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Unintended Outcome?The Effect of Protest on Voter Turnout

        김나윤,정재관 한국정치학회 2020 한국정치학회보 Vol.54 No.3

        Do protests encourage electoral participation of voters? There are scholarly discuss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sting and voting, as they are typical examples of non-institutional and institutional forms of political participation in democracy, respectively. Theoretical exploration and empirical research on this subject matter have yet to be developed because the studies of social movements and electoral politics are two different sub-fields separately developed in comparative politics while rarely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Conforming to a recent call for bridging these two sub-fields, this article attempts to specify the mechanism by which protests affect voter turnout. We particularly emphasize political interest and efficacy of ordinary citizens, since they can be influenced by large scale protest events and, in turn, influence the turnout of voters. This theoretical speculation is empirically explored by using the Dynamics of Collective Action (DCA) protest event data and the American National Election Studies (ANES) survey data.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large and salient protest events increase voters’ political interest and then the likelihood of turnout for voting. Do protests encourage electoral participation of voters? There are scholarly discuss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sting and voting, as they are typical examples of non-institutional and institutional forms of political participation in democracy, respectively. Theoretical exploration and empirical research on this subject matter have yet to be developed because the studies of social movements and electoral politics are two different sub-fields separately developed in comparative politics while rarely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Conforming to a recent call for bridging these two sub-fields, this article attempts to specify the mechanism by which protests affect voter turnout. We particularly emphasize political interest and efficacy of ordinary citizens, since they can be influenced by large scale protest events and, in turn, influence the turnout of voters. This theoretical speculation is empirical Do protests encourage electoral participation of voters? There are scholarly discuss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sting and voting, as they are typical examples of non-institutional and institutional forms of political participation in democracy, respectively. Theoretical exploration and empirical research on this subject matter have yet to be developed because the studies of social movements and electoral politics are two different sub-fields separately developed in comparative politics while rarely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Conforming to a recent call for bridging these two sub-fields, this article attempts to specify the mechanism by which protests affect voter turnout. We particularly emphasize political interest and efficacy of ordinary citizens, since they can be influenced by large scale protest events and, in turn, influence the turnout of voters. This theoretical speculation is empirically explored by using the Dynamics of Collective Action (DCA) protest event data and the American National Election Studies (ANES) survey data.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large and salient protest events increase voters’ political interest and then the likelihood of turnout for voting. ly explored by using the Dynamics of Collective Action (DCA) protest event data and the American National Election Studies (ANES) survey data.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large and salient protest events increase voters’ political interest and then the likelihood of turnout for voting.

      • KCI등재

        투표율 상승이 민주통합당에게 이로울까? : 제19대 총선에서 나타난 투표율의 정당편향

        지병근 ( Byong Kuen Jhee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2 韓國 政治 硏究 Vol.21 No.3

        이 연구는 제19대 총선을 사례로 한국에서 나타난 ``투표율의 정당편향``(partisan bias)을 분석한 것이다. 투표율이 상승할 경우 야당, 특히 민주통합당에게 유리할 것이라는 예측이 널리 수용되어왔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이에 관한 경험적 연구가 지극히 부재하다는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이 연구는 투표율이 상승할 경우 과연 그리고 얼마나 선거결과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여론조사자료와 집합적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예상과 달리 투표에 참여하지 않은 유권자들 가운데 새누리당 보다 민주통합당을 선호하는 이들이 차지하는 비율뿐만 아니라, 이들의 정당선호강도와 투표의 무감의 수준 역시 더 낮았다는 점을 밝혔다. 아울러 투표율이 높은 선거구에서 새누리당 후보보다 민주통합당 후보의 득표율과 당선 가능성이 오히려 낮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저자는 민주통합당에게 유리한 투표율의 정당편향은 일종의 신화에 불과할 수 있으며, 이에 의존하여 민주체제의 정치적 대표성을 고양시키기 위한 투표독려행위를 당파적인 선거운동으로 폄하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한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and how ``the partisan bias of voter turnout`` affects electoral outcomes in the 2012 legislative election of Korea. It analyzes both the individual- and aggregate-level data to find that no significant partisan bias favorable to the Democratic United Party (DUP) exists. Instead, this study shows that the portion of pro-Saenuri Party (SNP) voters among non-voters is larger than that of pro-DUP, which is contrasting to the conventional wisdom that high voter turnout helps the DUP, In addition, pro-SNP voters have stronger party closeness and obligation to vote than pro-DUP voters. Finally, it shows that SNP candidates rather than DUP candidates tend to gain more votes in those districts with high voter turnou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author claims that the partisan bias of voter turnout seems to be only a myth in Korea, and that it is not reasonable to restrict any political activities to promote voter turnout.

