리발(理發)·리도(理到)” 이해를 중심으로-

        강경현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7 泰東古典硏究 Vol.39 No.-

        This article examines the interpretation of T'oegye Yi Hwang’s Li after the Korean liberation. The understanding of T'oegye’s Li is evaluated as a core reason that provides Korean philosophical uniqueness to the study of Confucianism in Joseon which was heavily influenced by Zhu Xi's thought. However, various opinions concerning the specific interpretation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oegye’s “Li-dong”, “Li-bal” and “Li-do” have been provided. In this article, the issues between the concrete interpretations of the T'oegye’s remarks are summarized as “the problem of morality and existence”, “the problem of morality and spontaneity”, and “the problem of morality and human”. It further reaches the conclusion that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Li-dong”, “Li-bal” and “Li-do” results in ultimately a matter of what the core implications of the concept of T'oegye’s Li is. Based on this review, the article consequently suggests that the arguments of the Korean interpretation of T'oegye’s thought after the Korean liberation could develop into a meaningful discussion through an active consideration of T'oegye’s concept of “Heavenly Mandate”. If T'oegye’s interpretation of the heavenly mandate has a distinctive element that distinguishes itself from Zhu Xi's thought and if the concept of the heavenly mandate could contribute to a systematical understanding of T'oegye’s remarks on Li, the focus on T'oegye’s “Heavenly Mandate” could clarify the discussion of T'oegye’s thought. 이 글은 퇴계 이황의 리에 대해 해방 후 한국에서 이루어진 해석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일반적으로 퇴계학의 리 이해는 주자학에 대한 해석의 색채가 짙은 조선 유학에 한국 철학적 독자성을 부여해주는 핵심 사유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퇴계학의 “리동”, “리발”, “리도”에 대한 구체적인 해석과 종합적인 이해에 대해서는 다양한 입장이 개진되어 왔다. 이 글에서는 퇴계의 각 발언에 대해 진행된 구체적인 해석들 사이의 쟁점을 “도덕과 존재의 문제”, “도덕과 자발적, 주체적 실현의 능력(힘) 문제”, “도덕과 인간의 관계 문제”로 요약하였다. 그리고 리동, 리발, 리도에 대한 종합적 이해가 결국에는 퇴계학의 리가 갖는 핵심적인 함의가 무엇이냐의 문제로 귀결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검토 위에서 이 글은 최종적으로 퇴계학에 대한 해방 후 한국의 해석에서 발생한 쟁점이 퇴계학의 “천명” 개념에 대한 적극적인 고려를 통해 진일보한 논의로 나아갈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천명에 대한 퇴계학의 해석이 주자학과 구별되는 독자적 요소를 갖고 있으며, 이것이 그의 리와 관련한 발언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데 기여하는 면이 있다면, 이에 대한 주목을 통해 퇴계학에 대한 논의는 보다 선명해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연민 이가원의 퇴계학(退溪學) 연구에 대한 소고

        허권수 ( Heo Kweon-soo ) 연민학회 2019 연민학지 Vol.32 No.-

        Yi Kawon was an eminent Classical Chinese scholar of early modern Korea. He was a leading scholar of Yi T’oegye as a fourteenth-generation descendant and member of his scholarly lineage. Yi studied literature growing up, later studying his ancestor’s literary writings, particularly his poetry. He focused on T’oegye’s poems appreciating landscapes, as they were imbued with his philosophy of Heaven and Man being one. Yi also translated all the poems in T’oegye’s first edition anthologies, helping to disseminate them widely and set the groundwork for research on his poetry. In A History of Sino-Korean Literature (Hanguk hanmunhak sa), he expounded on the three categories of Classical Chinese writing (especially of his own ancestor), sijo poetry, and kasa poetry. This book confirmed T’oegye’s place in Korean literature by demonstrating how his writing encapsulated his moral philosophy as a grandmaster of the rural Neo-Confucian scholars Yi Kawon also traced the scholarly lineages of T’oegye’s disciples through five centuries, broadening the T’oegye school’s reach and exploring the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 scholars. In particular, he demonstrated how the Noron faction, based on the Kiho school, found its origins in the T’oegye school as a helpful example of combining intellectual lineages. Biographies of T’oegye’s Disciples (T’oegye jeja yolchon) was an important work on the scholarship of the T’oegye school. With more biographic details on the relationship of the disciples with their master than Record of the Gentlemen Disciples of Tosan (Tosan kŭmmun chehyollok), it was remarkable for its in-depth analysis of their scholarship and ideologies. Yi also ranked their importance according to his own judgement. Through these scholarly endeavors, Yi Kawon was primarily responsible for reviving T’oegye studies in the modern day. Although his specialization in literature limited him from studying Yi T’oegye’s philosophy or Neo-Confucianism, his research allowed him to become the greatest scholar on providing a comprehensive view of the man.

