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조시기 무예의 투로(套路) 기원에 관한 고찰

        박귀순 한국체육사학회 2020 체육사학회지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velopment in the Han Dynasty’s Martial Arts and it’s characteristics, when Taolu(套路) first appeared, an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aolu. During this period, private and military martial arts were encouraged. In addition, the oldest Chinese military and martial arts book was compiled, and the term Muye and Taolu first appeared. Taolu could be said to be a technique of martial arts which at least two movements implying the concept of defense and offense are connected. And it was used as part of demonstrations, strategies, and tactics as well as training and succession as well as training or succession as it implie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martial arts through grafting with dance, comedy, and entertainment. Also, with the advent of Taolu, the techniques of Martial Arts became abundant, and were used as a basis for selecting person of martial arts. With the advent of Taolu, diversification and systematization of Chinese martial arts were achieved, and it had history of physical education and martial arts significance.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해서 투로(套路)가 처음 출현한 한조시기의 무예 전개 과정을 개괄하고, 그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이 시기에 처음 출현한 투로의 특징과 그 의미를 밝혔다. 이 시기에는 민간무예와 군사무예가 장려되었는데, 각저와수박 등의 도수무예는 무예적 요소에 유희성과 실용성 등이 더해져 새롭게 발전했으며, 새로운 형태의 도검류가 제작되어사용되기 시작되었다. 그리고 현존 중국 가장 오래된 병법, 무예서가 편찬되었고, 무예 용어와 투로가 처음으로 출현했다. 투로는 공방개념이 내포된 최소 두 동작 이상이 연결된 도수무예와 병기무예의 기예라고 할 수 있었다. 투로는 무무라는말과 같이 무용에서 기인된 것으로 보이며, 무용, 희극, 오락 등과의 접목으로 무예 특유의 공방 특징이 내포되면서 수련이나 계승은 물론 시연, 전략, 전술 등에 활용되었다. 이 시기 처음으로 무예 투로가 출현하면서 도수무예와 병기무예의 기예가 풍부해졌으며, 수련 체계가 확립되었고, 무예 재원을 선발하는 기준으로도 활용되었다. 이러한 투로의 출현으로 무예의다양화와 체계화가 이루어졌으며, 체육사적ㆍ무예사적 의미가 있었다.

      • KCI등재후보

        우슈의 올림픽종목 진입 실패 원인과 대책

        노동호 한국무예학회 2017 무예연구 Vol.11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ormation and problems of Wushu Taolu, which have been pointed out as part of the cause related to failure of the sport for being included in the Olympics and proposed a method for future development based on the training and competition system of Zhongyang GuoShu Center(中央國術館) as a way for Wushu to be selected as an Olympic Sport.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the modern sport Wushu Taolu(套路) was developed based on far-left ideology and political background and, therefore, has limitations in contemporary society. Also, there are problems such as loss of characteristics and tradition associated with martial arts, due to the sport’s focus on gymnastic-level movements, limited distribution, and lack of fairness due to subjective score system, which were major causes of the sport’s failure to be included in the list of Olympic Sports.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alternative for Wushu to be included in the Olympics: for Wushu to become an Olympic Sport, it should include both the acting event Taolu and match. And there should be no division of sect in Taolu. Also, the sport should be played as a group event, instead of individual one, so as to maximize its diversity and spectacle, which are strengths of Wushu, and, thereby, increase its chance to be included in the Olympic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long with the traditional Shanshou, Shuaijiao(摔角), Short weapons(短兵)/ Long weapons(長兵) match, and Taichi Tuishou, in the long term. Especially, Long weapon match is the most suitable Wushu event for the Olympics as there is no other similar fight event. 이 연구는 우슈 종목 올림픽 진입 실패 원인 중의 하나로 지목되는 경기(競技) 우슈 투로 종목의 형성과정과 문제점을 규명하고, 더 나아가 근대 중앙국술관(中央國術館)의 훈련체계 및 경기방식의 사례를 통해 올림픽 진입을 위한 경기 우슈의 새로운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현대 경기 우슈 투로는 극좌적인 사상과 정치 배경 하에 형성 발전된 것으로 시대적 한계를 안고 있다. 또한 체조식 난이도 위주의 동작구성으로 인한 무술적 특성과 전통성 상실, 보급률 부족, 주관적 채점 경기방식으로 인한 공정성 미흡 등의 문제를 초래하였고, 이는 올림픽 진입 실패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 우슈의 올림픽 진입 재도전을 위한 대안은 다음과 같다. 우슈의 올림픽 진입을 위한 세부 종목은 연기종목인 투로와 겨루기종목이 같이 포함되어야 한다. 투로 세부 종목은 유파의 구분이 없어야 한다. 또한 개인 종목보다는 약속대련 형식의 단체 종목으로 하여 우슈의 장점인 다양성과 볼거리를 극대화시키는 것이 올림픽 진입에 유리할 것이다. 경기 우슈의 겨루기 종목 범위를 확대하여, 기존 산수(散手) 종목과 함께 중국식 씨름, 단병(短兵)/ 장병(長兵) 겨루기, 태극권 추수(推手)종목을 중장기적으로 양성할 필요가 있다. 특히 장병 겨루기는 유사종목이 없는 격기종목으로 올림픽 진입에 가장 부합한 우슈 종목이다.

