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의 세계문화유산 현황과 미래

        안가요 ( Jia Yao An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09 백제문화 Vol.40 No.-

        현재 UNESCO에 등재된 중국의 세계유산은 모두 37곳으로, 이탈리아와 스페인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많다. 유구한 역사와 수려한 자연풍광으로 인해 중국은 이처럼 많은 세계유산을 가지게 되었는데, 1985년 UNESCO의 `세계문화와 자연유산 보호를 위한 협약`의 성원국이 된 이후 세계문화유산 등재 신청 및 보호관리를 국가적 차원에서 지원해왔다. 즉 國家文物局은 전문 부서를 설립하여 각 지방정부의 세계유산 등재 관련 사업을 체계적으로 지원했으며, 나아가 관련 법률의 제정에도 적극성을 보였다. 대표적인 사례가 殷墟이다. 은허는 商나라 晩期의 도성 유지로서 이미 중국에서는 1961년부터 중점적으로 보호되었는데, 2001년부터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노력이 시도되었다. 중국 국가문물국, 河南省, 안양시 등 행정부문과 중국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 등의 학술단체가 함께 참여하여 유지의 발굴에서 보호·전시까지 여러 부문에서 훌륭한 성과를 거두었고, 마침내 2006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은허의 성공적인 사례에도 불구하고 급속한 경제발전에 따라 문물보호관리 사업은 많은 허점을 드러냈다. 특히 중국 일부 지방에서는 경제적 이익을 더욱 중시함으로써 `세계문화유산 등재 신청은 중시하나 관리는 소홀히 하는` 현상을 야기했다. 이로 인해 문화유산과 주변 환경의 파괴가 진행되는 등 중국의 세계문화유산 관리시스템에 허점이 드러나기도 했다. 이에 중국 정부는 법률 및 조례의 제정, 보호시스템 정비, 과학적 연구의 추진, 보호자금의 투입, 전문인력의 양성 등 다방면에서 세계유산 관리를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특히 각국의 세계유산 등재 신청에 대한 제한이 결정된 2002년 부다페스트 선언 이후 이에 맞는 전략적 조정을 시도하고 있다. As of now, as many as 37 places in China are placed on UNESCO`s World Heritage List, putting China in third place after Italia and Spain. Thanks to its long history and scenic spots, China has become a nation that has such a large number of world heritage sites. It has provided support at the national level to have its places designated as world heritage sites and to preserve them in good conditions, since its ratification of the “UNESCO Convention Concerning the Protection of the World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 in 1985. That is, Chinese State Administration of Cultural Heritage established a specialized department to systematically support each local government`s project to have its places included in the World Heritage List and aggressively involved itself in the establishment of related law. A representative example is Yin Xu. Yin Xu, the capital of Shang Dynasty during its maturity period, has been specially preserved since 1961 in China, and efforts have been made to make it designated as a world heritage site since 2001. Administrative bodies, such as Chinese State Administration of Cultural Heritage, Henan Province and Anyang City, and academic organization like Institute of Archaeology,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worked together to excavate, protect and exhibit relics from Yin Xu, achieving outstanding performance, and finally in 2006, Yin Xu was added to the World Heritage list. In spite of this successful case of Yin Xu, China`s heritage preservation management project revealed lots of loopholes when it began to develop its economy at the rapid pace. Especially some provinces in China valued economic benefits more than anything else and thus neglected preserving cultural sites, though they made efforts to put their cultural sites on the World heritage List. As a result, part of their cultural heritage and nearby areas have been damaged, revealing loopholes in China`s system of managing world cultural heritage. The Chinese government is making various efforts for world heritage management, such as establishing law and ordinance, maintaining the preservation system, investing preservation fund and cultivating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Especially after 2002 Budapest Declaration that decides limitations to each nation`s bid to win designation as world heritage, it has attempted a strategic adjustment.

