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목적 유전자 알고리즘기반 소프트웨어 모듈에 대한 신뢰성 할당 최적화

        김국현(Gookhyun Kim),구태완(Taewan Gu),백종문(Jongmoon Baik) 한국정보과학회 2012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9 No.3

        소프트웨어 개발 초기 단계에서 소프트웨어 신뢰성 목표가 설정되면, 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각각의 하위 모듈들에 대한 신뢰성 목표를 설정해야 하며, 이 작업을 소프트웨어 신뢰성 할당이라고 한다. 이때 하위 소프트웨어 모듈들에 대한 신뢰성 목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로는 개발 일정, 비용, 그리고 소프트웨어 신뢰성과 같은 요소들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신뢰성을 최대화 하거나 또는 개발 비용을 최소화 하는 오직 하나의 요소만을 고려하여 하위 소프트웨어 모듈들에 대한 신뢰성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하지만 각 하위 소프트웨어 모듈들이 갖는 높은 상호 연관성 때문에, 하나의 요소만을 고려한 신뢰성 목표 할당은 최종 소프트웨어 신뢰성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이라 보기 어렵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다목적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 신뢰성과 예산을 고려하여 하위 소프트웨어 모듈 신뢰성 할당을 최적화 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된 신뢰성 할당 기법을 사례 연구를 통해 프로젝트 관리자가 소프트웨어 신뢰성 할당 단계에서 전체 소프트웨어 신뢰성 목표와 비용을 동시에 고려한 균형 있는 신뢰성 할당을 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비용을 최소화와 동시에 소프트웨어 신뢰성을 최대화 시켜 자원 이용의 효율성과 소프트웨어 신뢰성 목표 달성 정도를 극대화 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It is necessary to allocate software reliability for individual modules in the software system after software system reliability goal is established in the early development phase. Software reliability, cost, and schedule should be considered when we allocate software reliability. However, existing approaches tried to allocate software reliability with the maximization of software reliability or the minimization of cost. That is, the objective is only one. It is inappropriate approach to allocate software reliability which considers an objective because of high correlation among software modules. This paper proposes an approach to optimize software reliability allocation for software module with consideration of software reliability, cost, and schedule, which is based on multi-objective genetic algorithm. We also show project manager can achieve balanced software reliability allocation through a case study, which our approach is applied. Our approach help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resource uses and maximize the degree of software reliability goal achievement.

      • KCI등재

        로트의 신뢰성 보증 샘플링검사 방식에 대한 연구

        백재욱 산업진흥원 2023 산업진흥연구 Vol.8 No.1

        Sampling inspection methods for quality control have been proposed a lot in the industry. However, the sampling inspection method for reliability, which is a quality over time, has been relatively less presented, and there are not many literatures that are clearly summarized.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the reliability conformity test to verify that the reliability evaluation scale value of the target is satisfied during the reliability test. To this end, first, we look at the conditions that both consumers and producers can satisfy in terms of the OC curve and find out what sampling methods satisfy the desired level of producer risk and consumer risk. Next, two methods of the reliability sampling methods such as attribute and variable reliability sampling methods are examined. Specifically, the attribute reliability sampling method is a form of sampling plan where n samples are tested for a certain period of T hours and the lot is accepted if the number of failures is less than or equal to a certain number c. On the other hand, the variable reliability sampling method is a form of sampling plan where the lot is accepted if the reliability evaluation scale such as MTBF satisfies a certain standard. Both sampling plans may also use inspection tables. 품질관리를 위한 샘플링검사 방식은 산업계에서 많이 제안되어왔다. 하지만 시간을 염두에 둔 품질인 신뢰성에 대한 샘플링검사 방식은 상대적으로 덜 제시되었으며, 일목요연하게 요약한 문헌도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이에 여기에서는 신뢰성 시험 중 대상 제품의 신뢰성 평가척도값이 목표로 하는 값을 만족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신뢰성 적합시험의 설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를 위해 먼저 소비자와 생산자가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조건은 무엇인지 OC곡선의 측면에서 살펴보면서 원하는 수준의 생산자위험과 소비지위험을 만족하는 샘플링검사가 무엇인지 알아본다. 이어서 신뢰성 샘플링검사 방식은 계수형과 계량형의 두 가지 방식이 있으므로 이들에 대해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계수형 신뢰성 샘플링검사방식은 대상 제품 중 n개의 시험품을 샘플링하여 일정 기간인 T시간 동안 시험하여 고장발생수가 c개 이하이면 합격시키는 형태이고, 계량형 신뢰성 샘플링검사 방식은 n개의 시험품을 미리 정한 기준의 시험시간 동안 시험하여 얻어진 시험 데이터를 이용하여 MTBF와 같은 신뢰성 평가척도값을 계산한 후 이 값이 일정 기준을 만족하면 합격시키는 형태이다. 계수형이든 계량형 신뢰성 샘플링검사이든 검사표를 이용할 수도 있다.

