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탈주하는 ‘몸주체’와 회의를 시작하는 비체 -한강의 『채식주의자』를 중심으로

        박선경 한국현대소설학회 2024 현대소설연구 Vol.0 No.93

        한강의 작품 채식주의자는 여성 자아들 사이의 ‘차이’들을 보여줌으로써 ‘주체성’의 문제를 회의, ‘재사유’케 하는 ‘유목적 주체’의 모습들을 형상화하고 있다. 작품은 철학적, 정신분석학적, 심리학적 인식을 기반으로 주체/탈주체, 가부장체제의질서, 여성주의 문제를 다루는 독창성과 심미안의 통찰을 보여주고 있다. 작품을 관통하는 두 자매의 대칭구도는 남근이성적 언어가 기입된, 기존의 ‘코기토적 주체’(언니)와 몸적 경계선의 침범에 대해 온 몸으로 저항하는 ‘몸주체’(동생) 로 분기되는 모습으로 전개되었다. 이는 주체와 탈주체의 변이적 모습들로서, 유목적 주체들의 다양한(複數) 모습이라 하겠다. 거기에는 가부장체제 안에서 ‘살아본바 없거나’(언니), 체제에서 추방되어 정신병원에 감금되거나 죽음을 선택할 수 밖에 없는(동생), 여성들의 현실적 모습이 드러나고 있었다. 이러한 자매의 상반된 두 여정의 근간에서 가부장제가 공통분모로 자리잡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어떠한 모습의 주체이던 여성 삶은 가부장체제의 피침식자로 한정되는, 아픈 현실이 드러나고 있었다. 그것은 매일같이 소소한 일상에서 시작되는 것으로 가부장체제의 끊임없는 ‘경계선’ 침범과 강압적 관리로 여성은 주체아닌 비체로, 혹은 상상계를 동원한 몸주체로, 유목적 주체로 분기되고 있었다. 이는 여성은 ‘주체’라고 칭할 수 없는 존재라는 것과 그 존재적 의미마저 자신을 위한것이 아니라는, 실제적 여성 현실의 심도 깊은 재현을 통해, 현실 이면의 가부장적상징체제의 폭력적 원리와 실상 및 분기할 수 밖에 없는 유목적 주체라는 시대인식을 형상화하는 것이었다. By showing the 'differences' between female selves through the work The Vegetarian by Han Kang, it narrates the appearances of the 'nomadic subject' in that it causes skepticism and "rethinking" the issue of 'subjectivity'. Following the intention of the artist who developed the lives of her sisters under the same parents in a symmetrical composition, she analyzed the intention and in-depth subject consciousness of her work through the contrast between the lives of two women. In the end, the symmetrical structure through the sisters showed a divergence into the existing 'cogito’s subject' (elder sister), in which phallic rational language was written, and the 'body subject' (younger sister) who resisted the invasion of the bodily boundary with the whole body. This can be said to be the plural form of nomadic subjects as a variant form of the subject and the escaped subject. In the symbolic system, the realistic appearance of women who have never lived (older sister), who are exiled from the system and confined to a mental hospital, or who have no choice but to die (younger sister) is revealed. At the basis of these two conflicting journeys of the sisters, the patriarchal system was established as a common denominator, and the hidden painful truth that women's lives, no matter what shape they were in, was limited to the victims of the patriarchal symbolic system, was being revealed. It begins with the trivial everyday life, and due to the patriarchal system's constant invasion of the 'borderline' and coercive management, women are diverging into abjects, or body subjects mobilizing the imaginary, or nomadic subjects. It can be seen that patriarchy is the common denominator at the foundation of these two sisters' conflicting journeys, and the painful reality that women's lives, no matter what they are, are limited to being victims of the patriarchal system is revealed. It started from small everyday life, and due to the patriarchal system's constant invasion of the 'boundary' and coercive management, women were bifurcated into abject rather than subjects, into body subjects mobilizing the imaginary, and into nomadic subjects. This was to embody the violent principles and reality of the patriarchal symbolic system behind reality through an in-depth reproduction of the actual female reality that women are beings who cannot be called ‘subjects’ and that even the meaning of their existence is not for themselves. This symbolized the perception of the times as a nomadic subject that had no choice but to diverge.