      • KCI등재

        유네스코 세계유산 협약 50주년, 현재 및 과제

        이현경,유희준,남수미 국립문화재연구원 2023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6 No.2

        The 50th anniversary of the UNESCO World Heritage Convention was in 2022. In order to reflect on the present and future of the meaning of World Heritage, this paper examines the development and changes of the UNESCO World Heritage system. After promulgating the convention in 1972, the UNESCO World Heritage system prioritized the protection of heritage sites in the world that were at risk due to armed conflicts and natural disasters to bequeath heritage to the next generation. In addition, the UNESCO World Heritage’s emphasis on Outstanding Universal Value represents the particular culture of human beings formed during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acts as a significant source of soft power in public diplomacy. The UNESCO World Heritage might be perceived as a shared heritage that has not only become a channel to understand various national values, but also an effective medium to convey one of UNESCO’s main principles, that is, peacebuilding. However, the UNESCO World Heritage is now at the center of conflicts of heritage interpretation between many stakeholders related to invisible wars, such as cultural wars, memory wars, and history wars as the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contexts concerning World Heritage have dramatically shifted with the passing of time. Paying attention to such changing contexts, this paper seeks to understand the main developments in UNESCO World Heritage’s discourse concerning changes to the World Heritage Operation Guidelines and heritage experts’ meetings by dividing its 50-year history into five phases. Next, this paper analyzes the main shifts in keywords related to UNESCO World Heritage through UNESDOC, which is a platform on which all UNESCO publications are available. Finally, this paper discusses three main changes of UNESCO World Heritage: 1) changes in focus in World Heritage inscriptions, 2) changes in perception of World Heritage protection, and 3) changes of view on the role of the stakeholders in World Heritage. It suggests new emerging issues regarding heritage interpretation and ethics, climate change, and human rights.

      • KCI등재

        유네스코 세계유산 관련 자치지방정부의 PR커뮤니케이션 전략: 제주, 태즈메이니아, 하와이를 중심으로

        이서현,고영철 한국지역언론학회 2017 언론과학연구 Vol.17 No.4

        This study intended to present how well regional daily newspapers perform the function of arbitration in World Heritage PR practices, and which value of the World Heritage in each region is primarily published. In terms of the PR type by region, Jeju can be categorized as a "development mobilization" type. As World Natural Heritage registration was one of Jeju’s important policy agenda, World Heritage PR was jointly conducted by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related organizations. The PR messages crafted by PR bodies mostly consisted of simple announcement-typ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local government, and in recent times, the preservation value of the World Heritage Sites decreased whereas their usage value increased. Further, the public developed an interest in World Heritage Sites and came to regard their preservation as important. Tasmania’s World Heritage PR type is "conflict arbitration." A sharp conflict arose between Tasmania’s federal and central governments surrounding the construction of Franklin Dam, and World-Heritage-related conflicts, such as the expanded retraction of the World Heritage regions, which became important election issues in 2013, persisted. Consequently, the preservation and usage values of World Heritage Sites were shown to be similar, and the PR messages were mainly simple announcement-typ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federal and central governments. As for the public, there were many individuals who stood against the logic of the opposing party, and many appeals were made concerning problems related to the usage of the World Heritage Sites. Hawaii’s World Heritage PR type is "value maintenance." In Hawaii, the preservation value of World Heritage Sites was absolutely superior. Among the World Heritage PR bodies and the World Heritage management and research organizations, Hawaii Volcano National Park and Hawaii Volcano Observatory were significantly high in terms of efficiency, and the preservation value was the only value of the World Heritage that was displayed. PR messages were mainly provided by management and research organizations, and simple announcement-type information focused on monitoring was prominent. Most of the public also emphasized the preservation value of World Heritage Sites. 본 연구에서는 제주와 태즈메이니아, 하와이의 지역일간지에 보도된 세계유산 관련 언론보도를 중심으로 세계유산 PR메시지의 특성과 이에 대한 여론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제주에서는 세계자연유산 등재가 핵심 정책의제였던 만큼 세계유산 PR은 지방정부를 중심으로 한 관계기관의 공조 속에서 수행되었다. PR주체가 산출한 PR메시지는 대부분 지방정부가 제공한 단순공지형 정보였고, 최근으로 올수록 보존적 가치는 감소한 반면, 활용적 가치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중들은 세계유산 의제에 많은 관심을 가졌으며, 투입내용에서는 세계유산의 보존뿐만 아니라 활용에 대한 내용도 다양하게 확인되었다. 태즈메이니아에서는 프랭클린 댐 건설과 세계유산지역의 등재 철회를 둘러싼 연방정부와 주정부 간의 첨예한 대립이 있었던 만큼 PR주체 간의 갈등 양상이 두드러졌다. PR메시지는 대부분 연방정부와 주정부 중심의 단순공지형 정보였고, 이에 따라 공중 또한 상대측의 논리에 맞서는 갈등형 공중이 많이 등장했다. 공중의 피드백인 투입내용은 세계유산의 활용에 대한 문제제기가 많았다. 하와이에서는 보존적 가치가 절대적으로 우세하게 나타났다. 세계유산 PR주체는 세계유산 관리 및 연구기관인 하와이 화산국립공원과 하와이 화산관측소가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세계유산의 가치에서는 보존적 가치만 확인되었다. PR메시지는 모니터링 중심의 단순공지형 정보가 주를 이루었다. 공중은 보존적 가치를 중시하는 공중으로 지지협조형 투입유형이 절대적이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후보

