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최초의 국기(‘박영효 태극기’ 1882)와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제작 국기(1884)의 원형 발견과 그 역사적 의의

        한철호(Cheol-Ho Han)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2008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31

        필자는 영국 국립문서보관소에 소장된 문서번호 FO 228/871과 FO 228/749에서 우리나라 최초의 국기인 박영효 태극기, 현존하는 것들 가운데 정부기관에서 공식으로 제작한 최초이자 最古인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제작 국기의 원형을 발굴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최초의 국기 원형과 그 특징, 국기 창안자와 제정자 및 그 의미, 그리고 국기 개정 가능성 등을 고찰해보았다. 첫째, FO 228/871 소재 국기가 우리나라 최초의 국기인 박영효 태극기라는 사실은 동봉된 문서의 작성일이 수신사 박영효가 일본 도쿄에 체류하고 있던 1882년 11월 1일이였으며, 일본 외무성 외무대보 요시다가 해리 파크스의 구두 요청에 따라 조선 국기라는 사본을 동봉한다고 밝힌 점 등으로 확실하게 입증된다. 둘째, 우리나라 최초의 국기인 박영효 태극기는 4괘가 건 · 곤 · 리 · 감이며 청색이고, 태극은 청?적색으로 되어 있지만 현재의 태극보다 굴곡이 더 심하며, 깃대는 오른쪽에 달도록 되어 있다. 국기의 크기도 최초로 정확하게 명시되어 있지만, 태극이 상대적으로 매우 커서 4괘가 네 귀퉁이에 바짝 배치된 점은 좀더 세밀하게 고찰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형태와 크기를 지닌 국기는 박영효가 남긴 사화기략 의 기록과 일치한다. 셋째, 박영효가 사화기략 에 세로는 가로의 5분의 2를 넘지 않았다고 기록한 부분은 현재 사화기략 원본을 찾을 수 없어 확인할 길이 없지만, ‘3분의 2’의 誤記일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된다. 가로대 세로의 비율이 5 : 2일 경우 가로가 지나치게 길고 세로가 짧은 기형적이고 볼품없는 모양이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견해는 1880년대에 제작된 국기의 가로와 세로 비율이 5 : 2가 되는 기형적인 형태를 띠지 않았다는 점, 1942년 6월 29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위원회가 제정한 국기 양식에 그 비율이 3 : 2로 규정되어 있다는 점 등이다. 넷째, 박영효는 ‘이응준감정본’을 모본으로 삼아 최초의 국기를 제정했으므로 최초의 국기 창안자는 이응준, 제정자는 박영효로 규정해야 한다. 고종에게 국기 제정권한을 위임받은 박영효는 국기에 정통한 제임스의 의견을 빌미로 마젠충의 태극 8괘도안을 거부하고‘이응준감정본’의 모본으로 삼아 4괘를 좌?우로 바꾼 최초의 국기를 제정했던 것이다. 따라서 최초의 국기에는 박영효가 중국의 조선 속방화정책에 대해 강력하게 저항한 자주의식, 서구 국가들과 조약의 비준을 재촉하거나 새로 조약을 맺으려는 의지가 담겨져 있다. 다섯째,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에서 제작된 국기는 정부기관에서 공식적으로 제작했던 국기들 중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국기의 원형으로 국기의 개정 가능성을 제시해주지만, 개정이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이 최초의 국기를 반포했을 뿐 아니라 국기를 실질적으로 관할하는 정부기관이라는 점에서 국기 개정 가능성에 대해서는 좀더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국기의 올바른 위치, 특히 국기의 앞뒷면을 구별하는데 중요한 단서가 되는 깃대의 위치는 적어도 1880년대에는 오른쪽 이었다. 이와 관련해서 최초의 국기와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제작 국기 둘 다 일치했던 4괘의 위치도 국기의 앞뒷면을 비정하는 데 중요한 기준 혹은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I found the prototype of the first national flag, that is, “Park Young-Hyo's national flag of Korea” and the first and oldest Korean national flag which was officially made by the Foreign Office, the Joseon Dynasty in the national Archives of the Great Britain (their document numbers are FO 228/871 and FO 228/749). In this article I inquired into the prototype of the first Korean national flag and its peculiarity, its originator, the person who decided on the Korean national flag, its meaning, the possibility to have revised the national flag and so on. To begin with, The date written on the document enclosed in FO 228/871 was the first of November, 1882 when Young-Hyo Park, a diplomatic representative of the Joseon Dynasty stayed in Japan, and the high-ranking official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Yosida made it clear that he enclosed a copy of the Korean national flag in the document according to Harry S. Parkes' oral request. This proves that the Korean national flag kept at FO 228/871 is the first one. Secondly, the Four Trigrams for Divination in Park Young-Hyo's national flag of Korea is composed of kheon, khon, li, kham and their color is blue. The color of the Great Absolute is composed of blue and red, however, its sharp bend is keener than the present one. And the flagpole is sticked on the right side of the flag. The size of the flagwas described accurately for the first time, however, as the size of the Great Absolute is very big comparatively, the Four Trigrams for Divination are close to four corners of the flag. I think these peculiarities require more detailed study. This form and size of the flag coincides with the record in his literary work Sahwagiryag - a diary about diplomatic journey to Japan. Thirdly, according to Sahwagiryag, the length of the flag is not longer than two fifth of the width of the flag. It is not possible to check its truth because we can’t find the original copy of Sahwagiryag,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possibility to have made a mistake in writing its size of the length, that is, two fifth was written instead of two third. This opinion results from the points that the ratio of width to length of the flag made in 1880s did not have an abnormal shape of 5 to 2 and the ratio of width to length in the form of the flag provided by the Cabinet Council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n 29th of June, 1942 was 3 to 2. Fourthly, as Young-Hyo Park decided on the first national flag of Korea on the basis of the model appraised by Eung-Jun Lee, it should be decided that the originator of the flag was Eung-Jun Lee and the person that decided on the flag was Young-Hyo Park. Young-Hyo Park who got carte blanche to decide on the national flag from Gojong rejected the design composed of the Great Absolute and the Eight Trigrams for Divination proposed by Ma Jen Chung under the pretext of the opinion of James who had complete knowledge on the national flags, and decided on the first national flag which changed the location of the right and left side of the Four Trigrams for Divination on the basis of the model appraised by Eung-Jun Lee. Therefore the first national flag keeps Young-Hyo park’s consciousness of independence resisting a Chinese policy to make the Joseon a subject country of China and his will to promote the ratification of treaties with European countries or conclude new treaties with them.Fifthly, the flag which was made by the Foreign office, the Joseon Dynasty is the prototype of the oldest Korean national flag among the existing flags officially made by the apparatus of government and it presents the possibility of the revision of the flag, however, it seems that its revision was not performed. But as the Foreign Office, the Joseon Dynasty promulgated the first national flag and was the government agency to be in charge of the flag actually, closer inquiry into the possibility to have revised the flag is required. Finally, the right posi