      • KCI등재

        우슈 국가대표팀 투로와 산타 선수들의 근 기능 위주 기초 및 전문체력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조은형 ( Eun-hyung Cho ),고병구 ( Byoung-goo Ko ),성봉주 ( Bong-sung Sung ),이종백 ( Jong-baek Lee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20 체육과학연구 Vol.31 No.2

        [목적] 본 연구는 우슈국가대표 남자 선수 투로와 산타종목선수 그룹의 체력측정결과 차이를 비교하여 우슈선수들의 체력적인 특성을 파악하여 우슈선수들의 경기력향상에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있다. [방법] 총 37명의 남자 우슈 국가대표 선수(투로 24명, 산타 13명)를 대상으로 2018년, 2019년 년 2회 선발전과 평가전을 통해 선발된 인원들을 대상으로 근기능 위주의 기초 및 전문체력측정을 실시하였다(신체구성, 등척성근력, 유연성과 평형성, 하지무산소성파워, 등속성근력). 투로종목과 산타종목 두 그룹으로 나누어 체력요인을 비교하였다. [결과] 첫째, 신체구성에 신장과 체중은 두 그룹 간 차이가 없었으나 체지방율은 산타선수 그룹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1). 둘째, 등척성 근력 항목(배근력, 악력)에 있어 산타선수 그룹 높은 경향이 있었지만 좌측 악력만 통계적 유의 차이가 있었다(p<.01). 셋째, 유연성과 평형성에서는 투로선수 그룹이 모든 유연성항목에서 산타선수그룹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1). 넷째, 하지 무산소성파워에서 투로선수 그룹이 최고파워와 평균파워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최고파워 : p<.01 , 평균파워 : p<.001). 다섯째, 등속성 근력은 각근력 우측 굴근은 투로선수 그룹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p<,01)과 요부신근은 산타선수 그룹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5). 여섯째, 등속성 근력비율에서는 좌우 각근력 굴근과 신근비율에서는 산타선수그룹의 굴근비율이 유의하게 높았으며(p<.05), 좌우 고관절 굴근과 신근비율에서는 투로선수 그룹의 고관절 굴근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5). 또한 요부근력 굴근과 신근비율에서는 요부신근에서 산타선수 그룹이 유의하게 높았다(p<.05). 일곱째, 등속성 근파워에서는 두 그룹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우슈 투로와 산타 종목간의 서로 다른 특성분석 자료를 통하여 기술 및 체력훈련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훈련의 효율성을 통해 경기력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Wushu athletes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on the results of physical fitness between the male athletes of the Wushu national team Taolu and the Sanda group. [Methods] Measurement of basic and professional fitness based on muscle function, targeting 37 men Wushu national team players (24 taolu, 13 Sanda) in the selection and evaluation contests twice in 2018 and 2019. Body composition, isometric muscle strength, flexibility and equilibrium, anaerobic power, and isokinetic muscle strength. The fitness facto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aolu and Sanda. [Results] First, body fat rate of the Sanda athlete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taolu athlete group (p<.01). Second, in the isometric muscle strength category(back muscle strength, grip strength), the Sanda athlete group had higher muscle strength than Taolu athlete group,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left grip strength (p<.01). Third, in terms of flexibility and equilibrium, the taolu play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ll items(p<.001). Fourth, in the anaerobic power, the taolu athlete group had higher both the peak power and the mean power, and there were a significant differences(peak power: p<.01, mean power: p <.001). Fifth, isokinetic muscle strength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ight knee flexion of the taolu athlete group (p<.01), and lumbar extensor muscl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anda athlete group (p <.05). Sixth, in the isokinetic strength ratio, the knee flexion ratio of the Sanda athlete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on the left and right knee flexion and extensor ratios (p<.05). In addition, in the lumbar flexor and extensor ratios, the group of Sanda athlete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on the lumbar extensor(p<.05). Seven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isokinetic muscle power.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echnical and physical training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aolu and Sanda. The effectiveness of this training will help to improve the performance.