        일본의 세계문화유산 추진전략

        朝倉敏夫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09 백제문화 Vol.40 No.-

        It is necessary to refer Japan’s cases to have Baekje remains included the World Heritage List. Currently, 3 natural heritages, 12 cultural heritages and 3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in Japan are designated as world heritages, and each of them is preserved and managed by related ministry. Japan made the following efforts to have its places designated as world heritages. To begin with, it introduced and utilized the principle or system of the world heritage treaty, and made lots of efforts to overcome the West-centered UNESCO evaluation and increase the organization’s understanding of wood buildings. Furthermore, it tried to arouse citizenship for local benefits acquired by wining designation as world heritage and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he heritage. Specifically, it created and managed world heritage-related course at universities and published various books about world heritage. Lastly, it made public broadcasting companies like NHK produce and broadcast programs related to world heritage, expanding the base for world heritage. Based on Japan’s cases like these, an academic approach should be made in the first place to the bid to have Baekje culture included the World Heritage List. This can be improved by identifying problems with the registering process of world heritage with the help of experts. Next,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the most influential industry in the 21st century is culture, and winning designation as world heritage will serve as a foundation for becoming world cultural power. Moreover, it is also necessary to observe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world record heritage, which are increasingly recognized recently. Lastly, close cooperation and nderstanding among nations is required to make the world acquainted with the significant values of Baekje remains and have them designated as world heritage. Therefore,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Japan」is considered very important in making Gongju and Buyeo included in the World heritage List. 백제유적의 세계유산 등재를 위해서는 앞서 여러 가지 유산을 등재한 일본의 사례의 참고가 필요하다. 일본의 세계유산은 자연유산 3지역, 문화유산 12지역, 무형 문화유산 3개가 등록되어 있으며, 이들 유산은 각각의 관계 부처에서 담당·관리하고 있다.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일본의 노력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세계유산 조약의 이념이나 제도를 국내법에 도입하여 활용하였으며, 기존 서구 중심의 유네스코 평가를 극복하고 목조건축물의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더불어 세계유산 등재를 통한 지역적인 이점, 그리고 유산의 보호와 활용을 위한 시민의식을 고취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대학에 세계유산학과 관련된 과정을 설치하여 운영하였으며, 세계유산과 관련된 각종 서적을 출판하였으며, 마지막으로 NHK 등의 공공 방송을 통해 세계유산 관련 방송을 제작·방영함으로써 세계유산에 대한 저 변을 확대시켜나갔다. 이러한 일본의 사례를 바탕으로 백제문화의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제안은 먼저, 학제적인 접근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의 참여를 통해 세계유산의 등록 과정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할 수 있다. 다음으로 21세기 가장 중요한 산업은 바로 문화라는 점을 인식하고 세계유산 등재가 문화대국의 밑거름이 될 것이라는 점을 기억하여야 한다. 더불어 최근 인식이 확대되고 있는 세계무형문화유산과 세계기록유산에 대해서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백제의 우수한 문화유산의 가치를 알림과 동시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라는 진정한 의미를 갖 기 위해서는 국가간의 긴밀한 협력과 이해 필요하다. 이에 공주·부여 지구의 등재 역시「한·일의 협력」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일본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와 동북아 역사갈등

        황선익 ( Sun-ik Hwang ) 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6 일본공간 Vol.19 No.-