      • KCI등재

        퇴계와 율곡의 명대 유학 인식

        강경현(姜卿顯)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38

        이 글에서는 16세기 조선의 학자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에게 동시대 학술의 장인 명대 유학이 어떻게 인식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퇴계는 “사문斯文”의 계승이라는 측면에서 명대 유학에 대한 포용적 태도를 취했으며, 율곡은 “도통道統”의 전수라는 측면에서 비평적 입장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명대유학 전반에 대한 인식 위에서 퇴계와 율곡은 서로 다른 긍정적 평가의 지점과 비판의 경계선을 설정한다. 퇴계는 『심경부주』를 전면적으로 지지한다. 여기에는 “경敬 공부”를 중심으로 주자학을 해석하려는 그의 문제의식이 담긴다. 율곡은 리와 기를 동일한 것으로 보았다고 해석되던 나흠순을 부분적으로 인정하면서, 리와 기를 서로 다른 것이라고 보는 주장에 대한 자신의 비판적 입장을 개진하는 데 활용한다. 여기에는 “리기지묘理氣之妙”를 통해 세계와 인간을 단일한 하나의 구조로 설명하려는 그의 문제의식이 반영된다. 한편 퇴계는 만년에 _심경부주_ 편찬자 정민정이 이른바 주륙화회적 입장을 가진 학자임을 알게 되고 비판하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심경부주』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거두지 않는다. 동시에 그는 명대 주륙화회적 흐름에 서 있는 여러 학자들에 대해 궁리를 거부하고 인륜을 부정한다는 측면에서 배척한다. 율곡은 『학부통변』에 담긴 진건의 주륙화회론 변척의 입장을 전폭적으로 받아들인다. 율곡의 이러한 확고한 경계선 긋기는 사실상 『심경부주』에 대한 비판의 입장을 유추할 수 있게 해준다. 퇴계와 율곡의 명대 유학 인식에는 경 공부와 리기 관계라는 주자학 해석에 대한 두 사람의 주안점이 반영되어 있다. 조선유학은 이 양자의 교섭 속에 주자학에 대한 해석의 지평을 확보해 나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In this article, I will examine how 16th century Joseon scholars, T’oegye Yi Hwang and Yulgok Yi Yi, perceive the Ming Dynasty Confucianism. T’oegye takes an inclusive attitude toward the Ming Dynasty academic in terms of the succession of “This culture of ours”, and Yulgok has a critical stance on the Ming Dynasty academic in terms of the “Genealogy of Dao”. Based on this general understanding, they pay attention to distinct points and set different boundary lines of criticism. T’oegye places importance on Supplementary Annotations to the Classic on the Mind-and-Heart. It is because he wants to understand Zhu Xi studies mainly in the practice of Gyeong(敬). On the other hand, Yulgok partially acknowledges the position of Luo Jin Shun, and uses it to spread his own claims. This reflects his interest in explaining the world and human as a unified structure through the assertion that “Li and Gi are combined”. Meanwhile, although T’oegye comes to learn in his later life that Cheng Min Zheng, the compiler of Supplementary Annotations to the Classic on the Mind-and-Heart is a scholar that leans toward Xianshan studies, he still holds Cheng’s book in high esteem even after learning that fact. Instead, T’oegye delicately criticizes scholars of Yangming studies for denying investigating Li and Five Relationships. Unlike T’oegye, Yulgok completely agrees with the argument of Chen Jian who criticized Xianshan studies and Yangming studies. We can infer that Yulgok in fact is critical of Supplementary Annotations to the Classic on the Mind-and-Heart. Although T’oegye and Yulgok regard themselves as Zhuxi scholars and criticize the flow of Yangming studies, they understand the Confucianism of Ming Dynasty from different perspectives. As I think, their different understandings become controversial among Confucian scholars of Joseon.

