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생명과학 관련 분야 재미 과학자들은 어떻게 과학의 본성을 이해하고 있는가?

        이영희 ( Young Hee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4 No.7

        과학의 본성(Nature of Science)에 대한 이해는 오랜 시간동안 과학교육학계의 가장 중요한 연구 주제중의 하나가 되어 왔다. 지난 20여 년간 과학교육에서 과학의 본성이 가지는 중요성에 의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현장에서 과학 활동을 하고 있는 과학자들이 어떻게 과학의 본성을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Taylor et al., 2008; Wong & Hudson, 2008; Bayir et al., 2014). 최근에 들어서 과학교육 연구자들은 과학교육에서 과학자들의 긍정적 영향과 참여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과학자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개념을 알아야 할 필요성을 말하고 있다(Southerland et al., 2003; Taylor et al., 2008). 이와 같은 필요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과학교육계에서 널리 인식된 과학의 본성 주요 측면이 실제 현장에서 과학 활동을 하는 과학자들에 의해서는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미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재미한국 과학기술자협회(KSEA: Korean-American Scientists and Engineers Association) 소속의 과학자들 35명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견해를 조사하였다. 과학자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견해는 과학적 소양에 근거한 4가지 영역의 과학의 본성 틀(Lee, 2013)을 기반으로 개방형 질문을 통한 설문지 작성 형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전체 참여 과학자들의 설문후 지원한 4명의 과학자를 심층 면담하였다. 연구 결과는 과학자들은 대부분의 영역에서 과학 교육에서 제시된 과학의 본성과 일치되는 견해를 갖고 있었으나 몇 가지 영역에서는 상반되는 견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 우리나라 과학자들은 과학교육에서 제시된 다양한 과학의 본성 측면 중에서 과학지식의 잠정성 및 가변성, 과학의 다양한 사회적 영향, 과학의 한계성, 그리고 과학 활동의 협력성 등의 과학의 본성은 비교적 잘 이해하고 있었으나 반면 다양한 과학지식의 차이, 과학 탐구의 다양성, 그리고 상상력 및 창의력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이해가 부족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4가지 영역의 과학의 본성측면으로는 1. 과학 지식에 대한 본성에서는 약 60% 이상의 설문 참여 과학자들이 과학적 이론이 더많은 증거로 뒷받침되면 과학적 법칙이 될 수 있다고 말하였으며 2. 과학의 탐구적 본성에서는 약 60%이상의 과학자들이 과학의 탐구 방법을 몇 가지 단계를 거치는 실험과정에 국한하는 매우 제한된 과학의 본성을 보여 주었다. 또한 3. 과학적 사고의 본성에서는 약 50% 과학자들이 과학 활동에 있어서 상상력에 의존하지 않는다고 견해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4. STS적인 과학의 본성(ThemeIV) 측면에서는 과학교육에서 제시하는 과학의 본성 견해와 높은 일치률(약 90%)로 같은 견해를 갖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이것은 과학자들이 현장에서 과학 활동만으로 철학적 반성을 통한 모든 과학의 본성을 이해하기는 어렵지만(Bayir et al., 2014) 사회 속에서 직업 활동으로써 체험한 STS적인 과학의 본성 측면은 내면화한 것으로 판단된다.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NOS) has been a consistent topic as one of the most importantgoals in science education for the past several decades. Even though there is a variety of research related with the NOS conducted in science education, few researches has been conducted for the conception of scientists regards to the nature of science (Bayir et al., 2014; Taylor et al., 2008; Wong & Hudson,2008). Recently, researchers in science education turned their attention to identifying views of scientists about the nature of science since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participation of scientists in science education (Southerland et al., 2003; Taylor et al., 2008).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Korean scientists’ views of the nature of science. Through the use of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and in-depth interview the views of 35 scientists who belong to the Korean-American Scientists and Engineers Association (KSEA) regards to the nature of science were explored. Findings show that while the scientists have more informed views with respect to the tentativeness of scientific knowledge, cultural and social influence embedded in science, the limitation of science, and the collaboration of science with others, the scientists have more naive views about the distinction between laws and theories, the existence of a universal scientific method, and the importance of imagination and creativity. As such, it can be assumed that the scientists cannot conceptualize their notion in a philosophical sense even though they are engaged in scientific work in reality (Bayir et al., 2014).