        2015년 일본의 `근대산업시설`(`메이지산업혁명: 철강·조선·석탄 산업`)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면서 한국·일본 간 역사갈등은 심화되었다. 경제대국 일본의 주요 근대산업시설 중 대부분이 제국주의시기 강제동원의 현장이었기 때문이었다. 특히 `군함도`가 상징적인 장소로 떠오르면서, 세계유산을 둘러싼 역사 갈등의 파고는 대중적으로 고조되었다. 1990년대 들어 문화청에 의해 근대유산의 발굴과 활용방안이 모색되는 가운데, 2000년대 들어 경제산업성이 이를 `산업유산`과 연계하여 `근대화산업유산`을 고안하였다. 결국 `지역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전국 각지의 유구들이 역사문화유산으로 부상하기 시작했고, 이는 `메이지산업혁명: 철강·조선·석탄 산업`(2015년)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로 이어졌다. 세계기록유산의 등재는 정부가 주도한 세계문화유산과 다른 맥락에서 진행되었다. 2011년 후쿠오카현 다가와(田川)시 주도로 `야마모토 사쿠베의 탄갱기록화`가 일본 최초의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자, 기록유산에 대한 관심이 급속도로 고조되었다. 이후 정부에 의한 기록유산 등재 추진과 각 지역의 `유산 발굴`이 경쟁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일본의 세계유산이 역사 쟁점화된 것은 근대유산이 세계적 유산으로 공인되면서부터이다. 그러나 일본이 촉발한 `유네스코 유산`에 대한 논란은 강제동원과 역사인식 문제에 그치지 않고 있다. 중국은 일본의 역사적 도발에 항의하는 한편, 2015년 `난징대학살` 기록물을 `세계기록유산`에 등재하였다. 이에 일본정부는 격렬하게 반발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일본군`위안부` 기록물을 국제간연대로 추진하고 있다. 근현대사에 대한 한중일의 엇갈린 역사의식은 이제 `유네스코 유산`을 둘러싼 동아시아 `역사전쟁`으로 비화되고 있으며, 이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동북아 역사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지금, 한중일은 세계유산이 갖는 본연의 가치를 되새겨야 할 것이다. Historical conflicts between Korea and Japan was intensified when `modern industrial facilities of Japan`(Sites of Japan`s Meiji Industrial Revolution: Iron and Steel, Shipbuilding and Coal Mining) have been inscript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in 2015. Because many of Japan`s major modern industrial facilities were fields of compulsory mobilization by Japanese imperialism. In particular, history conflict surrounding the World Heritage was popularly heighten while `Island of Warship(Hashima)` became the symbolic place of history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Excavation and the utilization of modern heritage sought by the Agency for Cultural Affairs in 1990s. And the Ministry of Economy was designed to `modernize industrial heritage` by linking them with `industrial heritage` in 2000s. Eventually, remains of across the country emerged as a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for `regional revitalization`, which led to the `industrial revolution of the Meiji(Sites of Japan`s Meiji Industrial Revolution: Iron and Steel, Shipbuilding and Coal Mining)` inscripted as a World Heritage. Memory of the World was been different from World Cultural Heritage, which led the Japanese government. Interest in documentary was rapidly risen through listing of `Sakubei Yamamoto Collection` as a first Japanese Memory of the World which led Fukuoka Dagawa city(田川) in 2011. After that promoting Memory of the World by the Government and `heritage excavation` of each region have led to competitive. Japan`s World Heritage became a history issue when modern heritage authorized as a worldwide heritage. However, debates about UNESCO heritage which sparked by Japanese has not only history issue of compulsory mobilization. China has protest against historical provocations. On the other hand, Collection of the `Nanjing Massacre` listed as a `Memory of the World(2015)`. The Japanese government has vigorously opposed it. South Korea has promoted to listing record of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and compulsory mobilization through international coalition. For the modern history of Korea, China and Japan now has a staggered historical consciousness spark East Asia `history wars` surrounding `UNESCO heritage` which is expected to continue for a while. The history of conflict in Northeast Asia is rising now, Korea, China and Japan will look back at the original value of World Heritage.

