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적 위치정보 기록을 위한 지오코딩 방안 연구

        최진무 국토지리학회 2019 국토지리학회지 Vol.53 No.1

        The record of the ruins excavation area includes address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Geocoding method is needed to map the address of an archaeological site. In this study, a method to geocode relic data was proposed. Since the excavation address is local data, it is effective to use the parcel-based address rather than the road name address. Therefore, I proposed a method to convert the address to the parcel based address and to extract the latitude and longitude of the center ofthe parcel. I also proposed a method of extracting the center coordinates of the entire area after integrating the parcels when they are spread over several lots. Also, since the archaeological data can be stored in various coordinate system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ordinate system and the parameters of the representative coordinate systems used in Korea are clarified. Through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geometry errors by checking the geocoding method for converting the address to the coordinates in the relic data construc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ordinate system for integrating the diverse archaeological data. 유적 발굴지역에 대한 기록은 위치에 대한 주소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주소를 지도화하기 위해서는 지오코딩이 필요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유적 데이터를 지오코딩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발굴 주소는 지역 데이터이므로 도로명주소보다는 지번주소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주소를 지번주소로 변환하고 해당 지번의 필지에서 중심 경위도 좌표 및 TM 좌표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여러 지번에 걸쳐 있는 경우 필지를 통합한 후 전체지역의 중심 좌표를 추출하는 방법도 제시하였다. 또한 유적자료는 다양한 좌표계로 저장할 수 있으므로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표 좌표계들에 대해 좌표계별 매개변수와 좌표계간의 차이를 명확히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유적 데이터 구축에 있어서 주소를 좌표로 변환하는 지오코딩 방법과 다양하게 구축된 유적 데이터 통합을 위해 좌표계간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좌표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글로벌 수심(GEBCO) 데이터의 활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최진무 국토지리학회 2011 국토지리학회지 Vol.45 No.4

        한반도는 중국과 일본의 주변국과 해역을 분할하고 있으며 특히 북한과 경계 침범 문제 등 다양한 국제적 분쟁의 소지를 안고 있어 해양지형 조사가 매우 어려운 위치이다. 위성에 의해 구축된 글로벌 수심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면 북한 해역과 같이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 대한 수심 데이터의 확보가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GEBCO 데이터의 활용가능성에 대해서 분석하기위하여 종합해양정보시스템(TOIS)의 수심측량 데이터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GEBCO 데이터와 TOIS Level 3, 4에 대해 서해와 남해 지역에서는 20m 미만의 최대 차이 및 5m 미만의 평균 차이를 보였고 동해 지역에서는 약 300m의 최대차이 및 85m의 평균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비교적 수심이 얕은 서해와 남해 지역에 대해서는 GEBCO 데이터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Korea is surrounded by China, Japan and North Korea. Therefore there is much difficulty to survey bathymetry around Korean peninsula. With satellite based bathymetry data, it is possible to acquire bathymetry for inaccessible areas such as the costal areas of north korea. Therefore satellite based bathymetry data, GEBCO, was compared to the actual surveyed bathymetry data, TOIS,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e difference between GEBCO and TOIS level 3, 4 data was about 20m in max. and 5m in average in the western sea and the southern sea areas. Therefore GEBCO data can be useful to acquire bathymetry information for inaccessible areas if those areas are relatively shallow such as the areas in the western sea and the southern sea compared to the eastern sea.