      • KCI등재

        과학자의 희로애락(喜怒哀樂)이 담긴 과학사 에피소드 활용 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윤경 ( Yun Kyung Lee ),신동희 ( Dong Hee Shin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4 No.5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과학과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를 다양화하기 위해 과학자들의 인간적인 면이 드러난 에피소드를 활용한 ‘과학자의 희로애락 프로그램’을 개발해 학생들의 반응을 파악했다. 과학자의 다양한 이미지를 학습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가 어떻게 다양해졌는지, 자신의 과학 학습과 진로에 어떻게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보았다. 프로그램은 과학자의 희로애락 관련 총 5개 주제, 10차시로 구성되었고, 20명의 고등학생들이 참여했으며 이 중 5명의 수업 전후 조사지, 수업 중 상호 작용, 활동지 자료, 면담 자료, 수업 현장 노트 등을 심층 분석했다. 과학자의 인간적인 면을 나타내는 수업의 흐름은 먼저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 떠올리기, 과학사 에피소드 읽기, 과학자의 인간적 측면 탐색하기, 과학자의 상황 공감하기, 과학자의 인간적 측면 평가하기 등의 단계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과학자도 감정을 가진 평범한 사람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과학자에게 친밀감을 느끼게 되었으며, 과학자가 될 수 있다는 자신감도 갖게 되었다. 학생들이 과학자의 다양한 측면을 이해하게 됨으로써 과학과 과학자에 대해 더 큰 지지를 보낼 수 있는 과학적 소양을 갖추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To provide students an alternative image of science and scientist, we developed five lesson plans that include scientists’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in their life. Through the 10 hour lessons with the five topic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our program on students’ image change toward scientists, their science learning, and their career development in science field. Twenty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our program and five of them were analyzed. The qualitative data included opinionnaire survey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field note, video recording, students’ worksheets, and interview. The science episode lessons that reflect the human side of scientists were designed in five steps. The first step is the one about imaging of scientists, the second step is the one about reading scientists’ episode in their life, the third step is the one about investigating human side of scientists, the fourth step is the one about feeling sympathy in scientists’ context, and the last step is the one about judging human side of scientists.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got to feel familiarity in scientists as well as confidence in science. By obtaining the alternative image of scientists after the class, it is expected that students will play roles of well-prepared supporters with scientific literacy.

      • KCI등재

        과학자들의 일상과 연구과정을 다룬 다큐멘터리를 통한 대학생들의 과학 및 과학자에 대한 인식변화 탐색

        이현옥 ( Hyunok Lee ),문지영 ( Jiyeong Mun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8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8 No.2

