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미래 교육의 발전을 위한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신학 교육 평가
이동열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출판부 2021 신학정론 Vol.39 No.2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는 ‘바른 신학, 바른 교회, 바른 생활’의 설립 이념 하에 지난 41년간 개혁 주의 신학을 중심으로 3천명에 가까운 목회자와 신학자와 선교사들을 훈련하고 배출해 왔다. 본 연구는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설립 41주년을 맞아 졸업생들의 학교에 대한 인식 조사를 통해 학교의 신학 교육을 평가해 보았다. 동문들이 학교의 교육 과정과 내용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고 있는지, 또 급변하는 세상과 목회 현장에 적실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조사하여 이를 근거로 향후 학교의 발전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2021년 6월 1일부터 30일까지 한 달 동안 설문을 받았고, 기간 내에 384명이 응답하여 표본 추출하였다. 이에 따라 표본 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4.5%로 측정되었다. It has been 40 years since Hapdong Theological Seminary opened in the midst of God’s will and guidance. Under the founding ideology of “Right Theology. Right Church, and Right Life,” Hapdong Theological Seminary has trained and produced nearly 3,000 pastors, theologians, and missionaries, focusing on reformed theology. This study evaluated the theological education of Hapdong Theological Seminary through a survey of graduates’ perceptions of the school to mark the 4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Hapdong Theological Seminary. Based on the survey, this study investigated how satisfied alumni are with the school’s curriculum and contents, and whether appropriate education is being provided in the rapidly changing world and ministry fields, and suggested future school development direction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a month from June 1st to 30th, 2021, and 384 people responded and were sampled within the period. Accordingly, the sampling error was measured at ±4.5% at the 95% confidence level.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 전가 부인에 대한 개혁신학자들의 견해와 교회의 결정 (1588년-1619년)
이남규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출판부 2021 신학정론 Vol.39 No.2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의 전가 부인에 대해 개혁신학자들과 교회는 어떻게 반응했을까?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우르시누스, 올레비아누스, 토사누스의 견해를 보고, 피스카토르 편에 섰다고 알려진 파레우스가 과연 어떤 면에서 피스카토르와 일치하는지 또는 일치하지 않는지 알아본다. 이후 바젤의 폴라누스, 로잔의 부카누스, 캠브리지의 퍼킨스의 견해를 살펴봄으로써 능동적 순종의 전가가 개혁신학의 교리임을 확인하고 그 논증을 살펴본다. 나아가 개혁교회 총회들도 이른 시기(16세기 말과 17세기 초)에 능동적 순종의 전가를 인정하거나, 또는 부인을 정죄하는 결정했다는 것을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언약, 율법, 전체 그리스도(totus Christus)의 관점에서 정리한다. 그리스도의 전체 순종이 하나님 앞에서 우리의 의다.
박형용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출판부 2021 신학정론 Vol.39 No.2
본 논고는 정암 박윤선 박사가 어떤 모양으로 하나님의 쓰임을 받았는지 간략하게 정리하는 것이다. 정암 박윤선 박사의 삶은 그의 조국의 고난의 역사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다. 하지만 박윤선 박사의 기독교 신앙은 모든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다. 정암은 1905년 12월 11일에 태어나 83년의 삶을 하나님 영광을 위해서만 사시다가 1988년 6월 30일에 하나님의 품으로 가셨다. 정암의 한 평생의 삶은 교회를 위해서 사신 삶으로 동산교회를 위시하여 여러 교회를 개척 설립하시어 성실하게 목회를 하셨으며, 신학교육을 위해 봉천신학교, 고려신학교, 개혁신학교, 총신대학신대원,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등 여러 신학대학교를 위해 38년의 그의 삶을 바쳤다. 그리고 정암 박윤선 박사는 한국교회의 신학적 기조가 빈약한 시기에 주경신학 분야의 기초를 튼실하게 세워주셨고, 친히 성경 66권 전체를 20권이라는 방대한 주석을 집필하시어 한국교회를 건강하게 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정암 박윤선 박사는 항상 코람 데오(Coram Deo)의 의식으로 살았고, 그의 생각과 행동은 계시의존사색(啓示依存思索)의 틀을 벗어나지 않은 삶이었다. 그러기에 정암의 한 평생의 삶은 진실하였고, 겸손하였으며 항상 시간을 투자하여 기도에 전념하신 목회자요, 저술가요, 신학자이셨다. 필자는 이런 성사와 같으신 스승으로부터 3년 동안 신학교육을 배웠고, 그리고 필자가 신학교육을 마친 후 약 10여 년 동안 정암과 함께 신학교육에 참여하는 특권을 누렸다. 정암에게 감사하고 하나님께 영광을 올려 드린다.
브루스 버거스(Bruce P. Baugus),박바울(번역)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출판부 2025 신학정론 Vol.43 No.1
연구는 개혁주의 윤리신학의 형태와 구조를 신학적인 측면과 교회론적인 측면이라는 두 가지로 넓게 구분하여 추적한다. 신학적인 측면에서는 개혁주의 윤리신학의 멜란히톤(Melanchthon), 찰스 호지(Hodge), 윌리엄 에임스(Ames), 아미라우트(Amyraut), 피에르 드 라 플라스(Pierre de la Place)를 비롯한 여러 학자들의 업적을 통해 살펴본다. 특히 개혁주의 윤리신학에 아미라우트는 십계명, 자연법, 그리고 도덕법의 중요 연관성으로 기여를 했다. 라 플라스는 도덕 철학과 비교하여 윤리신학의 구별성과 우월성을 이야기 하면서 도덕 철학의 많은 부분이 저연법적으로 올바를 수 있고 윤리신학과 상충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또한 신학적 관점에서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과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에 나타나는 윤리신학의 체계를 언급한다. 교회론적 측면에서 특별히 개혁주의 기독교인들은 학문적 이정표 뿐만 아니라 설교, 주석, 참회 수첩(penitential manuals), 공의회 결정과 같은 교회에서 생산되고 교회를 위해 만들어진 자료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한다. 저자에 의하면 개혁주의 윤리신학은 신학적이고 교회론적인 학문이고 십계명을 우선순위로 삼고, 성경이 주요한 원천이라는 것을 근거로 한다. 십계명의 두 표는 윤리신학과 하나님과 이웃에 대한 사랑에 관한 두 가지 가장 큰 계명에 대한 관계를 보여준다.
이승구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출판부 2022 신학정론 Vol.40 No.1
생태 위기와 관련해서 그 동안 제시된 다양한 신학들을 개괄하여 본 후에 진정한 기독교 생태산학이 제시되기 위해서는 (1) 보편구원론적 사유나 그런 인상을 주는 표현이 있지 않도록 해야 하고, (2) 만유재신론(panentheism)적 사유나 그런 시사가 있지 않도록 해야 하며, (3) 진화론을 받아들이면서 생태 문제에 답하려는 태도를 버려야 하고, (4) 삼위일체적 생태 신학이 되어야 하고, (5) 신인협력주의적 사유나 그런 시사가 있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제안하면서, 동시에 생태적 성경해석이 과연 어떻게 시도될 수 있는지를 제안하고, 녹색 교회와 녹색 그리스도인 되기 위한 실천적 제안으로 마무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