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Impact of Perceived Value on Tourism Satisfaction in Leisure Districts: Focusing on Female Tourists

        Yu Mei Hao,김영길 한국무역연구원 2020 무역연구 Vol.16 No.4

        Purpose The leisure district is a new type of tourism that is rapidly rising in the mass tourism era, and it is gradually favored by tourists, so its tourist satisfaction is also valued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American Customer Satisfaction Index, Perceived Value is a vital antecedent variable for customer satisfaction, which is also an indispensable part of the research on customer satisfaction. With the development of the times, the status of female tourists in tourism activities has gradually improved, and most women have become the leaders of travel decision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measurement standards of female tourists’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with tourist destinations. Design/Methodology/Approach In this context, this paper takes Jinan tourism and leisure shopping districts as an example, based on customer satisfaction theory, constructs a tourist satisfaction model of leisure districts, and conduct analysis by adopting SPSS software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MOS) for empirical research. Findings The article explores the impact of perceived value on the satisfaction of leisure districts from the perspective of female tourists, and examines the interaction between variables in the model. The results show that for female tourists visiting Jinan tourism and leisure shopping districts, perceived value has a significant direct impact on tourist satisfaction. Moreover, tourist expectations and perceived quality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ourist satisfaction. Research Implications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creatively chooses to explore the impact of perceived value on the satisfaction of leisure districts from the perspective of female tourists and conducts case analysis with Jinan leisure districts as the research object to find that the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value and tourist satisfaction so as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female tourist satisfaction with Jinan leisure districts and clarify the key factors affecting female tourist satisfaction.

      • KCI등재

        일본인과 중국인 방한 관광객의 쇼핑 만족도 비교 연구

        박춘엽 ( Choon Yup Park ),정월순 ( Wol Soon Chung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0 유라시아연구 Vol.7 No.4