        과학 및 과학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선행 연구에서 대상 및 국가를 넘어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정형적 이미지가 있다고 보고되었다. 최근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 및 조사 도구에 따라 몇몇 새로운 이미지가 제시되지만 아직 정형적 이미지가 주도적으로 나타난다고 보고된다. 이에 본 연구는 과학자들의 일상과 연구과정을 담은 다큐멘터리를 맥락으로 하여 대학생들의 과학 및 과학자에 대한 인식을 구체적으로 탐색하고 인식변화의 경로를 추적해 보고자 하였다. 여기서 활용한 다큐멘터리에는 오랜 기간 실제 과학자들을 촬영하여 제작한 것으로 다양한 과학자들이 등장할 뿐 아니라 과학연구와 함께 개별 과학자들의 일상적인 삶을 조명하며 그들의 모습을 다각적으로 담아내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총 109명의 대학생(인문계열 33명, 자연계열 35명, 사회계열 41명)으로 과학기술관련 교양 수업에서 해당 다큐멘터리를 시청하고 과학 및 과학자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에세이를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 다수(70명, 64.2%)의 학생이 인식변화가 있었다고 보고하였고 그들 중 대부분은 다큐멘터리를 계기로 과학자에 대한 정형적 이미지에서 보다 현실적인 인식으로 변화하였다. 과학 및 과학자에 대한 현실적인 인식으로는 1) 감정기복을 겪는 평범한 일반인, 2) 반복되는 실패에도 인내심을 가지고 목표에 매진, 3) 지식의 최전선에서 창의성을 발휘, 4) 협력과 경쟁의 공존, 5) 경제적·현실적 장벽에 좌절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또한, 인식변화가 없다고 보고한 학생들(39명, 35.8%) 중 다수가 원래부터 과학자에 대한 현실적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고 서술 하였다. 결국, 전체 연구 참여자 중에서 소수의 학생들만이(8명, 7.3%) 과학자에 대한 정형적 이미지를 고수하였다. 이를 해석하면 대학생들이 갖는 과학자에 대한 정형적 이미지는 과학자들의 현실적 모습을 담은 다큐멘터리를 시청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쉽게 변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 결과는 대학생들이 서술하는 과학자에 대한 정형적 이미지가 내적으로 깊은 인상을 형성하는 인식 내용이기보다는, 외부에서(예, 학교 및 대중 매체 등) 주어지는 과학자에 대한 대표적인 특징을 단순히 보고하거나 묘사하는 것일 수 있다고 추론해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학생들의 과학자에 대한 인식 내용뿐 아니라 미묘한 인식 차원도 고려해볼 수 있었다. In spite of a growing number of recent studies that indicate students are coming to view scientists with more varied images, the stereotypical image of scientists remains in many students’ minds. In this study, the authors explore how college students change their perceptions of science and scientists through the use of a documentary that focuses on scientists’ daily lives, including laboratory life, and their emotional ups-and-downs. We analyzed 109 college students’ essays on perceptions about scientists after watching the documentary. As a result, 64.2% of the college students declared that there was a change in their perception of scientists. The students’ new perceptions of science and scientists are as follows: 1) scientists undergo emotional ups-and-downs just like any normal person; 2) scientists experience numerous failures while researching; 3) science does not have a fixed answer and scientists undertake research with creativity; 4) scientists conduct research in collaboration, but also in highly competitive environments; 5) scientists are often frustrated with their socio-economic status. The students’ previous perceptions on science and scientists were mainly stereotypical ones that have been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of the other college students who did not change their perceptions, the majority declared that they have new perceptions such as 1) - 5). Only a small percentage of students (7.3%) had unchanged stereotypical perceptions. These results are interpreted as that college students relatively easily change their stereotypical images of scientists after watching the documentary but, alternatively, the results can be interpreted that the most stereotypical images of college students are not perceptions that form a deep impression, but rather they are simply depictions of representative images of scientists given from outside sources (e.g. the mass media and school).

      • KCI등재

        과학자들의 상상력에 대한 인식과 과학적 상상력의 특성 탐색

        문지영 ( Ji Yeong Mun ),문공주 ( Kong Ju Mun ),김성원 ( Sung Won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3 No.7

