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시아인 이주와 동화가능성에 대한 사회학적 고찰 -로버트 팍과 “인종관계조사”를 중심으로-

        권은혜(Kwon Eun-hye)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8 동국사학 Vol.65 No.-

        본고는 20세기 초 미국의 시카고 사회학파를 형성했던 사회학자 로버트 팍(Robert Park)과 팍이 연구책임자로 참여했던 1924-27년의 인종관계조사가 아시아인에 관한 사회학적 관찰방법을 구성하는 방식을 살펴본다. 팍은 “인종 관계의 순환(race-relations cycle)” 이론을 “동양인”과 “미국인”의 인종 관계에 적용해 아시아계 이민자는 미국의 흑인과는 비 백인이라는 인종적 특징을, 유럽계 이민자와는 이민자로서의 정체성을 공유한다고 상정했다. 팍은 아시아인과 백인사이의 인종 간 결혼을 아시아인의 특징을 이해하는 방법으로 삼았고 “인종관계조사”를 진행할 때 팍은 아시아인과 백인 사이의 결혼 사례에 큰 관심을 보였다. 두 인종 사이의 결혼이 사회통념과 법으로 금지되던 시절에 팍은 인종 간 결혼을 아시아인의 동화 및 인종 갈등의 해결 수단이라고 상상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way in which Robert Park, one of the founders of the Chicago Sociology in the early 20th century spearheaded a social-scientific approach to Asian migration and assimilation primarily in the Survey of Race Relations, 1924-1927. Park applied his theory of race-relations cycle to Asian immigrants. According to him, Asians shared the non-white racial identity with American blacks. Asians were deemed similar to European immigrants in terms of their social status as immigrants. Park was particularly interested in marriages between Asians and whites as a way of assimilating Asians and, eventually, solving the tensions between white Americans and Asian immigrants at the time.

      • KCI등재후보

        미국 서부 역사 서술 경향의 변화

        권은혜(Kwon, Eun Hye) 도시사학회 2015 도시연구 Vol.14 No.-

        본 논문은 1893년 터너의 프론티어 논지에서 시작하여 1980년대의 신서부사, 그리고 1990년대 후반에 부상한 접경지대 역사까지 미국 서부에 관한 역사적 서술 경향이 변화하는 과정을 검토했다. 터너의 프론티어 논지는 백인정착과정을 중심으로 서부를 국민국가의 발전 과정의 중심적 공간으로 부상시켰다. 신서부사는 터너의 프론티어 논지를 전면적으로 비판하며 다양한 인종과 민족 및 문화가 연속적으로 존재한 공간이자 지역으로서의 서부를 강조한다. 접경지대 역사는 서부를 제국들과 국가들, 그리고 큰 정치적 단위로 포섭되지 않는 다양한 소규모 세력들과의 조우에 의해 변화하는 역사적 공간으로서의 접경지대로 본다. 프론티어와 접경지대라는 개념을 생산하고 비판적으로 재검토 및 재정의하는 과정에서 서부사가들은 지역으로서의 서부사가 북아메리카 지역의 제국들과 국가들의 역사를 보는 새로운 방식을 제안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서부사의 이론적 논쟁과 통찰력은 민족과 국가, 제국 등 큰 정치적 단위를 중심으로 하는 기존 역사서술의 한계를 효과적으로 비판할 수 있는 무기를 제공한다. This article examines historiographical changes in the American historians’ perceptions of the United States West from Frederick Jackson Turner’s “Frontier Thesis” in 1893 through the new Western history of the 1980s and 1990s to borderlands history. Turner viewed the frontier as a process of white settlement and underlined the significance of the West as a birthplace of American democracy and individualism. New Western historians severely criticize the Eurocentric tone of Turner’s frontier thesis and call for writing the history of the American West without the notion of the frontier. They revision the American West as a region where diverse groups of people have continued to interact before and after the European conquest of the region. Borderlands History sees the American West as borderlands in which varying sizes of political powers―empires, nation-states, and various small political powers that could not be detected by empires and nation-states―met. From the late 19th century well into the New Millenium, the historians of the American West have coined, critically examined, and redefined the terms frontier and borderlands in order to capt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which cannot be easily explained by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of history that centers empires and nation-states.

