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문제(The College Question)'를 통해 나타난 배위량(William M. Baird)의 교육선교사상 및 역사적 의의

        배도환 기독교학문연구회 2010 신앙과 학문 Vol.15 No.2

        The Union Christian College (Soong Sil) had been run successfully, which had been started with the union of the Northern Presbyterian and the Methodist Church in 1906. However, in 1912, a new argument was triggered when the Methodist Church proposed to set up an union college for all Koreans in Seoul to an Educational Senate. Since then, the issue kept being discussed until 1914, which is now called the College Question. The Southern Presbyterian Church, the majority of the Northern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and Australian Presbyterian Church supported Pyongyang as the place to set up a new union college, while the Southern and Northern Methodist Churches, and some Northern Presbyterian Churches supported Seoul. Meanwhile, in the beginning of 1913, American Mission headquarters decided to establish a new union college for all Koreans in Seoul. Pyongyang Missionary Department and William M. Baird refused this decision and protested it to the last, but Pyongyang Soong Sil College was degraded to a junior college in the end. This essay has been written to help people know and understand the educational thought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William M. Baird, which was revealed in the process of his supporting a union college in Pyongyang. First, he and Pyongyang Missonary Department confronted with the traditional mission strategy of the Church and tried to devise new ones. Second, they strived to bring up christians for Korean people. Third, they confronted with the regional tradition of Korea and made an effort to achieve the balance of development between regions. Finally, they confronted with Japanese colonial rule and fought against the ruling power of Japan. 1906년 한국의 북장로교와 감리교의 연합으로 시작된 합성숭실대학(the Union Christian College)은 성공리에 잘 운영되고 있었다. 그런데 1912년 감리교가 서울에 하나의 연합 대학을 세우려고 교육위원회(an Educational Senate)에 제안을 하면서 논쟁이 시작되었다. 이후 1914년까지 열띤 논쟁을 벌이게 되었는데, 이 일련의 사건을 대학 문제(The College Question)라고 한다. 한국의 남장로교와 호주장로교, 그리고 북장로교의 다수는 평양을 지지하였고, 한국의 남감리교와 북감리교, 그리고 북장로교의 일부는 서울을 지지하였다. 그런데 1913년 초 미국선교본부는 서울에 새로운 연합대학을 세우는 것으로 결정해버렸다. 평양의 선교부와 배위량은 이 결정에 거부하고 끝까지 항의하였지만, 결국 평양 숭실대학은 초급대학(Junior college)으로 강등되어 버렸다. 이 글은 평양의 숭실대학을 지지하는 과정에서 드러난 배위량의 교육선교사상과 역사적 의의를 밝히고자 했다. 배위량과 평양선교부는 첫째 구 선교정책의 전통에 맞서 새로운 정책을 시도하였고, 둘째 민족을 위한 기독교인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였다. 이 과정에서 드러난 역사적 의의는 첫째 지역주의 전통에 맞서 균형발전을 도모하였다는 점, 그리고 일제 통치 권력에 대항하였다는 점이다.

      • KCI등재

        윌리엄 베어드의 교육사업

        류대영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0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2 No.-