        본 연구에서는 과학자들의 상상력에 대한 인식과 과학 연구 과정에서 나타나는 과학적 상상력의 특성을 탐색하였다.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상상력의 개념과 특성을 도출한 뒤, 실제 과학자를 대상으로 상상력에 대한 인식과 연구 과정에서 강조되는 상상력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연구 참여자로는 스노우볼 표집을 통해 국내 과학자 8인을 선정하였으며, 개별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 수집이 이루어졌다. 면담은 주로 60-90분 동안 진행되었으며, 면담 내용은 모두 전사하여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면담 질문은 상상력에 대한인식과 연구 과정에서 상상력이 발휘되었던 경험과, 상상력의 역할 등을 물어보는 반 구조화된 형식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자들은 상상력이 과학 연구 활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상상력에 대하여 긍정적인 관점을 지니고 있었다. 특히 과학자들은 상상력이 인간이 지니고 있는 특성으로 바라보았으며, 상상력의 개념을 폭넓게 이해하는 현대적 관점을 지니고 있었다. 연구 과정에서 강조되는 상상력의 특성은 문헌 연구에서 나타나는 상상력의 특성과 일치하였으며,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첫째, 과학자들의 상상력은 경험을 통한 지적 호기심과 궁금증이 원동력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둘째, 과학적 상상력이 발휘되는 과정에서 창의적 특성이 나타난다. 셋째, 과학적 상상력은 과학 지식을 기반으로 현실 가능성을 고려하며, 새로운 것을 산출하는 특성을 지닌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에서는 과학적 상상력의 특성을 도출하고, 그 의미와 함께 과학 학습에서의 상상력 활용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scientists` perception of imagination and explored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 imagination. For this, we found out conceptions and characteristics based on literatures which related to imagination. We recruited eight distinguished Korean scientists who have rich research experiences by using Snowball sampling for in-depth interviews (60-90 minutes). All interviews were audio-recorded and transcribed. From the analysis of interview data, we identified their perceptions of imagination and the nature of scientific imagination which scientists reflect on during their research work. Semi-structured interview protocol was focused on: 1) how scientists perceive “imagination” and 2) how scientists perceive the role of imagination in their scientific research. As results, we found out that scientists agreed that imagin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scientific research process and they perceived imagination as an intrinsic part of human life. The study also indicated that participants have modern viewpoint about imagination. Moreover, we uncovered three characteristics of imagination in the research process. 1) Curiosity and interest have been a driving force for scientists` imagination. 2) When scientists use the imagination, they can be more creative during their research. 3) Imagination contemplated realistic possibilities based on the scientific knowledge, and produced the new ones.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utilization of scientific imagination were also suggested.

      • KCI등재

        여성 과학자 역할모델 사례를 활용한 진로교육이 초등학생의 과학진로인식에 미치는 효과

        이동규,임희준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9 초등과학교육 Vol.38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areer education using female scientists role models on science-related attitude, science career awareness, gender stereotype of science-related career, and image of scientists. Interaction effect with students’ gender were also investigat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0 5th grader. The experimental group was introduced career education using female scientists role models with 7 cases of female scientists in the form of 10 minutes movies or cartoons, while the comparison group performed reading science books. The results showed that science-related attitudes and science career awareness of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 not only for girls but has for boys. Gender stereotype of science-related career has changed more neutrally in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career education using female scientists role models, more female scientists were presented in students’ image of scientist in DAST. This results showed positive effects of the career education using female scientists role model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생들이 생각하는 환경 개념과 환경과학자 이미지 분석

        김동렬(Dong-Ryeul Kim) 한국환경교육학회 2013 環境 敎育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6th grade students perception of the environment through their concepts of environment and images about environmental scientists. Firstly, as a result of carrying out an investiga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cepts of the environment,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 rate of their object-centered concept, through which they regard the environment as a single space or a space including living organisms or living organisms and humans altogether, was higher than the rate of their relation-centered concept, through which they interpret the environment in the aspect of interaction between the environment and humans. This fact is considered to imply that the environment education should advance toward a direction where an integrated and interrelated balance should be emphasized. Secondly, as a result of carrying out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mages about an environmental scientist,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y showed a low rate of drawing pictures of environmental scientists wearing a lab gown as a standard image because of their outdoor activities. A number of students drew pictures of environmental scientists carrying out research with experimental tools as a symbol of research, with a high rate of students drawing pictures of environmental scientists analyzing environmental pollutants and taking pictures of polluted areas with technical tools, such as a computer and a camera. As for the alternative image about environmental scientist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higher rate of drawing pictures of female environmental scientists than a previous research on students drawing pictures of other kinds of scientists, and there were lots of pictures they drew of young environmental scientists carrying out environment-related activities. As for the additional image about environmental scientists, the majority of students drew pictures of environmental scientists carrying out research activities with trees in the forest, followed by pictures about conducting environment-related research activities through observation and experimental measurement.

