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학과 체육에서 중학생의 자기효능감의 타인 기반 원천, 자기효능감, 수업참여의 구조적 관계

        이예진,이은주 한국교육심리학회 2023 敎育心理硏究 Vol.37 No.3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other-based sources of self-efficacy (such as by family, teachers, and peers), self-efficacy, and class engagement in mathematics and physical education. To this end, data of 396 middle school students were used to verify the six-factor structure of other-based sources of self-efficacy, comprising vicarious experiences and social persuasion of family, teachers, peers; and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elf-efficacy, its sources, and class engagement.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ix-factor source model that distinguishes social models by family, teacher, and peer, fits the data better than the two-factor model, both in mathematics and physical education. Additionally, in mathematics, only social persuasion of family significantly impacted self-efficacy, whereas in physical education, peer vicarious experience influenced self-efficacy. Furthermore, in mathematics, self-efficacy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ocial persuasion and class engagement. In physical education, i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vicarious experience and class engage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the independent and discriminatory influence of family, teachers, and peers as sources of self-efficacy for middle school students. It also cla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other-based self-efficacy sources, self-efficacy, and class engagemen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and physical education. Educational Impact and Implications : This study showed that information provided by others, such as social persuasion of trusted people and vicarious experiences of people similar to oneself, can act as a source of self-efficacy, which may affect class engagement. This process can vary depending on the subject area. To improve self-efficacy, it will be helpful if families provide praise and encouragement in mathematics; in physical education, organizing classes to observe peer efforts and performance would be helpful.

      • KCI등재

        자아정체감과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황현정(Hwang, Hyunjung),백지연(Paek, Jeeyon) 한국비서학회 2015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4 No.1

        본 연구에서는 비서학전공 전문대학생을 중심으로 자아정체감,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을 알아보고 변인들 간의 경로차이가 존재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자아정체감과 사회적 지지가 각각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과 수도권 소재 전문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329부의 설문지를 수거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첫째, 연구 변인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아정체감,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각 변인과 진로결정수준은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정체감, 사회적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결정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사회적 지지는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또한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비서학전공 전문대학생들이 진로와 관련하여 명확하고 실현가능한 목표를 설정할 수 있도록 자아정체감을 확립하고, 나아가 자신의 진로문제에 대해 원활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도와주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증진시켜 줄 수 있는 진로지도 및 교육프로그램을 기획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특히 자아정체감이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한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닌 것을 고려하여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지도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existence of any path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self-identity (ego-identity),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 (status) by considering colleg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secretarial studie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Does self-identity affec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e career decision level? Does social support affec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e career decision level? Doe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ffect the career decision level?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identity and the career decision level?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the career decision level? Data were collected from professors, lecturers and teaching assistants from colleges in the department of secretarial studies in Seoul and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 total of 329 responses were considered. First, self-identity had positive effects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e career decision level.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ut a negative effect on the career decision level.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 level. Self-identity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 positive mediating effect on the career decision level.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career decision level.

      • 청소년의 검도 수련만족, 자기효능감, 사회성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구조적 모형분석

        장성홍(Jang, Sung-Hong),고영완(Ko, Young-Wan) 대한검도학회 2019 대한검도학회지 Vol.30 No.1

        본 연구는 과외스포츠 활동으로서 검도 수련을 하는 것이 청소년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발달 기회를 부여하고 궁극적으로는 청소년들의 학교생활적응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되기에 검도 수련이 그들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성,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를 밝혀서 청소년들의 검도수련의 구체적인 효과를 확인하는 것과 동시에 청소년 검도 수련의 활성화를 도모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함께 수련만족이 자기효능감, 사회성,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각 변인들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SEM)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와 방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수련만족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련만족은 사회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련만족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효능감은 사회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기효능감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사회성은 학교생활적응에 영함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사용된 변인 이외에도 검도수련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밝힌 모델이 최적모델이라고 할 수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의 변인보다 더 구체적인 변인들을 통한 추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검도수련을 하는 초 · 중등학생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기에 결과에 대한 일반화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다른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범위를 확대하여 청소년들의 학교생활적응과 스포츠 활동의 역할에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ractice of kumdo training as an extra-curricular sporting activity gives opportunities for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development of adolescents and ultimately it will help adolescents to school life adaptat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raining satisfaction(physical satisfacti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have significantly influenced on self-efficacy(physical self-efficacy, general self-efficacy, social self-efficacy). Second, training satisfaction(physical satisfacti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have significantly influenced on sociability (sociality, dominance, stability, autonomy). Third, training satisfaction(physical satisfacti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have significantly influenced on school life adaptation (school rules, teacher relationship, peers relationship, school lesson attitude). Fourth, self-efficacy(physical self-efficacy, general self-efficacy, social self-efficacy) have significantly influenced on sociability(sociality, dominance, stability, autonomy). Fifth, self-efficacy(physical self-efficacy, general self-efficacy, social self-efficacy) have significantly influenced on school life adaptation (school rules, teacher relationship, peers relationship, school lesson attitude). Sixth, sociability(sociality, dominance, stability, autonomy) have significantly influenced on school life adaptation (school rules, teacher relationship, peers relationship, school lesson attitude). Based on these results, some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ly, the factors used in this research, there are possibilities that there are various factors that influence to school life adaptation of kumdo trainees so what the model clarified in this research can not be made the optimal model. Therefore, future research will be carried out through concrete variables from the variables of this research. Secondly, this research has conducted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high school students who practicing kumdo and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deeply study the role of sports activities to school life adaptation of youth by expanding the range of research for students participating in other sports activities.