        William M. Baird was a missionary from the Presbyterian Church (U.S.A.), who worked in Korea from his arrival in 1891 to his death in 1931. Among his long missionary life, he loved and paid a passionate attention to educational ministry. As a man of very conservative theology, Baird's aim in educational works was to build and strengthen native churches, which was over and against the civilizing mission ideology prevalent in the world. Therefore, his educational works realized John Nevius's church-oriented mission methods. Baird's mission schools did not intend to provide “secular” academical-professional education, but rather they were places where Christian workers were raised. For this reason, Soongsil Academy and Soongsil College taught the Bible regularly, but not non-Christian classics and English. Baird's educational ministry in Pyung Yang meant more than merely building and maintaining a few mission schools. He endeavored to realize what he thought was the ideal mission school system. Against all odds, his devotion paid off, and Pyung Yang's missionary educational system from elementary schools to college became a representative work of the northern Presbyterian mission in Korea. The ideals and system of the educational system Baird established, and Soongsil Academy and Soongsil College exerted great influence upon the Korea mission, and upon the Korean church as well. However, under the convulsive climate of late Yi Korea and Japanese colonial regime, Baird's educational system that aimed to raise church workers in small mission schools protected from "secular" influences could not last long. 윌리엄 베어드(William M. Baird)는 1891년에 한국으로 와서 1931년 평양에서 사망할 때까지 40년 동안 미국 북장로교 선교사로 일했다. 오랫동안 지속된 베어드의 선교사역 가운데서도 교육사업은 그가 특별히 애정과 정열을 쏟았던 분야였다. 대단히 보수적인 신학을 가졌던 베어드는 당시 세계적으로 유행하던, 문명을 전하는 선교방식에 반하여 교회설립을 선교의 일차적 목표로 삼았다. 따라서 그의 교육사업은 존 네비어스의 선교정책이 잘 구현된 사례에 속했다. 베어드의 선교학교는 비기독교인들도 원하는 학문적ㆍ전문적 교육을 제공하는 곳이 아니라 교회를 세우고 교회를 위해 봉사할 사람을 배출하는 기관이었다. 숭실중학과 숭실중학은 이런 목표에 충실하기 위해서 성경을 철저히 가르치되 비기독교 고전이나 영어 같은 과목을 가르치지 않았다. 베어드가 평양에서 전개한 교육사업은 단순히 선교학교 몇 개를 만들어 운영하는 일을 훨씬 넘어서는 의미가 있었다. 그는 자신이 생각했던 이상적인 선교학교 제도를 평양지역에 구현하기 위해서 애썼다. 많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그의 헌신된 노력은 결실을 맺었고, 초등학교부터 대학에 이르는 평양지부의 선교학교 제도는 북장로교 한국선교회를 대표하는 사업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베어드가 중심이 되어 구축한 선교교육의 이념과 제도, 그 제도 아래 만들어진 중등․고등 교육기관이었던 숭실중학과 대학은 이론적으로, 또 졸업생을 통해 선교회 및 한국교회 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막대했다. 그러나 한말-일제 강점기라는 격변하는 환경 속에서, 세속으로부터 보호된 조그만 선교학교를 통해 교회 일꾼을 양성한다는 베어드식의 교육사업은 계속 유지되기 힘들었다.

      • KCI등재

        윌리엄 베어드의 교육사업

        류대영(Ryu Dae-Young)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0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2 No.-

        윌리엄 베어드(William M. Baird)는 1891년에 한국으로 와서 1931년 평양에서 사망할 때까지 40년 동안 미국 북장로교 선교사로 일했다. 오랫동안 지속된 베어드의 선교사역 가운데서도 교육사업은 그가 특별히 애정과 정열을 쏟았던 분야였다. 대단히 보수적인 신학을 가졌던 베어드는 당시 세계적으로 유행하던, 문명을 전하는 선교방식에 반하여 교회설립을 선교의 일차적 목표로 삼았다. 따라서 그의 교육사업은 존 네비어스의 선교정책이 잘 구현된 사례에 속했다. 베어드의 선교학교는 비기독교인들도 원하는 학문적ㆍ전문적 교육을 제공하는 곳이 아니라 교회를 세우고 교회를 위해 봉사할 사람을 배출하는 기관이었다. 숭실중학과 숭실중학은 이런 목표에 충실하기 위해서 성경을 철저히 가르치되 비기독교 고전이나 영어 같은 과목을 가르치지 않았다. 베어드가 평양에서 전개한 교육사업은 단순히 선교학교 몇 개를 만들어 운영하는 일을 훨씬 넘어서는 의미가 있었다. 그는 자신이 생각했던 이상적인 선교학교 제도를 평양지역에 구현하기 위해서 애썼다. 많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그의 헌신된 노력은 결실을 맺었고, 초등학교부터 대학에 이르는 평양지부의 선교학교 제도는 북장로교 한국선교회를 대표하는 사업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베어드가 중심이 되어 구축한 선교교육의 이념과 제도, 그 제도 아래 만들어진 중등ㆍ고등 교육기관이었던 숭실중학과 대학은 이론적으로, 또 졸업생을 통해 선교회 및 한국교회 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막대했다. 그러나 한말-일제 강점기라는 격변하는 환경 속에서, 세속으로부터 보호된 조그만 선교학교를 통해 교회일꾼을 양성한다는 베어드식의 교육사업은 계속 유지되기 힘들었다. William M. Baird was a missionary from the Presbyterian Church (U.S.A.), who worked in Korea from his arrival in 1891 to his death in 1931. Among his long missionary life, he loved and paid a passionate attention to educational ministry. As a man of very conservative theology, Baird's aim in educational works was to build and strengthen native churches, which was over and against the civilizing mission ideology prevalent in the world. Therefore, his educational works realized John Nevius's church-oriented mission methods. Baird's mission schools did not intend to provide “secular” academical-professional education, but rather they were places where Christian workers were raised. For this reason, Soongsil Academy and Soongsil College taught the Bible regularly, but not non-Christian classics and English. Baird's educational ministry in Pyung Yang meant more than merely building and maintaining a few mission schools. He endeavored to realize what he thought was the ideal mission school system. Against all odds, his devotion paid off, and Pyung Yang's missionary educational system from elementary schools to college became a representative work of the northern Presbyterian mission in Korea. The ideals and system of the educational system Baird established, and Soongsil Academy and Soongsil College exerted great influence upon the Korea mission, and upon the Korean church as well. However, under the convulsive climate of late Yi Korea and Japanese colonial regime, Baird's educational system that aimed to raise church workers in small mission schools protected from "secular" influences could not last long.