      • KCI등재

        중국 국가대표 우슈 투로(套路) 선수들의 최고수행을 위한 심리적, 사회·환경적 영향요인 탐색 연구

        후여환(YuHuan Hou),박종화(JongHwa Park) 한국여가문화학회 2023 여가학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중국 국가대표 우슈 투로(套路) 선수들의 최고수행을 위한 심리적, 사회·환경적 영향요인 탐색 연구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질적연구방법 중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국가대표 선수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선정은 비확률 표집방법 중 하나인 판단 표집법을 채택하여 16명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은 질적연구방법으로 심층면담을 활용하여 구조화 및 반구조화된 면담범위를 설정하여 진행하였으며 이후 전사작업, 코딩, 연구 참여자 교차 검토, 전문가 회의, 질적 연구분류를 통해 중국 국가대표 우슈 선수들의 최고수행을 위한 심리적, 사회·환경적 영향요인에 관한 의미를 심도있게 분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중국 국가대표 우슈 투로(套路) 선수들의 최고수행을 위한 심리적요인으로 긍정적 요인과 부정적 요인으로 범주화 되었다. 세부적으로 긍정적 요인에 동기, 자신감, 주의집중, 심상, 자화가 분류되었고, 부정적 요인에 불안, 압박감이 분류되었다. 둘째, 중국 국가대표 우슈 투로(套路) 선수들의 최고수행을 위한 사회적요인으로 긍정적 요인과 부정적 요인으로 범주화 되었다. 세부적으로 긍정적 요인에 타인의 지지, 부정적 요인에 타인의 기대가 분류되었다. 셋째, 중국 국가대표 우슈 투로(套路) 선수들의 최고수행을 위한 환경적요인의 긍정적 요인과 부정적 요인으로 범주화 되었다. 세부적으로 긍정적 요인에 외적보상, 훈련량, 모의경기, 선행경험이 분류되었고, 부정적 요인에 피로, 부상이 분류되었다.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 with national players through a phenomenological method of research out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make an in-depth analysis of psychological, social·environmental influence factors for the peak performance of Chinese national wushu taolu players. For the selection of research participants, this study adopted a judgmental sampling method which is one of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and made a final analysis of the data from 16 persons. For data collection, this study set and conducted structured and semi-structured scope of interview using in-depth interview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by making an in-depth classification of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social·environmental influence factors for the peak performance of Chinese national wushu players through transcription, coding, cross-checking by research participants, expert meeting and qualitative research classification. First, psychological factors for the peak performance of Chinese national wushu taolu players were classified as positive factors and negative factors. To be specific, motive, confidence, attention, image and self-talk were classified as positive factors, whereas negative factor included anxiety and pressure. Second, social factors for the peak performance of Chinese national wushu taolu players were categorized as positive factors and negative factors. Specifically, positive factor was classified as support from others and others’expectation was classified as a negative factor. Third, environmental factors for the peak performance of Chinese national wushu taolu players were also categorized as positive factors and negative factors. Concretely, positive factors included extrinsic reward, quantity of training, simulation game and pervious experience, and fatigue and injury were classified as negative factors.

      • KCI등재

        우슈 투로 수련이 초등학생의 신체구성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차준열(Cha Jun Youl),이명찬(Lee Myeong Chan),박찬대(Park Chan Dae),박정민(Park Jeong 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2

        본 연구는 2016년 4월부터 2016년 6월까지 S시에 거주하는 10~13세의 초등학생 60명(EG/30명, CG/30명)으로 구성 하였으며, 우슈 투로 수련이 초등학생의 신체구성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그룹별 신체구성(체중, BMI, 체지방률, 복부지방률, 기초대사량)과 정적균형능력을 알아보았다. 우슈 투로 수련 후 신체구성의 변화는 EG 그룹에서 골격근량, BMI, 체지방률, 기초대사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그룹 간 차이에서는 사후검사에서 신체구성의 모든 변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우슈 투로 수련후 정적균형능력에 관한 연구에서는 EG 그룹에서 Up, Down, Left, Right의 모든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CG 그룹은 Right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룹 간 차이에서는 사후검사에서 정적균형능력의 모든 변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위의 결과로 보아, 우슈 투로 수련이 초등학생의 신체구성 및 정적균형능력의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ushu Taolu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and Balance abilities in the elementary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ercise group (n=30) and Control group (n=30). The Wushu Taolu training program for 12 week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dy mass index, body fat percentage. ther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skeletal muscle, basal metabolic rate.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UP, Down, Left, Right Balance abilities. As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Wushu Taolu training could improve the body composition and Balance abilities of elementary students.