      • KCI등재후보

        SNS 유형과 사용자 인지심리특성 간의 관계를 통한 소셜 문화 건전성 탐색

        천홍말(Cheon, Hong-Mal) 한국문화산업학회 2014 문화산업연구 Vol.14 No.3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SNS 사용자 인지심리특성과 SNS 유형 간의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소셜문화(social culture) 건전성 측면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SNS 사용자 인지심리특성을 자기감시성, 자기효능감, 집단효능감, 자아존중감, 사회적 고립감의 5개 변수로 놓고, 이들 변수들과 SNS 유형 즉,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유투브, 블로그와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주요 분석방법은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적용하였으며, 소셜 문화건전성 측면의 시사점은 크게 네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SNS유형 중 트위터, 페이스북 사용자들은 자기감시성에 노출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자기감시성이 외부자극에 반응하는 일련의 자기표현관리와 관련된다는 점에서, 대학생들이 트위터, 페이스북의 사용과정에서 보일 수 있는 지나친 자기감시적 과잉반응을 순화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SNS 서비스는 확대해석과 과잉반응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적 메커니즘의 개선을 통해 소셜 문화건전성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둘째, SNS유형 중 카카오톡, 유투브, 블로그 사용자들은 자기효능감에 노출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자기효능감이 희망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 자기신념이라는 점에서, 대학생들이 카카오톡, 유투브, 블로그의 사용과정에서 자기효능감에 경도되어 다른 사람들의 견해를 경시하거나 의도적으로 호도하는 실수를 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SNS 서비스는 보다 다양하고 용이한 의사소통 메커니즘의 제공을 통해 참여자들 간의 다차원적인 상호작용을 지원함으로써 소셜 문화건전성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셋째, SNS유형 중 유투브, 블로그 사용자들은 제한적으로나마 사회적 고립감에 노출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사회적 고립감이 개인의 주관적 상실감과 무력감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대학생들이 유투브, 블로그의 사용과정에서 상대적 상실감과 무력감에 노출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SNS 서비스는 개인의 참여가 보다 확대될 수 있도록 메커니즘을 개선함으로써 소셜 문화건전성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넷째, SNS유형 중 어느 것도 집단효능감과 자아존중감에 노출될 가능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집단효능감이 자기가 속한 집단을 통하여 희망하는 업무수행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믿는 신념이고, 자아존중감은 자신의 능력과 가치에 대한 긍정적 신뢰라는 점을 고려할 때, 현 단계 대학생들의 SNS 참여는 어떤 기대나 의사를 관철시킬 목적보다는 자유로운 개인의사표현과 부담 없는 의사소통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SNS 서비스는 개성의 표현, 독특한 아이디어의 공유 등을 보다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소셜 문화건전성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tri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healthy social culture that is based on the SNS(social network service). To this end, we verified the relationship the type of SNS an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NS user. In this regar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NS user includes five variables, such as self-monitoring, self-efficacy, collective efficacy, self-esteem and social isolation. And then, the type of SNS includes social media, such as Twitter, Facebook, Youtube, Kakao Talk and Blog. In order to draw conclusions,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the analysis method, and it can be largely explained by the four results of this study in terms of social cultural aspect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self-monitoring may be exposed on Twitter, Facebook users. To support the healthy social culture, it is necessary to simplify the overly self-monitoring overreaction that can be seen on Twitter, Facebook is in the process of use.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self-efficacy may be exposed to Kakao Talk, YouTube, blog users. It was predicted to be able to commit the mistake to disregard the opinion of other people, or deliberately misleading.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need to support the social cultural integrity by supporting themultidimensional interaction between the participant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user of Youtube, blogs may be exposed to the social isolation. To support the healthy social cultu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mechanism, so that it can be enlarged the individual involve. Fourth, it was not confirmed that the possibility likely to be affected in the collective efficacy and self-esteemto any of the SNS type. To support the healthy social culture, it is need to supportmore freely express their personality and share ideas.