        2009년 통계자료에 의하면 2008년도 방한 일본인과 중국인 관광객 수는 전체 방한 외국인 관광객 수의 50%를 상회하는 정도로 비중이 크다. 최근에 한국 정부는 중국인 관광객 증대를 한국 관광 산업 발전의 핵심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방한 중국인 관광객의 수는 급격히 증가 할 것이다. 중장기적으로는 중국인 관광객 수가 일본인 관광객 수를 추월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우리나라 관광쇼핑 업체가 중국인 관광객에 대한 쇼핑 만족도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일본인 관광객에게 적용했던 관광쇼핑 서비스와는 다른 중국인 관광객의 니즈에 맞는 관광쇼핑 서비스 전략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방한 일본인과 중국인 관광객의 쇼핑 만족도를 비교 연구하여 이들 각각에 대한 차별화된 관광쇼핑 서비스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는 본 연구는 시의성이 크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방한 일본인과 중국인 방한 관광객의 쇼핑만족도를 비교하여 이들 각각에 대한 차별 화된 관광쇼핑 서비스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 연구방법은 만족도 특성에 대한 기대치와 지각치의 차를 비교하는 차이 분석법을 적용하였다. 일본인과 중국인 방한 관광객 각각 200명에 대하여 리커트 7점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 조사를 하였다. 조사한 만족도 특성은 9가지인데, 일컬으면, 가격, 품질, 성능, 포장, 상품에 대한 지식, 접객태도, 의사소통, 그리고 교통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 방한 일본인과 중국인 관광객의 쇼핑 특성은 여러 가지로 다른 점이 많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방한 일본인 관광객과 중국인 관광객의 쇼핑 품목이 크게 다르다는 점이 나타났다. 둘째, 쇼핑 만족도 특성에 대한 기대치에 있어서, 일본인 관광객은 대체로 중위수보다 낮은 값을 보였고, 중국인 관광객의 기대치는 중위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이들 두 나라 관광객의 기대치의 차이를 보면 중국인 관광객의 기대치가 일본인 관광객의 그것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쇼핑 만족도 특성에 대한 지각치를 보면, 일본인과 중국인 관광객 모두 중위수보다 높았다. 그런데 중국인의 지각치는 일본인의 그것보다, 의사소통을 제외하고는, 유의하게 높았다. 넷째, 쇼핑 만족도를 만족도 특성 별로 보면, 일본인 관광객의 만족도가 중국인의 그것보다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국 관광객의 만족도 구조를 심층적으로 살펴보면, 일본인 관광객의 경우 기대치는 낮지만 지각치가 높아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중국인 관광객의 경우에는 지각치는 일본인의 그것보다 높지만 기대 치가 너무 높아서 결과적으로는 만족도가 일본인 관광객에 비하여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중국인 관광객의 기대치를 다소 현실화시켜야 최종 만족도를 올릴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전반적인 만족도는 일본인 관광객의 경우가 중국인의 그것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이는 만족도를 특성 별로 분석한 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가 일본인과 중국인의 방한 관광객의 만족도를 향상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일본인과 중국인 관광객의 관심의 대상이 되는 상품이 크게 다르다는 점을 고려하여 하여야 한다. 둘째, 일본 관광객의 쇼핑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상품의 포장을 개선해야 한다는 점이다. 셋째, 중국인 관광객의 쇼핑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의사소통과 상품에 대한 설명을 개선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중국인 관광객들에게 현실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방한 관광 쇼핑에 대하여 필요 이상의 기대를 하지 않도록 할 필요도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한국의 관광 진흥 정책 또는 전략 관계자, 그리고 관광 쇼핑산업 종사자에게 주는 시사점이 매우 크다고 하겠다. The sum of Japanese and Chinese tourists visiting Korea in 2008 accounts for more than 50% of the total foreign tourists visiting Korea according to relevant statistics published in 2009. This research is specially timely because we need to develop appropriate tourism strategy to attract both Japanese and Chinese tourists which have assumingly different shopping needs, and Korea is pushing hard to increase Chinese tourist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mpare shopping satisfaction of Japanese and Chinese tourists in Korea. We study satisfaction in nine shopping attributes: price, quality, design, performance, package, knowledge, attitude to customers, communications, and transportation. Satisfaction is measured by the difference or the gap between perceptions and expectations in the nine shopping attributes. We use 7-point Likert scal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 that the Japanese and Chinese tourists are quite different in many aspects. First, shopping goods and services of the Japanese and Chinese tourists are quite different. Second, expectations of Japanese tourists in all of the nine shopping satisfaction attributes are lower than or equal to the median value, while those of Chinese tourists are higher than the median for all selected nine attributes. Third, in regard to perceptions, tourists of the both countries are higher than or equal to median value. However, comparing the expectations of the tourists, we find that those of Chinese tourists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Japanese. Forth, examining satisfaction of the tourists using the differences between expectations and perceptions, we find that Japanese tourists are satisfied in seven shopping attributes except price and packaging. It should be noted that Japanese tourists have low expectation and perception in packaging. However, Chinese tourists appear to be dissatisfied significantly in the of attributes of communication and knowledge on products. Finally, in the survey question on overall satisfaction, both Japanese and Chines tourists indicate higher than median number, meaning that both of them are satisfied with shopping in Korea. Comparing values of the countries, Japanese response is higher than that of Chinese in more number of attributes. In particular, the Japanese overall satisfaction score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hinese tourists.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in regard to tourism policy and retail strategies are as follows. First, since shopping goods of the tourists of the two countries are different. Korean retailers of shopping goods for tourists should be aware of this fact, and put this in consideration in developing composition of goods and services and retail strategies. Secon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 that Korean retailers should give more elaborate packaging service especially for Japanese tourists. Third, for Chinese tourists on the other hand, Korean retailers should develop means to improve communication with Chinese tourists and ability to explain features of products and services in the Chinese language. Finally, these implications suggest that tourism policy makers in Korea should develop adequate programs to educate the retailers and travel guides so that they can improve satisfaction of Japanese and Chinese tourists for the shopping attributes in which they are not sufficiently satisfied yet.