      • KCI등재

        2000년대 이후 토마스(R. J. Thomas) 죽음 논쟁에 대한 이해 및 접점 모색: 역사학자 한규무와 교회사학자 박용규의 주장을 중심으로

        고훈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2020 신학논단 Vol.101 No.-

        본 논문의 목적은 토마스 죽음과 관련하여 2010년 이후 벌어진 역사학자인 한규무와 교회사학자인 박용규의 주장을 이해하고, 그들의 사이의 접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다음의 연구 절차를 따르고자 한다. 첫째, 2장은 그러한 논쟁과 관련된 각 진영의 대표격인 한규무와 박용규를 중심으로, 그들은‘누구’이며, 어떠한‘공동체’에 속한 인물들인지 연구하고자 한다. 그리고 그들의 연구가 어떠한 한국교회의 상황과 깊은 연관성이 있었는지 고찰함으로 그들이 왜 그러한 주장을 할 수 밖에 없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3장은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두 주장의 접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포스트모던 역사학, 미국 기독교사학계, 그리고 공공신학의 학제 간(interdisciplinary) 연구 성과의 도움을 얻고자 한다. 끝으로 지금까지의 논의를 요약하고, 필자의 최종 입장과 본 논문이 주는 공헌과 한계를 다루고자 한다. R. J. Thomas’s Death is one of the heated debates in Korean Christian history. Professional historians insist that Thomas was executed during his imperialistic missions. Conversely, Korean church historians argue that Thomas died a martyr during his mission work abroad. They do not yield an inch on the matter. Nevertheless, many researchers have not paid much attention to studies on the understanding/ reconciling of the two argumen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martyrdom theory of church historian and the Execution theory of professional historian Since 2000 and to seek the Contact Points of the Two in the debate on R. J. Thomas’s death. To achieve this, I will follow these procedures: First, section two focuses on Kyu-Moo Han, a representative historian who argues that Thomas was not martyred and Thomas’ martyrdom is a beautiful story and Yong-Kyu Park, a representative church historian who claims thatThomas was martyred. Moreover, I will explore why they argued like that by answering three questions: 1) who are they? 2) what communities do they belong to? and 3) which situations did they argued like that? Second, section three seeks the Contact Points of the Two through studies on postmodern history, public theology, and faith/scholarship of the American Christian historiography. In section four, I will organize the contents thus far and suggests an opinion about the debate/this paper’s strengths and weaknesses. The Contribution of this paper relates to reflecting on the two competing arguments and providing a beginning of reconciliation and harmony in the debate on R. J. Thomas’ death.