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SNS 사용자 인지심리특성과 SNS 유형 간의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소셜문화(social culture) 건전성 측면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SNS 사용자 인지심리특성을 자기감시성, 자기효능감, 집단효능감, 자아존중감, 사회적 고립감의 5개 변수로 놓고, 이들 변수들과 SNS 유형 즉,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유투브, 블로그와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주요 분석방법은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적용하였으며, 소셜 문화건전성 측면의 시사점은 크게 네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SNS유형 중 트위터, 페이스북 사용자들은 자기감시성에 노출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자기감시성이 외부자극에 반응하는 일련의 자기표현관리와 관련된다는 점에서, 대학생들이 트위터, 페이스북의 사용과정에서 보일 수 있는 지나친 자기감시적 과잉반응을 순화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SNS 서비스는 확대해석과 과잉반응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적 메커니즘의 개선을 통해 소셜 문화건전성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둘째, SNS유형 중 카카오톡, 유투브, 블로그 사용자들은 자기효능감에 노출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자기효능감이 희망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 자기신념이라는 점에서, 대학생들이 카카오톡, 유투브, 블로그의 사용과정에서 자기효능감에 경도되어 다른 사람들의 견해를 경시하거나 의도적으로 호도하는 실수를 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SNS 서비스는 보다 다양하고 용이한 의사소통 메커니즘의 제공을 통해 참여자들 간의 다차원적인 상호작용을 지원함으로써 소셜 문화건전성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셋째, SNS유형 중 유투브, 블로그 사용자들은 제한적으로나마 사회적 고립감에 노출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사회적 고립감이 개인의 주관적 상실감과 무력감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대학생들이 유투브, 블로그의 사용과정에서 상대적 상실감과 무력감에 노출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SNS 서비스는 개인의 참여가 보다 확대될 수 있도록 메커니즘을 개선함으로써 소셜 문화건전성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넷째, SNS유형 중 어느 것도 집단효능감과 자아존중감에 노출될 가능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집단효능감이 자기가 속한 집단을 통하여 희망하는 업무수행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믿는 신념이고, 자아존중감은 자신의 능력과 가치에 대한 긍정적 신뢰라는 점을 고려할 때, 현 단계 대학생들의 SNS 참여는 어떤 기대나 의사를 관철시킬 목적보다는 자유로운 개인의사표현과 부담 없는 의사소통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SNS 서비스는 개성의 표현, 독특한 아이디어의 공유 등을 보다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소셜 문화건전성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tri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healthy social culture that is based on the SNS(social network service). To this end, we verified the relationship the type of SNS an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NS user. In this regar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NS user includes five variables, such as self-monitoring, self-efficacy, collective efficacy, self-esteem and social isolation. And then, the type of SNS includes social media, such as Twitter, Facebook, Youtube, Kakao Talk and Blog. In order to draw conclusions,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the analysis method, and it can be largely explained by the four results of this study in terms of social cultural aspect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self-monitoring may be exposed on Twitter, Facebook users. To support the healthy social culture, it is necessary to simplify the overly self-monitoring overreaction that can be seen on Twitter, Facebook is in the process of use.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self-efficacy may be exposed to Kakao Talk, YouTube, blog users. It was predicted to be able to commit the mistake to disregard the opinion of other people, or deliberately misleading.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need to support the social cultural integrity by supporting themultidimensional interaction between the participant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user of Youtube, blogs may be exposed to the social isolation. To support the healthy social cultu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mechanism, so that it can be enlarged the individual involve. Fourth, it was not confirmed that the possibility likely to be affected in the collective efficacy and self-esteemto any of the SNS type. To support the healthy social culture, it is need to supportmore freely express their personality and share ideas.

