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보배열분석법을 이용한 시계열 토지피복 변화 추출 방법 연구

        최진무 국토지리학회 2014 국토지리학회지 Vol.48 No.1

        To extract land cover change, land cover data for two periods were usually overlapped. This study proposed a novel change detection method to extract land cover change for multi-temporal land cover data, which could extract both contextual information and spatial locations for the change. Detail processes are as follows. First, land covers are classified from satellite imagery and the unique patterns of land cover change are derived from time-series land cover data. Similarity between those patterns are derived by a sequence alignment method. Based on the similarity, land cover patterns are clustered and analyzed. The proposed method is a time-series analysis of land cover change, which can provide not only the contextual information but also the spatial location of the land cover changes. This method can be used to analyze various time-series data. 토지피복 변화 추출을 위해 기존에는 두 시기의 토지피복 데이터를 중첩하는 이분위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시기의 시계열 토지피복 데이터의 변화 분석에 대해 그 변화과정과 더불어 변화가 발생한 공간적인 위치도 도출할 수 있는 새로운 시계열 토지피복 변화 분석 방법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위성영상으로부터 시기별 토지피복을 분류하고 시계열 토지피복으로부터 고유의 토지피복 변화 패턴들을 도출한다. 도출된 토지피복 패턴들 간의 유사도를 정보배열비교법을 이용하여 도출한다. 토지피복 패턴간 유사도를 바탕으로 패턴들을 군집화하고 그룹별 토지피복 변화 형태를 해석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시계열 토지피복 분석 방법은 토지피복의 변화에 대해 맥락적인 변화 과정을 제시함과 동시에 해당 토지피복 변화가 발생한 공간적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로 토지피복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시계열 데이터의 분석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우수등재

        해안에서 관측된 바람 시계열 다중규모 분석: 일주기 해륙풍 패턴을 중심으로

        김재원(Je-Won Kim),강성락(Song-Lak Kang)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20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31 No.2

        대부분의 시계열은 다중규모의 시그널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동해안 지역 여섯 곳의 지상기상관측소에서 기록된 지난 6년 (2013-2018) 동안 여름철과 겨울철 바람 벡터 시계열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다중규모분해능 분석법을 사용, 분석 기간 내 매년, 여름과 겨울철 바람 시계열에 대해, 다양한 시간 규모에서 바람 변동성이 분산에 대해 기여라는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이 측정을 바탕으로 각 계절 (여름 혹은 겨울)의 분산을 하루 초과와 하루 이하 규모 변동성의 두 부분으로 나누었다. 매년, 매 계절에 대해 분산의 두 부분은 각각의 분산으로 정규화하여, 합쳐 항상 1의 값이 되는 상대적 기여도의 비로 산출하였다. 이렇게 정규화된 6년 동안 분산들에서 각각 두 부분의 상대적 기여도들을 여름철과 겨울철에 대하여 합성하였다. 분석결과, 여름철 동안 동서 성분 바람은 하루 이하 규모의 변동성에 대한 기여도가 하루 초과 규모보다 주요함을 알았다. 겨울철은 하루 이하 규모의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주요하지 않았다. 여름철보다 겨울철에 확연히 큰 하루 이하 규모의 변동성은 여름철에 강한 해륙풍의 영향을 잘 반영한다. 하루 이하 규모의 변동성에 입각한 바람 벡터의 일주기를 분석한 결과, 해륙풍의 지역적 특성은 해안선의 모양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해 다중규모분해능 분석법은 특정 시간 규모 내 특징적 현상을 분석하기에 매우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Usually time series is comprised of multi-scale signals. We analyzed 1-min horizontal wind time series recorded at the six surface stations along the 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summer and winter over the six years between 2013-2018. Using a multiresolution technique, we measured the contribution of flow fluctuations at each scale to variance. The variance is separated into the two parts: one is associated with the flow fluctuations on time scales larger than one day, O (τ >24 h), the other those on scales equal to or less than one day, O (τ ≤ 24 h). For each season at each year, the two parts are normalized with the variance. Then, the normalized parts are composited over the six years. The result shows that for the east-west wind component particularly during summer, the variance part of O (τ ≤ 24 h) i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O (τ >24 h), which is caused by sea/land breeze. A close examination of the diurnal evolutions of the composite wind vectors reveals that the detailed feature of sea/land breeze at each site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local shape of coastline.

      • 주파수 분석과 시계열 해석법을 이용한 밀링공구 마모검출에 관한 연구

        金正顯,尹人準 慶一大學校 1999 論文集 Vol.16 No.3

        The detection of tool wear in cutting process is very important because tool wear have an effect on safety of machine structure, cost and precision of workpiece. During cutting one of the indirected tool wear detection technique is used to develop methode to detect the tool wear conditions. The cutting force signals varied with the cutting condition and tool wear are analyzed by FFT (Fast Fourier Transform) and Time-series. In-process detection of tool wear can be possible by observing the amplitudes of a specific components of cutting force in frequency domain.