      • KCI등재

        소프트웨어 개발 초기 단계에서 정량적 소프트웨어 신뢰성 목표 설정 방법

        구태완(Taewan Gu),김국현(Gookhyun Kim),백종문(Jongmoon Baik) 한국정보과학회 2011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8 No.5

        소프트웨어 규모와 복잡도가 증가함에 따라 소프트웨어 품질, 특히 신뢰성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100% 완벽한 소프트웨어 신뢰성 보장은 불가능하고, 모든 소프트웨어 제품이 높은 수준의 신뢰성을 갖기 위해서는 많은 개발 비용과 노력이 소요된다. 그러므로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와 대상 소프트웨어의 목적에 맞는 신뢰성을 갖도록 소프트웨어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초기 소프트웨어 개발 단계에서 소프트웨어 신뢰성 목표 설정을 지원하는 정량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 소프트웨어 신뢰성 연구에서 신뢰성 목표는 도메인 전문가의 경험에 근거한 정성적 목표 설정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동일한 도메인에서도 소프트웨어 용도에 따라 개발 자원, 비용, 그리고 소프트웨어 제품의 목표 신뢰성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정성적 목표값만으로는 소프트웨어 개발 및 신뢰성 분석/평가가 올바르게 수행되기 어렵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1) 소프트웨어 개발에 사용되는 자원과 비용, 그리고 소프트웨어 제품이 갖는 품질에 대한 trade-off를 파악할 수 있도록 비용 척도 및 제품 척도를 정의하고, (2) 이러한 비용 요소 및 제품 요소의 trade-off 결과를 조율하여 적정 수준의 자원 및 비용을 활용하면서도 소프트웨어 신뢰성을 최대화 할 수 있도록 의사 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을 정의한다. 끝으로 (3) 실제 산업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사례 연구를 통해 보인다. As software size and complexity have been increased, the importance of software quality, especially software reliability, has been more emphasized than ever. However, it is impossible to guarantee 100% software reliability and it requires a lot of development cost and efforts to develop high reliable software products. Therefore, a software product should be developed with an appropriate software reliability goal that is fit to software development project and the usage of target software. In this paper, we proposed a technique to support a quantitative software reliability goal setting in the early stage of a software development life-cycle. Existing software reliability studies focuses on the qualitative expert’s knowledge and experiences in the specific domain. However, this qualitative way makes it difficult to accomplish the software development and reliability analysis because software development resources, costs and the reliability goals are different each other even if software products are developed in the same domain. Our contributions of this paper are followings: (1) we define sets of the cost related parameters and product related parameters to identify the trade-offs between software development cost and software reliability goal. (2) we resolve the trade-off results to maximize the software reliability using optimal software development cost and resources. Finally, (3) we show that the proposed way is useful through the case study with industry data which comes from our past projects.