      • KCI등재

        퇴계(退溪)「천명도설(天命圖說)」과 <천명도(天命圖)>에 대한 철학적,도상적 재검토

        이정환 ( Jung Hwan Lee ) 퇴계학연구원 2014 退溪學報 Vol.135 No.-

        정지운이 제작하고 퇴계가 수정한 <天命圖>와 「天命圖說」은 고봉과 퇴계 간의 ‘사칠논변’이라는 조선성리학의 본격적인 철학화를 촉발시킨 원인이었다. 더 나아가 <천명도>는 성리학 일반의 하나의 난제, 즉 ‘과연 至善無惡한 근원으로서의 천명과 본연의 성으로부터 어떻게 不善한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을 구하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그 동양철학사에서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지금까지 <천명도>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退溪全書에 수록되어 있는 「天命圖說後敍」와 「天命圖說」의 내용을 근거로 하였으며, 도상으로는 <天命新圖>를 기준으로 삼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사칠논변이 진행되기 전에 수정된 「天命圖說」이 과연 퇴계의 완숙한 천명·심성관을 얼마만큼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는가? 그리고 여러 판본이 남아있는 <天命圖> 중 무엇이 가장 定本에 가까운가? 라는 두 가지 문제를 검토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의 두 가지 사실을 밝혀내었다. 첫 번째, 退溪先生續集에 포함되어 있는 「천명도설」은 1555년 봄 퇴계가 귀향하여 개정한 것인데, 여기서 언급된 七情의 배치에 대한 설명은 <天命舊圖> 상의 칠정의 배치와 일치하며 이에 대한 개정은 1560년 중반에 이루어진 것을 근거로 <천명구도>는 정지운의 원도가 아닐 뿐만 아니라 1560년 중반까지 <천명도>의 저본은 <천명구도> 혹은 이와 유사한 것이었으며, 당시까지 <천명신도>는 아직 완성되지 않았음을 밝혔다. 그리고 퇴계는 사칠논변 등의 지속적인 토론의 과정 속에서 「천명도설」에 노정된 문제점을 수정해 나갔고, 이를 바탕으로 <천명도>도 점차적으로 수정해 나갔다. 따라서 「천명도설」은 비록 퇴계에 의해 개정된 것이지만, 퇴계의 완숙한 심성론을 이해하는데 있어서는 자료로서의 한계를 갖는다. 두 번째로 현존하는 여러 <천명도>의 판본 중에 퇴계문집에 남아있는 <천명신도>와 1786년 奇大升의 6대손인 奇彦鼎에 의해 출간된 兩先生四七理氣往復書에 수록된 <天命圖>의 도상적 차이를 퇴계의 문집과 고봉과의 사단칠정 논쟁 왕복서, 주자의 四書章句集註와 朱子語類 등 다양한 방증 자료를 통해 비교·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문집에 수록되어 있는 <천명신도>에는 여러 가지 오류가 있음과 퇴계 및 주자의 언급과 서로 상충되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 판본보다 兩先生四七理氣往復書에 수록된 <천명도>가 사칠논변 이후 더욱 완숙된 퇴계의 심성관, 더 나아가서는 주자의 심성관을 비교적 더 정확하게 표현하고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The Diagram of Heavenly Mandate and "the Explanation of the Diagram of Heavenly Mandate" are originally created by Chong Chi-un and revised by Yi Hwang. They triggered the in-depth philosophization of the Choson Neo-Confucianism and also tackled the most difficult question inherent in Neo-Confucianism, that is, how no-good phenomena can generate from the purely good origin of Heavenly Mandate and the original state of human nature. Up until now, studies on "the Diagram of Heavenly Mandate" are textually based on "the Explanation of the Diagram of Heavenly Mandate" and "A Postscript to the Explanation of the Diagram of Heavenly Mandate" and diagrammatically on "the New Diagram of Heavenly Mandate" included in Yi Hwang`s literary collection. However, first, to what degree is "the Explanation of the Diagram of Heavenly Mandate," which was revised before the four-seven debates, reliable for understanding T`oegye`s mature views on Heavenly Mandate and the mind-nature theory? Second, which version, among many, can be regarded as the standard edition of the diagram? The present paper has addressed these two questions. First, "the Explanation of the Diagram of Heavenly Mandate" in the Appendant Part of T`oegye`s literary collection was revised by T`oegye in 1555 at his native place. The arrangement of the seven emotions in this explanation corresponds to "the Old Diagram of Heavenly Mandate," indicating that this old diagram is not the original version of Chong Chi-un but that which T`oegye firstly revised around 1555 and was still revising until the mid 1560s. In other words, "the New Diagram of Heavenly Mandate" was not completed up until then, and T`oegye constantly amended the explanation and on this basis kept revising the diagram as well. This tells us that the explanation is not appropriate to understand T`oegye`s mature views on Heavenly Mandate and the mind-nature theory. Second, the present paper has compared the diagramma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New Diagram of Heavenly Mandate" and "the Diagram of Heavenly Mandate" in the Collection of the Exchanges of the Two Masters on Four and Seven as well as Li and Qi, which seems published in 1786 by Ki Taesung`s descendant, Ki On-cheong. A cross examination of various textual sources of Yi Hwang, Zhu Xi, and so forth, the present paper has illuminated that the diagram in the collection of the exchanges better represents the mature views not only of T`oegye but also of Zhu Xi than "the New Diagram of Heavenly Mandate" in the literary collection.