      • 배위량의 2차 전도 여정과 순례길로서의 가치

        배재욱(Jae-Woog Bae) 영남신학대학교 2016 신학과 목회 Vol.45 No.-

        부산항을 통해 미지의 세계인 한국으로 와서 이 땅에서 선교하고자 노력했던 배위량(裵偉良/윌리엄 M. 베어드/ William M. Baird, 1862~1931)은 1893년 4월부터 5월까지 경상도 땅 일원을 탐방하여 선교지부를 개척하고자 경상도 지역 순회 전도여행을 떠나 1,240리나 여행하면서 순례했다. 배위량은 1894년 4월 22일 많은 위험과 고통을 감내하면서 모든 어려움을 모험과 인내와 열정으로 극복하고 대구에 도착했다. 그는 나중에 남성로에 있는 대구제일교회 옛 본당의 교회 부지를 구입하여 경상도 선교의 기틀을 닦았다. 그가 주님의 복음을 이 땅에 전하고자 다녔던 그 길을 다시 찾는다면 인생의 목적을 깨닫지 못하고 방황하는 우리 한국교회의 젊은이들과 한국교회에게 주는 좋은 선물이 되리라고 생각한다. 그것은 세속화의 물결 앞에서 한국교회의 정체성을 지키고, 한국교회를 건강하고 새롭게 하는 길이 될 것이다. 배위량은 “믿음으로 호랑이 굴속에 뛰어든 선교사”처럼 위험과 고난을 감수하는 모험을 감행했다. 그의 2차 전도여행은 동래 - 밀양 - 청도 - 대구 - 상주 - 안동 - 의성 - 신령 - 영천 - 경주 - 울산을 거쳐 동래에까지 이어졌다. 그 후 그는 자신의 선교 터전인 부산 선교지부에 머물렀지만, 부산에서 대구로 이주하여 대구에 정착하는 것으로 제 2차 전도여행의 결실을 맺었다. 배위량의 길은 섬기는 마음으로 그리고 헌신하고 봉사하는 마음으로 만들어 가야할 것이다. Bae We Ryang (William M. Baird, 1862~1931) came to the unknown world of Korea through Busan Harbor for missionary work. He visited all of Gyeongsang Province from April to May in 1893, and made a pilgrimage, going on a 486.981818km evangelical journey to make a local branch of the mission. Although Bae We Ryang endured many hardships, he overcame his difficulties with his adventurous spirit and passion, and arrived in Daegu on April 22, 1894. He established the Gyeongsang Province ministry by buying the land, on which the old main hall of Daegu Jeil Church on Namsung Street is built, for his church site. Bae’s mission of spreading the Lord’s Gospel is an inspiration for the Korean Church and its youths. Looking to Bae’s example, the Korean Church can find its identity and stand strong against the waves of secularization. Bae We Ryang carried out his mission, enduring risk and hardship, like “a missionary who put his head into the lion’s mouth by faith.” After his second evangelical journey through Busan - Dongnae - Miryang - Cheongdo - Daegu - Sangju - Andong - Uiseong - ShinRyoung - Yeongcheon - Gyeongju - Ulsan - and Busan once more, he settled down in Daegu again. Bae We Ryang’s mission was to prepare a strong foundation and be an example for the Korean Church; following Bae, the Korean Church should also strive to serve and be an example for the Korean people with dedication.

      • KCI등재

        배위량의 선교적 삶에 나타난 영적전쟁

        강아람 ( Kang Ah Ram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20 복음과 선교 Vol.50 No.-

        As the salt and light of the world, missional Christians transform the world in the process of self-negation. As they discard their old selves each day, they mature as new creation. This article explains such process in Christian individuals as spiritual warfare, and asserts that the missionary William M. Baird’s internal spiritual warfare was intimately related to the outer (institutional, cultural) spiritual warfare. Baird’s accomplishments in Korean cultural transformation through Bible translation and literature ministry, his employment of the distinctive Nevius Method, and his successful ministry through interdenominational union and collaboration can be attributed to victorious spiritual warfare. Baird was able to discern the missionary method and content most germane to the Korean context and time, rather than appropriating the Christianity of the Western civilization, with which he was more familiar. Such approach emerged from his consistent internal spiritual battles and victories in the grace of God bearing fruit in daily lif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