      • KCI등재

        미래 시대 새로운 주체 이해의 모색: 탈-존적 주체, 유목적 주체, 그리고 포스트휴먼 주체로의 이행과 관련하여

        이관표 한국하이데거학회 2022 현대유럽철학연구 Vol.- No.65

        This study aims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in the future era. It deals with the transition process to existential philosopher Martin Heidegger’s “ek-sistence subject,” postmodernist Gilles Deleuze’s “nomadic subject,” influenced by Heidegger’s ontology, and the “posthuman subject” of Rosi Braidotti, who develops posthumanism and feminism by accepting the becoming theory of Deleuze. The study summarizes the transition of the traditional definition of the subject to a definition of the subject in the future and suggests a direction for understanding it through modern philosophy. Humans live in time, and as time passes, everything they have changes. Humans experience clear shifts due to various circumstances. Thus, we need to admit the changing of our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which may be distorted, into something appropriate for the times. Based on this premise, this study examines the transition of the subject in modern thought and intends to suggest directions for understanding it in the future. Humans can no longer become subjects and dominate others, and they must overcome their differences to live together as subjects. It is the transition process of ek-sistence and not being fixed like a nomad but always becoming the other that is one direction of the subject to be met in the future. 본 글은 미래 시대의 새로운 주체 이해를 모색하며, 이를 위해 실존철학자 하이데거(Martin Heidegger)의 ‘탈-존적 주체’, 하이데거의 존재론에 영향받은 포스트모더니스트 들뢰즈(Gilles Deleuze)의 ‘유목적 주체’, 그리고 들뢰즈의 생성론을 받아들여 포스트휴머니즘과 페미니즘을 전개하는 브라이도티(Rosi Braidotti)의 ‘포스트휴먼 주체’로의 이행과정을 다룬다. 그럼으로써 본 글은 전통적 주체에서부터 현대철학을 거쳐 미래로 연결되는 ‘주체’ 규정의 이행과정을 정리해보고, 그 이후 그 내용을 바탕으로 미래 시대 주체 이해의 방향성을 제안한다. 인간은 시간 안에 있으며, 시간의 변화에 따라 그가 가진 모든 것들은 변해간다. 그리고 주체에 대한 이해 역시 마찬가지이다. 그것은 시대의 상황과 다양한 요소들을 통해 분명한 전환을 경험해왔으며, 우리는 앞선 시대에서 혹시 왜곡되었을 수도 있는 이 ‘주체’에 대한 이해 역시 시대에 합당한 것으로 변경시킬 필요가 있다. 본 글은 바로 이러한 전제를 가지고 특별히 현대사상에서 나타났던 주체의 이행과정을 살펴보고, 그것을 바탕으로 미래적 주체의 방향성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더 이상 인간만 주체가 되어 타자를 지배할 수는 없으며, 존재하는 모든 이들은 차이를 횡단하며 주체가 되는 사건 안에 함께 살아가야 한다. 탈-존으로서, 또한 유목민처럼 고착되지 않고, 늘 타자가 되어(생성해)가는 과정, 바로 이것이 미래에 맞게 될 주체의 한 방향성이다.