      • KCI등재

        ‘퇴필退筆’의 예술성 시론試論

        최다은 ( Da Eun Choi ) 한국동양예술학회 2024 동양예술 Vol.64 No.-

        본 논문은 퇴계 이황의 서예 비평과 그의 해서체楷書體에 주목하여, ‘퇴필退筆’이라는 필명으로도 알려진 퇴계 글씨의 예술성을 논하고자 한다. 퇴계는 평생 약 2,000수의 시가를 창작하였으며, 학문 못지않은 예술적 성취를 이루었으나, 일반적으로 그의 인품과 학식이 더욱 강조되어 퇴계의 서예는 흔히 수양의 한 방편이나 여기餘技로 여겨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윤리적인 면이 강조되었다고 해서 예술성이 부족한 것은 아니다. 퇴계 글씨에 공명하는 성질은 분명 예술이 지닌 특징 중 하나이며, 학문 혹은 인품과 떨어질 수 없는 인문학적 특성과 함께 서예의 정체성을 가진다. 퇴계는 신분과 지위를 막론하고 대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서술하며, 오로지 신도비명에 적합한 강건한[健] 글씨만을 기준으로 인물을 선정하는 비평을 선보였다. 우위를 정하거나 비난하지 않는 퇴계의 차별 없는 비평은 다양한 예술적 표현이 발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음을 시사한다. 퇴계의 해서체는 선비정신에 알맞은 서체로 쓰였으며, 짜임새 있는 결구와 힘찬 필선으로 나타난다. ‘만물은 각기 하나의 태극’으로서, 각각의 글씨는 그에 따른 성정性情과 관계한다. 자칫 규범 예술로 경직되기 쉬운 퇴필은 자신만의 정신성을 담은 창의적인 표현으로 설명되어 어떤 서체든 자신의 성정을 따른다는 균형 있는 서예인식을 심어 주었다. 유학자의 예술성에 주목한 연구는 더 이상 도학과의 우열을 논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 주체에 따라 한국 서예사의 변천을 거듭한 문인 서예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러한 연구는 퇴계 예술의 위상을 재정립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artistry in T’oegye Yi Hwang’s calligraphy, known as T’oepil, with a particular focus on his calligraphy criticism and use of regular script calligraphy (haesŏ 楷書). Despite Yi Hwang’s prominent reputation as a Neo-Confucian scholar in Chosǒn, his achievements as an artist have often been overshadowed, even though art was integral to his life as a devoted Confucian. While he composed and handwrote nearly 2,000 poems, his calligraphy is frequently viewed merely as a means of self-cultivation, subordinate to his scholarly pursuits. However, ethical writings are not inherently devoid of artistic value. As evidenced by the history of Korean calligraphy, the Chosǒn literati placed a high value on the art and craft of calligraphy, and Yi Hwang was no exception. This paper contends that Yi Hwang’s calligraphy and criticism not only reflect his moral character but also encapsulates the core of his Neo-Confucian philosophy. Central to Yi’s calligraphy criticism is the concept of robustness (jian 健), which is considered particularly suitable for epitaphs. Yi emphasized an unbiased and impartial approach to subjects, fostering an environment where diverse artistic expressions could flourish, each true to the nature of its subject. Yi’s regular script is marked by a well-structured composition and vigorous brushstrokes, reflecting his personal character and moral philosophy. In line with his assertion that “all things each have their own Taiji,” each piece of Yi’s calligraphy is a creative expression connected to its inherent nature and disposition. Thus, his calligraphic works transcend a rigid portrayal of moral principles, offering a balanced view of calligraphy that aligns with one’s nature, regardless of script style. By focusing on the artistic dimension in Yi’s calligraphy,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literati calligraphy evolved not as a mere supplement to moral philosophy but as an independent and complementary art.