      • KCI등재

        일본의 세계문화유산 추진전략

        아사쿠라 토시오(朝倉敏夫)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09 백제문화 Vol.40 No.-

        백제유적의 세계유산 등재를 위해서는 앞서 여러 가지 유산을 등재한 일본의 사례의 참고가 필요하다. 일본의 세계유산은 자연유산 3지역, 문화유산 12지역, 무형 문화유산 3개가 등록되어 있으며, 이들 유산은 각각의 관계 부처에서 담당·관리하고 있다.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일본의 노력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세계유산 조약의 이념이나 제도를 국내법에 도입하여 활용하였으며, 기존 서구 중심의 유네스코 평가를 극복하고 목조건축물의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더불어 세계유산 등재를 통한 지역적인 이점, 그리고 유산의 보호와 활용을 위한 시민의식을 고취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대학에 세계유산학과 관련된 과정을 설치하여 운영하였으며, 세계유산과 관련된 각종 서적을 출판하였으며, 마지막으로 NHK 등의 공공 방송을 통해 세계유산 관련 방송을 제작·방영함으로써 세계유산에 대한 저변을 확대시켜나갔다. 이러한 일본의 사례를 바탕으로 백제문화의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제안은 먼저, 학제적인 접근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의 참여를 통해 세계유산의 등록 과정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할 수 있다. 다음으로 21세기 가장 중요한 산업은 바로 문화라는 점을 인식하고 세계유산 등재가 문화대국의 밑거름이 될 것이라는 점을 기억하여야 한다. 더불어 최근 인식이 확대되고 있는 세계무형문화유산과 세계기록유산에 대해서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백제의 우수한 문화유산의 가치를 알림과 동시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라는 진정한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국가간의 긴밀한 협력과 이해 필요하다. 이에 공주·부여 지구의 등재 역시「한·일의 협력」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It is necessary to refer Japan`s cases to have Baekje remains included the World Heritage List. Currently, 3 natural heritages, 12 cultural heritages and 3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in Japan are designated as world heritages, and each of them is preserved and managed by related ministry. Japan made the following efforts to have its places designated as world heritages. To begin with, it introduced and utilized the principle or system of the world heritage treaty, and made lots of efforts to overcome the West-centered UNESCO evaluation and increase the organization`s understanding of wood buildings. Furthermore, it tried to arouse citizenship for local benefits acquired by wining designation as world heritage and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he heritage. Specifically, it created and managed world heritage-related course at universities and published various books about world heritage. Lastly, it made public broadcasting companies like NHK produce and broadcast programs related to world heritage, expanding the base for world heritage. Based on Japan`s cases like these, an academic approach should be made in the first place to the bid to have Baekje culture included the World Heritage List. This can be improved by identifying problems with the registering process of world heritage with the help of experts. Next,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the most influential industry in the 21st century is culture, and winning designation as world heritage will serve as a foundation for becoming world cultural power. Moreover, it is also necessary to observe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world record heritage, which are increasingly recognized recently. Lastly, close cooperation and understanding among nations is required to make the world acquainted with the significant values of Baekje remains and have them designated as world heritage. Therefore,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Japan」is considered very important in making Gongju and Buyeo included in the World heritage List.