      • KCI등재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Images of the Scientist before and after the Green Investigation with Scientists

        ( Hang Hwa Hong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0 科學敎育硏究誌 Vol.34 No.2

        이 연구는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이 과학자들과 함께 하는 녹색탐사활동에 참여하기 전과 참여하고 난 후에 과학자와 과학자가 일하는 곳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활동이 학생들의 인식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변형된 DAST를 이용하여 과학고등학교 1학년 64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활동에 참여하기 전과 후에 과학자의 이미지와 일하는 곳에 대해 조사하였다. 참여자들은 과학자에 대해 실험복을 입은 20-30대 남성이 시험관, 플라스크, 기계들을 있는 실험실에서 혼자 연구하는 전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자의 전형적인 이미지를 나타내는 항목들과 하는 일에 대해서는 활동 전(M=1.69, SD=1.14)과 활동 후(M=1.96,SD=1.24, t=4.43, p<0.001)에 유의한 수준에서 차이를 보여 과학자와의 활동이 과학자와 그들이 하는 일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이 과학자들과 함께하는 녹색탐사활동을 지속적으로 계발시키고 보급시킬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tists and their work before and after the Green Investigation program with scientists. This study also attempts to determine whether the program affected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of scientists and their work. A modified DAST was carried out with 64 high school students. Findings revealed that Korean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had normal perceptions of scientists, such as images of 20 to 30 year old males wearing laboratory coats and working alone in research labs with test tubes, flasks, and several machines in the background. After the intervention, students drew fewer typical items representing scientists and had significantly different perceptions of their work places between the pretest (M=1.69, SD=1.14) and posttest (M=1.96, SD=1.24, t=4.43, p<0.001) with the eta squared statistics (.24). These findings reflect the need for continued efforts of developing green investigation programs with scientists for students. Some future studies based on this study are also introduced.

      • KCI등재

        김정은 시대 북한문학에 나타난 과학기술자 형상화 고찰: 최근 『조선문학』(2020~2022)에 게재된 시와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오태호 북한연구학회 2023 北韓硏究學會報 Vol.27 No.1