      • KCI등재

        PERCEPTIONS OF THE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IN THE CHOSŎN ERA: FOCUSING ON TRENDS IN ITS DISSEMINATION, DEEPENING AND DIFFUSION

        이동건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1 Acta Koreana Vol.14 No.1

        This study analyzes how the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聖學十圖, sŏnghak sipto) (1568) written by T’oegye Yi Hwang (1501–1570) was disseminated and diffused amongst future generations of kings and Confucian scholars (16th–20th centuries). It also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ceptions of the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聖學十圖, Sŏnghak sipto) that existed during the Chosŏn era. What’s more, based on a perusal in a chronological manner of related materials, this study revie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semination of the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amongst the kings of Chosŏn; moreover, the annotations of Confucian scholars who emerged after Yi Hwang are used to analyze trends in terms of the diffusion of the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Such an exercise is design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ceptions of the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during the Chosŏn era from a diachronic standpoint. Based on this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semination of the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during the 16th–20th centuries, as well as trends in the annotation thereof, the perceptions of the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during the Chosŏn era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its capacity as materials for the learning of monarchs (chewanghak) and of ideological significance of state administration, the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can be said to have a great influence on Chosŏn. One can see that it served as the standard model for the learning of monarchs in Chosŏn. Second,the trends in the diffusion and annotation of the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greatly influenced the course of the development and theoretical deepening of Neo-Confucianism (Zhu Xi’s School of Thought). The annotations of “The Mind Combines and Governs Nature and Emotions” (心統性情圖, Simt’ong sŏngjŏng to) Chapter of the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produced during the 17th century revolved around discussions about the differences between Yi Hwang and Yi Yi over the Theory of Mind and Nature (心性論, simsŏngnon), discussions which greatly influenced the deepening of the Theory of Mind and Nature dur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Neo-Confucianism. Meanwhile, reverence (敬, kyŏng) and simsŏngnon-related annotations of the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were actively carried out during the 19th century. This trend in terms of the annotation of the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can be considered as an example of the theoretical enrichment which the simsŏngnon-based standpoint and kyŏng-centered structure of the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introduced in terms of the deepening of the importance of kyŏng and the simsŏngnon in the subsequent development of Neo-Confucianism in Chosŏn. Third, we can see that Yi Hwang’s thought, which served as the foundation for their own thought, influenced the Silhak (Practical learning) scholars of Chosŏn.