      • 몽골 관광에 대한 외국 관광객들의 태도 분석

        투무르숙체벨마 ( Tsevelmaa Tumursukh ),황한철 ( Hancheol Hwang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본 연구는 몽골의 관광산업에 대한 외국 관광객의 만족도를 증가시키고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대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관광 태도를 분석하였다. 여행 유형, 체류기간, 목적, 여행경비, 행선지 등 관광객의 여행 속성에 따른 만족도 분석은 물론, 연령별 성별, 직업별, 국적 등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여행 만족도의 관계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관광 마케팅이나 관광개발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the Mongolian tourism industry and to find out international tourists’ fundamental attitudes toward Mongolian tourism. 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ives, different approaches were used.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destination attributes and tourists’ satisfaction,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international tourists’ satisfaction with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ravel characteristics. It was necessary to identify international tourists’ demographic and trave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ir attitude. Touris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cused on in this study include age, gender, occupation and nationality. Tourists’ travel characteristics include type of travel mate, length of stay, purpose of travel, expenditure of travel, and source of information about travel destinations. In order to assess international tourists’ specific preference in choosing their outbound travel in Mongolia,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major tourist generating places. Data were collected from 100 respondents sampled at random among international tourists in Mongolia during the summer in 2011. Based up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were made to increase the number of tourists as well as to increase international tourists’ satisfaction with the Mongolian tourism industry. First, understanding what tourists seek at tourist attractions will help tourism marketers understand their customers better. Second, identifying the attributes of tourists’ satisfaction will help tourism planners develop appropriate strategies to attract their customers and serve them effectively. Third, knowing how to satisfy tourists may help reduce marketing costs and maintain the sustainability of tourist destinations.

      • KCI등재

        관광통역안내사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관광객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방한중국인관광객을 중심으로 -

        현은지 한국관광학회 2016 관광학연구 Vol.40 No.10

        The study attempted to measure non‐verbal communication capabilities of a tourist guide as perceived by Chinese tourists visiting Korea, in order to identify effects of such non‐verbal communication capabilities on the satisfaction of tourists. This satisfaction was shown using an evaluation of tourists’ experiences, tourist guide service and tour products. The study then analyzed effects of tourist satisfaction on their behavioral intention particularly their intentions to recommend and revisit. Using Empir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non‐verbal communication capabilities of a tourist guide such as pseudo language and spatial behavior effected tourist satisfaction as it pertained to the tour product and experience. Tourist satisfac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revisit intention. This is the result of a tourists’ behavioral intention, and the satisfaction of tourists with the tour product. These experiences then had an effect on their recommendation intention. This means the revisi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s were improved if tourists were satisfied with the tour product and experiences and if their expectations and desires were satisfied.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non‐verbal communication of a tourism interpretation guid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revisi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of tourists. 본 연구는 방한 중국인관광객을 대상으로 관광객에게 인지된 관광통역안내사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측정해 보고 이러한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관광객이 관광지에 대한 경험과 관광통역안내사의 서비스 및 관광 상품에 대한 평가로 나타나는 관광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보고 관광객의 만족은 관광객의 행동의도인 재방문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한 본 연구의 분석결과, 관광통역안내사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으로 유사언어와 공간행위는 관광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객의 여행체험만족은 관광객행동의도인 재방문의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관광객의 여행상품 만족과 여행체험만족은 모두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관광객의 기대와 욕구에 최대한 부응한 결과 관광객이 여행상품에 대한 만족과 여행체험에 대해 만족하면 재방문의도와 추천의도도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관광통역안내사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으로 유사언어는 관광객의 재방문의도와 추천의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외래관광객 쇼핑만족속성이 전반적 쇼핑만족과 구전 및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강정임,강숙영 한국관광산업학회 2020 Tourism Research Vol.4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verify shopping characteristics with Chinese and Japanese tourists visiting Korea, and to analyze the impact relationship between shopping satisfaction attributes, overall shopping satisfaction, WOF in shopping and tourist satisfaction. The hypothesis verification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survey, and a total of 410 surveys(Chinese 205, Japanese 205)were used f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correlation,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4.0.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shopping satisfaction between Chinese and Japanese tourists. All the established hypotheses have been adopted, the shopping satisfaction attributes and the overall shopping satisfaction, overall shopping satisfaction and word of mouth in shopping, and overall shopping satisfaction and tourism satisfaction have been verifie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In the conclusions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shopping satisfaction for tourists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한국을 방문한 중국과 일본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쇼핑 특성을 비교 검증하고, 쇼핑만족속성, 전반적 쇼핑만족, 쇼핑구전, 관광만족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국적별 쇼핑특성의 비교를 통해 쇼핑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한 가설 검증이 실시되었으며, 총 410부의 설문(중국인 205부, 일본인 205부)이 분석에 활용되었다. SPSS 24.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회귀분석 등이 실시되었다. 분석결과, 중국인과 일본인 관광객 사이에는 쇼핑만족속성 인식에 차이를 보였으며, 쇼핑만족속성과 전반적 쇼핑만족, 전반적 쇼핑만족과 쇼핑구전 및 관광만족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설정된 가설은 모두 채택되었다. 결론 및 시사점에서 외래 관광객 유치 및 쇼핑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실무적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스포츠관광객의 라이프스타일을 통한 지각된 가치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남중웅 ( Joong Woong Nam ),석강훈 ( Kang Hoon Seok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08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3 No.2