      • KCI등재

        미국의 인도차이나 난민 정책과 베트남인의 미국 시민 되기― 공산정권을 탈출한 난민에서 반공주의 모범 소수자 미국인으로

        권은혜 ( Kwon Eun-hye ) 한국미국사학회 2023 미국사연구 Vol.57 No.-

        This article examines the ways in which the Vietnamese were transformed into refugees and American citizens by the U. S. Indochina refugee program. Vietnamese Americans have taken a different path to American citizenship from other Asian Americans because they entered the U. S. as refugees. The U. S. military intervention in the Vietnam War was the original cause of turning tens of thousands of South Vietnamese people into refugees. The U. S. Indochina refugee program provided a guideline for the Vietnamese to be an ideal refugee, and eventually become a good American of Asian descent. This article draws on the works of scholars who are engaged in critical refugee studies and Asian American studies as well as on the works of American historians of political and diplomatic history. Recently, American historians have explored how the U. S. Indochina refugee program and the 1980 Refugee Act could be adopted in the late 1970s in spite of the lack of support from Congress and public opinion. A group of Asian American scholars involved in critical refugee studies pinpoints the U. S. military intervention in the Vietnam War as the root cause of the Indochina refugee crisis. As the U. S. endorsed the human rights of all refugees in the Refugee Act of 1980, the human rights cause and humanitarian intention of the Indochina refugee program have helped restore America’s moral standing in the world. It proclaimed that America saved its South Vietnamese allies from the threat of Communism and presented them with freedom and rights. The U. S. Indochina refugee program had the effect of producing anti-Communist Vietnamese refugee subjects as well as obscuring the violent past of the U. S. intervention in the Vietnam War.

      • KCI우수등재

        비판적 백인성 연구의 시작 -데이빗 로디거, 『백인성의 임금: 인종과 미국노동계급의 형성』-

        권은혜 ( Kwon Eun-hye ) 한국서양사학회 2020 西洋史論 Vol.0 No.145

        글은 백인성 연구의 고전이 된 미국 역사학자 데이빗 로디거의 1991년 저서 『백인성의 임금: 인종과 미국노동계급의 형성』의 주장과 영향력에 대해 검토한다. 『백인성의 임금』의 주요 주장은 1800년에서 1860년 사이 북부의 백인노동자들이 언어, 문화적 실천, 정치적 선택 등의 측면에서 그들 자신을 흑인 및 노예로부터 구별했고 이 과정에서 백인성을 그들의 주요한 이해관계로 보게 되었다는 것이다. 『백인성의 임금』은 인종과 백인성이 미국노동계급의 핵심적 요소로 등장하는 과정을 새로운 역사적 연구 주제로 발굴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미국노동계급의 형성을 인종의 틀로 설명하려는 그의 시도는 계급을 분석의 틀로 삼는 미국의 노동사학계에 방법론적인 도전장을 내밀었다. 백인성 연구는 1990년대 미국 역사학계 안에서 하나의 연구 경향으로 빠르게 정착했고 다양한 연구 성과를 산출했다. This essay explores the main argument and impact of David R. Roediger’s The Wages of Whiteness: Race and the Making of the American Working Class, which has become the classic text of whiteness studies. Wages argues that Northern white workers came to view whiteness as their major interest by distinguishing themselves from blacks and slaves 1800-1860. Scholars have praised that Wages showed the role of race and whiteness in the formation of the American working class. It challenged the class-centered approach of American labor history to the American working class. Whiteness studies has become one of the fast growing sub-fields in history and has produced a variety of works. (Hansung University / eunhyekwon@hotmail.com)