      • KCI등재

        시맨틱 서비스 플랫폼상에서의 신뢰성 비교 평가 (pp.105-109)

        정한민(Hanmin Jung),이미경(Mikyoung Lee),류범종(Beom-Jong You),김도완(Do-Wan Kim) 한국정보과학회 2010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6 No.1

        정보화 사회 핵심 인프라인 웹 상에서 수많은 정보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지만, 차세대 웹이라 일컫는 시맨틱 웹 기술을 활용한 시맨틱 서비스는 그 숫자나 서비스 제공 범위에 대한 공감대에 있어서 아직 성숙되지 못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2개의 시맨틱 서비스들의 동일한 세 가지 기능들을 비교 평가하는 방식으로 시맨틱 서비스를 개발함에 있어 반드시 고려해야 할 신뢰성을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 것인지 그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비교 대상 시스템의 신뢰성 측정을 위해, 피실험자의 기대-결과 신뢰성과 작업 정확도 측정이 관찰자 관점에서 수행되었으며, 다른 한편으로, 기능적 신뢰성과 정보 신뢰성 스칼라 값(0~5)을 피실험자 스스로 벡터 그래프에 나타내도록 하였다. 실험결과는 관찰자에 의한 평가 값과 피실험자에 의한 평가 값이 매우 유사함을 보여 주었으며, 서비스된 정보의 정확성과 작업 수행의 만족성이 사용자 관점에서 상호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는 사실을 확인하여 주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우리는 시맨틱 서비스가 제공하는 기능적 신뢰성과 기능 수행의 결과로 서비스되는 정보에 대한 신뢰성이 정보 시스템의 신뢰성 평가를 위한 필수적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신뢰성은 시맨틱 정보 서비스에서 사용상 품질 (Quality in Use)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서비스의 사용상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실증하였다. While numerous information services are provided on the Web as a core infrastructure of information society, semantic services using the Semantic Web technologies still stay deployed number and application range. This situation would be mainly originated from the failure of securing reliability to the user. Thus, this paper introduces an evaluation method for measuring reliabilities of the semantic services comparatively. To measure the reliability of the compared systems, the observer assesses ‘precision in task performance’ as a quantitative analysis and ‘reliability of expectation-result’ as a qualitative analysis described by the test persons. On the other hand, the test person should rate the functional reli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served information on the vector graph by himself with a scale from 0 to 5.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assessment by the observer is very similar to rating value by test persons, and that the accuracy of the served information has a close effect on the functional reliability. Through this paper, we can verify the essential factors for evaluating the reliability of semantic service systems. These are functional reliability and reliability of served information resulting from function execution. In particular, it has been proven that the reliability of the semantic information services largely influences the “Quality in Use” and therefore determines the major factors of the semantic service reliability.

      • KCI등재

        발생액의 신뢰성과 지속성 사이의 관계

        이세용 한국세무학회 2016 세무와 회계저널 Vol.17 No.1

        After Sloan published his seminal paper of accruals anomaly in 1996, many studies showed that accrual persistence is lower than cash flow persistence while examining accruals anomaly, which is attributed to managers’ subjectivity in the accounting process. According to the belief, most studies provide the evidence that the estimation error of accruals results in lowered accruals quality’ leading to lowered accrual persistence. In addition to these prior studie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accrual persistence is well explained with accrual reliability suggested by Richardson et al.(2005, hereafter RSST). Related to accrual reliability, RSST argued and evidenced that accrual persistence is lowered with the decrease in accrual reliability. However, RSST didn’t provide the perfect evidence of their argument in that they separated accruals into sub-components of accruals and gave them the reliability level based on their own subjective judgements, instead of estimating directly the accrual reliability. To promote RSST’s results, this study estimated directly the accrual reliability, following RSST’s definition of accrual reliability, through dividing the variance of accrual estimation error by the variance of accruals and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the accrual persistence and the directly estimated accrual reliabil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Consistent with RSST’s arguments, the accrual persistence becomes lower(higher) with the decrease(increase) in accrual reliability. In addition, this result is not changed in the following situations:1) in the situation that the accrual reliability is standardized into the range of [0, 1], 2) in the situation that the sample is limited to 1999-2009 when KIFRS is not applied, 3) in the situation that the accrual reliability is measured using standard deviation instead of variance, and 4) in the situation that the accrual estimation error is measured using the method used in Ball and Shivakumar(2006). Sloan(1996) 이후, 발생액 이상현상에 대한 많은 연구들에서 발생액의 지속성은 현금흐름의 지속성보다 낮다는 실증결과들이 일관되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서 선행연구들은 발생액에 대한 회계처리에 경영자의 주관성이 개입되기 때문이라는 관점을 견지하고 있다. 그러한 관점의 타당성을 증명하기 위해 대부분의 연구들은 발생액 측정오차에 따라 발생액의 질이 저하되고 이로부터 발생액의 지속성이 낮아진다는 실증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선행연구에 대하여 Richardson et al.(2005, 이하 RSST)가 제시한 발생액의 신뢰성이라는 측정치가 발생액의 지속성을 보다 잘 설명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발생액의 신뢰성과 관련하여 RSST는 발생액의 신뢰성이 감소하면 발생액의 지속성 역시 감소한다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이를 실증하였다. 그러나 RSST는 발생액의 신뢰성을 직접 측정하지 않고 발생액을 구성하는 하위요소들에 대해 주관적인 신뢰성 수준을 부여하여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스스로 제시한 이론을 완벽하게 실증하였다고 볼 수는 없다. 이에 본 연구는 Dechow와 Dichev(2002, 이하 DD) 모형에 따라 발생액 측정오차를 측정하고 이측정오차의 분산을 발생액의 분산으로 나누어 RSST가 제시한 발생액의 신뢰성을 직접 측정하여발생액의 신뢰성과 발생액의 지속성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RSST의 주장대로 발생액의 신뢰성이 감소(증가)함에 따라 발생액의 지속성이 감소(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발생액의 신뢰성을 [0, 1] 사이의 값으로 표준화하는 경우에도, K-IFRS가 적용되지 않은 2009년까지의 자료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발생액의 신뢰성을 표준편차로 측정하는 경우에도, 그리고 발생액 측정오차를 Ball과 Shivakumar(2006)의 방법으로 측정하는 경우에도 달라지지 않았다.