      • KCI등재

        카타(形), 타오루(套路), 품새의 비교분석을 통한 태권도 품새경기의 방향성 모색

        송남정,임신자 한국체육철학회 2012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0 No.1

        This research is Qualitative Case study to aim at investigating the proper directivity of Poomsae competition, Korean Taekwondo, by examining and analysing the 2010 competition rules of Kata competition, Japanese Karate, and Taolu competition, Chinese Wushu. To this end, the related literature was referred and other data were considered, with in-depth interviewing, so as to draw the conclusion. As for the analysis of data, the result an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as achieved by modifying and applying the 4 step method for comparison that had been created by Bereday(1964). To assure the veracity of the study of quality in the analysis of data, the triangulation, the conference of experts and the review of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carried out. Result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into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 of competition system: Kata and Taolu competitions shows various types of contests, therefore, no monotony, but persue the elite sports concentrating on children and young people; Poomsae competition pursues to expand the base of training people from all ages, but shows monotonous games with 13 recognized types of Poomsae.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into the difference of scoring criteria and system: as for Kata competition, it is entirely judged by referees with the qualitative criteria, thus, its objectivity is enhanced by selecting and training referees strictly; as for Taolu competition, its objectivity is enhanced by adopting detailed and objective scoring criteria and scoring system which assigns each judgement area to each referee by groups, but the scoring criteria is concentrated on the form; as for Poomsae competition, as the institutional system to select and train the referees is yet insufficiently set up, the scoring system is quite formal. Second, to develop the Poomsae competition, the diversification of Poomsae competition and the reinforcement of the referee's judgement and the scoring criteria were considered. 본 연구는 한국 태권도 품새와 유사한 일본 가라데의 카타, 중국 우슈의 타오루의 2010 국제경기규정을 조사․비교분석하여 태권도 품새경기의 올바른 방향성을 모색하는 질적 사례연구(Case study)이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와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확보하였으며, Bereday(1964)의 4단계 비교방법론을 수정, 활용하여 심도있게 분석‧해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연구의 진실성 확보를 위해 다각검증법과 전문가 회의 그리고 연구 참여자 검토 등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경기방식의 특성에 있어서, 카타와 타오루경기는 다종의 품새 경연으로 태권도보다 단조로움은 없었으나, 아동․청소년층에 집중된 경기형태를 추구하고 있었고, 반면, 품새경기는 13가지의 공인품새 경연경기로 단조로운 경기를 운영하고 있지만 다양한 연령의 선수층으로 품새 수련인구의 저변확대를 추구하고 있었다. 심판 및 채점기준의 특징과 차이점에 있어서, 카타경기는 정성적인 기준으로 전적으로 심판의 판단에 의해 승패를 결정하고 있었으며, 타오루경기는 세분화된 채점기준과 심판원의 각기 정해진 담당분야를 나누어 객관성을 높이고 있었다. 반면, 품새경기는 제도적 정립이 미흡하여 형식적인 채점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으로 나타났다. 둘째, 태권도 품새경기의 발전방향성은 두 가지로 모색되었다. 먼저, 경기를 다양화를 이루기 위한 경기용 품새의 제정이 필요하고, 다음으로 심판판정 및 채점기준의 강화를 위한 엄격한 제도적 정책과 단순화된 채점기준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2023 아시아 청소년 우슈 선수권대회 제3국제경기투로의 경기력 향상 방안 연구

        강영석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2023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Vol.14 No.3