        본 연구는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는 스포츠관광객의 라이프스타일을 통한 지각된 가치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통해 효과적인 스포츠관광지의 서비스 전략·개선 및 관리·활용방안에 대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2006년 스포츠관광 참여자 중 만 20세 이상 60세 미만 경험자 및 동호인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표집방법은 비확률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스포츠관광 유형별로 골프관광객, 동계스포츠관광객, 해양스포츠관광객, 수상스포츠관광객, 항공스포츠관광객 각 200명씩 총 1,000명을 표집대상으로 하였다. 회수된 설문 가운데 응답성이 불성실하거나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22명의 자료를 제외한 총 978(97.8%)명의 설문지를 유효 표본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스포츠관광 유형 파악을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타당도 검사를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신뢰도 분석을 위하여 Cronbach``s α를 산출하였으며, 스포츠관광객의 라이프스타일을 통한 지각된 가치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스포츠관광객들의 성취주의, 자기중심 라이프스타일을 가지고 있는 관광객들은 감정적, 획득적, 금전적, 사회적 가치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험주의 라이프스타일은 금전적 가치, 경쟁주의 라이프스타일은 사회적 가치에서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관광객들의 성취주의, 자기중심, 경쟁주의, 경험주의 라이프스타일 모두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관광객들의 감정적, 획득적, 금전적, 사회적 가치 모두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opulation of the study includes those who participated in sports tourism and those who were the members of sports tourism clubs in 2006 aged between 20 and 60. Using convenience sampling, one of the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total 1,000 subjects were sampled consisting of 200 each in the categories of sports tourism, which include golf tourists, winter sports tourists, marine sports tourists, water sports tourists, and air sports tourists. Amo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22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due to insincere answers or partially omitted responses. As a result, total 978 questionnaires(97.8%) were used in the study as valid samples. The collected data were treated with the SPSS WIN 12.0 program. An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categories of sports touris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to test th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Cronbach``s α was obtained for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sports tourists`` values perceived through lifestyles on their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p<.05. Those research methods resulted in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sports tourists with the achievement-oriented and self-oriented lifestyle all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 emotional, acquisitive, monetary, and social values. And their experiential lifestyle and competition-oriented lifestyle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ly on the monetary values and social values, respectively. Second, the achievement-oriented, self-oriented, competition-oriented, and experiential lifestyle of the sports tourists all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ir customer satisfaction. And third, the emotional, acquisitive, monetary, and social values of the sports tourists all also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ir customer satisfaction. In short, it``s suggested that the image, environment, and service level of sports tourism destinations can be improved by making use of the values that sports tourists feel according to their lifestyles. It``s also required to manage them in a scientific and systematic manner to attract and maintain more tourists. The segmented service of lifestyles should be provided to meet the diverse needs and demands of sports tourists. It will help increase sales, improve management, solve customer issues, enhance the image, and attract more diverse tourists.