      • KCI등재

        IPE 신뢰성 확보를 위한 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 및 운영에 대한 사례 연구

        신일항 ( Ilhang Shin ),윤인경 ( Inkyung Yoon ) 한국회계학회 2022 회계저널 Vol.31 No.5

        최근 상장기업에서 발생한 횡령사건으로 인해 효과적인 내부회계관리제도의 구축과 운영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018년 개정 외감법이 시행된 이후, 내부회계관리제도 관련 규정들이 전면 재정비 되면서 회사와 감사인은 많은 변화에 직면하였다. 회사는 정교하고 효과적인 내부회계관리제도를 설계 및 운영할 것을 요구받게 되었고 감사인은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해 합리적 확신을 제공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회사가 생산한 정보인 IPE(Information produced by entity)의 신뢰성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IPE는 회사가 생산하고 통제활동에 이용하는 정보이므로 회사의 통제활동이 적절히 설계 및 운영되고 있다 하더라도 그 통제활동 운영 시 사용되는 IPE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통제절차가 미비하다면 해당 통제는 효과적이라고 볼 수 없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내 상장사 A사의 신뢰성 확보체계 구축 사례를 통해 IPE의 신뢰성이 어떠한 방식으로 확보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A사는 통제활동의 운영에 사용되는 IPE를 식별하고 해당 IPE가 가지고 있는 위험을 파악한 후, 해당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통제 절차를 구축함으로써 IPE의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IPE 관련 통제절차는 투입데이터에 대한 신뢰성 검토, 데이터의 입력·이관·통합 과정에 대한 무결성 검토, 데이터의 시스템 추출 시의 완전성 검토로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각 IPE가 가지고 있는 위험이 감소되고 신뢰성이 확보된다. 본 연구는 규제환경의 변화에 따라 IPE의 신뢰성에 대해 고찰하고 내부회계관리제도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IPE의 신뢰성 확보 체계 구축의 실례를 제시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공헌점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한 감사를 후속적으로 도입하는 상장사, IPO나 합병으로 인해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한 정교화 및 고도화를 고려하고 있는 기업들, IPE를 감사에 활용하고자 하는 감사인들 및 관련 규제기관에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ly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the effectiv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internal control system in relation to embezzlement cases of listed companies . Furthermore, the ne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nal control system is increasing, as the mandatory audit of the internal control system applied to all listed companies is adopted. With the enforcement of the amendment of the External Audit Act in 2018, internal control system-related regulations were completely overhauled, and companies and auditors have faced many changes. As required by the amended internal control system conceptual framework and best practices, a company is required to design, build, and operate an improved internal accounting management system. The external auditor is required to provide reasonable assurance through various verification procedures for the internal control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amended auditing standards. Due to changes in the regulatory environment, the importance of the reliability of information produced by entity (IPE) has emerged. IPE refers to information generated in a company’s information system and used when the company operates its controls. Information can only be used meaningfully when it is based on reliable data. Therefore, even if the design and operation of a company’s internal control system is properly performed, it cannot be considered reliable and effective without a system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IPE . In other words,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IPE is an important requirement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internal control system and to improve and develop the internal control system.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how reliability of IPE was secured through the case of establishing a reliability system for domestic listed company A. Company A identified input risk, integrity risk, and extraction and processing risk related to IPE by business process in order to secure reliability of IPE, and designed and operated IPE-related control procedures to reduce the risks . The IPE-related control procedure consists of reviewing the reliability of input data to reduce the input risk, checking the integrity of whether data input, transfer, and integration are properly performed to reduce the integrity risk, and examining the completeness of the extraction to ensure that the data is completely extracted from the system to reduce the risk of extraction and processing. Through this procedure, Company A improved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nal control system by reducing the risks of IPE for each process and establishing a system to secure reliability. Furthermore, Company A built the foundation to more actively respond to changes in the regulatory environment. This study, as a study of the company’s IPE reliability securing system by paying attention to the reliability of information emphasized in the revised internal control system regulations, makes the following contributions. First, this study makes academic contributions in that it considers way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nal accounting management system by securing the reliability of IPE and to expand the scope of academic research related to the internal control system. Second, there is a practical contribution in that the process of identifying IPE and securing reliability (a requirement for a company to improve and advance the internal control system and a consideration when an external auditor audits the internal control system) is presented as a practice. Lastly, this study has institutional contributions in that it helps to enhance the useful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and to achieve transparency in the capital market by providing the basis for establishing detailed guidelines for improving the internal control system to regulator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to listed companies subsequently introducing audits for internal control systems, companies considering improvement and advancement of internal control systems due to IPOs or mergers, auditors who want to utilize IPE for auditing, and regulators.