      • KCI등재

        2017년 대통령선거에서 사전투표제 영향력 분석

        가상준 국회입법조사처 2017 입법과 정책 Vol.9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early voting system on voting turnout by analyzing the result of the 2017 Presidential Election. In doing so, the study statistically tests whether early voters’ characteristics are similar to either non-voters’ or regular voters’. Likewise, the study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voters in the 2017 election and compares with early voters of 2014 local election and 2016 National Assembly election. Results show that early voters are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non-voters in political interest, party identification, political knowledge, election participation, eduction, and so on. It indicates that early voters are not non-voters. On the other hand, results show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early voters and regular voters even though they share some commons features. Their differences result from stronger political interest and knowledge of early voters. Therefore, differences do not tell that early voters are non voters. Rather, they verify again that early voters are regular voters. Overall results indicate that the early voting system does not play a role in increasing voting turnout. Instead, the system provides convenience for voters who generally participate in election to cast ballot before the official election day. The early voting system is adopted to increase voting turnout; however, it does not meet expect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turnout rate, the measures to have an effect on voting cost and utility of voters should be devised with the current early voting system. 본 연구는 투표율 제고를 위해 도입된 사전투표제가 과연 도입 취지에 맞게 역할 수행하고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7년 대통령선거에서 사전투표한 유권자 특징에 대해 분석해 보았고 사전투표제의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았다. 특히, 사전투표유권자의 특징을 투표 기권자 그리고 공식 선거일 투표 유권자와 비교하고 어떤 유권자와유사한 특징을 보이는지 알아봄으로써 사전투표 유권자는 누구인지 그리고 사전투표제의투표율 제고 효과는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사전투표 유권자의 정치, 사회적 특징이 투표 기권자와 커다란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사전투표유권자는 투표 기권자와는 전혀 다른 유권자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한편, 사전투표 유권자에게 공식 선거일 투표 유권자와 비슷한 정치적 특징도 있었지만 차이를 보이는 특징도발견되었다. 그러나 이들 간의 차이는 사전투표 유권자는 정치에 관심이 많고 투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유권자라는 점을 강조하는 결과로 이들이 정치에 대한 높은 관심과 강한정당일체감을 갖고 있으며, 선거에 일반적으로 참여하는 유권자임을 말해주는 것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사전투표제는 과거 투표에 참여하지 못한 유권자에게 더 많은 투표기회를 제공하기 보다는 일반적으로 선거에 참여하는 유권자들이 공식 선거일 전에 투표할 수 있도록 편의 제공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사전투표제는 투표율 제고를위해 도입되었다. 그러나 투표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전투표제만으로 불가능하며 유권자의 투표 참여 비용과 효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안들이 같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여성, 간과된 변수: 투표율에서의 성차(Gender Gap) 분석