      • KCI등재

        한국관광지 매력속성에 따른 베트남인 패키지관광객의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이엔(Chau, Ngoc Yen),정기은(Chung, Gi Eu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6 문화산업연구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방문 베트남 패키지 관광객을 대상으로 관광지 매력속성별 만족도와 전반적 관광만족도 및 행동의도간의 관계를 살펴보 고 동시에 관광행태에 따른 집단별 관광지 매력속성별 만족도와 전반적 관광만족도 및 행동의도간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한국관광지 매력속성별 만족도 7개 요인 중 ‘편의성’, ‘환대·쾌적성’, ‘관광지의 고유성’, ‘지역특색’ 등 4개 요인만이 전반적 관광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러한 4개 요인의 만족도 제고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편의성’에 대한 만족도를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기후’ 항목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트남의 기 후조건을 역이용한 다채로운 겨울계절 상품의 개발을 제안한다. 둘째, ‘환대·쾌적성’ 요인의 경우, 방한 베트남 관광객들의 평가에 따르면 한국관광지의 종업원 서비스에 불만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현장접점에 있는 직원들에게 베트남 문화 및 역사에 대한 교육의 실시를 제안한다. 셋째, ‘관광지의 고유성’ 요인의 경우 ‘자연․경관의 아름다움’에 대한 베트남관광객의 만족도는 가장 낮았는데, 이의 개선을 위해서 한국의 아름다운 자연자원과 베트남인들이 선호하는 한류콘텐츠를 효과적으로 융합한 상품개발을 제안하고자 한다. 넷째, 전통음식·먹거리 항목으로 구성된 ‘지역특색’ 요인에 대한 베트남관광객의 만족도가 높지 않은 편으로 이에 대한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 불고기나 갈비, 김치찌개 위주의 획일적 식사제공이 아닌 보다 다양한 한국 음식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겠다. 끝으로, 베트남관광객을 보다 확대 유치하기 위해서는 관광목적 한국방문 베트남관광객들을 위한 비자발급 절차가 간소화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하여 보다 많은 베트남 관광객들이 한국을 방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satisfaction of each tourismdestination attraction on total tourist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n addition,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different relationships between groups, who has different tour behavior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study show that firstly, the factors such as ‘Destination feature’, ‘Convenience’, ‘Hospitalitie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have a positive effect on total tourist satisfaction. But the factors such as ‘Finance’, ‘Enjoying’ and ‘Tourism activity’ have no effects on total tourist satisfaction. Secondly, total tourist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our behavior (in terms of the purpose of tour and the previous experiences of the destination) there are different between groups.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fundamental data for tourism policy to attract Vietnamese tourists to Korea. The contribution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and the future possible researches werementioned.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방문 베트남 패키지 관광객을 대상으로 관광지 매력속성별 만족도와 전반적 관광만족도 및 행동의도간의 관계를 살펴보 고 동시에 관광행태에 따른 집단별 관광지 매력속성별 만족도와 전반적 관광만족도 및 행동의도간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한국관광지 매력속성별 만족도 7개 요인 중 ‘편의성’, ‘환대·쾌적성’, ‘관광지의 고유성’, ‘지역특색’ 등 4개 요인만이 전반적 관광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러한 4개 요인의 만족도 제고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편의성’에 대한 만족도를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기후’ 항목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트남의 기 후조건을 역이용한 다채로운 겨울계절 상품의 개발을 제안한다. 둘째, ‘환대·쾌적성’ 요인의 경우, 방한 베트남 관광객들의 평가에 따르면 한국관광지의 종업원 서비스에 불만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현장접점에 있는 직원들에게 베트남 문화 및 역사에 대한 교육의 실시를 제안한다. 셋째, ‘관광지의 고유성’ 요인의 경우 ‘자연․경관의 아름다움’에 대한 베트남관광객의 만족도는 가장 낮았는데, 이의 개선을 위해서 한국의 아름다운 자연자원과 베트남인들이 선호하는 한류콘텐츠를 효과적으로 융합한 상품개발을 제안하고자 한다. 넷째, 전통음식·먹거리 항목으로 구성된 ‘지역특색’ 요인에 대한 베트남관광객의 만족도가 높지 않은 편으로 이에 대한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 불고기나 갈비, 김치찌개 위주의 획일적 식사제공이 아닌 보다 다양한 한국 음식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겠다. 끝으로, 베트남관광객을 보다 확대 유치하기 위해서는 관광목적 한국방문 베트남관광객들을 위한 비자발급 절차가 간소화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하여 보다 많은 베트남 관광객들이 한국을 방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satisfaction of each tourismdestination attraction on total tourist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n addition,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different relationships between groups, who has different tour behavior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study show that firstly, the factors such as ‘Destination feature’, ‘Convenience’, ‘Hospitalitie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have a positive effect on total tourist satisfaction. But the factors such as ‘Finance’, ‘Enjoying’ and ‘Tourism activity’ have no effects on total tourist satisfaction. Secondly, total tourist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our behavior (in terms of the purpose of tour and the previous experiences of the destination) there are different between groups.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fundamental data for tourism policy to attract Vietnamese tourists to Korea. The contribution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and the future possible researches werementioned.