      • KCI등재

        법정책학연구논문 ; 한국의 세계유산보호를 위한 법제개선방안

        김창규 ( Chang Kyu Kim ) 한국법정책학회 2015 법과 정책연구 Vol.15 No.3

        문화재의 보호와 개발이라는 상충된 이해관계 속에서 지구상의 수많은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이 훼손되고 파괴되는 심각한 위협에 처함에 따라 1972년 유네스코 제17차 총회는 「세계문화 및 자연유산 보호에 관한 협약」을 채택하였다. 이것은 세계유산이 전 인류의 공동유산이며 그 보호에 협력하는 것은 국제사회전체의 의무라는 것을 선언함과 동시에 세계유산의 보호를 위한 법적 구속력 및 실천적 강제력을 갖춘 세계유산보호제도의 창설을 의미한다. 우리나라 문화재보호법도 세계유산협약의 정신을 반영하여 그 입법목적에서 “문화재를 보존하여 민족문화를 계승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국민의 문화적 향상을 도모함과 아울러 인류문화의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고 규정하여 문화재가 전 인류의 공동유산임을 선언함과 동시에 그 국내법적 이행을 도모하기 위하여 세계유산의 등재주체와 등재절차, 그리고 그 보호를 위한 조치로서 국가지정문화재에 준하는 보호조치와 정기점검을 위한 모니터링제도를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문화재보호법의 규정으로는 우리나라 세계유산의 보호에 한계가 있다. 세계유산협약의 실현을 위한 입법체계, 세계유산 등재 이전 및 이후의 보존관리체계와 세계유산 모니터링체계의 불완전성 등이 그것이다. 이에 본고는 한국의 세계유산보호를 위한 법제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세계유산보호법제의 입법체계로서 세계유산과 지정문화재 관리의 형평성, 국제기구와의 협력관계, 법령체계의 정합성 및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문화재보호의 기본법인 문화재보호법에 “세계유산의 등재와 보호”라는 하나의 장을 신설하여 세계유산을 일원적으로 관리하고, 세계유산협약 및 세계유산협약운영지침이 요구하는 내용들을 보완할 것을 제안하였다. 둘째, 세계유산의 보존관리체계 및 모니터링체계로서 세계유산 보존관리계획의 수립에 관한 독자적인 법적 근거를 신설하고, 세계유산의 보존을 위한 계획법제와의 연계, 완충구역의 설정 및 관리, 세계유산의 수용력 평가 등을 통한 방문객관리, 세계유산의 보존관리를 위한 관계기관의 협력과 시민참여, 세계유산의 지속가능한 활용 및 안정적 재정, 세계유산의 보존을 위한 일상적 및 전문적관리와 모니터링체계 등의 규정을 보완할 것을 제안하였다. In 1972, The General Conference of the UNESCO, at its 17th session, adopted the Convention concerning the Protection of the World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World Heritage Convention) as the cultural heritage and the natural heritage had been threatened with destruction. It declares thatworld heritage need to be considered as heritage of mankind as a whole and it is incumbent o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a whole to participate in the protection of heritage. At the same time, it means the world heritage protection system has been established with legal binding force. The purpose of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is to promote the cultural edification of Korean nationals a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human culture by transferring national culture and enabling it to be utilized through the pre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This Act also declares that cultural heritage is heritage of mankind as a whole, and it provides the subject and the process of the registration of world heritage, measures for the protection of a world heritage to the level equivalent to the State-designated cultural heritage, and the monitoring system for regular investigations. However, current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is not enough to protect world heritage effectively. So, this study suggests several reform measures as following; At first, as the legislative structure, this suggests to create a chapter, entitled Registration and Protection of World Heritage, in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to manage world heritage unitarily and to complement the regulations of convention and Operational Guidelines. Secondly, as the preservation and monitoring structure of world heritage, this suggests to create the legal ground on establishment of the preservation plan for world heritage, and to complement the regulations of the integration of world heritage preservation and planning systems,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Buffer Zone, guest management through capacity assessment, cooperation with related agencies and citizen participation, sustainable utilization of world heritage and financial stability, routine and special management and monitoring system, etc.