        구본상 ( Bon Sang Koo )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21 의정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여성의 투표 참여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2017년 이후 치러진 세 개의 다른 선거에 대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제공한 투표율 자료를 사용해 투표율에서의 성차에 관해 집합 수준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합 수준에서 볼 때 한국에서도 투표율과 관련해 현대적 성차는 선거의 종류와 상관없이 대다수 지역에서 확인되었다. 둘째, 투표율에서의 성차가 나이에 따라 달라지는 현상이 확인되었다. 고령층에서 투표율이 감소하는 이른바 ‘과부 효과’에서의 성차, 그리고 새롭게 유권자가 된 집단에서 현대적 성차는 몇몇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나타났다. 나아가 한국 사회의 특성을 반영하는 20대 후반에서 발생하는 투표율의 역전된 성차 현상은 모든 선거에서 지역을 불문하고 뚜렷하게 확인되었다. 셋째, 경제적으로 발전된 곳에서 투표율의 역전된 성차가 더 뚜렷해지는지 여부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도시화가 진전될수록 연령대별로 현대적 성차 경향은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한국에서 가장 근대화한 서울시 자치구 투표율을 분석한 결과, 서울시내에서 가장 근대적인 강남구와 서초구는 다른 구와 비교할 때 현대적 성차경향이 오히려 약하고, 이른 연령대에서 전통적 성차로 전환하는 모습을 보인다. 위의 결과는 투표율에서의 현대적 성차는 이제 한국정치에서 보편적인 현상이고, 새롭게 충원된 현대적 성차가 계속될수록 더욱 강화될 수 있어 여성유권자의 정치행태에 더욱 주목해야 하지만, 이를 더욱 근본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근대화가 진전될수록 자연스럽게 투표율에서 현대적 성차 경향이 강화될 것이라는 발전론(developmental theory)적 접근을 넘는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는 함의를 준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gender gaps in voter turnout for three different types of elections held since 2017 at the aggregate level using the Central Election Management Commission’s turnout data, paying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women’s voting.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odern gender gaps in voter turnout at the aggregate level are confirmed in most regions regardless of election types. Second, the gender gap in turnout varies with age. The gender difference is verified in the “widowhood effect,” where turnout decreases in the oldest-old. In the new voter group, modern gender gaps appear in most regions. The reversed gender difference in turnout in the late 20s, which reflects the Korean society’s characteristics, is confirmed in all elections. Third, it is unclear whether the reverse gender gap in turnout becomes more pronounced in urbanized districts. As urbanization progressed, modern gender differences in voter turnout across age groups are observed at the population-based size level. Paradoxically, the modern gender gap tends to be weak and turns into the traditional gender gap in younger age groups (in the late thirties) in Gangnam-gu and Seocho-gu, the most modernized districts in Seoul. These results show that the modern gender gap in turnout is now a common phenomenon and continues to be strengthened by newly recruited voters in Korea. Thus we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female voters’ political behavior and a new approach beyond the developmental theory to understand the causal mechanism to generate the modern gender gap in voter turnout.

      • KCI등재

        2016년 국회의원선거에서 사전투표제 영향 분석

        가상준(Sangjoon Ka)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7 동서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2016년 국회의원선거에서 사전투표제가 투표율에 미친 영향력에 대해 알아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6년 선거에서 사전투표제의 영향력을 유권자 차원에서 알아보았다. 즉, 사전 투표한 유권자가 투표에 참여하지 않은 유권자와 정치, 경제, 사회적 면에서 유사한 특징을 보이는지 아니면 공식 투표일에 참여한 유권 자와 비슷한 특징을 보이는지 비교를 통해 사전투표제의 효과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또한, 사전투표제의 효과를 사전투표제 도입 전 실시된 2012년 국회의원선거와의 지역별투표율 비교를 통해 분석해 보며, 2016년 투표율을 과거 선거 투표율 비교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2014년 지방선거에서 사전 투표한 유권자와 2016년 사전투 표한 유권자를 비교해 사전 투표한 유권자들의 일반적 특징을 파악해 보았다. 분석 결과 사전투표 유권자는 투표 기권자보다는 공식 선거일 투표 유권자와 가깝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투표 기권자와 투표 참여자를 구분하는 정당일체감, 정치관심도, 정치 지식, 정치 참여도에서 사전투표 유권자는 투표 기권자와 다르며 공식 선거일 투표 유권자와는 같다는 점에서 이러한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2016년 국회의원선거의 상대적으로 높은 투표율은 사전투표제 때문이라기보다는 선거에 대한 높은 관심과 참여 의지라는 점을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제20대 국회의원선거 전 전국 유권자를 대상 으로 실시한 투표참여 의향 설문조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사전투표제가 투표율에 미치는 영향력은 매우 제한적이다. 물론 사전투표제로 인해 선거 참여의 기회를 갖게된 유권자가 있었다는 긍정적 효과를 부정할 수는 없다. 그러나 사전투표제만으로 투표율을 높이는 데는 한계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early voting system on voting turnout in the 2016 National Assembly Election. In doing so, the study comparatively tests whether early voters’ characteristics are similar to either non-voters’ or traditional voters’. Likewise, the effect of the early voting system is analyzed by comparing regional turnout rates in the 2012 National Assembly Election with regional turnout rates in the 2016 Election. In addition, the study investigates both early voters in the 2014 Local Election and early voter in the 2016 general Election to find common characteristics of early voters. Statistical results show that early voters are different from non-voters but not different from traditional voters in terms of party identification, political interest, political knowledge, and election participation. The study learns from the survey conducted before the election by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that the relatively high voting turnout in the 2016 National Assembly Election is led by high participation will and interest of voters rather than the early voting system. It is hard to deny the positive effect that the early voting system provides some voters the opportunity to cast ballot. But, results indicate that the effect of the early voting system on voting turnout is limited.