      • KCI등재

        선반가공시 채터 모드 및 안정영역 분석

        오상록(Sang-Lok Oh),진도훈(Do-Hun Chin),윤문철(Moon-Chul Yoon),류인일(In-Il Ryoo),하만경(Man-Kyung Ha) 한국생산제조학회 2005 한국생산제조학회지 Vol.14 No.5

        This paper presents several time series methods to analyze the chatter mechanics by using the power spectrum of these algorithms considering the cutting dynamics. In this study, several time series models such as AR(burg, forward-backward, geometric lattice, instrument variable, least square, Yule Walker), ARX(ls, iv4), ARMAX, ARMA, Box Jenkins, Output Error were modeled and compared with one another. Finally, it was proven that time series modelings are also a desirable and reliable algorithm than the other conventional methods(FFT) for the calculation of the chatter mode in turning operation. Also, the spectrum of times series methods is a little bit more powerful than the FFT for the detection of a high noisy and weak chatter mode. The radial cutting force Fy has been used for spectrum and chatter stability lobe analysis in this study.

      • KCI등재

        토지피복변화와 사회경제적 변화의 관련성 및 시계열 변화의 공간 검색 방안 연구 - 새만금 지역을 사례로 -

        최진무,박우정,김민준 국토지리학회 2014 국토지리학회지 Vol.48 No.3

        This study examines the relevance of land cover change and socio-economic change in the surrounding area due to the Saemangeum reclamation. We also propose a method of spatial query to search these land cover changes occurred. Drastic reduction of farmland and rapid expansion of the urban area was confirmed through analyzing the Saemangeum land cover maps produced in 1990, 2000, and 2010 provid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connection with the socio-economic changes in the surrounding area, the population shows the structure of the aging population and the economy has been changed to a secondary and tertiary industries due to the urbanization from the primary industries of agriculture and fishing. This indicates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land cover change due to reclamation project and the socio-economic change in the surrounding area. In addition, a spatial query method for land cover change areas was provided, which is based on the similarity query over an array of land cover change. The suggested query method will be used in varous time-series analysis for change detection.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 지역에 간척사업으로 인한 토지피복변화와 주변 지역의 사회경제 변화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토지피복변화가 발생한 지역에 대한 공간적 검색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새만금 지역의 1990년, 2000년, 2010년 기준으로 작성된 토지피복도를 분석하여 농지의 급격한 감소와 도시역의 급격한 증가를 확인하였다. 주변 지역의 사회경제적 변화와 관련하여, 인구는 고령화 구조를 보였고 경제는 어업과 농업 중심의 1차 산업에서 도시화에 따른 2차 및 3차 산업으로 변화하고 있었다. 이는 간척사업으로 인한 토지피복변화가 주변 지역의 사회경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시계열 변화에 따른 토지피복변화 배열의 유사도 검색을 통해 토지피복변화 지역에 대한 공간 검색 방법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토지피복변화 공간 검색 방법은 다양한 시계열 변화 분석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구성자료분석법(CDA)을 이용한 콘텐츠산업 부분별 성장 분석 및 예측

        빈기범,최세경,강형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7 문화정책논총 Vol.31 No.2

        In this study, we analyzed 11 sub-genres of contents industry as well as overall growth of contents industry using Compositional Data Analysis (CDA) for the first time in Korea. Our findings are as follows. The contents industry is expected to decline gradually from the past rapid growth trend. The nominal gross domestic product (GDP) has a big impact on the domestic market, and the decline in the domestic economic growth rate is expected to affect the growth of the content industry. Employment in the content industry increases as the sales increase, but the increase is not large. Therefore, a policy that can lead to the expansion of employment along with the growth of the content industry is needed.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the Internet and the domestic demand of the content industry. The size of the advertising market also affects the size of the content industry. Rising exchange rates increases exports and reduces imports. This suggests that the exchange rat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rice competitiveness of the domestic contents industry. 본 연구에서는 국내 최초로 구성자료분석법(CDA: Compositional Data Analysis)를 사용하여 콘텐츠 산업의 전체적인 성장은 물론 콘텐츠 산업의 각 11개 장르 분야에 대한 시장규모를 전망한다. 분석결과 콘텐츠산업은 빠르게 성장해온 과거의 추세에서 벗어나 성장이 점차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명목 국내총생산이 내수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바 국내 경제성장율의 저하가 콘텐츠 산업의 성장에도 다분히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한편 콘텐츠 산업의 매출이 증가함에 따라 고용도 증가하나, 그 증가폭은 크지 않다. 따라서 콘텐츠 산업의 성장과 함께, 고용의 확대로 이어질 수 있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아울러, 모바일사용자수 증감율이 콘텐츠 산업의 매출, 고용, 수출, 수입 증가율 모두에 양(+)의 영향을 미치며, 이 중 수출 증가율을 제외한 나머지에 대한 영향은 통계적으로도 유의하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다만 모바일사용자수의 증가는 인구 동학을 고려할 때 장기적으로 한계가 있을 수 있다.

      • KCI우수등재
      • 밀링공구의 마모감시에 관한 연구

        金正顯,白大均 慶一大學校 1995 論文集 Vol.11 No.1

        In order to monitor the tool wear in milling operation, the cutting force was measured as the tool wear increased.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methods are used to detect the tool wear. As AR parameter extract the feature of tool wear, it can be used as input parameter of pattern classifier. The FFT method monitors the tool wear exactly, but it can not do real-time signal processing. The band energy method can be used to the in-process monitoring of tool wear, but it can degrade the exact monito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