      • KCI등재

        「세계유산법」 도입에 따른 한국 지역사회의 세계유산 거버넌스 참여에 대한 분석

        김지현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一鑑法學 Vol.- No.53

        The Convention Concerning the Protection of the World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 adopted in 1972 (hereinafter, ‘World Heritage Convention’ or ‘Convention’), emphasized the participation of local communities in its implementation, and this has been continuously reaffirmed through the fifth ‘C’ (i.e., Communities) of its Strategic Objectives adopted in 2007 as well as in the recent revisions of the Operational Guidelines. The Republic of Korea has implemented the Convention, since its ratification in 1988, through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and recently adopted, in 2020, the Special Act on Preservation, Management and Use of World Heritage (hereinafter, ‘World Heritage Act’) for improved stewardship of World Heritage Sites in Korea and further involvement of local community in the various issues related to World Heritage. In this context, the present research analyzed the participation of local communities in governance on the protection, management and promotion of World Heritage Sites in the relevant legal and policy texts of the Republic of Korea. It also aimed to have a close look at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World Heritage Cities concerning the involvement of the local residents through the cases of three World Heritage Cities in Korea, namely Gyeongju City, Gongju City, and Buyeo County. Overall, the provisions of World Heritage Act well reflect the importance of community involvement that has been stressed in the Convention, but there exist a necessity for further development concerning more active accommodation of local residents’ ideas and guarantee of their participation. Relevant ordinances of World Heritage Cities need to be revised accordingly as well. In practice, it is recognized that local communities’ participation in governance of World Heritage has been enhanced through various methods, but local government’s more active promotion and education on the policies and activities of World Heritage seems necessary to encourage local residents’ continuous voluntary participation in governance for World Heritage. Moreover, the research identified a possible role for experts in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residents, which possibility will be explored further. These can be the ways in which the new World Heritage Act and relevant legal and policy measures of World Heritage Cities can be improved for further involvement of local communities in governance for World Heritage, and good references in the course of the implementation of projects for World Heritage management and promotion. 1972년 채택된 「세계문화 및 자연유산 보호에 관한 협약」(이하 ‘세계유산협약’)은그 다섯 번째 전략목표로 지역사회를 채택하며(2007년), 지역주민의 참여가 세계유산의보존관리에 필수적 요소임을 확인한 바 있다. 아울러 협약의 「운영지침」의 지속적인개정을 통해 지역 공동체와 유산의 연결고리를 더욱 강화시키고자 하였다. 한국은 1988 년 「세계유산협약」에 가입한 이래 오랫동안 문화재보호법을 통해 협약을 이행해오다최근 「세계유산의 보존⋅관리 및 활용에 관한 특별법」(이하 ‘세계유산법’)을 제정하고세계유산과 관련된 주요 결정과 추진 과정에 지역주민의 참여를 증진시키기 위한 법적기반 확대를 시도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동 연구는 한국의 세계유산 보존, 관리, 활용 등과 관련된 거버넌스에 지역주민의 참여가 얼마나 법제도적으로 보장되어 있는지를 검토하고, 실제 세계유산이 위치한 지방자치단체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실제로 경주, 공주, 부여 등 대표적 세계유산도시의 관련 사업의 결정과 추진 과정에 지역주민들이 얼마나 참여하고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세계유산법」은 「세계유산협약」에서 강조하고 있는 지역사회의 참여를 전반적으로잘 반영하고 있으나, 좀 더 적극적인 주민 의견 수렴과 그 참여 보장에 대해서는 개선의여지가 있으며, 세계유산도시의 관련 조례 역시 향후 적절히 수정되어야 할 필요가있다. 또한 유산 현장에서의 세계유산 거버넌스에 대한 지역사회의 참여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점차 증진되고 있으나, 주민을 대상으로 한 지자체의 더 많은 사업 홍보와교육을 통해 그들의 자발적 참여가 지속가능하도록 독려해야 할 것이다. 그 가운데지자체와 주민 간 대화를 촉진하는 전문가의 중간자적 역할 또한 확인되었다. 이러한방안들은 향후 지역사회의 더욱 활발한 세계유산 거버넌스 참여 보장을 위한 「세계유산법」과 관련 지자체의 법제도적 보완과 함께, 세계유산 사업 추진 과정에도 구체적시사점이 될 수 있다.