        This paper is written to examine the pattern of the shaping of scientists and engineers in North Korean literature during the Kim Jong-un era, focusing on the text published in 『Chosun Literature』 between 2020 and 2022, during the COVID-19 period. Since the 7th Party Congress in 2016, North Korea has continued to express expectations for a science and technology powerhouse beyond “imperialist blockade” and “frustration of the North Korea-U.S. summit” until recently before and after the 8th Party Congress in 2021. In the short story, Cho Hoon-il’s 「White-Eye Maiden」 analyzed the meaning of the shape of a female scientist lying in bed due to “hair loss and gas poisoning” while devoted to metal research. In Lee Chul’s science fantasy novel, 「Higher Faster」, the character of a three-dimensional figure was analyzed through the contents of a young chemist who was in internal conflict due to a conflict of opinions on Earth. Second, Kim Hye-young’s 「Luck」 focused on the devoted efforts of the scientist’s head of households on business trips throughout the country like the “modern Hong Gildong” and the sacrifice of his wife behind it. Song Hye-kyung’s 「Talent」 noted the concreteity of the meaning of the leader Kim Jong-un, who selects “pioneering talents in future science” as “Today’s National Scientist.” The poems paid attention to Lee Myung-ok’s 「Doctor of Women’s Engineering I Know」 and 「The House of Scientists」 by Ryum Hyung-mi. In the works of the two poets, the devoted exploration of minerals by the “Female Engineering Doctor” and the story of married scientists who succeeded in launching satellites are captured as poetic seeds, embodying the unique delicacy and maternal dedication of female scientists. In the end, the “image of a scientific engineer” revealed in literary works presupposes the love of the people of the leader, but it is seen as a struggle to build a socialist powerhouse through self-reliance beyond imperialist blockade. 본고는 코로나 시기인 2020~2022년 사이에 『조선문학』에 발표된 텍스트를 중심으로 김정은 시대 북한문학에 나타난 과학기술자 형상화 양상에 대해 고찰하기 위해 작성된다. 2020년대 초반 북한은 2016년 제7차 당대회 이래로 2021년 제8차 당대회를 전후한 최근까지 ‘제국주의 봉쇄’와 ‘북미 정상회담의 좌절’을 넘어 지속적으로 과학기술 강국에 대한 기대를 표명하고 있다. 그리하여 『조선문학』에서도 지속적으로 ‘과학기술 지향’을 드러내는 문학 작품들이 게재되고 있기 때문에 이 연구는 북한문학의 동시대적 현장을 독해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적 접근에 해당한다. 단편소설에서는 먼저 ‘청년 과학자의 두 양상’으로 조훈일의 「흰눈처녀」에서는 금속 연구를 위해 헌신하다 ‘탈모와 가스 중독’으로 병상에 누워 있는 여성 과학자 형상의 의미를 분석하였고, 과학환상소설인 리철의 「더 높이 더 빨리」에서는 지구에서 의견 충돌로 내적 갈등을 벌이던 두 청년 화학자가 우주 비행에서 의기투합을 벌이는 내용을 통해 입체적 인물의 성격을 분석하였다. 두 번째로 ‘수령형상문학에서의 과학 인재 형상’으로 김혜영의 「행운」에서는 ‘김정일의 지도’로 ‘현대판 홍길동’처럼 전국 곳곳으로 출장길에 오르는 과학자 가장의 헌신적인 노력과 그 이면에 깔린 아내의 희생을 주목하였고, 송혜경의 「인재」에서는 ‘미래 과학의 선구적 인재’를 ‘오늘의 국가과학자’로 선정하는 김정은 수령형상이 내포하는 의미의 구체성을 분석하였다. 시에서는 리명옥의 「내가 아는 녀성공학박사」와 렴형미의 「과학자의 집」을 주목하였다. 두 시인의 작품에서는 ‘여성공학박사’의 광물에 대한 헌신적 탐구, 인공위성 발사를 성공시킨 부부 과학자 내외의 이야기 등이 시적 종자로 포착되면서 여성 과학자 특유의 섬세함과 모성적 희생의 노력이 형상화된다. 결국 문학작품 속에서 드러난 ‘과학기술자의 형상’은 지도자(김정일 또는 김정은)의 인민 사랑이 전제되긴 하지만, ‘개별 과학자의 헌신과 희생, 신념에 찬 노력’을 기반으로 제국주의 봉쇄를 넘어 자력갱생을 통해 사회주의 강국을 건설하기 위한 분투로 포착되고 있음이 드러난다. ‘과학기술자 형상화’는 김일성과 김정일 이래로 김정은 시대에 이르기까지 북한식 ‘과학기술 강국’에 대한 강조 속에 대내외적 고립을 넘어 자력갱생의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한 북한식 특유의 자구책에 해당한다. 여전히 ‘과학자와 기술자’가 농업, 어업, 임업 등 각종 산업 분야에서 ‘새로운 인재’로 생산력의 비약적 발전을 위해 헌신하고 있는 것으로 그려지기 때문이다. 물론 그 중심에는 ‘전민과학기술인재화’의 모토 속에 ‘인민대중제일주의’를 실현하려는 ‘김정은의 영도’가 ‘인민사랑’의 위민 정신 속에 핵심으로 자리한다.

      • KCI등재

        국내외 의사과학자 양성의 현황과 과제

        최한올,권채리,황혜진,홍후조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18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1 No.3