      • KCI등재

        배드민턴 프로그램 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신체적 및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정성민 한국특수교육학회 2014 특수교육학연구 Vol.4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a badminton program on the physical self-efficacy and the social self-efficacy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hysical self-efficacy, and the “recognized physical competence” and the “physical self-expression confidence”, the sub-domains of it, of the experimental group are all improved after the badminton program was implemented. However, the physical self-efficacy and the sub-domains of the control group are not improved. The result proves the badminton program is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the physical self-efficacy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Second, like the physical self-efficacy, the social self-efficacy, and the “social efficacy” and the “relation efficacy”, the sub-domains of it, of the experimental group are all improved after the badminton program was implemented, and the social self-efficacy and the sub-domains of the control group are not improved. This suggests the badminton program is an effective education activity to improve the social self-efficacy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s well as the physical self-efficacy. Accordingly, the conclusion and the discussion in the study are hoped to be used in a basic data to help teache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hysical activities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invigorate a badminton class or club activity for them in school fields.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교육 프로그램 중 하나인 배드민턴 프로그램을 통하여 지적장애학생의 신체적 및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실험군(N=10)과 통제군(N=10)으로 나누어 배드민턴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신체적 및 사회적 자기효능감 검사 도구를 통한 사전검사, 30주간의 배드민턴 프로그램에 참여, 사후검사 순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군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하위 영역인 ‘인지된 신체능력’,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 모두 사후에 크게 향상 되었으며, 이에 반해 통제군은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각 하위 영역 모두 향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지적장애학생들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한 방법으로 배드민턴 프로그램이 효과적인임을 입증한다. 둘째, 실험군의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하위 영역인 ‘사회성 효능감’, ‘관계 효능감’도 모두 사후에 크게 향상 되었다. 통제군은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마찬가지로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각 하위 영역 모두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이는 배드민턴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뿐만 아니라 사회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데도 매우 효과적인 교육활동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장애인 근로자의 자기 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작업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이은복 ( Eun-bok Lee ),이근용 ( Kun-yong Rhee ),나운환 ( Woon-hwan Na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9 No.4

        본 연구는 장애인 근로자의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와 작업생산성과의 인과 관계를 구명하고, 이들 요인을 관리함으로서 장애인 근로자의 작업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대구.경북지역의 일반기업체와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중 근로작업시설에 종사하고 있는 지체장애, 청각언어장애인이며 일반기업 근로자 111명과 근로작업시설 근로자 94명, 총 20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는 첫째, 장애인 근로자의 자기효능감,사회적지지 그리고 작업생산성의 수준은 중간 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신감수준, 가족 및 후원자지지의 수준이 중간인 경우가 높은 경우보다 작업 목표량 완수율이 높고, 모든 요인이각각 높을수록 작업시 실수 혹은 사고 발생이 적으며, 자기조절효능감이 높을수록 작업참여 태도가 좋고, 과제난이도 선호가 높을수록 작업수행정도가 향상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여성이 자기효능감의 과제 난이도 선호가 더 높고, 작업실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애인 근로작업시설에 종사하는 장애인 근로자가 일반기업체에 종사하는 장애인 근로자보다 작업완수가 높은 것을 제외하고,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작업생산성에서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자기효능감이 작업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aiming at stabilizing and enhancing work productivity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firstly, by clarifying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work productivity, secondly, by managing any psychological and social causation for workers with disabilities. I conducted a survey on 205 workers with disabilities (physical disability, deaf and speech disability) who work for general cooperations and work activity centers among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Belows are the result of my study; First, work productivity has vari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that is, firstly, middle level of self-confidence and family and sponsor``s support induced higher ratio of target completion than high level of it, secondly, as each of the all factors becomes higher, work mistake or accidentlessened, thirdly, as self-efficacy enhanced, the attitude of work participation got better, finally, higher task difficulty preference was recognized as the enhancement of performance level. Second, according to the survey which verified the difference among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work productivity in accordance with general peculiarities of participants, it was found that women had higher task difficulty preference of self-efficacy and lesser work mistake than men. It represents that women have more preference for difficult task and they are more challenging and delicate.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who became disabilities beyond 20years old that is the time when one should choose his career had high self-efficacy and societal support and they seldom commit work mistake. Notably, the workers with two or three years of continuous service had high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and the highest performance level as well. On the contrary, the level of education and ages for workers with disabilities were not direct determinants for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 which verified the difference among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work productivity in accordance with the condition of employmen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erms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and work productivity, except that workers with disabilities who work for work activity centers had higher target completion than who work for general cooperations. Four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hich aimed to verify the impact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towards work productivity, it turned out that self-efficacy, especially self-confidence, had an affirmative influence on work productivity, participation, mistake, performance level. as self-efficacy enhanced, the attitude of work participation got better and the work mistake or accident lessened. Furthermore, high task difficulty was connected with self-recognition of high performance level.