      • KCI등재

        유료도로 선택자료를 이용한 통행시간 신뢰성의 가치 추정

        최영은,김성수 한국교통연구원 2018 交通硏究 Vol.25 No.2

        In recent years, due to the increase in income and quality of life that brings about the increase in various production activities and traffic,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to reflect the improvement of the travel time reliability in decision-making of transport infrastructure implementation. The most effective way to incorporate the travel time reliability in decision making process is to reflect the improvement in travel time reliability in the cost benefit analysis and thus it is necessary to estimate the value of travel time reliability. This paper estimates the value of travel time reliability based on the passenger car users’ choice behavior of toll roads. IC choice data from Travel Diary Survey Data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annual speed data are used to measure travel time, travel cost, and travel time standard deviation for 353 samples of individual passenger car users. The mixed logit model i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ffic time reliability and the choice of toll roads and the resul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stimated value of travel time reliability is to be 39,613 KRW/ person-hour and the RR(Reliability Ratio) 1.31. Peak time users turn out to have a higher RR. 최근 소득 증가에 따른 삶의 질 향상과 상호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생산 활동 및 통행의 증가로 인하여 통행시간 신뢰성에 대한 관심과 이를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이 증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에서는 통행시간 신뢰성 개선 효과를 교통부문 사업의 의사 결정에 반영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통행시간 신뢰성 개선효과를 의사결정 과정에 가장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방법은 비용편익 분석에 통행시간 신뢰성 개선편익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통행시간 신뢰성의 가치를 추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행시간 신뢰성의 가치를 추정하기 위해 2010년 수도권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에서 수집한 353개 통행의 유료도로 선택자료를 활용하였으며, 1년간 통행속도 자료를 이용하여 통행시간대를 고려한 개별 통행자의 통행시간, 통행비용, 통행시간 표준편차 변수를 구축하였다. 혼합 로짓모형을 이용하여 유료도로 선택모형을 추정한 결과 통행시간 신뢰성은 승용차 이용자의 유료도로 선택행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합 로짓모형을 통해 추정된 통행시간 신뢰성의 가치는 39,613원/인-시간이며, 통행시간 가치 대비 통행시간 신뢰성의 가치를 의미하는 신뢰성 비율인 RR(Reliability Ratio)은 평균 1.31이고, 첨두시는 이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감사위원회가 발생액의 신뢰성에 미치는 영향