      • KCI등재

        여성주체의 이중성으로 본 여성성장의 일면

        崔銀晶 한국중국소설학회 2016 中國小說論叢 Vol.50 No.-

        본고는 츠리(池莉)의 《물과 불의 혼재(水與火的缠绵)》를 대상으로 하여, 여성성장의 일면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 것이다. 《水與火的缠绵》은 청망망(曾芒芒)이라는 한 여성의 연애와 결혼 및 떠남에 관한 서사로, 청년기부터 결혼 이후까지의 여성성장의 노정을 담아내고 있다. 이를 통해 츠리는 여성의 성장에 대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하나는 여성의 성장이란 가부장제에서 규범화된 몰((mole)적 존재에서 분자적 존재로 나아가는 과정이라는 것이다. 즉, 가부장제에서 규범화된 여성다움에서 벗어나 개별화된 여성 ‘자신’으로서 정체성을 구성해가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이러한 성장 여정에 작용하는 여성주체의 이중성이다. 츠리는 가부장제 여성다움을 내면화한 청망망이라는 여성주체 안에 내포된 두 개의 주체를 발견한다. 작품 제목이 암시하는 ‘水(순응하는 정주적 주체)’와 ‘火(탈주하는 유목적 주체)’가 그것이다. 츠리가 보기에, 여성의 성장은 바로 이 ‘水-정주적 주체’와 ‘火-유목적 주체’가 끊임없이 부딪히고 교차하며 부침(浮沈)하는 과정이다. 중요한 것은 정주적 주체와 유목적 주체가 갈등하면서 어느 하나가 현현(顯現)하는 순간 다른 하나가 완전히 거세되거나 은폐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를 놓지 못하고 여전히 엉켜있다는 데 있다. 그 결과 한 주체에서 또 다른 주체로 끊임없이 이행과 반전과 전이를 거듭하는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츠리가 포착한 여성성장의 곤혹이며 특징일 것이다. The present study is aimed to examine an aspect of woman s growth through Chi Li s ‘The Lingering of Water and Fire’. ‘The Lingering of Water and Fire’ is an epic story of romance, marriage and separation of a woman named ‘Ceng mang mang(曾芒芒)’. The story describes the courses of female growth from adolescence to post-marriage. With the story, Chi Li points out two regarding female growth as follows. One is the course in which a woman grows from an existence of a normative ‘mole’ under patriarchal system to a molecular existence. In other words, it is a route to compose ‘one’s own’ identify as individualized woman escaping from normative femininity in patriarchy. The other is the duality of female subject that affects the course of female growth. Chi Li finds two subjects in the female subject ‘Ceng mang mang’ whose patriarchal femininity is internalized. They are ‘a residental subject of settlement’ and ‘a nomadic subject of escape’. In Chi Li s opinion, a woman grows through endless conflict, alternation, and integration of the residental subject and the nomadic subject. What is important in the course is that the moment they are integrated to one of them through conflict, the other does not vanish or sealed off, but they still continue carrying on, turning over each other, and metastasizing. It is here where Chi Li captured the confusion and distinction of female growth.

      • KCI등재

        다문화소설의 유목적 주체성 연구

        심영의(Shim young-eui)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3 아시아여성연구 Vol.52 No.2

        이 글에서는 천운영의 소설 『잘 가라, 서커스』와 송은일의 소설 사랑을 묻다를 중심으로 다문화소설에 나타난 감정자본주의와 유목적 주체의 문제를 살펴본다. 이 두 소설은 사랑과 경제의 관계를 통해서 조선족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꿈과 삶, 사랑과 상처를 드러내 보이고 있다. 우리 사회에서 급증하고 있는 국제결혼은 가난한 나라 여성의 경제적 동기와 한국 남성의 가부장적 전략의 협상 결과로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외국인 신부들의 결혼 동기를 단지 경제적인 차원으로 환원시키기보다는 ‘결혼’과 ‘이주’를 통해 이들이 배우자와의 관계를 포함한 자신들의 삶을 어떻게 만들어 가고자 하는지에 대한 물음이 제기되어야 한다. 이 글에서는 새로운 사람들과 낯선 생활 풍습 속에서, 익숙한 것을 버리고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며 새로운 정체성을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획득되는 여성인물의 정체성을 ‘유목적 주체성’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유목적이며 들뢰즈-니체적 관점에서 볼 때 윤리학은 본질적으로 부정성을 긍정적 열정으로 변신시키는, 이를테면 고통 너머로 이동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는 고통을 부정한다기보다 오히려 이를 활성화하고 고통을 통해 작동하는 것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참담한 고통 속에서 생겨난 지표만이 인간 전체를 의미 있는 방향으로 이끌어간다는 사실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motional Capitalism and the issue of nomadic subjectivity in multicultural novels especially on 『Good bye, circus』 written by Cheon Un-young, and 『Ask about love』 written by Song Eun-il. These two novels reveal Korean immigrant women"s dreams, lives, love and wounds through the relationship of love and the economy. The international marriage which increases rapidly in our society is understood as the result of negotiations between the economic motive of Korean immigrant women from poor countries and the patriarchal strategy of Korean men. However it"d rather raising the question about how to make their lives including the relationship with their husbands through ‘marriage" and ’immigration" than understanding the motive for foreign marriages to be related with economic problem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dentities of female characters in these novels which are acquired in process of abandoning the old life style and making with the strangers in unfamiliar surroundings and focused on their nomadic subjectivity. From the nomadic and Deleuze-Nietzsche point of view, the ehtics is essentially changing negativity to positive passion which is like moving on beyond agony. It"d rather invigorating and activating through agony than denying the agony. The most important fact is that only the indicator made in destress leads mankind to the significant direction.