      • KCI등재

        한국 선거에서 투표 참여집단과 불참집단의 정책 선호와 사회경제적 배경: 2012년 양대 선거를 중심으로

        김성연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5 아태연구 Vol.22 No.4

        An important question about voter turnout in representative democracies is whether voters and non-voters differ in their policy preferences and socioeconomic backgrounds. However, while a number of studies have investigated various aspects of voter turnout in Korean elections, few have systematically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voters’ and non-voters’ political preferenc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litical preference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voters and non-voters in the 2012 parliamentary election and presidential election. Specifically, using “EAI panel studies 2012” I compare the ideological orientation, issue preferences, issue priority, basic political attitudes,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voters and non-voter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political preference between voters and non-voters. In addition, different from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it turned out that age, income, and education level are positively related to voting participation. The paper also provides a discussion of major implications of the results. 투표 참여율의 하락이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그동안 낮은 투표 참여율이 선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많은 연구와 논쟁이 진행되어 왔으며, 이 과정에서 핵심적인 질문 중의 하나는 투표 참여자들과 비참여자들의 주요 정책에 대한 선호의 차이였다. 그러나 한국 선거에서 투표 참여자들과 비참여자들의 정책 선호의 차이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이 연구는 최근 공개된 『EAI 총선대선패널조사, 2012』를 이용하여 2012년 양대 선거에서 투표에 참여한 유권자들과 참여하지 않은 유권자들의 정책 선호의 차이를 비교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이 두 집단의 이념 성향, 7가지 정책 사안에 대한 선호, 주요 국정과제에 대한 인식 등을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하였으며, 아울러 이들의 정당 지지, 기본적인 정치적 태도, 그리고 사회경제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지난 2012년 양대 선거에서 투표 참여집단과 불참집단의 정책 선호는 거의 차이가 없거나 차이가 있더라도 매우 제한적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투표 참여에서 전통적인 연령 효과뿐만 아니라 서구에서 관측된 것과 유사한 소득 효과와 학력 효과가 발견되었다. 이것은 그동안 미국과 유럽 등 서구에서 반복적으로 관측되어 온 것과 일치하는 결과로 서, 기본적으로 낮은 투표 참여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선거 결과의 왜곡(bias)이 우리가 생각하던 것보다 작을 수 있다는 것을 함의한다. 아울러 이 연구의 결과가 갖는 주요 함의에 대해 논한다.

      • KCI우수등재

        Voter Waiting Times and Voter Turnout : Reneging Effect and Racial Disparity

        우병득,송정민 한국정치학회 2022 한국정치학회보 Vol.56 No.6

        Do longer voter waiting times deter voters coming to polling stations from casting their votes? If so, which individuals are more susceptible to long waiting times? Even though the importance of voter waiting times as costs of voting is widely acknowledged, there has been a lack of studies demonstrating the influence of voter waiting times on voter turnout. Using the Cooperative Congressional Election Study (CCES) data in 2012, 2014, 2016, 2018, and 2020, our study finds that voters with longer waiting times are more likely to renege— leave polling stations without voting—than those with shorter waiting times. More interestingly, in contrast to the previous findings that the additional costs to voting disproportionately affect the turnout of racial minorities, minority voters are more patient in polling stations—they are more likely to stay in lines than white voters when they face the same amount of waiting times. Our results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on electoral participation by demonstrating that low voter turnout of racial minorities is resulting from inequalities in election administration, not from their lack of democratic citizenship.