      • KCI등재

        지형적 요소를 고려한 MODIS 적설 분포 자료의 공간적 특성 분석

        최진무,박선엽,이상원 국토지리학회 2019 국토지리학회지 Vol.53 No.3

        The snow distribution on the Korean Peninsula in winter is closely related to the spring drought and forest fires, so continuous observation is needed. However, due to limited location and number of weather stations on the Korean Peninsula, direct acquisition of data from North Korea, highlands and mountainous areas is difficult.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examin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snow distribution on the Korean Peninsula using MODIS snow data. The local Moran’s I index was used to identify snow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 winter and compared them with topographical factors such as altitude and forest rates. The analysis revealed a wide snow distribution in highland and high forest rates, as generally expected. In particular, despite the lack of snow on the Korean Peninsula during summer, it was confirmed that the MODIS snow data produced errors in areas with high altitude, forest rate and slope.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there was a wide snow distribution in mountainous regions in the mid and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winter. If we continue to observe snowy distribution and changes on the Korean Peninsula, it will be very useful as a basis for estimating regional drought and fire outbreaks in spring. 겨울철 한반도 적설 분포는 봄철 가뭄 및 산불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므로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그러나 한반도적설 자료는 기상관측소 위치 및 개수 제한으로 북한 지역과 고지대, 산지 등에서 직접 취득이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MODIS 적설 데이터를 이용하여 한반도 적설 분포의 공간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지적 Moran’s I 지수를사용하여 겨울철 적설 분포 특성을 확인하고 고도 및 산림 비율 등 지형적 요소와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일반적인 예상과같이 고지대와 산림 비율이 높은 지역에 적설 분포가 넓게 나타났다. 특히, 여름철 한반도에는 적설 현상이 나타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여름철 MODIS 적설 데이터에서 고도, 산림 비율이 높고 사면 방향이 남쪽인 지역에서 오류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겨울철 한반도 중북부 산간지역에 넓은 적설 분포가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한반도의 적설분포와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찰한다면 지역별 봄철 가뭄 및 화재 발생을 추정하기 위한 근거자료로 매우 유용할 것이다.

      • KCI등재

        미래도시와 공간정보: 쟁점과 의제

        최진무,조창현,황철수,김형태,안재성 국토지리학회 2010 국토지리학회지 Vol.44 No.3

        Geo-spatial information is presumed to be the essential infrastructure maintaining the urban function in the future society. Korean government plans to implement the 4th Master Plan of the National Geo-Spati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from 2011. The paper suggests future policy issues and related research agenda by projecting vision of the future city and reviewing experiences of the relevant geo-spatial information applications. First, urban spatial information should be structured in such a way that it can resolve the social segregation regarding the accessibility to digital information. The urban spatial information of future should contribute to facilitating communication and strengthening the community. This implies that urban spatial information is the key factor of the future city that overcomes the disjointed modern spatial environment. Secondly, concept of the space should be reformulated for the future due to the changes in spatial inform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A more fundamental research effort is urgently required to facilitate the expansion of physical space by strategic corporation with cyber space and user participation. ‘ 공간정보’는 미래사회 및 미래도시에서 도시기능 유지를 위한 필수적 하부구조로 예측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우리 정부도 2011년부터 제4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을 실행할 예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장차 도래할 미래도시의 상을 논의하고 이에 필요한 공간정보 기술과 그 적용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정책적 이슈와 학문적 아젠다를 발굴하였다. 첫째, 미래도시에 있어서 디지털정보 접근성에 대한 사회적 분리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도시공간정보가 구축되어야 한다. 즉, 미래의 도시공간정보는 사람과 사람간의 소통을 활성화시켜 궁극적으로 지역공동체를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진화하여야 한다. 이는 파편화된 공간의 단절성을 엮어줄 수 있는 핵심적 요소로서 도시공간정보가 미래도시의중심이 될 것임을 의미한다. 둘째, 공간정보와 정보기술의 변화는 미래도시공간에 대한 공간개념의 재정립을 요구하고있다. 특히 가상공간의 유기적 연계에 따른 현실공간 확장과 수요자의 직접적인 참여에 기초한 매래도시공간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 KCI등재