        문해원,조은혜 한국경영교육학회 2015 경영교육연구 Vol.30 No.2

        From 2011, Korea have applied Korea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K-IFRS) to all listed companies. K-IFRS presents relevance and faithful representation as key qualitative characteristics in conceptual framework for financial reporting. However, IFRS adoption may impair the reliabi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because of high degrees of subjectivity. Thus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accruals have different persistence depending on its degree of reliability. Also given the main role of audit committee is to enhance the reliability of financial reporting, we examined whether audit committee improves the accrual reliability. The sample consists of firms listed in Korean Stock Exchange(KSE) between 2000~2012. The level of accrual reliability is based on Richardson et al.(2005). We partition total accrual into working capital accrual, net non-current operating asset accrual, and net financial asset accrual. The result shows that separated accruals are all less persistent than the cash flow. And each separated accrual has different persistence depending on degree of reliability. The accrual quality is not different before and after IFRS adoption. The introduction of an audit committee improves accrual reliability, firms with high level in audit committee’s independence or activity or expertise have more persistent accrual than firms with low level. Finally, firms with all audit committees’ characteristics simultaneously have more persistent accrual. So these empirical findings imply that mix of three audit committee’s characteristics is important in improving accrual reliability. 우리나라는 2011년부터 모든 상장기업에 대하여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이하 K-IFRS)을 적용하고 있다. K-IFRS는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에서 목적적합성과 충실한 표현을 유용한 재무정보의 질적 특성으로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K-IFRS는 전문가적 판단 및 추정으로 회계정보의 신뢰성이 훼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관성이 개입될 여지가 있는 발생액이 신뢰성 정도에 따라 차별적 지속성을 가지는지 검증하고, IFRS 도입전·후간에 발상액의신뢰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며, 신뢰성 높은 회계정보 제공을 위한 대표적 장치인 감사위원회의 순기능을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Richardson et al.(2005)에 근거해 발생액의 신뢰성 수준을 구분하고 차별적 지속성을 나타내는지 검증했다. 그리고 감사위원회의 설치 및 특성이 발생액의 신뢰성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는지 실증분석 했다. 총발생액을 순운전자본발생액, 비유동순영업자산발생액, 그리고 순금융자산발생액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현금흐름보다 신뢰성이 낮은 발생액 세부항목은 모두 현금흐름 보다 지속성이 낮았다. 그리고 세부 발생액 항목도 신뢰성에 따라 지속성이 차별적이었다. 감사위원회의 설치여부 자체는 총발생액의 신뢰성을 증진시키지 못하지만, 감사위원회의 전문성, 독립성, 그리고 활동성은 모두 총발생액 및 세부 발생액의 신뢰성을 부분적으로 증진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독립성, 활동성 그리고 전문성을 모두 갖춘 경우 총발생액 및 세부 발생액의 지속성을 모두 개선시켜 감사위원회의 긍정적 특성의 결합이 중요함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포괄적 발생액을 대상으로 차별적 특성을 규명하였을 뿐 아니라, 감사위원회의 순기능에 대한 실증결과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공헌점을 가진다.