      • KCI등재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天命圖」에 대한 분석 -天命圈을 중심으로-

        강경현 ( Kyung Hyun Kang ) 퇴계학연구원 2012 退溪學報 Vol.131 No.-

        본 논문은 天命圈을 중심으로 退溪 李滉의 기존 「天命圖」에 대한 수정을 검토함으로써, 이를 통해 退溪가 드러내고자 하였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다. 첫째, 退溪는 기존의 「天命圖」에서는 하단에 위치하여 위로 향하는 흐름으로 그려진``命``을, 상단으로 옮겨``天命``으로 표기하고 아래로 향하는 흐름으로 수정하였다. 이는 윗자리에 자리하는 上天·上帝가 仁·義·禮·智를 命令과도 같이 만물에 부여하는 과정을 표현하기 위해서, 상단에서부터 하단으로 진행되는 그림으로 구성한 것이다. 둘째, 退溪는 그림 상단으로 옮긴``天命``을 하나의 권(○)으로 만들고, 주변에``理氣妙凝``이라는 글자를 명기하였다. 이는 天命의 뜻에 理氣妙凝의 의미를 결합시킴으로써 仁·義·禮·智가 부여되는 과정 속에서 개체의 형체 역시 함께 형성된다는 것을 드러낸 것이다. 退溪는 이처럼 기존의 「天命圖」에서 도상화 되었던``天命``을"그림 상단에 위치한 妙凝圈으로서의 天命圈"으로 수정함으로써"仁·義·禮·智를 실현해야만 하는 구체적 존재가 생성되는 근원"을 표상화하고자 하였으며, 나아가 이러한 작용이 上天·上帝의 만물에 대한 主宰와 運用의 능력과도 같음을 도상화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attempted to analyze T`oegye Yi Hwang(退溪 李滉, 1501~1570)`s the Diagram of the Mandate of Heaven(「天命圖」: Chunmyungdo) through the examination of T`oegye`s modification of the existing the Diagram of the Mandate of Heaven. T`oegye made a few core modifications to the Diagram of the Mandate of Heaven. Specifically, he expressed his view of the Mandate of Heaven through repositioning the circle of the Mandate of Heaven(天命圈) and refining its element`s meaning. The circle of the Mandate of Heaven obtains the meaning of the Lord on High(上天·上帝: sangchun·sangje)`s mandate by taking higher position on the Diagram of the Mandate of Heaven. And the circle of the Mandate of Heaven also represents the circle of wondrously uniting and consolidating li and gi(理氣妙凝) on the Diagram of the Supreme Ultimate(「太極圖」: Taegeukdo). Accordingly it takes a significant role in creating all things which have the original nature of benevolence(仁), righteousness(義), propriety(禮), wisdom(智) and the form and body. These considerations suggest that T`oegye`s modification of the existing the Diagram of the Mandate of Heaven shows the his understanding of the circle of the Mandate of Heaven. He thought that the circle of the Mandate of Heaven represents a root of creating concrete entities which ought to carry out virtuous conduct and also has the meaning that the process of creating all things is regarded as intention and direction of the Lord on High.