      • KCI등재

        아시아인 이주와 동화가능성에 대한 사회학적 고찰 -로버트 팍과 “인종관계조사”를 중심으로-

        권은혜(Kwon Eun-hye)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8 동국사학 Vol.65 No.-

        본고는 20세기 초 미국의 시카고 사회학파를 형성했던 사회학자 로버트 팍(Robert Park)과 팍이 연구책임자로 참여했던 1924-27년의 인종관계조사가 아시아인에 관한 사회학적 관찰방법을 구성하는 방식을 살펴본다. 팍은 “인종 관계의 순환(race-relations cycle)” 이론을 “동양인”과 “미국인”의 인종 관계에 적용해 아시아계 이민자는 미국의 흑인과는 비 백인이라는 인종적 특징을, 유럽계 이민자와는 이민자로서의 정체성을 공유한다고 상정했다. 팍은 아시아인과 백인사이의 인종 간 결혼을 아시아인의 특징을 이해하는 방법으로 삼았고 “인종관계조사”를 진행할 때 팍은 아시아인과 백인 사이의 결혼 사례에 큰 관심을 보였다. 두 인종 사이의 결혼이 사회통념과 법으로 금지되던 시절에 팍은 인종 간 결혼을 아시아인의 동화 및 인종 갈등의 해결 수단이라고 상상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way in which Robert Park, one of the founders of the Chicago Sociology in the early 20th century spearheaded a social-scientific approach to Asian migration and assimilation primarily in the Survey of Race Relations, 1924-1927. Park applied his theory of race-relations cycle to Asian immigrants. According to him, Asians shared the non-white racial identity with American blacks. Asians were deemed similar to European immigrants in terms of their social status as immigrants. Park was particularly interested in marriages between Asians and whites as a way of assimilating Asians and, eventually, solving the tensions between white Americans and Asian immigrants at the time.

      • 홍보, 선전, 독재자의 이미지 관리 -1950년대의 이승만 전기-

        정용욱 ( Young Wook Chung )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2007 세계정치 Vol.8 No.-

        전기는 해당 전기가 생산된 시점의 해당 인물에 관한 담론구조를 간직하고 드러낸다. 전기 분석을 통해서 우리는 이승만이라는 인물의 사상과 활동, 그것이 펼쳐진 역사적 상황을 이해할 수 있고, 동시에 그 전기가 생산된 시점에서 그에 대한 인식과 이미지, 담론이 만들어지고 소비되는 방식, 또 그것이 가진 정치적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이 글은 1950년대에 간행된 이승만 전기의 종류, 편찬 주체와 동기, 그리고 서술과 인식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1950년대에 나온 이승만 전기는 당시의 억압적인 정치상황이 말해주듯 개인에 의해 자유롭게 편찬된 것이 아니라 주로 정부의 공보처, 또는 어용단체에 의해 편찬되었고, 개인이 집필한 전기도 주로 그 후원자(patron)는 이승만 정권의 홍보, 선전 업무를 담당한 인사들이었다. 이 글은 서정주, 한철영, 박성하, 로버트 T. 올리버(Robert T. Oliver), 우남 전기편찬회가 쓴 전기들을 주로 분석했다. 또 이범석, 박마리아, 이기붕, 로버트 T. 올리버 등 전기 편찬을 주도한 인물들도 분석하였다. 1950년대의 이승만 전기들은 이승만을 그 정점으로 하는 이승만 정부의 홍보·선전 정책을 담당한 기구와 그 기구의 핵심인물들이 주도해서 편찬하였다. 특히 이 시기에 간행된 전기 가운데 가장 권위 있는 로버트 T. 올리버가 쓴 전기의 편찬과정은 이승만과 로버트 T. 올리버가 전기에 이승만의 이미지를 어떻게 투사하고 관리하였는지 잘 보여준다. 또 이 시기에 나온 전기들의 서술 내용과 인식의 변화를 추적하면 이범석을 우두머리로 하는 ``족청계``가 몰락하고, 이기붕이 부상하는 이승만 정권 내 권력구조의 변화를 알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이승만 정권의 지배 이데올로기의 변화를 알 수 있다. A biography usually reveals the contemporary discourse structure about the related figures. Through the analysis of biographies, it would be possible to understand not only Syngman Rhee`s thoughts, life, and their historical context, but also people`s perceptions and images of him at the time of the biography production, the way the discourse was made and consumed, and its political meanings. This article dealt with various biographies on Syngman Rhee, their authors and motives, and the features of the discourses and ideas. Biographies of Syngman Rhee in the 1950s, as the oppressed political situation during this period shows, were not freely authored by individuals, but by Public Information Office or government related organizations. Even private biographies were patronized by the persons in charge of public relation under the Syngman Rhee. This article analyzed various biographies written by Suh Jung-joo, Hahn Chul-young, Park Sung-ha, Robert T. Oliver, and Committee on the Publication of U-nam(Syngman Rhee`s penname) Biography. Also, this writing dealt with who Yi Pum-suk, Park Maria, Yi Ki-boong etc were, figures who initiated biography publications. The officials dealing with public relations and propaganda under Syngman Rhee, led the biography publications in the 1950s. The publication process of Robert T. Oliver`s biography is highly illustrative of how Syngman Rhee and Robert T. Oliver worked together to project and manage Syngman Rhee`s images upon the biography. Through other writings, we are able to understand the change of ruling ideologies while we understand the power shift like the fall of "Jok-chung" faction of Yi Pum-suk and the rise of Yi Ki-boong.

      • KCI우수등재

        북미불교의 원효 인식과 이해

        김지연(Kim Ji yun) 불교학연구회 2016 불교학연구 Vol.49 No.-

        원효(元曉, 617~686)는 한국 불교를 대표하는 인물로, 그의 저술은 동아시아 전역에서 유통되었고 법장과 같은 후대의 학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현재는 그의 영향력이 전 세계로 확장되어, 많은 서양학자들이 원효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그들의 연구보다는 동아시아 불교에서의 연구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원효 탄신 1400주년을 앞둔 이 시점에서 원효에 대한 이해를 서양으로 확장하여 검토하는 것은, 7세기 동아시아 대승불교의 중심이 되는 문헌들을 해석한 원효를 다양한 시각에서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본고에서는 19세기부터 시작된 북미에서의 원효연구를 다루었는데, 그 가운데 로버트 버스웰·박성배·찰스 뮐러·리차드 맥브라이드의 연구에 주목하였다. 비록 네 사람은 ‘개합’과 같은 원효의 사상에 대해 관점을 차이를 보이기도 했지만, 이들에게 나타나는 공통된 이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효는 동아시아를 대표하는 위대한 승려 중 한 사람이고, 그의 저술은 최고의 수준을 가지고 있다는 평가이다. 둘째, 원효는 광범위한 분야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고, 그들을 학파의 우열없이 동등하게 다루는 학문적 태도이다. 셋째, 원효의 저술목적이 표면적으로는 논쟁들을 조화시키는 ‘화쟁’에 있지만, 그 심층에는 모든 것을 진정으로 하나로 만드는 ‘진리’가 있다는 사실이다. 그것이 로버트 버스웰에게는 ‘붓다의 가르침’이고, 박성배에게는 무애와 자재를 갖춘 ‘붓다의 법’이고, 찰스뮐러에게는 언어로 표현할 수 없는 ‘절대 진리’이다. 넷째, 원효가 사상의 중심을 『대승기신론』에 두면서 ‘일심’의 구조와 사상에 기반하여, 자신이 주석하는 대부분의 논서에 적용함으로써 심층적인 이해를 이끌어 낸다는 것이다. Wonhyo (元曉, 617~686) is one of the outstanding figures in Korea Buddhism. His writings have been circulated throughout East Asia, and have had an impact on scholars such as Fazang (法藏). Now his influence has spread all over the world, so many western scholars are studying Wonhyo. Here, I try to examine the comprehension of Wonhyo from the perspectives of Western Buddhist scholars. I think this would be a good opportunity to better understand Wonhyo, who interpreted many important books of the Mahayana Buddhism of East Asia in the 7th century. This study looked at the research on Wonhyo in North America, which started in the 19th century. Among those works, I focused on the study of Robert Buswell Jr., Sung Bae Park, A. Charles Muller and Richard D. McBride II. Although they have different views on Wonhyo s thoughts, they share common ground with each other as follows. First, Wonhyo is one of the great monks who represent East Asian Buddhism, and his writings are regarded as the top level. Second, Wonhyo had good knowledge in wide-ranging areas, and treated them equally without comparison of schools. Third, Wonhyo’s writing apparently focused on ‘Hwa-jaeng (和諍, harmonization of arguments)’; however, deep inside is the Truth that makes everything into one. Fourth, Wonhyo relied on the Awakening of Mahayana Faith, so he explained sutras and treatises based on the structure and thought of ‘one mind (一心).’

      • KCI등재

        경계인 이론을 통한 남한 정착 북한이탈주민 이해에 관한 연구

        윤보영(Yoon, Bo Young)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5 사회과학연구 Vol.22 No.3

        한국사회는 1990년 이후 이주노동자, 결혼이주여성, 다문화가정 자녀, 유학생, 재외동포, 북한이탈주민 등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을 둘러싼 편견과 차별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경계인 이론(Marginal man theory)은 미국 시카고학파의 로버트 파크 (Robert E. Park, 1864~1944) 에 의해 공식화되고 에버렛 스톤퀘스트(Everett V. Stonequist, 1901~1979)에 의해 발전된 이론이다. 경계인은 이중문화 혹은 다문화 상황 속에서 탄생한다. 한 문화에 의해 형성되고 틀이 짜인 사람이 이주, 교육, 결혼 등과 같은 이유로 다른 문화와 접촉하게 될 경우, 혹은 태어나자마자 둘 이상의 역사전통, 언어, 정치적 충성심, 도덕적 규율, 혹은 종교에 노출될 경우 그는 두 문화 모두에 온전히 속하지 못하고 각 문화의 가장자리에 놓이게 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그가 소수나 하등그룹에서 강하고 지배적인 그룹으로 이주한 경우, 약한 무관심 혹은 거들먹거리는 배려에서부터 통렬한 경멸에 이르기까지 사회에 존재하는 다양한 편견과 차별을 경험한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을 둘러싼 상황에 대한 이해를 시도함으로써 이들이 왜 어떻게 행동하는지에 대해 고찰하기 위해 경계인 이론을 검토하고자 한다. Since 1990’s, a total number of immigrant workers, foreign married immigrated wome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specially North Korean refugees has been increased rapidly. For this reason, the problems of diverse social bias and discriminations about them become one of most serious social issues. Marginal Man Theory is formulated by Chicago school of Robert E. Park and is developed by Everett V. Stonequist. A marginal man is from binary or multiple cultures. When human beings contact with other cultures for education, marriage, and emigration, or expose to diverse social environments that there are different histories, traditions, moralities, religions, especially political identities, they do not generally belong to any societies and will be placed in a position to marginal men. In particular, when they move to dominant groups in a certain nation or society from minor groups that they have belonged to, from careful consideration that can cause to hurt their pride to harsh contempt, they will experience diverse prejudices and discrimination. Therefore, in this research, I will analyze how they will act to overcome these problems and survive by trying to understand their social surroundings through Marginal Man Theory.

      • KCI등재

        이충선과 김광식의 대금산조 선율에 나타난 지향점 고찰

        정소희(Jeong, So-hee) 국립국악원 2021 국악원논문집 Vol.44 No.-

        본 연구는 경기도 광주를 근거지로 음악활동을 펼쳤던 이충선과 김광식의 대금산조를 중심으로 내드름, 종지구, 유사선율, 관용적인 선율, 음조직을 분석하고, 두 대금산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검토하여 각 산조에서 추구한 음악적 지향점을 고찰하였다. 첫째, 내드름은 두 산조 모두 첫 장단은 1-2음을 중심으로 간결하게 진행되는 반면 두 번째 장단에서는 이충선의 경우 구성음과 시김새로 음조직을 확실하게 표현하였고, 김광식은 첫 장단의 선율을 유사하게 반복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대체로 이충선의 내드름이 김광식 산조보다 선율 진행이 다채로웠다. 둘째, 종지구는 두 산조 모두 본청 종지유형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다만 이충선의 진양조 계면조에서 하청으로 종지하는 예외가 나타났다. 셋째, 이충선과 김광식 산조의 유사선율은 비교적 적게 나타났다. 두 산조의 유사선율은 유사한 선율로 진행하면서도 두 연주자가 각자의 개성 있는 시김새와 연주법으로 서로 다른 음악적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넷째, 관용적인 선율은 김광식이 이충선에 비해 월등히 자주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충선 산조는 관용적인 선율이 적게 나타나 다채롭게 선율이 구성된 반면, 김광식 산조는 관용적인 선율이 반복적으로 나타나 담백한 느낌을 주었다. 다섯째, 음조직 면에서 이충선 산조가 김광식 산조보다 변청과 변조가 다채롭게 사용되었다. 진양조는 이충선과 김 광식 산조가 공통적으로 b♭우조 → c계면조로 1회의 변조만이 나타났는데, 이러한 변조는 1세대인 박종기 산조와 동일한 양상이었다. 중모리는 이충선의 경우 여러 번의 변청과 변조를 통해 짜임새 있고 다채로운 구성으로 3세대 산조에서 나타나는 양상을 보인 반면, 김광식은 1개의 음조직으로만 선율이 구성되어 있어 1~3세대 대금산조 중에 가장 단순한 구조의 산조라 할 수 있었다. 자진모리는 이충선의 경우 두 번 음조직이 바뀌는 동안 김광식은 전체적으로 c계면조로 진행하다가 마지막 4장단에서 우조로 변조하며 음악을 마무리하였다. 요컨대 이충선은 다양한 변조와 변청 활용으로 3세대 산조의 특징을 보였다면, 김광식은 1세대인 박종기 산조보다 더 단조로운 짜임새로 이충선과 대조를 이루었다. 이와 같이 이충선과 김광식 대금산조를 비교한 결과, 두 연주자가 동시대에 경기음악을 중심으로 활동하였던 공통점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산조에서 추구했던 음악적 지향점은 매우 달랐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naedeureums (head melodies), ending phrases, similar melodies, idiomatic melodies, and the tonal system of Daegeum Sanjo (Korean transverse flute–free-style solo) by Lee Chung-Seon and Kim Kwang-Sik who were active in Gwangju and Gyeonggi Provinces. This 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Daegeum Sanjos by looking in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First, in both sanjos, naedeureum in the first rhythm progressed simply centering around first and second notes. In the second rhythm, Lee Chung-Seon expressed the tonal pattern noticeably by playing consisting notes and sigimsae (ornamental tones), while Kim Kwang-Sik repeated the melodic pattern of the first rhythm in the similar fashion. In general, the naedeureum in Lee Chung-Seon’s performance was more diverse than the melodic progression of Kim Kwang-Sik. Secondly, for the ending phrase, both sanjos mostly used the typical ending type, employing boncheong (original tone). And yet, the ending tune of Jinyangjo Gyemyeonjo by Lee Chung-Seon displayed an exception that it has ended with hacheong (low tone). Thirdly, there were relatively few similar melodies in both sanjos. Where there appeared identical melody, both performers progressed with comparable phrases, while creating different musical atmosphere by applying unique sigimsae and performance technique. Fourth, idiomatic melodies were more frequently used by Kim Kwang-Sik, compared with Lee Chung-Seon’s rendition. Lee Chung-Seon’s sanjo showed scarce idiomatic melodies, so was composed with colorful melodies, while Kim Kwang-Sik’s sanjo repeatedly showed natural melodies, giving a feeling of unadorned. Fifth, in terms of tonal composition, byeoncheong (alteration of a tone) and byeonjo (modulation) were used more colorfully in Lee Chung-Seon’s sanjo, compared with that of Kim Kwang-Sik. For Jinyangjo, it was common that in the both sanjos, there appeared only one modulation from b♭ Ujo to c Gyemyeonjo. Such technique was applied bythe 1st generation of Daegeum sanjo performer, Park Jong-Gi. For jungmori part, Lee Chung-Seon showed similar musical aspects, usually used by the 3rd generation sanjo players with cohesive and radiant melodic structure, through applying several transpositions and modulations, while Kim Kwang-Sik employed only one melody, consisting single tone. Based on this, one can reach to a conclusion that Kim Kwang-Sik’s sanjo has the simplistic melodious structure among daegeum sanjos, throughout the 1st to 3rd generation. In regard to jajinmori, Lee Chung-Seon’s performance revealed the change twice in consisting tones, while Kim Kwang-Sik progressed with c Gyemyeonjo overall, finishing the part by modulating it to Ujo in the last 4th rhythm. In sum, Lee Chung-Seon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3rd generation Sanjo performers’ by utilizing various modulations and transpositions, while Kim Kwang-Sik’s performance exhibited contrasts with that of Lee Chung-Seon. Kim Kwang-Sik played Sanjo employing more monotonous melodic structure than that of the 1st generation.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the two Daegeum Sanjos by Lee Chung-Seon and Kim Kwang-Sik, one can learn that, although the two performers were active in the same period, being exposed to the traditional Gyeonggi music, the points of their musical intention, that they pursued in sanjo music, were considerably different.