      • KCI우수등재

        20세기 전반기 미국의 시민권 박탈 정책과 “조건적 시민권”의 형성

        권은혜 ( Kwon Eun-hye ) 한국서양사학회 2021 西洋史論 Vol.- No.149

        이 글은 20세기 초부터 제 2차 세계대전까지 미국 정부가 도입한 귀화자의 시민권 박탈(denaturalization) 및 미국태생 시민의 시민권 박탈(denationalization, expatriation) 정책들에 드러나는 젠더, 인종, 사상과 민족적 편견을 검토한다. 1907년 국적상실법은 외국인과 결혼한 미국 여성의 출생시민권을 박탈했다. 아시아인배제법 및 귀화금지 판결은 중국인, 일본인, 인도인 귀화자들의 시민권을 취소하는 데 적용되었다. 1906년 귀화법의 귀화 취소 규정들은 양차세계대전 중 좌파 급진주의자들, 독일계 및 일본계 미국인의 시민권을 취소하고 이들을 추방시키는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미국 태생 시민보다는 귀화 시민이, 미국 태생이더라도 여성과 이민자의 자녀들이, 이민자의 미국 태생 자녀들 중 전시 적국 출신 이민자의 후손들, 특히 일본계 미국인이 정부의 시민권 박탈 정책에 취약했다. 20세기 전반기 미국 정부의 시민권 박탈 정책은 당시 이민귀화법의 저변에 깔린 제노포비아와 인종주의, 성차별주의를 반영했다. 미국은 모든 개인의 시민권적 권리와 자유를 중시하는 나라라고 자부한다. 20세기 전반기 시민권 박탈 정책과 이 정책에 저항했던 미국인들의 이야기는 미국 시민권의 평등주의적 이상과 차별적 현실의 차이를 새롭게 드러낸다. This study examined the denationalization and denaturalization policies of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20<sup>th</sup> century. The 1907 Expatriation Act stripped American-born women married to foreigners of their birthright citizenship. Immigration, naturalization policies and Court decisions to exclude Asians revoked the citizenship certification issued to Chinese, Japanese, and Indian immigrants. During the two world wars, the citizenship revocation clauses in the 1906 Basic Naturalization Act were used to cancel the citizenship of radicals, German Americans, and Japanese Americans. American-born women lost their birthright citizenship by marrying foreigners while their male counterparts never lost citizenship by marrying a foreigner. Foreign-born and naturalized Americans could easily be stripped of citizenship than their American-born counterparts. Birthright citizens who were born to immigrant parents, particularly immigrants from Asia, were casted as not loyal enough. The denationalization and denaturalization policies of the US government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20<sup>th</sup> century reflected xenophobia, racism, and sexism of the immigration and naturalization laws and policies of the time. (Hansung University / eunhyekwon@hotmail.com)

      • KCI등재

        에스닉 음식(Ethnic food)에서 에스닉 아메리칸 음식(Ethnic American food)으로 ― 1850년대에서 1940년대 사이 이민자와 미국의 음식 문화 ―

        권은혜 ( Kwon¸ Eun-hye ) 수선사학회 2021 史林 Vol.- No.77

        This article examines the ways in which the ethnic food and foodways that Italian, Chinese, and Mexican immigrants brought to the U. S. contributed to the diversity of American food between 1850s and 1940s. It refers to the works of American historians and Asian American studies scholars, which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immigration and American foodways. Food was the epitome of ethnic identity for these three immigrant groups as well as the means to bond members in ethnic communities. Simultaneously, ethnic food allowed these immigrants and Americans to communicate one another. At first, Americans rejected the ethnic food of Italian, Chinese, and Mexican immigrants. Then they came to embrace and even appropriate it. The encounter of the food of these three ethnic groups with Americans of various backgrounds transformed it into ethnic American food.

      • KCI우수등재

        20세기 초 미국 서부의 반 일본운동과 아시아인 이민 배제 주장에서 드러나는 초국적 반 아시아 인종주의 -발렌타인 맥클래치(Valentine Stuart McClatchy) 의 소책자, 아시아의 독일을 중심으로-

        권은혜 ( Eun Hye Kwon ) 한국서양사학회 2014 西洋史論 Vol.0 No.120

        This paper addresses the ways in which V.S. McClatchy, a journalist and anti-Japanese propagandist, constructed Japanese immigrants as the Yellow Peril and legitimized the Asian exclusion on account of Japanese threats to whites in his 1919 pamphlet, The Germany of Asia. By and large, he viewed the Japanese as undesirable immigrants in a similar way that late-19th-centuryanti-Chinese rhetoric racialized the Chinese. While the anti-Chinese rhetoric was based on the idea of racial hierarchy between whites and the Chinese, McClatchy`s anti-Japanese sentiment and claim for Asian exclusion tried to avoid invoking racial hierarchy between whites and Asians. Instead he asserted that the innate difference between the white civilization and the Japanese civilization made it impossible and undesirable for the two races to coexist. He also justified his support of Asian exclusion by mobilizing the notion shared by white settlers` societies around the Pacific that Japan had posed a racial threat to whites, particularly after World War I. This paper shows that McClatchy`s legitimization of Asian exclusion as a survival strategy of the white race came from the trans national anti-Asian racism that permeated white settler countries around the Pacific.