      • KCI등재

        퇴계(退溪)의 서원관(書院觀)에 대한 철학적 해명

        김형찬 ( Hyoung Chan Kim ) 퇴계학연구원 2014 退溪學報 Vol.136 No.-

        조선시대 서원의 역사에서 退溪 李滉(1501~1570)은 매우 특별한 위치를 차지한다. 조선의 서원은 周世鵬(1495~1554)의 白雲洞書院 건립으로부터 시작되었지만, 서원의 역할과 의의를 재천명하여 조선 서원의 발전 방향을 세우고, 서원이 국가의 공인을 받도록 함으로써서원의 공적 위상을 확립한 것은 바로 퇴계였다. 이 글에서는 기존의 연구 성과들을 바탕으로 하여 퇴계의 書院觀에 관해 철학적 관점에서 몇 가지 문제를 제기하고 이를 재검토한다. 첫째, 퇴계가 서원의 기능 중 교육과 함께 祭享을 중시하게 된 것 은 서원들의 건립과정에서 제향의 문제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깨달았 다는 사실 외에도, 天命·上帝에 대한‘종교적’敬畏의 자세를 강조 하고 학문의 기본자세로서 敬을 중시했던 퇴계의 공부·수양론과 연 관해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퇴계는 과거공부에 몰두하는 것을 비판했지만, 內聖外王이 라는 유학 또는 성리학의 궁극적 목적에 비추어볼 때 과거공부와 도 학공부의 관계를 대립적으로만 볼 수는 없다. 퇴계는 사적인 利를 추 구하는 것은 반대하였지만, 義를 추구하는 가운데 그 義에 대한 和應 으로서 얻어지는 利에 대해서는 반대하지 않았기 때문에 도학 연마의 결과로서의 관직 진출까지 반대한 것은 아니다. 셋째는 퇴계의 서원 건립 운동이 국가 차원의 정치를 포기하고 향 촌 단위의 정치로 입장을 전환한 것인가 하는 것이다. 관직을 물러나 향촌에 머무는 현실적 처지에서는 그것이 불가피한 선택일 수 있겠지 만, 오히려 진리의 성전으로서 서원을 세움으로써 理一分殊的 理가 군왕의 마음으로부터 향리까지 관철되는 중요한 거점으로서 서원을 자리매김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한 서원을 통해 현실 권력을 견제하고 공론을 형성하며 인재를 양성해 중앙정계와 향촌에 공급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의 서원 건립 운동을 향촌 차원의 일로 한정지 을 수는 없다. Yi Hwang (李滉, pen name T`oegye 退溪; 1501-1570) occupies a special place in the history of the Confucian academies (Sowon 書院) of the Choson dynasty. He set the direction for the academies` development by redefining their sociopolitical role, and established their public status by obtaining the official approval of the king, even though the institutions began with Chu Sebung`s (周世鵬; 1495-1554) building of Paegundong Sowon. Based on existing research, this paper reconsiders a few concerns about T`oegye`s view of the academies from a philosophical stance. First,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T`oegye emphasized ceremonial rites as the main functions of the academies besides education, after noticing the importance of the former in establishing such institutions. However, his stress on the rites should be considered in connection with his theoryof study and cultivation, which focused on the "religious" attitude of mindfulness and awe (敬畏) toward the Mandate of Heaven (天命) or the Lord on High (上帝) and regarded mindfulness (敬) as the basic posture for study. Second, in light of the final aims of Confucianism or Neo-Confucianism, the inner sage and outer sovereign (內聖外王), the preparation for the civil service exam (kwago 科擧), and the study of tao-learning (tohak 道學) were not necessarily in conflict, even though T`oegye opposed total absorption in study for the civil service exam. He objected to the seeking of personal interests [利], but did not disapprove of the attainment of personal interests as the outcome of the pursuit of justice [義] or of public posts that resulted from tao-learning. Third, does T`oegye`s campaign to establish the Sowon indicate that his concern changed from the politics of the nation to that of the rural communal society? This shift might have been inevitable after his move from public office to living in the country. However, it could also be understood as a reflection of his effort to build the Sowon as a sacred hall of truth and the primary base of disseminating the ideology of li (理) from the king`s mind to rural areas. The meaning of his campaign for Sowon is found in his desire to check political power, develop public opinion, and cultivate people of talent in order to offer them to the political world or rural society. Therefore, the meaning of his campaign cannot be limited to the scope of the rural society.

      • KCI등재

        퇴계 이황과 고봉 기대승의 예학 논의

        한재훈(Han, Jae Hoon)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8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7 No.2