      • KCI등재

        디지털 게임에 나타난 여성영웅의 원형성

        한혜원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8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37

        Digital games are convergent content that reproduces the heroic mythology with digital technology. In digital games, most of the heroes were male protagonists, and in the case of females, they were limited merely as 'objects to be saved' or 'objects as reward'. This study primarily analyzed prototype and characteristics of female heroes in digital game. A female hero is divided into a relationship-oriented achiever and a subject-oriented explorer depending on whether she finds her identity and value in the restora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other and in the performance of a given mission, or in the search for the world's spectacle and focus on the self. The relationship-oriented achiever is designed as a 'fatherless daughter' or 'wife without husband'. In this case, the female hero is not recognized as a true hero even after finishing the hero’s journey. Meanwhile subject-oriented explorer acquires her subjectivity by observing and exploring the wide world of game. After completing quests and discovering new value order, she could be die symbolically. Depending on the type of female hero in the digital game, the genre of the game also varies. Firstly, female heroes who are disguised in a man's clothe, are often seen in commercial adventure games. In this case, the female hero's journey restructures the journey of the man’s adventure and consequently it is limited to the sub-genre of the main game. On the other hand, a female hero of the subject-centered explorer type mainly appears in the Indi-Game. They are presenting the new rules and alternative genres of games, revealing their aspect as the nomadic subjects. 디지털 게임은 영웅 신화의 원형을 디지털 기술로 구현한 융합 콘텐츠이다. 이제까지 디지털 게임의 영웅이란 주로 남성이었으며, 여성의 경우에는 ‘구해야할 대상’ 혹은 ‘보상으로서의 대상’으로만 재현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게임에서 타자적 위치에 있는 여성영웅 캐릭터를 원형성에 따라서 구분하고 그 특징을 분석했다. 여성영웅은 그 존재성을 타자와의 관계 회복과 주어진 임무 수행에서 찾는가, 혹은 자아에의 집중과 세계의 탐구에서 찾는가에 따라서 크게 관계지향적 성취가와 주체지향적 탐구가로 구분된다. 디지털 게임에서 관계지향적 성취가는 ‘아버지가 부재한 딸’ 혹은 ‘남편이 부재한 아내’로 재현된다. 이 경우 여성영웅은 유사남성으로서 여정을 완료한 후에도 세계로부터 진정한 영웅으로 인정받지 못한다. 한편 주체지향적 탐구가의 경우 광활한 게임 세계를 관찰하고 탐험하면서 주체성을 획득하게 된다. 퀘스트 수행의 결과 새로운 질서와 가치를 발견한 뒤 상징적 죽음을 맞이하기도 한다. 디지털 게임에 등장하는 여성영웅의 유형에 따라서 게임의 장르도 각각 차별적으로 생성된다. 먼저 전형적인 여화위남을 구현한 여성영웅의 경우 주로 상업적 어드벤처 게임에서 나타난다. 이 경우 여성영웅의 여정은 기존 어드벤처 게임의 여정을 재맥락화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기존 게임의 하위 장르에 머문다. 반면 주체 중심적 탐험가 유형의 여성영웅은 주로 인디 게임에 등장한다. 이들은 유목적 주체로서의 면모를 드러내면서 대안적 게임의 규칙과 장르를 제시하고 있다.