      • KCI등재

        세계유산법의 제정과 세계유산협약의 국내이행에 관한 법적고찰

        권채리(Kwon, Che-Rry) 한국비교공법학회 2020 공법학연구 Vol.21 No.4

        2020년은 한국의 유네스코(UNESCO) 가입 70주년이 되는 해로 본 연구에서는 유네스코 협약 가운데 세계유산협약의 국내 이행상황을 점검하고자 하였다. 유네스코의 29개 협약 가운데 우리나라는 12개 협약의 가입국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 중 문화 분야의 협약이 6개로 다른 분야에 비해 그 비중이 높으며, 문화 분야의 절반은 문화유산협약에 해당한다. 이들 문화유산 관련 협약을 살펴보면 가입 이후 짧게는 10년 길게는 40년 정도 되었는데 협약의 가입 후 법제화의 단계는 상이한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는 세계유산협약에 1988년에 가입한 이후 지난 약 30여 년 동안 등재를 적극적으로 추진한 결과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그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인정받아 현재 총 14건의 세계유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2000년대 이후에는 국제적인 기여도 확대해왔다. 또한 그 법적이행을 위해 문화재보호법의 체계 내에서 세계유산협약을 수용하는 한편 세계유산의 관리제도는 지침을 통해 실무적으로 운용되어 왔다. 그러나 국내법상의 문화재와 세계유산 간의 간극은 여전히 존재하며, 협약의 중요성이 높은 만큼 별도의 입법조치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리고 마침내 2020년 「세계유산의 보존·관리 및 활용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었고 내년 그 시행을 앞두고 있다. 그러나 동법은 성급하게 성안되면서 협약의 내용이 충실히 제정법에 반영되지 못하였으며, 특별법의 성격에 부합하기에는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문제인식 하에 본 연구에서는 협약의 국내이행과 관련하여 제반현황 및 입법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세계유산협약의 이행을 위한 노력과 성과를 법적관점에서 분석한다. 특히 동 협약과 국내제도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국내 입법조치가 필요한 사항을 발굴하여 개선방향을 제시하고 향후 동 협약의 이행에 있어 발전방향을 모색한다. This study seeks to examine how the Convention Concerning the Protection of the World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 among other UNESCO Conventions, is being implemented in Korea, commemorating 2020 which marks the 70th anniversary of Korea’s accession to UNESCO. Korea is actively working as a Member State of 12 Conventions among 29 UNESCO Conventions. 6 of the 12 Conventions are about culture, which occupies a higher proportion than others, and a half of the 6 Conventions relates to cultural heritage. Although it has been as short as 10 to up to 40 years after Korea joined these Conventions on cultural heritage, the stages of legislation in Korea seem to be different. As a result of making active efforts for registration over the past 30 years after Korea joined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in 1988, Korean now has 14 properties inscribed on the World Heritage List, with the recognition of their outstanding universal value by the World Heritage Committee, and has been expanding its contribution to the broad international effort since 2000. Furthermore, Korea incorporated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within the framework of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for its legal implementation and has utilized the Operational Guidelin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as the practical working tool for the management of world heritage. However, since the gap between cultural heritage within the meaning given by the Korean Act and world heritage still exists and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is of a greater importance, the need for taking a separate legislative measure has been raised. Eventually in 2020, the Special Act on the Pre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World Heritage was enacted and is about to come into force next year. However, as the aforesaid Act was drafted in haste, the contents of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were not fully incorporated therein and it seems that the Act is not enough to serve the purposes of the special Acts. Recognizing these issues,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overall status of legislation concern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and the need for legislation in Korea and to analyze Korea’s efforts and achievement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in the legal point of view. More specifically, by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and the Korean legal system, this study aims to identify matters that require legislative measures in Korea, to set a direction for improvement, and further to present ways towards which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s is to be implemented in the future.

      • KCI등재

        최근 중국의 발해 수도 상경용천부유적의 세계유산 등재 움직임과 가능성 검토

        권은주 고구려발해학회 2024 고구려발해연구 Vol.78 No.-

        In recent international relations, as soft power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there has been fierce competition to have a country’s heritage included in the World Heritage list. Currently, China ranks second after the United States in UNESCO contributions and also holds the second position in terms of the number of World Heritage sites, following Italy. China’s efforts towards the World Heritage sites stem from various reasons such as enhancing its international status and influence, economic benefits, and fostering a sense of national unity among its people. Among these efforts, includ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of ethnic minorities in the World Heritage sites is to substantiate China’s claim of the true essence of the “Chinese nation,” which it asserts as a material cultural heritage. Moreover, it serves the significant purpose of being utilized as a symbol for achieving the “great rejuvenation of the Chinese nation,” aiming at national unity and territorial integration. As a result, when it comes to heritage sites with histor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 to neighboring countries and ethnicities from the pre-modern era, conflicts in historical interpretation are almost inevitable. A prominent example is the inclusion of the Goguryeo relics in 2004, which sparked serious diplomatic tensions between Korea and China. Subsequently, when news spread that China intended to nominate the Balhae relics for World Heritage status, it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from Korea. However, as China showed no significant progress thereafter, interest peaked around 2012 and then waned. Recently, though, references to the Balhae’s Sanggyeong Yongcheonbu relics in official Chinese documents concerning World Heritage have been confirmed. Therefore, the author examined China’s movements and potential for the inclusion of the Balhae’s Sanggyeong Yongcheonbu relics as a World Heritage site, in preparation for its possible nominati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China has been steadily preparing for the inclusion of the Sanggyeong Yongcheonbu relics as a World Heritage site, and some predictions could be made regarding the direction and manner in which the nomination would be pursued. Furthermore, South Korea proposed an alternative approach, suggesting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and Russia, where the Balhae relics are located, to nominate them as a Transnational World Heritage(Transboundary Heritage) Site rather than China’s unilateral nomination. Additionally, it was emphasized that World Heritage listing could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heritage destruction and conservation efforts, highlighting the realistic approach of striving for proper nomination in the right direction through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