        북한식 지명의 우리말 복원 방안에 관한 연구

        최진무,박우정,김혜미,나유경,홍성연 국토지리학회 2017 국토지리학회지 Vol.51 No.1

        In North Korea,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original place name has been revised as their own style in order to utilize the place name for revolutionization and idolization. In this study, we tried to suggest a method of restoring North Korean place names into their original place nam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ir past and present names. For this purpose, the locations of 7484 past place names in the latter of the Joseon Dynasty and 202 present place names in the point of interest (POI) data we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1km buffer.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164 old names could be compared with 102 POI names in Pyeongseong city, and about 30% of the POI names could be restored to the old names. In order to prepare reunification in the future, the restoration of the North Korean name should be continued. 북한지역에서는 혁명화 및 우상화에 지명을 활용하기 위해 우리의 고유지명을 북한식 지명으로 개정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거 북한지명과 현재 북한지명의 비교·분석하여 북한식 지명을 고유지명으로 복원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평성시를 대상으로 7484개 구한말 지명과 202개 현재 관심지점 지명의 위치를 1km 버퍼를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평성시의 현 관심지점 지명 중 102개의 지명에 대해 164개의 구한말 지명이 비교대상이 되었으며, 이중 약 30% 정도는 구한말 지명으로 복원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향후 통일을 대비하여 북한식 지명에 대한 고유지명으로의 복원이 지속적으로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시공간적 유사성에 기초한 태풍 검색

        최진무 국토지리학회 2011 국토지리학회지 Vol.45 No.4

        Every year natural disaster makes lots of damages in human and assets. This study developed hurricane query method based on the similarity of hurricane path. The algorithm for the similarity was based on the absolute distance and the spatial pattern between hurricane paths. First, each node of moving hurricane was linked to the nearest link of historic hurrican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m was measured. Then, the mean vector of each node of moving hurricane was compared to the vector of the nearest link of historic hurricane. Finally, the differences in the distance and the pattern between hurricanes were used to find similar historic hurricanes to moving hurricane. Developed algorithm queried RITA 2005 as the most similar hurricane to KATRINA 2005. Suggested method in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hurricane disaster management by providing the damage record of historic hurricane, which is the most similar to moving hurricane 자연재해로 매년 많은 인적·물적 자원의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태풍 발생 후 시간에 따른 이동경로를 바탕으로 유사한 기존 태풍을 검색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태풍경로간의 절대적인 거리와 공간 패턴을 사용하여 유사도 측정 알고리듬을 구현하였다. 우선 비교경로의 각 노드에 대하여 대상경로의 최근린 링크를 탐색하고 태풍경로간 평균거리를 계산하였다. 패턴 비교를 위해 비교경로의 노드에 대한 평균 벡터들과 대상경로의 링크 벡터의 차이를 계산한 후 평균거리에 따른 순위 중 상위순위에 대해 패턴의 유사성을 적용하여 순위를 재선정하여 최종 순위를 계산하였다. 제안된 알고리듬을 적용하여 2005년 9월 발생했던 허리케인 카트리나의 경로와 가장 유사한 태풍을 검색하였고, 2004년과 2005년 허리케인 중 RITA, IVAN, ARLENE 순으로 검색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은 진행 태풍의 경로를 정확히 추정하기보다는, 태풍 기록을 통해 시공간적으로 가장 유사한 기존 태풍을 검색하여 태풍 재난관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Management Process for National GIS Project in the U.S.

        최진무,김보라 국토지리학회 2010 국토지리학회지 Vol.44 No.4

        This paper provided information on the National GIS related organizations and their GIS project management process in the U.S. Eight Bureaus in the Department of Interior (DOI) were investigated as the Federal agencies related to national level GIS project including NPS, BIA, USFW, BLM, OSMRE, MMS, USGS, and BR. Among these agencies, NPS, BLM, and USGS were most actively using spatial data and launching national level GIS. Also, NOAA and Census Bureau were other agencies that produce spatial data. Especially, almost all academic projects were performed by USGS. To conduct GIS projects, in-house projects requires user requirement analysis, developing requirements, determining products and services, system design, system design evaluation, and recommendation, and out-sourcing project requires user requirement analysis, project design, developing the procurement document, receiving bids, evaluating bids, and bid selection and testing. Since most of national level projects are centered on data collection, these standardized processes can remove data redundancy and overlapping investments. It is expected that this paper gives guidelines for building standardized process for national GIS project management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