      • KCI등재후보

        신뢰성 성장 기반의 유도무기 시험평가 방안 연구

        김두현,김상훈 한국방위산업학회 2014 韓國防衛産業學會誌 Vol.21 No.3

        본 연구는 연구개발단계에서 유도무기 시험평가를 신뢰성 성장 관리를 통해 수행 가능성을 연구한 것이다. One-Shot 체계인 유도무기가 개발자․제작자에 의해 생산․배치된 후 사용자인 군의 초기 운용과정에서 불명중되면 시험평가 방법의 적절성에 논란이 제기된다. 이에 따라 현재의 명중률 중심 시험평가를 보다 합리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신뢰성 성장(Reliability Growth) 관점에서 수행하는 방안으로의 적용 가능성을 사례 분석을 통해 제안하였다. 신뢰성 성장 분석을 위해 현재 미육군에서 사용하고 있는 RGA(Reliability Growth & Repairable System Data Analysi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향후에는 적용 가능성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유도무기 시험평가시 신뢰성 성장 관리모델 및 절차를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on the method of the guided missile test and evaluation based on the Reliability Growth Management i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stage. The Guided Missile One-shot System is often the subject of disputes on the appropriateness of its test and evaluation process when misfiring occurs in the initial operation phase. In this paper, the Reliability Growth method is present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guided missile test, instead of the Hit-Probability-oriented test. Though the results of the Development Test (DT) and the Operational Test (OT) of the guided missile have been accepted based on the hit probability test criteria, this paper analyzes the proper performance of the objective reliability analysis from the viewpoint of reliability. For the reliability tracking and projection, this paper analyzes the data with the Reliability Growth & Repairable System Data Analysis (RGA) software, which is being used for the Army Materials System Activity (AMSAA) of the US army. Finally, the guided missile test method was proposed according to the reliability growth management, and the additional study was presented.

      • AF 궤도회로에 대한 시스템 신뢰성과 유지보수 신뢰성에 대한 분석기법 연구

        오왕석(Oh, Wang Seok),구정서(Koo, Jeong Seo) 대한기계학회 202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1 No.4

        본 연구에선 세계적인 트랜드인 철도제작사가 설계부터 운영까지 종합 솔루션을 가지고 턴키 사업으로 운영되고 있는 설정이다. 따라서 시스템 관점에서 신뢰성을 바라본 것을 확대하여 운영적 측면에서까지 신뢰성을 바라보게 되고, 운영 시 비용을 줄이기위한 노력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AF 궤도회로 사례를 적용하여, 시스템 신뢰성과 유지보스 신뢰성에 대해 각각 FMEA 기법을 이용하여 설계 제작단계의 FMEA 와 운영단계의 유지관리에 적합한 FMEA 실시 절차와 방법을 비교분석 하였다. 시스템 신뢰성과 유지보스 신뢰성을 분석하는 기법들은 많으나,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기법인FMEA(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를 통해 실제로 국내 철도차량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기술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유지보수 신뢰성 확보를 위해 국내에 적용중인 RCM(Reliability Centered Maintenance) 절차에도 포함되어 적용되고 있다. 즉, 국내에 도입된 RCM에서 수행되는 FMEA는 일반적인 시스템 FMEA를 수행하고 이를 유지보수 항복 선정에도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과도한 유지보수 비용일 초래하는 결과를 낳는다. 본 연구에서는 FMEA를 수행 시점과 목적에 따라 다른 형태로 수행되어야 한다는 전제하에, AF 궤도회로 사례를 적용하여, 시스템 신뢰성과 유지보스 신뢰성에 대해 각각 FMEA 기법을 이용하여 설계 제작단계의 FMEA 와 운영단계의 유지관리에 적합한 FMEA 실지절차와 방법을 비교 분석하여, 시스템 신뢰성 확보를 위해 수행되는 FMEA 결과를 RCM에 적용하는 경우와, 유지보수 신뢰성 확보를 위해 수행되어야 하는 FMEA 결과에 따른 RCM 적용 결과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비교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고장모드별 정비를 기준으로 유지보수 신뢰성 관점에서 연간정비횟수를 산정한 결과는 시스템 신뢰성 관점에서의 결과와 비교하여 약 62% 수준으로 정비횟수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장치별로 가장 빠른 주기를 기준으로 정비횟수를 산정할 경우에는 시스템 신뢰성 분석 결과 대비 약 55% 수준까지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In this study, it is a global trend that railway manufacturers are operating as a turnkey business with a total solution from design to operation. Therefore, by expanding what looked at reliability from the system point of view, it looked at reliability from the operational side, and more attention is given to efforts to reduce to operation costs. In this study, AF track circuit case is applied to compared and analyzed the FMEA implementation procedure and method suitable for the FMEA in the design and manufacturing stage and the maintenance in the operation stage by using FMEA techniques for system reliability and maintenance reli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