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서 토론 프로그램의 확대 개편에 따른 운영 및 효율화 방안 - 동국대 경주캠퍼스 사례를 중심으로

        조아라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교양교육연구 Vol.10 No.2

        오늘날 대학에서는 학생들의 독서를 장려하여 논리적 사고를 증진시키고 의사소통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독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런 현상은 대학생의 자율적인 독서 문화를 형성하고, 적절한 독서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2015년 2학기부터 동국대 경주캠퍼스는 학내에 역량 있는 다수의 멘토를 양성하여, 독서-토론-글쓰기 활동을 하나의 자율적인 교내 문화로 확산시키고자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논문은 동국대 경주캠퍼스에서 2015년 2학기부터 운영한 독서 토론 프로그램의 운영 개요와 특징, 지도안 양식, 환류 시스템 설문 문항 등을 소개하고 있다. 2011년부터 기존에 운영했던 ‘독서 멘토링’을 확대 개편하여 신설된 ‘책 읽는 동국’은 글쓰기교육센터와 도서관이 협조 운영하며 교양교육을 제공하는 대표적인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동국대 독서 토론 프로그램의 운영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과 글쓰기교육센터의 협업으로 운영하였다. 둘째, 신청 방법을 다양하게 하여 자발적 참여도를 높이고, 여러 가지 독서 모형을 마련하였다. 셋째, 선정 도서 대출 시스템을 도입하여 참가 학생들이 흥미와 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도움을 주었다. 실제 참여 학생들에게 조사한 ‘대출 시스템 만족도’는 5점 만점에 4.7으로 높게 나왔다. 넷째, 담당 교수는 지도안을 통해 주차별 피드백을 진행하였다. 지도안에는 프로그램 개요, 지도 목표, 지도 형태, 지도 방식, 지도 내용(주제, 목표, 내용), 활동 형태, 우수 활동자 등을 기술하게 되어 있다. 프로그램 종료 시에는 프로그램 만족도를 설문조사하여 제반 사항에 대한 문제점을 살펴보고, 운영에 참고할 개선 사항을 점검하고 있다. 2016학년도 1학기에 실시한 만족도 설문조사에 따르면 학생들의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긍정적이라고 볼 수 있다. 앞으로도 수요자인 학습자들의 반응과 요구를 분석하여 체계적인 독서 토론 프로그램을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다. 아직 운영과 관련하여 개선 사항이 남아있지만, 이 논문에서는 독서토론 프로그램의 운영 절차와 교육적 의미를 탐색함으로써 교수와 실무 운영진, 학생들이 독서토론 프로그램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에 의의가 있다. Today, universities operate various reading programs in order to encourage reading of students, to improve their logical thinking, and to strengthen communication ability. