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열녀함양박씨전>의 박씨와 『삼강행실도: 열녀편』의 관계를 통해 본 열녀제작의 심리적 요인

        서은아 ( Seo Eun-a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8 고전문학과 교육 Vol.16 No.-

        The author analyzed the psychological factors which affected on the way of Mrs. Park in the < Yeleohamyangparksigeon > became a virtuous woman and compared these psychological factors with a virtuous women in Samganghaengsildo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rs. Park in < Yeleohamyangparksigeon > and Samganghaengsildo's the virtuous women volume. First of all, it’s about the power of authority on women. The volume of Samganghaengsildo’s virtuous women was about the group of women who were recognized as virtuous women by the king who had absolute power at the time period. The volume of Samganghaengsildo’s virtuous women was very well known for women. This book had a huge impact on women since the government authority educated the women using this book. In addition, the incredible events which were written in Samganghaengsildo indicated that the behavior of virtue was the right thing to follow since even super power recognized it as a good thing to do and the woman might be punished when she didn’t follow the behavior of virtue. Second, it was based on the similarity of circumstance and uncertainty for the future. Mrs. Park in < Yeleohamyangparksigeon > showed similar behavioral patterns with a virtuous woman in Samganghaengsildo since she took her role model from the virtuous woman. When Mrs. Park lost her husband, she was not sure about her future and the volume of Samganghaengsildo pointed out that there was another world after the death and she would meet her husband again after the death. In addition, the incorrect information that she would feel better psychologically when she followed her dead husband instead of living herself. Third, it is about the resemblance of obsessive mind and self internalization. The examination of the record of Mrs. Park showed that Mrs. Park tried to internalize integrity, loyalty, and virtue of virtuous women in Samganghaengsildo and became herself like virtuous women. In addition, the woman’s obsessive mindset remarkly reflected in Samganghaengsildo. For instance, Mrs. Park in < Yeleohamyangparksigeon > held to the time of death of her husband and the writer who wrote about the behavior of Mrs. Park also emphasized that the time of death of Mrs. Park was closed to the time of the death of her husband. This explained that the obsessive mindset of women in the epic of virtue women could have influence on the women’s mind who tried to show the similar behavior with a virtue woman and internalize it. Finally, the people of the day also were not free from it.

      • KCI등재

        조선시대 열녀도의 양태와〈烈女徐氏抱竹圖〉

        신수경(Shin Sookyoung) 한국미술사학회 2007 美術史學硏究 Vol.- No.253

        본고에서는 교훈적 목적을 지니고 복제미술의 형태인 판화로 제작되던 조선 후기 열녀도의 일반적 양상과는 달리, 모필화로 제작된 〈열녀서씨포죽도〉를 소개하고 분석하며, 이에 앞서 조선시대 열녀도의 전개에 대하여 개괄적으로 살펴본다. 우리나라 열녀도의 시원인 중국 열녀도의 경우 명대 이전까지는 교훈적인 면모를 강조하기 위해 烈行의 순간에 집중하여 스토리의 흐름에 따른 암시적 묘사를 주로 하였으나, 명대 이후부터는 소설 삽화의 형식을 따르는 방향으로 열녀도의 표현양식이 변화한다. 즉 주인공의 이름과 교훈적 내용을 인물 옆에 배치하는 고전적 양식, 혹은 上圖下文式의 특징에서 벗어나 핵심적인 한 장면만을 한 화면에 그려내되 그림 전체의 분위기와 섬세한 표현에 주력하여 부수적인 역할에서 벗어나, 마치 감상을 위한 독립된 작품과 같은 스타일로 변모하게 된 것이다. 한편 우리나라의 열녀도는 조선시대 이후의 작품만이 현전하고 있을 뿐 그 이전의 실물 예는 확인할 수 없다. 다만 문헌상의 기록으로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열녀에 대한 기록을 찾아볼 수 있고, 이를 통해 지배계층의 백성교화 의도를 읽을 수 있으며 열녀도 역시 그 맥을 같이 하여 제작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중국 열녀도에 기원을 둔 한국의 열녀도는 조선시대 이후 본격적으로 제작되었으며 여기서는 『삼강행실도』, 『동국신속삼강행실도』, 『오륜행실도」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삼강행실도』는 도상에서 중국 송대 열녀도와 『古今列女傳』의 영향을 받았다고 여겨지며 실제 그 표현 양식이 중국 명대 이전 열녀도의 특정과 마찬가지로 잔인하거나 사실적인 묘사는 생략하고 있다. 그러나 단순히 중국 열녀도를 그대로 모방한 데 그친 것이 아니라 중국 열녀도의 도상에 한국 열녀를 추가하여 재창조하게 된다. 2단계인 『동국신속삼강행실도』에 와서는 700여 명에 달하는 조선의 열녀를 묘사하되, 왜적에게 살인당하거나 정절수호를 위해 자살하는 모습을 여과 없이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특징을 보인다. 3단계 『오륜행실도』에서는 『삼강행실도』의 도상을 답습하지만, 기존의 열녀도 표현양식과는 다르게 한 화면에 한 장면만을 묘사하는 새로운 형식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양식의 변화는 명대의 열녀도 표현양상의 흐름과 같아 상관관계를 짐작할 수 있다. 조선 후기에는 삽화판화의 양식으로 뿐 아니라 민간에서 자체적으로 열녀도를 제작했음을 성주 도씨 문중의 〈열녀서씨포죽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 작품은 조선 초 지배계층의 성리학적 기반 마련을 위한 정치ㆍ윤리적 목적으로 시작된 열녀도가 조선 후기에 와서는 각 가문의 위상을 위해 자발적으로 제작될 정도로 큰 성과를 거둔 점을 확인시켜준다. 삽화 외에도 열녀를 배출해 낸 가문에서 그 뜻을 기리기 위해 화가에게 모필 열녀도를 의뢰하여 소장했던 것이다. 이는 본고에서 소개한 성주 도씨 문중의 〈열녀서씨포죽도〉를 통해 그 면모를 살펴볼 수 있으며, 작품의 분석 과정에서 초상화가로서 단편적으로만 전해지는 華山官 李命基의 행적과 새로운 작품에 대한 이해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The theme of a virtuous woman (lienutu in Chinese) was frequently painted in the form of print in the Joseon dynasty. This paper analyzes paintings of this theme treating Samgangbaengsildo (三綱行實圖), the New Tongguk samganghaengsildo (東國新續三綱行實圖), Oryunhaengsildo(五偸行實圖). Samganghaengsildo was affected by lienu pictures of the Song dynasty and Gaojin lienu zhuan (古今列女傳) in the picture composition. Even though samganghaengsildo imitated lienu picture made before the Ming dynasty in omitting the depictions of cruelty, it recreated new forms by adding Korean women to the Chinese-style composition. The New Tongguk Samganghaengsildo depicts more than seven hundred Korean virtuous women including those killed by Japanese invaders or killing themselves to keep faith. Orunhaengsildo basically follows the format of samganghaengsildo. However, it shows a new type that places one scene in one page. Orunhaengsildo was most probably associated with lienu pictures in the Ming dynasty. Lienu pictures were also made in the form of an individual painting (not print) in the late Joseon dynast such as the Virtuous Lady Seo Embracing Bamboos (列女徐氏抱竹圖) of the Seongju Do family. This work is important as evidence for the practice that some families invited painters to execute a painting and kept it as proud memorial for a virtuous wom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lienu pictures were created to promote the status of some families.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is painting shows the achievement of its artistis, Yi Myeonggi (李命基), an academy painter who was famous for of portrait painting but otherwise little known.

      • KCI등재

        판소리 문학에서 삼강행실도의 수용 양상

        이정원(Lee Jeong won)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7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14

        『삼강행실도』는 사회 존속의 이념으로서 삼강(三綱)을 사회 전계층에 확산시키기 위한 중요한 문헌적 수단이었다. 그런데 『삼강행실도』가 전파하는 충, 효, 열의 실천적 지식은 '자기 상해'를 요구한다는 점에서, 그 지식의 수용과 실천은 긴장 관계에 놓여 있다. 이런 점에서 조선 후기 판소리 문학은 그러한 권위적 지식의 수용 양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교화서로서 『삼강행실도』의 파급력에 걸맞게 <춘향전>과 <심청전> 두 작품의 곳곳에서 『삼강행실도』의 언술들은 발견된다. 이를 통해 삼강의 범주 안에서 춘향과 심청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식의 공유가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춘향전>과 <심청전>에서 '열녀 되기'와 '효녀 되기'라는 당위적 지식의 수용은 일면적이지 않다. 한편으로 주인공들은 그러한 윤리를 체현할 숭고한 존재로 태어나 훈육되었으면서도, 서사의 곳곳에서 그들의 인간적인 번민이 발견되기도 하고, 그들의 도덕적 숭고함은 때로 다른 인물에 의해 조롱받기도 한다. 이러한 권위의 균열은 두 작품에서 균질적이지는 않지만, 삼강행실도의 이념에 대한 다층적이고도 진솔한 서민층의 수용 양상을 서사화하고 있다는 의의는 같다. 판소리 문학에서 『삼강행실도』의 권위적 지식이 성찰되는 양상은 역설적이기도 하다. 즉, 춘향의 열녀 되기와 심청의 효녀 되기를 가장 극적으로 체현하는 장면은 오히려 역설적으로 그 당위들에 내재한 폭력성을 가장 잘 보여주기 때문이다. 가령, 수의사또가 춘향에게 수청을 요구하는 장면이나 심청이 인당수에 몸을 던지는 장면은 가장 극적으로 그들의 도덕적 고결함을 증명하기도 하지만, 두 인물로 하여금 그간의 모든 고초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도덕적 정체성을 증명해야 할 의무를 부과한다는 점에서 폭력적이다. 즉, 서사의 진행은 그들의 고통이 무엇에서 비롯되는가라는 구조적이고도 현실적인 문제보다는 그들의 고통이 무엇으로 보상받는가라는 우연적이고도 환상적인 결말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는 것이다. 이러한 서사는 인물들이 열과 효를 지향하면서 겪어야 하는 고통의 진실을 직시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기적 무지'로 불릴 수 있다. 그리고 '이기적 무지'는 『삼강행실도』의 지식이 현실에서 실현되는 하나의 관습으로서 이해된다. Samganghaengsildo was a important book to diffuse the Samgang which was the idea for the continuance of society. But loyalty(Chung), filial piety(Hyo), chastity(Yurl) which were diffused with Samganghaengsildo need one to hurt his own body, so the reception and the practice of the knowledge were in the relation of tension. At this point, Pansori literature was worthy of showing the process of reception of such authoritative knowledge. There are many pieces of discourse which are from Samganghaengsildo in <Chunghyangjeon> and <Shimcheongjeon>. And it inform us that the knowledge was shared enough to understand the characters Chunhyang, Shimcheong in the category of Samgang. In <Chunghyangjeon> and <Shimcheongjeon>, the reception of the authoritative knowledge, such as being a Yulnyuh(chaste woman) or being a Hyonyuh (one who do the filial piety) is not one-sided. On the one hand, the heroine was born and educated to practice such sublime ethics. But on the other hand, at many part of narratives their agony were discovered, and their moral sublime was ridiculed by many characters. Such crack were not homogeneous in two works, but all of this show how the people have received the ideas of Samganghaengsildo. The aspect of reflection about the authoritative knowledge is an paradox. Because the scene in which Chunhyang and Shimcheong practice their moral obligation discover the violence hidden in the moral. So, the narrative focus not on from where their sufferings arise, but on with what they are rewarded for their sufferings. These narratives does not look squarely the truth of the sufferings, and we could call it 'selfish ignorance'. And the selfish ignorance is understood as a management that a knowledge has been practiced in the real.

      • KCI등재

        김유범·이규범·오민석. 2020. 11. 언해본 삼강행실도 초간본의 정본(定本) 수립을 위한 연구: ≪효자도≫를 중심으로

        김유범,이규범,오민석 한국어학회 2020 한국어학 Vol.89 No.-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eatures for ‘different versions of its first edition’ to the Samganghaengsildo with its Korean text’ and would like to establish a ‘standard text of its first edition’ considering its features reflecting into text stated at the 15th century. Firstly, this study prepared the fundamental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 version thru the comparison of three version for existing ≪Hyojado(孝子圖)≫. And, in case of corrections based upon details of both Shibu(1990)’s decipher and annotation, it was categorized and arranged. During this process, the possibility of mixture for ‘features of language and writing at the age of King Sejong and afterwards’ was considered to Korean text of its first edition for Samganghaengsildo. By this, ‘the standard text of its first edition to Samganghaengsildo with its Korean text’ has been restored via combination of ≪Hyojado≫ with its Korea Univ version. In this study,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standard text has been specifically provided based on ‘Ganghyeokgeohyo(江革巨孝)’. 본 연구는 언해본 삼강행실도의 초간 이본들이 지닌 특징을 분석하고, 15세기 문헌자료에 나타나는 특징을 고려하여 언해본 삼강행실도 초간본의 정본(定本)을 수립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고에서는 우선 현존하는 ≪효자도≫의 세 판본을 비교하여 정본 수립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志部昭平(1990)의 판독과 교주 내용 중 수정이 필요한 경우를 유형화하여 정리하였다. 이 과정에서 언해본 삼강행실도 초간본의 언해문에는 세종대부터 성종대까지의 언어 및 표기 특성이 혼재되어 있었을 가능성을 고려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언해문을 고려대 소장의 한문본(만송 296B) ≪효자도≫에 넣어 언해본 삼강행실도 초간본의 정본 복원을 시도했다. 본고에서는 ‘강혁거효’를 예로 들어 정본 수립 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우리나라 인성교육을 위한 도덕·윤리교육의 역사와 현대 도덕교육의 혁신론 - 조선조를 중심으로 -

        김익수,장재천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80 No.-

        Confucius inherited a fundamentally Samsung trillion (三聖祖) was inherited character education history, it soon became our Studies Advancement. It was introduced to Goguryeo was the original roots of the character education in Baekje and Silla. Consider teaching the study were also advertised in Gukjagam "filial piety story" of Gwonbo. Shipbuilding toughness training was emphasized in private schools, including gwanhak to hanmal. That is also the toughness, as well as social education through effective education was very absolute. King Sejong was compiled the "Samganghaengsildo" to establish immediately the value Turn the politics and ethics training was to our values and character education principles. When Jungjong strengthened by a more ethical compilation a "Eryunhaengsildo". Gwanghaegun is established immediately after the war by the lax ethics compiled a "compatriot quickly Samganghaengsildo". Chastity is took as the basis of politics and education in Samgang and the compilation the Rings "haengsildo Rings". Today missing the essence of education is not a criticism of Western thought has been accepted by selfishness is rampant sense of community spirit and culture of this disorder have been crumbling moral crime rate is increasing divorce rates and low birth rates, higher suicide rates are elderly and living alone. These training schools are at crisis times only was it difficult to overcome the crisis of modern education. But fear the 'Law on filial piety encouraged and supported, and even fermented'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is currently in education is senseless. Communities and parent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a modern-day private school education, profession training, including hyangyak run concurrently should be made sure that co-culture education. Countries establish policies that local governments should be actively supported. Country of moral education is to influence the fate conceivably go to ruin bunched, educational innovation must be made. 삼성조(三聖祖)를 원천적으로 계승한 공자는 인성교육사상을 계승하였고, 이것이 곧 우리의 국학(國學)이 되었다. 그것은 고구려에 먼저 전래되었고 백제와 신라에도 인성교육의 원뿌리가 되었다. 고려는 국자감에서 유학을 가르쳤고 향교(鄕校)도 개설되었다. 사회교육으로 권보의 『효행록』도 보급하였다. 조선조는 한말까지 관학을 비롯해 사학에서도 인성교육이 강조되었다. 그 뿐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효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이 아주 절대적이었다. 세종대왕은 윤리를 바로세우고 가치관을 바로 세우기 위해 고려의 『효행록』을 연장해서 『삼강행실도』를 편술하여 우리의 가치관과 인성교육원리로 정치와 교육을 하였다. 중종 때는 『이륜행실도』를 편술하여 더욱 윤리를 강화하였다. 광해군은 『동국신속상강행실도』를 찬술하여 전란 후의 해이해진 윤리를 바로 세웠다. 정조는 『오륜행실도』를 편술하여 삼강과 오륜으로 정치와 교육의 근간으로 삼았다. 오늘날 서구사상의 비판 없는 수용으로 교육의 본질이 실종되었으며 이기주의가 만연하여 공동체의식과 정신문화가 무너지고 도덕이 문란해졌으며 범죄율이 높아지고 이혼율과 저출산, 독거노인과 자살률이 높아졌다. 이러한 교육위기시대에 처해 학교교육만으로는 도저히 현대교육의 위기를 극복하기가 어려워졌다. ‘효행장려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공포되고 ‘인성교육진흥법’도 발효되었지만 현재의 교육계는 무감각하다. 지역사회는 물론이요, 조손일체(祖孫一體)교육과 부모교육, 유아교육, 현대판 서당교육, 서원교육, 향약 등 동시다발적으로 실행되어 교육공동체문화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국가가 정책을 세우고 지방자치단체가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국가의 흥운을 좌우하는 것이 도덕교육인데 이대로 가면 필연적으로 파멸이 오므로, 반드시 교육혁신이 이루어져야 한다.삼성조(三聖祖)를 원천적으로 계승한 공자는 인성교육사상을 계승하였고, 이것이 곧 우리의 국학(國學)이 되었다. 그것은 고구려에 먼저 전래되었고 백제와 신라에도 인성교육의 원뿌리가 되었다. 고려는 국자감에서 유학을 가르쳤고 향교(鄕校)도 개설되었다. 사회교육으로 권보의 『효행록』도 보급하였다. 조선조는 한말까지 관학을 비롯해 사학에서도 인성교육이 강조되었다. 그 뿐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효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이 아주 절대적이었다. 세종대왕은 윤리를 바로세우고 가치관을 바로 세우기 위해 고려의 『효행록』을 연장해서 『삼강행실도』를 편술하여 우리의 가치관과 인성교육원리로 정치와 교육을 하였다. 중종 때는 『이륜행실도』를 편술하여 더욱 윤리를 강화하였다. 광해군은 『동국신속상강행실도』를 찬술하여 전란 후의 해이해진 윤리를 바로 세웠다. 정조는 『오륜행실도』를 편술하여 삼강과 오륜으로 정치와 교육의 근간으로 삼았다. 오늘날 서구사상의 비판 없는 수용으로 교육의 본질이 실종되었으며 이기주의가 만연하여 공동체의식과 정신문화가 무너지고 도덕이 문란해졌으며 범죄율이 높아지고 이혼율과 저출산, 독거노인과 자살률이 높아졌다. 이러한 교육위기시대에 처해 학교교육만으로는 도저히 현대교육의 위기를 극복하기가 어려워졌다. ‘효행장려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공포되고 ‘인성교육진흥법’도 발효되었지만 현재의 교육계는 무감각하다. 지역사회는 물론이요, ...

      • KCI등재

        한국사상(韓國思想)사학(史學) : 우리나라 인성교육을 위한 도덕, 윤리교육의 역사와 현대 도덕교육의 혁신론 -조선조를 중심으로-

        김익수 ( Ik Soo Kim ),장재천 ( Jae Cheon Cha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80 No.-

        삼성조(三聖祖)를 원천적으로 계승한 공자는 인성교육사상을 계승하였고, 이것이 곧 우리의 국학(國學)이 되었다. 그것은 고구려에 먼저 전래되었고 백제와 신라에도 인성교육의 원뿌리가 되었다. 고려는 국자감에서 유학을 가르쳤고 향교(鄕校)도 개설되었다. 사회교육으로 권보의 『효행록』도 보급하였다. 조선조는 한말까지 관학을 비롯해 사학에서도 인성교육이 강조되었다. 그 뿐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효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이 아주 절대적이었다. 세종대왕은 윤리를 바로세우고 가치관을 바로 세우기 위해 고려의 『효행록』을 연장해서 『삼강행실도』를 편술하여 우리의 가치관과 인성교육원리로 정치와 교육을 하였다. 중종 때는 『이륜행실도』를 편술하여 더욱 윤리를 강화하였다. 광해군은 『동국신속상강행실도』를 찬술하여 전란 후의 해이해진 윤리를 바로 세웠다. 정조는 『오륜행실도』를 편술하여 삼강과 오륜으로 정치와 교육의 근간으로 삼았다. 오늘날 서구사상의 비판 없는 수용으로 교육의 본질이 실종되었으며 이기주의가 만연하여 공동체의식과 정신문화가 무너지고 도덕이 문란해졌으며 범죄율이 높아지고 이혼율과 저출산, 독거노인과 자살률이 높아졌다. 이러한 교육위기시대에 처해 학교교육만으로는 도저히 현대교육의 위기를 극복하기가 어려워졌다. ‘효행장려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공포되고 ‘인성교육진흥법’도 발효되었지만 현재의 교육계는 무감각하다. 지역사회는 물론이요, 조손일체(祖孫壹體)교육과 부모교육, 유아교육, 현대판 서당교육, 서원교육, 향약 등 동시다발적으로 실행되어 교육공동체문화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국가가 정책을 세우고 지방자치단체가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국가의 흥운을 좌우하는 것이 도덕교육인데 이대로 가면 필연적으로 파멸이 오므로, 반드시 교육혁신이 이루어져야 한다. 삼성조(三聖祖)를 원천적으로 계승한 공자는 인성교육사상을 계승하였고, 이것이 곧 우리의 국학(國學)이 되었다. 그것은 고구려에 먼저 전래되었고 백제와 신라에도 인성교육의 원뿌리가 되었다. 고려는 국자감에서 유학을 가르쳤고 향교(鄕校)도 개설되었다. 사회교육으로 권보의 『효행록』도 보급하였다. 조선조는 한말까지 관학을 비롯해 사학에서도 인성교육이 강조되었다. 그 뿐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효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이 아주 절대적이었다. 세종대왕은 윤리를 바로세우고 가치관을 바로 세우기 위해 고려의 『효행록』을 연장해서 『삼강행실도』를 편술하여 우리의 가치관과 인성교육원리로 정치와 교육을 하였다. 중종 때는 『이륜행실도』를 편술하여 더욱 윤리를 강화하였다. 광해군은 『동국신속상강행실도』를 찬술하여 전란 후의 해이해진 윤리를 바로 세웠다. 정조는 『오륜행실도』를 편술하여 삼강과 오륜으로 정치와 교육의 근간으로 삼았다. 오늘날 서구사상의 비판 없는 수용으로 교육의 본질이 실종되었으며 이기주의가 만연하여 공동체의식과 정신문화가 무너지고 도덕이 문란해졌으며 범죄율이 높아지고 이혼율과 저출산, 독거노인과 자살률이 높아졌다. 이러한 교육위기시대에 처해 학교교육만으로는 도저히 현대교육의 위기를 극복하기가 어려워졌다. ‘효행장려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공포되고 ‘인성교육진흥법’도 발효되었지만 현재의 교육계는 무감각하다. 지역사회는 물론이요, 조손일체(祖孫壹體)교육과 부모교육, 유아교육, 현대판 서당교육, 서원교육, 향약 등 동시다발적으로 실행되어 교육공동체문화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국가가 정책을 세우고 지방자치단체가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국가의 흥운을 좌우하는 것이 도덕교육인데 이대로 가면 필연적으로 파멸이 오므로, 반드시 교육혁신이 이루어져야 한다. Confucius inherited a fundamentally Samsung trillion (三聖祖) was inherited character education history, it soon became our Studies Advancement. It was introduced to Goguryeo was the original roots of the character education in Baekje and Silla. Consider teaching the study were also advertised in Gukjagam "filial piety story" of Gwonbo. Shipbuilding toughness training was emphasized in private schools, including gwanhak to hanmal. That is also the toughness, as well as social education through effective education was very absolute. King Sejong was compiled the "Samganghaengsildo" to establish immediately the value Turn the politics and ethics training was to our values and character education principles. When Jungjong strengthened by a more ethical compilation a "Eryunhaengsildo". Gwanghaegun is established immediately after the war by the lax ethics compiled a "compatriot quickly Samganghaengsildo". Chastity is took as the basis of politics and education in Samgang and the compilation the Rings "haengsildo Rings". Today missing the essence of education is not a criticism of Western thought has been accepted by selfishness is rampant sense of community spirit and culture of this disorder have been crumbling moral crime rate is increasing divorce rates and low birth rates, higher suicide rates are elderly and living alone. These training schools are at crisis times only was it difficult to overcome the crisis of modern education. But fear the ``Law on filial piety encouraged and supported, and even fermented``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is currently in education is senseless. Communities and parent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a modern-day private school education, profession training, including hyangyak run concurrently should be made sure that co-culture education. Countries establish policies that local governments should be actively supported. Country of moral education is to influence the fate conceivably go to ruin bunched, educational innovation must be made.

      • KCI등재

        〈삼강행실도〉판화의 성격과 기능 연구 - 예치(禮治)를 위한 상하 분별의 형상화

        조현우 ( Cho Hyun-woo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9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44 No.-

        In this study, I focussed on the own properties and functions of Images distinguished from narratives in Samganghaengsildo which was the beginning of many books for the enlightenment in Chosun Dynasty. Until now, the reason why the producers of Samganghaengsildo inject the images into this book has been thought for the figuration of stories, and in this thought there has been a tacit and hidden assumption which the final goal of Samganghaengsildo, the Enlightenment of people, could achieve only through the comprehension of the stories. But because of the arrangement of images regardless of narrative development the images of Samganghaengsildo do only make sense if the readers already know the stories written by the Chinese characters and selected among the classics. I insisted that the intention to put the upper, for example the king, the government official and the deceased, on the space of the images bring about this confused arrangement of the images. I also pointed out that there were the uses of repeated patterns in the Samganghaengsildo, the uses of size and certain poses about persons. The most important thing, I think, was that these all patterns of images have converged into the ultimate goal of Samganghaengsildo, the division between the upper and the lower, and operated for rule of ritual(禮治) in the Chosun Dynasty.

      • KCI등재

        조선 초 `칙찬권계서(勅撰勸戒書)`의 수용과 『삼강행실도』 편찬

        이상민 ( Lee Sang Min ) 한국사상사학회 2017 韓國思想史學 Vol.0 No.56

        본고는 칙찬권계서의 수용과 그 영향을 받아 이루어진 『삼강행실도』의 편찬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 문물의 수용과 변용, 나아가 동아시아적 견지에서 바라본 한국 사상의 특징을 조선 초 사례로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명 초에는 국내외적 질서 안정을 위해 황제 편찬의 교과서인 칙찬권계서(勅撰勸戒書)가 편찬되었다. 이들은 국내와 국외의 질서를 통일하고자 하는 목표로 기획되었고, 유교·불교·도교를 포섭하였으며, 원을 정통왕조로 인식하였다는 특징이 있었다. 영락제는 이와 같은 칙찬권계서를 중국 국내는 물론, 주변국인 안남·조선에까지 수용시키고자 하였다. 명을 중심으로 한 적극적 대외질서 확립과정으로서 대량의 칙찬권계서가 주변국에 보급되었다. 칙찬권계서는 조선 태종, 명 영락제시기 발생한 조선·명관계의 안정화 국면에 맞추어 태종·세종대 대량으로 유입되었다. 조선에서는 칙찬권계서를 교화서로 파악하고 그 활용방안을 강구하였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칙찬권계서의 일부가 유교적 기준에 따라 비판적으로 인식되기도 하였다. 명으로부터 수용된 칙찬권계서들은 조선 건국 이전부터 진행된 교화서 편찬의 전통들과 결합하여 『삼강행실도』 편찬의 중요한 참고 대상으로 활용되었다. 칙찬권계서는 『삼강행실도』의 편찬과정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었다. 이에 따라 편찬된 『삼강행실도』는 내용상으로도 주력 인용 전거가 되었던 칙찬권계서들의 내용과 나아가 이들을 선별한 조선 국내의 정치·사회적 환경의 영향을 받아 종래 『효행록』의 특성들을 여러 방면에서 극복하였다. 『효행록』에서 강조된 신이사례를 배제하고 정표사례를 강조하여 관민간의 명분질서를 드러내었고, 나아가 절의·정절사례를 통해 사적 결속을 넘어선 義로서의 군신·부부간의 명분질서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는 형식적으로는 칙찬권계서의 영향하에서 조선 초기의 논의들이 반영된 결과였다. 명 초 국내외 질서의 안정책이 반영되어 편찬·유포된 칙찬권계서들은, 조선 초의 교화관념과 지방질서의 정립과 정치권력의 안정화를 반영한 『삼강행실도』편찬에 영향을 미쳤다. 이에 따라 『삼강행실도』는 당대의 현실에 맞게 새롭게 들여온 명 초 문헌들에 담긴 관념과 조선내부의 입장이 함께 수렴된 결과물이었다. 『삼강행실도』 편찬은 국내외적 조건에 따라 이루어진 당대의 세계관과 이상이 반영된 사업이었던 것이다. This article intends to examine the incorporation of Imperial Morality books (勅撰勸戒書) and the subsequent influence on the Samganghaengsildo (三綱行實圖) compilation process. In doing so, the paper will use case studies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to analyze the adoption and modification of Chinese culture, as well as the East Asian perspective regarding endemic Korean thought. During the Early Ming dynasty, the Emperor published a series of Imperial Morality books (勅撰勸戒書) in order to consolidate order within and without the dynasty. These books were compiled with the purpose of unifying the organization of the dynasty. Emperor Yongle (永樂帝) wanted to disseminate the Imperial Morality books throughout not only the Chinese region but also the neighboring nations of Annam and Joseon. Kings Taejong (太宗) and Sejong (世宗) maintained an abundant influx of the Imperial Morality books as part of Joseon`s proactive efforts to defuse diplomatic tensions arising from Emperor Yongle expansive foreign policies. The Joseon dynasty generally considered Imperial Morality books to be edifying texts and eagerly sought to devise application methods. Imperial Morality books, incorporated with existing domestic, were used to publish the Samganghaengsildo (三綱行實圖), The Morality book of Joseon. The Samganghaengsildo is overcome the Hyohaengnok (孝行錄), the Morality book of late Koryo in many ways by the contents of the Imperial Morality books and the political and social environment of the Joseon. Imperial Morality books influenced the compilation of The Samganghaengsildo in early Joseon. The Samganghaengsildo was a convergence of discourse in the newly introduced documents in early Ming and the position of Joseon. Compilation of the Samganghaengsildo was a project reflecting the ideals of the contemporary world, which was made in accordance with the domestic and external conditions.

      • KCI등재

        『삼강행실도』의 폭력성 재고 -열녀편을 중심으로-

        이경하 ( Kyung Ha Lee ) 한국고전문학회 2009 古典文學硏究 Vol.35 No.-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은 문제의식에서 비롯되었다. 첫째, 조선후기 열녀전의 핵심인 종사형 열녀는 삼강행실도 열녀서사의 핵심이 전혀 아님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에서는 종사형 열녀서사에 대한 비판적 해석에 종종 삼강행실열녀도를 끌어들여 논하면서 그 차이를 간과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점이다. 둘째, 삼강행실도를 `약자에게 강제된 도덕의 폭력`이라고 규정하는 선행연구의 관점이 조선사회에서 이 교화서가 발휘한 효과의 부정적 측면만을 부각시키고, 삼강행실도 텍스트의 소재가 된 `역사적 실재`로서의 자기폭력의 진정성을 무시하고 있지 않은가 하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본론에서는 먼저 삼강행실도의 폭력성에 관한 논의를 세 층위로 나누어 볼 것을 제안하였다. 첫째, 충·효·열과 같은 윤리 자체의 폭력성, 둘째, `재구성된 역사`인 삼강행실도 텍스트가 열녀서사를 재현하는 방식에서 나타나는 폭력성, 셋째, `역사적 실재`로서의 열녀서사를 구성하는 사건의 폭력성이 그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세 번째 층위에 초점을 맞추어 삼강행실도 열녀서사가 어떤 특별한 위기상황을 전제하고 있음을 분석하고, 그러한 위기상황에서 보여준 열녀들의 자기폭력이 세계의 폭력에 대한 저항의 의미를 가진다는 것, 동시에 상층신분의 도덕적 자의식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해석하였다. 이로써 삼강행실도의 폭력성에 관한 논의의 시각을 다각화하는 것이 이 논문의 궁극적인 목표이다. Samganghaengsildo is a literature that praises basic Confucian morals such as royalty, filial piety and women`s devotion. Samganghaengsildo contains many episodes related to royalty, filial piety and devotion, which are characterized as irrationality and cruelty. The distribution of Samganghaengsildo led to trends of following such episodes contained in the literature. Since firstly issued in the period of King Sejong, the literature had been distributed to the public throughout the whole period of Choseon, though changed in form. The Choseon regime tried to distribute the literature in great quantities over a long time. Such morals urged by Samganghaengsildo as royalty, filial piety and devotion are principles that force people in low social position to unilaterally serve those in high social position. Under the name of Confucian principles, the literature is the very means of violence to the weak. The Choseon regime actively recommended such trends and in this sense, Samganghaengsildo was ethical violence to the weak. However, it remains unclear yet what the self-violence of faithful women means. It`s not enough to explain the meaning of faithful women`s suicide and self-injury as a result of forcible indoctrination education for women`s devot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re-considerate such general explanation of women`s self-violence in general feminist opinion. In this paper, analysis of 110 faithful women`s narratives shows that self-violence of faithful women in upper class was an inevitable choice to keep their honor, not only their purity, and self-violence for their honor was a symbol of ethical authority.

      • KCI등재

        『삼강행실도』에 대한 비판적 입장 고찰

        윤미옥(Yun Mi Ok) 새한철학회 2015 哲學論叢 Vol.82 No.4

        본 논문은『삼강행실도』에 대한 비판적 입장에 섰던 몇몇 학자들의 연구를 검토하는 것이 목적이다. 첫째 에른스트 파버는 직설적이고 현실적인 비판으로 유교보다 기독교가 우위에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려 하였다. 둘째 정약용은 효자·열부·충신에 대한 세 편의 논설을 통해 『삼강행실도』에서 강조하는 효·충·열이 과연 합리적인 권면이었는가. 관료들의 거짓임을 알고도 묵인한 태도와 일반 백성들의 효행의 표창으로 얻게 되는 가문의 영광 및 세금 감면 등의 혜택이라는 유혹 사이의 거래였다고 말한다. 셋째 강명관은『삼강행실도』가 약자에게 가해진 도덕의 폭력으로 효·열이라는 이름으로 죽음을 강요하면서 이러한 실천을 통해야만 한다고 강요함으로 성리학을 민간에 의식화시키고 실천시키기 위한 장치였다고 비판한다. 넷째 조은상은 왜 스스로의 삶을 파괴하고 죽음에 이르는 행동을 되풀이하는지. 자발성과 비자발성 사이에 조선조의 통치자들은 이러한 정신작용을 교묘히 통치논리에 이용하였다고 말한다. 다섯째 이영림은 유교의 통치 이념을 택한 조선의 지배층이 글을 익히지 못한 다수의 피지배층에게 유교적 윤리와 도덕을 주입시키고 강조하는 과정이 『삼강행실도』를 통하여 이루어졌다고 그 맥락을 읽었다. 에른스트 파버의 기독교 우위의 입장에서 유교 바라보기나 정약용의 권면의 공효와 그 공효로 얻게 되는 혜택 사이에 모종의 거래가 아니었느냐는 이러한 논조는 간과했던 사실에 대한 준엄한 비판이었다. 이후 21세기 『삼강행실도』에 관심을 가진 몇몇 학자들의 비판은 더 신랄하였다. 강명관의 ‘약자에게 가해진 도덕의 폭력’, 조은상의 ‘자기 파괴적 효행의 심리’, 이영림의 ‘유교 윤리의 강요와 모방’이었다는 논조들에서 『삼강행실도』에 국한된 비판이 아닌 유교에 대한 냉혹한 비판이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studies of several scholars who stood on the critical side against 『Samganghaengsildo』. First, Ernst Faber tried to draw a conclusion through blunt and realistic critics that Christianity is superior to Confucianism. Second, Jeong Yak-yong, in his three editorials about filial son, virtuous woman and loyal subject, questioned whether filial piety, loyalty and virtuousness emphasized by 『Samganghaengsildo』were indeed a reasonable encouragement, and claimed that they were just a deal between the attitude of officials to connive the falsehood and the temptation of the benefit such as family honor and tax reduction which could be given as an award for the filial piety of ordinary people. Third, Gang Myeong-gwan criticized that 『Samganghaengsildo』was a mechanism to conscientize and practice neo-Confucianism to the pubic by forcing weak person to death with the violence of morality under the name of filial piety and virtuousness. Forth, Jo Eun-sang questioned why people destroyed their own lives and repeated their behaviors leading to death, and criticized that the governors of Joseon Dynasty used cleverly such mental operation between spontaneity and non-spontaneity for their ruling logic. Fifth, Lee Yeong-rim read its context that the process of planting and engraving the Confucian ethics and morality into the heads of many illiterate subjugated class by the ruling class of Joseon Dynasty, who chose Confucianism as their ruling ideology, was achieved through 『Samganghaengsild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