      • KCI등재후보

        사회정책과 대중의 정치참여: 복지정책이 투표참여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이한수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011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Vol.20 No.-

        기존의 투표참여에 관한 연구들은 다양한 변수들이 투표참여율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이전 연구들은 복지정책이 투표참여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한 변수라는 것을 상대적으로 간과해왔다. 이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과 달리 복지정책을 투표참여율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수라 주장하고 있다. 이 주장을 경험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2002년과 2006년 미국 50개 주의 투표참여율과 복지정책 수준을 비교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의 회귀분석 결과에 따르 면, 복지정책 관련 지출 수준이 투표참여율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그리고 긍정적 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이 결과는 어떠한 주가 복지정책 관련 지출을 늘리는 경우 그 주의 투표참여율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 다. 특히, 본 연구의 통계적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은 복지정책의 변화에 각기 다른 방식으로 대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층은 복지정책 관련 지출 수준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반면, 고소득층은 복지정책 관련 지출 변화에 유의미 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rior research has introduced various variables to explain voter turnout rates. However, rarely have welfare policies been considered as critical variables explicating voter turnout rates. Unlike prior research, this study argues that welfare spending significantly affects aggregate voter turnout. To examine this argu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voter turnout rates and welfare spending of the U.S. states in 2002 and 2006 is analyzed. According to the regression results in this study, level of and changes in welfare spending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influence voter turnout rates. Specifically, the voter turnout rates of the low-income group are significantly affected by level of welfare spending. In contrast, changes in welfare spending significantly explain the voter turnout rates of the high-income group.

      • KCI등재

        Explaining Voter Turnout in Taiwan Legislative Elections

        Aziz N. Berdiev,CHUN-PING CHANG 한국국제경제학회 2013 International Economic Journal Vol.27 No.4

        This paper specifies a dynamic model of voter turnout in Taiwan legislative elections using the generalized method of moments (GMM) model. We utilize data recorded over the 1998–2008 period, covering 23 counties of Taiwan. We find that previous levels of voter turnout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urrent levels of voter turnout. In particular, we provide strong evidence for a dynamic decline in voter turnout in Taiwan legislator elections. We also find that the perceived closeness of the election by the potential voters prior to the election, greater number of parties and densely populated area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voter turnout, whereas larger costs of voting, greater educational inequality and higher levels of education contribute to lower electoral participation. Further, population stability and disposable income have a limited impact on voter turnout.

      • KCI등재

        구 공산국가의 정치 제도와 선거 참여

        김영철 ( Young Choul Kim ) 비교민주주의연구센터(비교민주주의학회) 2015 비교민주주의연구 Vol.11 No.1

        선거 참여, 특히 투표율에 대한 연구는 그 동안 서구 민주주의 국가들을 대상으로 연구 되었으며, 이들 국가간 상이한 정치 참여 수준은 주로 그 정치 문화, 정치 제도, 사회 경제 발전 정도 등에의해 설명 되어졌다. 이에 반해, 20세기 후반 새로이 등장한 동유럽, 중남미, 아시아 신흥 민주주의 국가들의 정치 참여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약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 동안 여러 학자들이제시한 선거 참여에 대한 제 이론들을 검증하고자 공산주의 몰락 이후 진행된 동유럽과 중앙 아시아의 구 공산국가들의 선거 자료를 분석하였다. 1989년말 구 소련의 붕괴와 함께 동구권 여러 국가들의 민주화 개혁이 시작되었으며, 이후 지금까지 모두 291회의 선거가 30개 구 공산국가에서 진행되었다. 이러한 선거 자료를 바탕으로 어떠한 요인들이 각 국가의 선거 참여, 특히 투표 참여의 수준을 결정 하였는가를 경험 분석하였다. 결국 본 연구는 구 공산국가의 선거 참여 수준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정치 문화 이론이나 사회 경제 발전 이론 보다는 정치 제도 이론이 더 적절함을 밝혔다. 하지만, 본 연구는 대통령제, 의원내각제, 단원제, 양원제, 승자독식제, 비례대표제 등등, 구체적으로 어떠한 정치 제도들이 더 국민들의 선거 참여를 유도하는가에 대해서는 그 동안 제시되었던 기존의 주장들과는 상이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Although Almond and Verba (1963) argued that some countries have more participatory cultures which enhance voting turnout, many scholars recently believe that differences in voter turnout among industrial democracies are a function of political institutions (Jackman 1987). Do these approaches can also explain trends of voter turnout in new democracies like post-communist wor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ajor factors which effect voter turnout of the post-communist states in Eastern Europe and Central Asia. This study explores voter turnout rates of all 291 presidential and parliamentary elections from 1989 to 2015 across 30 post-communist states. Empirical analyses with the cross-national time-series date tests previous approaches to explain trends in voter turn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define that institutional arrangements (e.g., government system and electoral system) have a major and predictable impact on voter turnout in the post-communist sta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