      • 제너럴셔먼호의 평양행과 조선과의 충돌에 관한 재고찰

        박명수 안양대학교 신학연구소 2023 신학지평 Vol.35 No.-

        지금까지 제너럴셔먼호 연구의 평양행 연구는 주로 조선정부 측의 기 록에 의존하였다. 하지만 이 자료는 조선의 입장을 변호하려는 입장에서 쓰인 것이므로 비판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본 연구는 당시 쓰인 조선정부 측의 기록이외의 다른 자료들을 중요하게 참고하였다. 제너럴셔먼호는 청의 조선에 대한 개방요구로 무역이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여기에 대하여 박규수는 처음에는 개방의 가능성을 생각했으 나 점점 제너럴셔먼호를 경계하기 시작하였고, 이런 상황에서 제너럴셔먼 호는 중군 이현익을 납치하여 인질로 삼으려 했다. 마침 정부에서 강경 대응책이 전달되자 박규수는 제너럴셔먼호를 집중 공격하였고, 결국 배는 침몰하고 승객은 모두 사살되었다. 본 논문은 지금까지 연구와는 달리 결 국 제너럴셔먼호 침몰에 대한 궁극적인 책임은 조선정부에 있다고 본다. Prior researches on the General Sherman’s expedition to Pyongyang generally relied on documents produced by the Joseon government. However, these sources require thorough examination since its purpose naturally includes justifying the actions and perspectives of the Joseon government. This paper uses contemporary sources in addition to those produced by the Joseon government as important evidence. The crew of General Sherman thought that the Qing government’s demand to open the Korean ports would lead to transaction with them. Pyongyang‘s governor Park Kyu-soo initially considered opening ports but gradually became to take precautions, at which point the General Sherman crew sought to kidnap Lee Hyun-ik the district commander and take him hostage. As it happened, the government’s order of strong confrontation arrived, and Park Kyu-soo conducted a full-scaled attack which eventually led the ship to sink and the crew all executed.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Joseon government was responsible for the sinking of the General Sherman.

      • KCI등재

        에벤 에즈라 로버츠 건축의 영향 및 유형 분석에 관한 연구

        이용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23 청소년시설환경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근대 초기 미국 오크파크 소도시 지역건축가인 에벤 에즈라 로버츠의 건축물의 영향과 유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목표는 초기 근대 건축 조건의 통계적 정량화와 미국 시카고와 인접한 지방 도시 오크 파크의 건축가들의 역할에 기초한다. 에벤 에즈라 로버츠는 시카고의 도시 건축이나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건축을 직접적으로 분석하지 않는 오크 파크의 마스터 건축가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에게 접근했다. 보조 프로그램 통계는 연구 진행의 객관성을 유지하고 데이터 활용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적극 활용될 것이다. 이 과정에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초기 근대 대도시 시카고와 달리 현지 건축가 에벤 에즈라 로버츠의 인기 기능성 건축물이 지역 생활문화 도시로 정착한 변혁기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250여 개가 넘는 건축물이 명건축가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보다 더 적극적이고 다양한 건축활동으로 건축되었으며, 그의 건축물 중 137개가 여전히 도시의 일상생활 문화로 기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로버츠는 또한 그의 다양한 건축적 능력을 마스터 건축가들을 모방하고 따르기 보다는 오크 파크의 인기 있는 기능들의 생활 문화적 건축으로 발전시키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