        This study is conducted under the critical awareness that systematic nurturing of physician scientists is the key to the bio-industry to boost the nation's future competitiveness. As such, we examined the current status and overseas cases of training physician scientists in Korea and five leading foreign countries, including the U.S., U.K., Japan, Switzerland, and Singapore, then suggested a systematic nurturing system for domestic physician scientists. In Korea, the introduction of medical graduate schools led to a physician scientist training system within the curriculum. However, due to the low admission rate and the decline of the medical graduate school system, the physician scientist training system has become ineffective. In contrast, the five foreign countries have been nurturing physician scientists effectively through comprehensive national support, flexible school system management, and research support reflecting the physician's life cycle. In order to systematically train physician scientists in Korea, support for research is needed at all stages of physician education. A flexible MD-PhD program should be introduced to undergraduate programs and offer a research-oriented curriculum. By operating both research and clinical tracks at the resident and research fellow levels, physicians should be able to take the two tracks simultaneously.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students in basic medicine areas should receive scholarship and military service benefits. For students who wish to become clinical professors or pursue medical specialties, MD-PhD programs should help them establish their own research fields and create an atmosphere in which industrial entities and professors of basic science in medical schools can collaborate with each other. It will be possible to systematically nurture domestic physician scientists when they are trained from a long-term and comprehensive perspective. 본 연구는 국가의 미래 경쟁력을 끌어올릴 바이오산업의 핵심이 ‘의사과학자의 체계적인 양성’이라는 문제의식 아래 진행되었다. 따라서 국내 의사과학자 양성 실태를 진단하고, 의사과학자 양성에 선두를 달리고 있는 미국, 영국, 일본, 스위스, 싱가포르의 사례를 통해 국내 의사과학자의 체계적인 양성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국내의 경우 의학전문대학원의 도입으로 의사과학자 양성 과정이 교육과정 내에서 시행되었지만 저조한 지원율 및 의학전문대학원 제도의 쇠퇴로 인하여 그 자체가 유명무실화 되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국외 5개국은 범국가적인 지원, 유연한 학제 운영, 연구트랙과 임상트랙의 상호개방성, 의사 생애주기를 반영한 연구지원 등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의사과학자를 양성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국내에서 의사과학자를 체계적으로 양성하기 위해서는 학교, 병원, 국가가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의사 교육 전 단계에서 의사과학자를 양성하기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학부에서는 유연한 MD-PhD과정을 도입하고, 탐구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해야 하며, 전공의와 전임의 단계에서는 임상수련과 연구를 함께 할 수 있는 트랙을 열어주어야 한다. 또한 의사과학자 과정에 있는 학생들에게 장학금, 병역 등의 혜택을 주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임상교수나 전문의 단계에서는 그들이 고유 연구 분야를 정립하도록 도움을 주고, 산업체 및 각 의과대학의 기초과학 교수들과 공조를 할 수 있는 분위기를 형성시켜 주어야 한다. 이처럼 의사과학자는 종합적인 관점에서 장기적으로 다루어질 때 체계적인 양성이 가능 할 것이다.

      • KCI등재

        과학자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 및 교육 방법에 대한 고찰

        최경희(Choi Kyunghee) 한국과학기술학회 2005 과학기술학연구 Vol.5 No.2

        현대 사회에서 과학기술의 영향력이 점차 커짐에 따라 과학자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으며 그 역할도 커지고 있다. 과학자는 연구자로서 연구실이나 실험실에서 연구를 하며, 직업인으로서 전문적 직업에 종사하며, 사회구성원의 일원으로서 사회 활동을 한다. 과학자는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지켜야 할 의무가 있고, 그 결과에 대해서도 책임을 져야하는 사람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과학자가 누구이고, 하는 일이 무엇이며, 어떤 책임과 의무를 지고 있는지 등에 관한 고찰이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학교 현장에서나 사회에서는 과학자의 사회적 역할이나 책임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나 논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과학자의 의미와 자질, 사회구성원으로서의 과학자, 과학자의 역할과 의무와 책임, 이에 대한 교육의 목적과 필요성 및 교육 방법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With increasing interest on scientists and the influence of science technology, their role in the modem society has been expanding. Scientists work in the laboratory as researchers, work in their expertise area as professionals, and work socially as social agents. Scientists are responsible to keep up the regulations during the research, and also are responsible for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refore, there is a need of contemplation in terms of what their identity is and what their responsibilities are. Despite of this need, there hasn't been much discussion or education on the scientists social role or responsibilities as of now. This study purported to contemplate on the scientists role and responsibility, its qualification, and what it means to be a scientist as a social agent. Also the study further explored the efficient educational strategies and methods relevant to the contemplated iss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