      • 취업준비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 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김용준(Kim, Yong-jun) 한국평생교육리더십학회 2021 평생교육리더십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취업준비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 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 행동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취업준비를 준비하고 있는 대학생의 효율적인 진로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을 제공하는 것이 주된 목적을 두고, C시의 M대학과 C대학의 졸업예정 학생인 2학년과 3학년과 1학년 중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요약과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준비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진로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물질적지지, 정보적지지, 평가적지지가 진로준비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별 물질적지지, 정보적지지, 평가적지지가 높을수록 진로준비 행동도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둘째, 취업준비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별 정보적지지, 물질적지지, 정서적지지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취업준비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진로준비 행동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취업준비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 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별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는 1단계에서 매개변수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조건을 충족하였고, 2단계 매개조건 분석결과 독립변수인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별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는 종속변수인 진로준비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조건을 충족하였다. 3단계 매개조건 분석결과 독립변수인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별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의 회귀계수가 유의미하면서 2단계보다 감소하였고, 매개변수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도 유의미하게 나타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별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가 진로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중심으로 취업상담시 사회적 지지체계를 충분히 개발해 주어 진로준비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으며, 진로 프로그램 개발 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university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 career guidance of college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by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with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students who are preparing for employment among the second, third, and first year students who are expected to graduate from University M and University C in C city. A summary and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f university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was found that materi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evaluative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materi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evaluative support for each sub-factor of social support, the highe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f university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t was found that informational support, material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for each sub-factor of social support affec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ir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e highe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urth,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emotional support, evaluative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for each sub-factor of social support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 parameter in the first stage, which met the mediating condition, and in the results of the second-stage parameter analysis, emotional support, evaluative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for each sub-factor of social support, an independent variable,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ich met the mediating condition. In the results of the third-stage parameter analysis, the regression coefficients of emotional support, evaluative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for each sub-factor of social support, an independent variable, were significant and decreased compared to stage 2, and the parameter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as also found to be significant, showing tha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s of emotional support, evaluative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for each sub-factor of social suppor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ocial support system during employment counseling to support career preparation, and it is believed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udents with helps through program development that can increas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hen developing career program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학업적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 매개효과 중심으로

        황은정(Hwang Eun Jeong),문숙자(Moon Sook J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사회적지지, 학업적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파악하고,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학업적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방법 연구대상은 전남 소재 S 대학교 간호학과 학생 35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10월 5일부터 10월 23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s 20.0 Program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 하였다. 결과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사회적지지, 학업적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는 전공만족도에 따라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셀프리더십과 사회적지지, 학업적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도 간에는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학업적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 관계에서 사회적지지는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하위영역에서 가족지지는 모두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학업적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최근 대두되고 있는 셀프리더십에 대한 영향력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은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을 측정하고 이를 함양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훈련과 지원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social support,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f nursing college students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7 students from S University nursing department in Jeonnam, an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5, 2020 to October 23, 2020.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Windows 20.0 Program. Results Self-leadership, social support,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college stud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major satisfaction, a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leadership, social support,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social support ha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college students, but family support had a full mediating role in all sub-areas. Conclusions In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f nursing college students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social support was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verified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which has recently emerg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universities need continuous training and support to measure and cultivate self-leadership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KCI등재

        The Effects of Self-efficacy, Self-regulation, and Social Support on English Achievement

        김도영,이성원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2019 영어교육연구 Vol.31 No.4

        This study explores how self-efficacy, self-regulation and social support affect Korean high school EFL learners’ English achievement. For the study, three hypotheses were established; 1) social support would be helpful to improve students’ self-efficacy; 2) students with high self-efficacy would use more self-regulation than students with low self-efficacy; 3) self-efficacy and selfregulation would have an impact on students’ English learning achievement. The results show that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are closely correlated, which support the first hypothesis. One thing to note here, however, is that if the sources of the social support, which are peers, parents and teachers are examined respec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support and selfefficacy turns out to be insignificant. For the second hypothesis, the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both confirm the hypothesi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third hypothesis is also accepted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 shows that self-efficacy and self-regulation are both significantly effective predictors of language learning achievement.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s that teachers and parents should give affective support and encourage learners to build up good peer relationship. The study also emphasizes the necessity of self-regulation strategy training and program development to improve EFL learners’ self-efficacy.

      • KCI등재후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대한 인과관계 모형 :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 및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최형성,정옥분 한국인간발달학회 2005 人間發達硏究 Vol.12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others' perceived social support, stress, and children's temperament on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among 416 Korean mothers living in Seoul Korea. Results showed that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was positively related to mother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hildren's temperament. On the other hand,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was negatively related to mothers' stress. Support from husband and social support from network of social support was positively related to five each subscale of parenting self-efficacy. Multiple regression indicated that mothers'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the best predictor for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Children's temperament was the significant predicator for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Support from husband and support form network of social support were the best predictors for five each subscale of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Structural equation model showed that mothers'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a significant mediator of the relation between children's temperament and mothers' stress and parenting self-efficacy. Also children's temperament had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