      • 퀴어시네마 속에 나타난 성소수자들의 인식변화에 대한 연구

        이현주,장성호(토론자)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0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 No.2

        본 고는 들뢰즈와 가따리가 1980년에 집필한 『천개의 고원』에 나타난 욕망의 주체성 이론을 중심으로, 고정된 성주체성이 아닌 다양한 성적 지향성을 가진 성소수자들을 현대의 ‘노마드nomad’로 개념화하여 퀴어시네마에 나타난 노마드적 특성과 사회적 인식변화를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들뢰즈는 억압과 차별에 맞선 소수자 되기와 전체주의의 통일성에 맞선 ‘일관성의 구도’를 통해 개성을 존중하는 공통성을 주장하였고 사랑의 합성에 기반한 인간 존엄의 소통의 과정으로서 결연의 관계로 나아갈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이 관계는 다양한 ‘타자-되기’의 현실적 잠재성(virtuality)를 경험하게 해주고 새로운 주체성의 ‘세계 만들기faire monde’를 행하는 영화를 통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subjectivity of desire theory found in a book 〈in thousand plateaus〉, co-written by Deleuze and Gattari in 1980. It conceptualizes sexual minorities who have diverse sexual orientations rather than fixated one as the modern term ‘nomad’, in a bid to study nomadic characteristic and changes of social perception on sexual minorities appeared in 〈Queer Cinema〉. Deleuze insisted on community which respect one’s own individuality by ‘consistent structure’ through ‘being a minority’ against any repression or discrimination or through denying totalitarian unity. He thought it was a step towards strengthened connection since communication process as unique human dignity is based on love. Moreover, the relation enables us to experience realistic potentials of various types of ‘being a minority,’ helping us to understand the possibility of this relation through a movie which make world of a new subjectivity.

      • KCI등재
      • KCI등재

        우리 소설에 나타난 하위주체로서의 결혼이주 여성 연구

        구번일 한민족문화학회 2014 한민족문화연구 Vol.48 No.-

        The Korean novels that deal with married immigrant women have increased since 2000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arried immigrant women as subaltern in Korean novels, especially focusing on Jung In's <The place of the woman>, <Time with the other>, and Paik ga-huim's <Puy, Thuy, Whatever>. These novels reveal married immigrant women's dreams, hardship, and oppression in a Korea society. The married immigrant women which increase rapidly in our society are understood as the result of negotiations between the economic motive of women in developing countries and the patriarchal strategy of Korean men. Married immigrant women are undergoing multiple discriminations such as nationality, race, gender, mother-language etc.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dentities of female characters in these novels which are acquired in process of abandoning the old life style and making with the strangers in unfamiliar surroundings as well as focuses on their subalternity. The notion of Subaltern is from Gayatri Chakravorty Spivak’s article, can the subaltern speak? Based on subaltern and Spivak's point of view,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and describe our responsibility for married immigrant women. The subaltern cannot speak means that “the subaltern’s utterance cannot be heard to us.”Therefore, we must rethink who we are against them and where our positions are, so that our identities can consist in nomadic subjectivity. This study focusing on these perspectives can contribute to social unification by accepting married immigrant women in our society as not the strangers but our true neighbors. 이 글은 정인의 단편소설 <그 여자가 사는 곳>, <타인과의 시간>, 백가흠의 단편소설 <쁘이거나 쯔이거나>를 중심으로 하위주체로서의 결혼이주 여성의 재현방식에 대해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들 소설에서 결혼이주 여성들은 이방인으로서 언어의 문제, 정체성 구성, 한국 가족 안에서의 자리 찾기, 상징적이거나 실제적인 죽음의 메시지 등, 여러 문제들에 복잡하게 얽혀 있다. 그러나 결혼이주 여성은 우리 사회에서도 소설에서도 단일하고 전형적인 재현체계 안에 갇혀 있을 뿐 이들의 다양한 목소리는 들리지 않는다. 특별히 스피박의 하위주체 연구를 통해 이 작품들을 분석하는 것은, 우리 사회에서 결혼이주 여성들의 복합적인 위치를 설명하는 데에 스피박의 하위주체 개념이 매우 적절하기 때문이다. 스피박이 ‘하위주체는 말할 수 없다’고 한 맥락을 살피면서, ‘하위주체의 말없음/말할 수 없음’에서 하위주체의 말을 ‘듣지 않음/들을 수 없음’의 층위로의 이동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더불어 하위주체 연구는 ‘그들’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지, ‘그들’을 어떻게 대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이 아니라 ‘우리/의 위치’를 어떻게 재설정해야 하는지의 질문이어야 한다. ‘하위주체는 누구인가’가 아니라, 우리가 하위주체라 규정하는 이들과 함께 살고 있는 ‘우리’는 누구인가. 이런 질문은 우리가 여전히 ‘이방인’으로 규정하고 있는 이들이 ‘우리’에게 요청하고 있는 것이고, 하위주체에게 목소리를 돌려준다거나 하위주체의 목소리를 듣겠다는 행위에 선행해야 하는 것임을 확인할 것이다. 그리고 이주와 이산의 주체들에 대한 논의에서 흔히 거론되는 ‘유목적 주체’는 이동하는 ‘그들’이 아니라 ‘정주민’이라고 생각하는 ‘우리’들에게 필요한 것임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학문후속세대,신진연구자들의 한국어문학 및 문화 연구의 동향과 방향 : 우리 소설에 나타난 하위주체로서의 결혼이주 여성 연구