        This study analyzed the competition content of 14 sports by 5 youth representative athletes who participated in Group A of the 11th asian junior wushu championships in 2023 and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vertical velocity must be increased by the reaction force of the ground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jump, and it has been shown that a safe landing can be achieved only by performing a kick with a leisurely staying in the air.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Bow Stance should keeping the femur of the front leg horizontal, the Butterfly Stance should keeping the calf of the back leg and the inner side of the foot close to the floor, and for the Front and Back Sweep, the rotation is efficient when it is controlled to prevent the center of gravity from swinging around the rotation axis. Third, it has been revealed that improving muscle function control through repetitive training for shaking of movements. Fourth, it has been found that high scores are obtained for the level of acting only when the movement standard and moderation are clear and so the coordination of movements and the harmony of weapons are well organized. 이 연구는 2023년 제11회 아시아 청소년 우슈 선수권대회 그룹 A(제3국제경기투로)에 참가한 청소년 대표선수 5명으로 14종목의 경기내용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등공 동작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면의 반작용력으로 수직속도를 빠르게 하여 등공 높이를 높여야하며 여유로운 체공시간으로 발차기를 수행해야 안전한착지를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궁보는 앞 다리의 대퇴 수평을 유지, 접보는 뒤로 놓은 다리의 종아리및 발의 내측이 바닥에 밀착 등 정지 동작에서 동작 규격의 착오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전소퇴 및 후소퇴는회전축을 중심으로 무게중심이 흔들리지 않도록 제어해야 회전이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동작의 흔들림이나 병기계의 놓침, 신체일부에 닿는 것을 반복 훈련으로 근기능의 제어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동작오류를 최소화 하는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기수준은 동작의 규범이나 절주가 분명하여 동작의 협응 및 기계의 배합이 조화롭게 이루어져야 고득점을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우슈 투로와 태권도 품새의 경기규칙 비교분석을 통한 품새경기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정경원,리우창 국기원 2019 국기원태권도연구 Vol.10 No.3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be helpful for seeking for the future direction of Taekwondo Poomsae competition by analyzing the competition rules of Taekwondo Poomsae and Wushu Taoru, and then considering the raised problems. To achieve this objective, by using the literary research method, the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the Taekwondo Poomsae Competition Rules(2005-2019) and the Taoru Competition Rules(1958-2019) while referring to theses, journals, books, magazines, and related-people’s interview records in relation to Poomsae and Taoru. In the results of considering the problems of each competition and seeking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Poomsae competition, the conclusions were obtained as follows. First, the competition rules of Poomsae and Taoru were similar to each other in the aspect of scoring standards(accuracy, presentation, technical skills) for deciding the results, players’ competition efficiency, and stadium regulations for safety(lighting, standard, mark). However, in case of competition method, Poomsae was segmentalized into eight divisions in accordance with age while Taoru was divided into four divisions, so that mostly young players participated in it. In case of referee, Poomsae was based on the seven-referee system, and each referee screened the whole scoring standards while Taoru based on the 12-referee system screened each scoring standard more objectively. Second, in the consideration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competition rules of Poomsae and Taoru, the declined characteristics of martial arts(real fight), lack of fairness of score judgment, biased training method in accordance with scoring standards, and risk of injuries were revealed as problems. Regarding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Poomsae, in case of the declined characteristics of martial arts,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allow diverse hand-techniques besides Jeongkwon. To increase the fairness of referees’ scoring, the number of referee, scoring of each field, artistry of other competitions, and education of the scoring system for technical skills would be needed. As the reverse effects of the revision of rules, the high-score movement-centered training as a part of victory-centered strategy caused the decline of martial arts characteristics and techniques, on top of the risk of injuries caused by the high-level technique-centered training. 본 연구는 태권도 품새와 우슈 투로의 경기규칙을 분석하고 제기된 문제점들을 고찰하여 태권도 품새 경기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 모색에 보탬이 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태권도 품새 경기규칙(2005-2019년)과 투로 경기규칙(1958-2019년)을 통해 자료를 수집 분석하고 품새, 투로와 관련 있는 학위논문과 학술지, 서적, 잡지, 관련 인사들의 인터뷰기록 등을 참고하였다. 각 경기의 문제점들을 고찰하고 품새 경기의 발전 방향을 모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품새와 투로의 경기규칙은 승부를 판정하는 채점 기준(정확성, 연기성, 기술성)과 선수들의 경기 효율, 안전을 위한 경기장 규정(조명, 규격, 표시) 면에서 유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경기방식의 경우 연령별 8부로 세분화 되어 있는 품새와는 달리 투로는 4부로서 주로 젊은 층의 선수들이 참여하는 면에서 차이가 있었다. 심판원의 경우 품새가 7심제로 각각의 심판이 채점기준을 전부 심사하는 반면 투로는 12심제로 각 채점 기준별로 나누어 보다 객관적으로 심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품새와 투로의 경기규칙의 변화의 따른 고찰에서는 무술성(실전성)의 쇠퇴와 점수판정에 대한 공정성의 부족, 득점기준에 따른 편중된 수련방법과 부상의 위험이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품새의 개선방안으로는 무술성의 저하에서는 정권 외에 다양한 손기술의 개발 및 허용이 필요하며, 심판 채점의 공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심판원의 수와 부문별 채점, 타 경기의 예술성, 기술성 채점시스템의 교육도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규칙개정에 따른 역효과로는 승부 중심의 전략적 일환으로 고배점 동작 중심의 훈련이 무술성과 기술의 질 쇠퇴를 가져왔고 더불어 고난도 중심 훈련으로 인한 부상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