      • 여행의 질과 관광지이미지가 관광객 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민순(Lee, Min-Soon) 성신여자대학교 경영연구소 2015 경영관리연구 Vol.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인바운드 관광객의 만족을 강화하고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방법을 찾기 위함이다. 한국에 관한 여행의 질과 관광지 이미지가 관광객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관광객 만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관광객 만족이 관광객들의 행동의도(추천, 재방문, 이미지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여행의 질은 관광객 만족에 부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관광지 이미지는 관광객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성(性)별에 따라 관광객 만족에 차이가 있었으나, 학력·나이·소득수준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관광객만족은 관광객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중국인 관광객들이 한국을 관광지로 선호하고 많이 찾고는 있지만 중국인 관광객의 만족도가 높지 않은 형편이므로 관련 국가정부기관, 지방자치단체, 여행관련업계, 항공사 등 중국인 관광객들이 한국을 찾는 접점에서부터 마무리하는 단계까지의 전 단계에 걸쳐 노력을 경주해 중국인 관광객의 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ways of enhancing Chinese inbound tourists satisfaction and exerting positive influence on their future behavioral intentions, I have examined how the tourism quality and destination image of Korea affect tourist satisfaction and whether this satisfaction differs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 have investigated how tourist satisfaction influences tourist behavioral intentions regarding revisitation, recommendation and image improvement. I have probed which tourism quality attributes and destination image elements most impact tourist satisfaction. The research model used in this paper have been verified by empirical metho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ourism quality had partially positive influences on tourist satisfaction. Destination imag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ourist satisfacti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only by gender on tourist satisfaction. No differences were noted by educational background, age and income level. Tourist satisfaction had a positive influenced on tourist behavioral intentions. Although Korea remains the favored destination for Chinese inbound tourists, tourist satisfaction is not very strong. To enhance tourist satisfaction, intensive efforts will need to be made, extending from tourist first point of contact in Korea to the last and possibly involving relevant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agencies, travel-related industries, airline companies, etc.

      • KCI등재

        A Study on the Destination Preferences of Chinese Tourists in Seoul and Jeju Island

        Lijuan Che,Haengnam Sung,Byung-Hyuk Ahn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2015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Vol.15 No.5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behavior of Chinese tourists in Korea. Understanding the behavior of Chinese tourists may help Korean government and the related industry set up their tourism strategies and policies for Chinese tourists. We want to know when Chinese tourists travel to two major places(Seoul and Jeju Island) and what causes the different level of tourists’ satisfactio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ourists visiting Seoul have higher intention of experiencing different lifestyle and shopping while those visiting Jeju Island show preferences to outdoor activity. Second, both destination image and travel purpose are significantly influence the overall destination attribute satisfaction. Third, tourists’ satisfaction of overall destination attributes positively influences their loyalties to the destination. Fourth, different travel purposes(e.g. different lifestyle, shopping/beauty, outdoor activity) have different significance influences on destination attribute satisfaction(e.g. food, event/entertainment, environment, shopping). The result of this research may help as to know more about the Chinese tourists’ behavior and make some suggestions to attract more Chinese tourists.

      • KCI등재

        A Study on the Destination Preferences of Chinese Tourists in Seoul and Jeju Island

        차려연,성행남,안병혁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2015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Vol.15 No.5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behavior of Chinese tourists in Korea. Understanding the behavior of Chinese tourists may help Korean government and the related industry set up their tourism strategies and policies for Chinese tourists. We want to know when Chinese tourists travel to two major places(Seoul and Jeju Island) and what causes the different level of tourists’ satisfactio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ourists visiting Seoul have higher intention of experiencing different lifestyle and shopping while those visiting Jeju Island show preferences to outdoor activity. Second, both destination image and travel purpose are significantly influence the overall destination attribute satisfaction. Third, tourists’ satisfaction of overall destination attributes positively influences their loyalties to the destination. Fourth, different travel purposes(e.g. different lifestyle, shopping/beauty, outdoor activity) have different significance influences on destination attribute satisfaction(e.g. food, event/entertainment, environment, shopping). The result of this research may help as to know more about the Chinese tourists’ behavior and make some suggestions to attract more Chinese touri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