        구번일 ( Bun Il Ku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48 No.-

        이 글은 정인의 단편소설 <그 여자가 사는 곳>, <타인과의 시간>, 백가흠의 단편소설 <쁘이거나 쯔이거나>를 중심으로 하위주체로서의 결혼이주 여성의 재현방식에 대해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들 소설에서 결혼이주 여성들은 이방인으로서 언어의 문제, 정체성 구성, 한국 가족 안에서의 자리 찾기, 상징적이거나 실제적인 죽음의 메시지 등, 여러문제들에 복잡하게 얽혀 있다. 그러나 결혼이주 여성은 우리 사회에서도 소설에서도 단일하고 전형적인 재현체계 안에 갇혀 있을 뿐 이들의 다양한 목소리는 들리지 않는다. 특별히 스피박의 하위주체 연구를 통해 이 작품들을 분석하는 것은, 우리 사회에서 결혼이주 여성들의 복합적인 위치를 설명하는 데에 스피박의 하위주체 개념이 매우 적절하기 때문이다. 스피박이 ‘하위주체는 말할 수 없다’고 한 맥락을 살피면서, ‘하위주체의 말없음/말할 수 없음’에서 하위주체의 말을 ‘듣지 않음/들을 수 없음’의 층위로의 이동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더불어 하위주체 연구는 ‘그들’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지, ‘그들’을 어떻게 대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이 아니라 ‘우리/의 위치’를 어떻게 재설정해야 하는지의 질문이어야 한다. ‘하위주체는 누구인가’가 아니라, 우리가 하위주체라 규정하는 이들과 함께 살고 있는 ‘우리’는 누구인가. 이런 질문은 우리가 여전히 ‘이방인’으로 규정하고 있는 이들이 ‘우리’에게 요청하고 있는 것이고, 하위주체에게 목소리를 돌려준다거나 하위주체의 목소리를 듣겠다는 행위에 선행해야 하는 것임을 확인할 것이다. 그리고 이주와 이산의 주체들에 대한 논의에서 흔히 거론되는 ‘유목적 주체’는 이동하는 ‘그들’이 아니라 ‘정주민’이라고 생각하는 ‘우리’들에게 필요한 것임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Korean novels that deal with married immigrant women have increased since 2000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arried immigrant women as subaltern in Korean novels, especially focusing on Jung In``s <The place of the woman>, <Time with the other>, and Paik ga-huim``s <Puy, Thuy, Whatever>. These novels reveal married immigrant women``s dreams, hardship, and oppression in a Korea society. The married immigrant women which increase rapidly in our society are understood as the result of negotiations between the economic motive of women in developing countries and the patriarchal strategy of Korean men. Married immigrant women are undergoing multiple discriminations such as nationality, race, gender, mother-language etc.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dentities of female characters in these novels which are acquired in process of abandoning the old life style and making with the strangers in unfamiliar surroundings as well as focuses on their subalternity. The notion of Subaltern is from Gayatri Chakravorty Spivak’s article, can the subaltern speak? Based on subaltern and Spivak``s point of view,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and describe our responsibility for married immigrant women. The subaltern cannot speak means that “the subaltern’s utterance cannot be heard to us.” Therefore, we must rethink who we are against them and where our positions are, so that our identities can consist in nomadic subjectivity. This study focusing on these perspectives can contribute to social unification by accepting married immigrant women in our society as not the strangers but our true neighbors.