      • KCI등재

        다문화주의와 미국적 정체성 1990년대 미국 역사가들의 다문화주의 논쟁을 중심으로

        권은혜 ( Kwon Eun-hye ) 한국미국사학회 2020 미국사연구 Vol.51 No.-

        이 글은 다문화주의 논쟁에 참여했던 1990년대 미국 역사가들이 미국의 정체성과 미래에 대해 생산한 담론들을 검토한다. 당시 미국의 자유주의 지식인들은 집단의 권리와 정체성 정치를 주장하는 다문화주의가 미국을 분열시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아서 슐레진저는 다문화주의의 도전에 맞서 개인의 권리와 민주주의를 강조하는 미국적 신념으로 되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데이빗 홀린저는 집단 정체성을 본질적인 것으로 보는 다문화주의를 넘어서 문화집단들 사이의 연대를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슐레진저와 홀린저는 각기 다른 미국적 이상을 추구했지만 이들 모두 다문화주의를 미국사회의 갈등을 증폭시키는 요소로 보았다. 다문화주의의 가치와 국가로서 미국이 추구하는 가치 사이의 대립을 상정하는 이들의 시각은 1990년대 학계의 지배적인 시각이기도 했다. 그러나 여론조사에 의하면 인종과 에스니시티의 경계를 가로 질러 미국인들은 다문화주의를 수용하면서도 미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보유했다. 슐레진저와 홀린저는 인종 간 결혼과 다인종인구의 증가로 인해 인종과 에스니시티의 구별이 자연스럽게 사라질 것이고 단일인종정체성에 기댄 다문화주의의 세력도 약화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러나 2000년과 2010년 센서스 결과에 따르면 다인종인들의 인종 자기 정의 방식은 다양했고 이들이 고정된 인종정체성 대신에 복수의 유동적 정체성을 늘 채택하지는 않았다. 1990년대 미국 역사학자들은 다양성의 가치를 어느 정도까지 미국적 가치로 받아들일 것인가라는 문제에 대해 합의를 하지 못했고 미국 사회는 아직도 같은 질문을 대면하고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way in which American historians of the 1990s produced discourses on American identity and the future of America in the face of multiculturalism. At that time, many liberals were concerned that multiculturalism and its identity politics, which emphasized a group identity over a national identity, would disrupt the unity of America. Arthur Schlesinger Jr. emphasized the protection of the American Creed on individual rights and democracy from multiculturalism. David Hollinger’s “Postethnic America” called for the building of solidarity across many cultural groups to save America from the separatist tendency of multiculturalism. Like many other liberals at the time, both Schlesinger and Hollinger viewed multiculturalism as a force that divides America into different ethnic and racial groups. The American public, however, held a different view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muliticulturalism and American identity. Public opinions on the perceptions of multiculturalism and American identity show that Americans across racial and ethnic lines recognized the value of diversity while being proud to be an American. Both Schlesinger and Hollinger anticipated that an increase in interracial marriage and the existence of multiracial individuals might weaken multiculturalism and identity politics. The results of the 2000 and 2010 U.S. Census, which allowed Americans to choose more than one race identity, do not provide solid data that multiracial individuals might refuse to choose a fixed identity and embrace multiple racial identity. American historians in the 1990s did not agree to what extent that Americans should embrace diversity as an American value. In the twenty-first century, American society still faces the same question.

      • KCI등재
      • KCI등재

        전시 상태 미국에서 법치와 민주주의의 후퇴: 연방대법원의 1944년 고레마츠 대 미국 판결과 2018년 트럼프 대 하와이 판결을 중심으로

        권은혜 ( Kwon Eun-hye ) 한국미국사학회 2021 미국사연구 Vol.53 No.-

        In Korematsu v. United States (1944) and Trump v. Hawaii (2018), the U.S. Supreme Court upheld the government policies which restricted the rights and liberty of individuals belonging to minority groups. Korematsu ruled that the incarceration of Japanese Americans during World War Ⅱ was a legitimate government action facing foreign threats. Hawaii declared President Donald Trump’s Travel Ban, which targeted mostly Muslim-majority nations, as a lawful action of the executive power to protect the nation from the threats of terror. In her minority opinion, Judge Sonia Sotomayor compared Hawaii to Korematsu because both rulings showed almost unconditional deference towards the executive power that eroded the liberty of citizens and non-citizens belonging to minority groups without clear proof. Chief Justice John Roberts, the author of the majority opinion in Hawaii, refused to accept her comparison of Hawaii to Korematsu, suddenly declaring the overruling of Korematsu. By introducing the works of liberal law scholars, which reveal the striking similarities between Korematsu and Hawaii, this article shows that the principle of Korematsu has been reinscribed in Hawaii, not really being overruled. The remaining question after Korematsu and Hawaii is what the judiciary and civil society should do when the executive power in wartime restricts individual liberties and rights protected by the Constitution without providing obvious evidence to do so. Anyone who values the rule of law and democracy should be alarmed by the ways in which Hawaii allows the wartime executive power to infringe the human rights of immigrants and undermine civil liber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