        본 논문은 퇴계와 고봉 사이에 있었던 예학 관련 논의를 왕실과 사가의 종법질서에 관한 사안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왕실의 종법질서를 두고 퇴계와 고봉은 진지한 논의를 주고받았다. 먼저, 선조는 본생부모인 덕흥군과 하동정씨에 대한 호칭으로 ‘황(皇)’자를 사용했는데, 퇴계와 고봉은 이것이 타당한지 여부를 두고 논의를 개진했다. 다음으로는, 선조가 덕흥군 사가에 사당을 세우고 치제(致祭)를 하면서 제물도 관에서 공급하고 헌관도 관리를 파견하고자 한 사안에 대해서도 퇴계와 고봉은 논의했다. 사가(사대부가)의 종법질서 문제를 두고도 퇴계와 고봉은 논의를 주고받았다. 사당에서 체천이 시행될 때 친진한 신주를 빼내는 이른바 ‘조천’을 하는 과정에서 할머니와 어머니의 생존 상황을 어떻게 반영할 것인지, 그리고 이 문제와 연동되어 제기된 ‘총부주재(冢婦主祭)’ 문제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 퇴계와 고봉은 심도 있는 논의를 전개했다. 이런 과정을 통해 퇴계와 고봉은 각자의 예학적 입장을 세련되게 발전시켰을 뿐 아니라, 16세기 조선의 예학적 수준을 제고하는 토대를 구축했다. This paper focused on the debates on Yehak(禮學), which are ritual studies, between Yi Hwang and Ki Dae-seung. Yi Hwang and Ki Dae-seung debated about clan rules of the royal family. First, Yi Hwang and Ki Dae-seung discussed if it was appropriate for King Seonjo(宣祖) to use the word “Hwang (皇)” to address his natural father Deog-heung gun(德興君) and natural mother Mrs. Cheong. Next, Yi Hwang and Ki Dae-seung questioned whether it would be appropriate for King Seonjo to set up a shrine in his private residence, provide food for the memorial service, and dispatch officials to the ancestral shrine. Yi Hwang and Ki Dae-seung also exchanged views regarding the clan rules of the nobility family. They discussed two subjects: 1) How to reflect the survival of the grandmother or mother when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ancestral tablet (神主) in the shrine and 2) how to respond to the problem of the first son"s wife holding a memorial service. Yi Hwang and Ki Dae-seung not only developed their respective positions of Yehak through this process, but also raised the level of Yehak in the 16th century Joseon Dynasty.

      • KCI등재

        「논사단칠정제삼서(論四端七情第三書)」의 재구성

        정원재 ( Jeong Weon-jae ) 퇴계학연구원 2017 退溪學報 Vol.142 No.-

        사칠논쟁 중에 이황은 기대승의 세 번째 편지를 받고서 논평을 해두었는데, 이황 사후에 제자들은 기대승의 편지 내용과 이황의 논평을 문답식으로 편집하여 여섯 조목으로 정리했다. 이것이 ‘論四端七情第三書’ 라는 부제가 붙은 「答奇明彦」이라는 편지다. 이 글에는 기대승의 질문과 이황의 답변이 서로 들어맞지 않는 것으로 보이는 곳이 여럿 나타난다. 그래서 편집이 잘못된 탓에 이황의 주장을 오독하게 된다는 논란이 퇴계학파 안에서 생겨났다. 이 연구에서는 金宗德(1724~1797)과 柳長源(1724~1796)이 주고받은 편지, 『退溪先生文集攷證』 등을 중심으로 이 논란의 전말을 소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논사단칠정 제3서」의 본문 여섯 조목 중 네 조목의 내용을 재구성해 보았다. In the course of the debate, which he conducted by letter, with Ki Taesung about the Four Beginnings and the Seven Emotions, Yi Hwang wrote comments on Ki’s third letter. After Yi Hwang’s death, his disciples edited the letter and the comments into a dialogue of six sets of questions and answers. The resulting document is titled ‘Response to Ki Taesung (Tap Ki Myong’on)’ and subtitled ‘The third letter discussing the Four Beginnings and the Seven Emotions (Non sadan ch'iljong chesamso)’. In it there are a number of incongruities between Ki’s questions and Yi’s an-swers, which caused a controversy within the T’oegye School, namely, that the flawed editing of the document had led to a misunderstanding of Yi’s argument. In this research paper, I give a full account of the con-troversy, based on the correspondence between Kim Chongdok (1724~1797) and Ryu Chang'won (1724~1796), the T'oegye sonsaeng munjip kojung (a textual criticism of the collected works of Yi Hwang), and other sources.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I offer a reconstruction of the original debate as found in four entries out of the six in the text of ‘The third letter discussing the Four Beginnings and the Seven Emo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