      • KCI등재

        『휘청거리는 오후』에 나타난 행복의 억압 양상과 정동 정치

        김미영(Kim mi young) 국어문학회 2022 국어문학 Vol.81 No.-

        박완서의 『휘청거리는 오후』에는 ‘행복의 약속’이 여성의 삶에 가하는 억압에 주목한다. 1970년대는 산업화의 증폭과 함께 부와 성공이 행복한 삶을 보장해 줄 것이라는 왜곡된 정동이 팽배했다. 이렇게 촉발된 행복 정동은 대중의 욕망에 들러붙어 자발적으로 증폭·확산되었다. 특히 여성에게는 ‘결혼’으로 ‘행복’이 완성될 수 있다는 믿음을 강화시켰다. 『휘청거리는 오후』는 행복이 1970년대를 추동하는 방식에 주목한다. 그리고 여성인물들이 젠더화된 ‘행복’을 욕망하는 양태를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한다. 소설 속 여성인물들은 ‘결혼’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행복’의 약속이 실현될 수 없다는 것을 자각하며 자신의 삶에 균열을 가하기 시작한다. 세 여성 중 초희는 자신이 믿었던 행복이 오히려 자신을 억압해 온 규율에 불과했다는 것을 자각한다. 그리고 결혼에 이르는 과정과 결혼 생활을 통해 ‘정서 이방인’이 되어간다. 초희는 자신이 행복 대상이라고 믿었던 ‘낭만적 사랑’이 허위에 불과했다는 것을 확인한다. 그리고 자신이 부인했던 ‘순결한 몸’과 ‘방한 칸’이 자신의 또 다른 행복 대상이었음을 인정한다. 말희는 주변인들과의 마주침 속에서 활성화된 분노를 자기변용의 추동력으로 재전유한다. 그리고 ‘유목적 주체’로서 자신만의 행복을 재구축하고자 한다. 이렇듯 『휘청거리는 오후』는 1970년대의 지배질서에 순응했던 여성들이 자신을 다른 신체로 변용해나가는 과정에 주목한다. 이들은 무엇보다 변화를 갈망하며 자신을 재 이해하려는 시도를 멈추지 않았다. 이는 기존의 관습에 문제를 제기함으로써 충돌하고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는 정동 정치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Park Wan-Suhs 『Staggering Afternoon』focuses on the ‘promise of happiness’ that oppresses womens lives. In the 1970s, with enlarging industrialization, there was a widespread distorted affect that wealth and success would guarantee a happy life. The affect of happiness was parasitic on the publics desire and grew and spread. Notably, it strengthened the belief that ‘marriage’ completes ‘happiness’ for women. 『Staggering Afternoon』notices how happiness drives the 1970s and highlights how female protagonists desire gendered ‘happiness’ from diverse angles. The female protagonists in the novel cleave their lives after realizing that the promise of ‘happiness’ cannot be realized while preparing for their ‘marriage.’ Among the three women, Chohee realizes that the happiness she believes in turns out to be only a discipline that has suppressed her. She then becomes an ‘effect alien through the preparation for the wedding and her married life. Woohee confirms that the ‘romantic love’ she believed to be the subject of happiness was nothing but delusion. She admits that a ‘chaste body’ and a ‘frugal place to live’ she denied were other subjects of happiness for her. Malhee monopolizes the anger revived in encounters with people around her again into a driving force for her self-transformation. Then, she pursues rebuilding her happiness as a ‘nomadic subject.’ 『Staggering Afternoon』focuses on women, who once conformed to the social norm in the 1970s, transforming themselves into other bodies. The women desired change more than anything else and continuously strived to understand themselves again. It shows the possibility of politics of affect, which defies the social norm and fights to establish new relationshi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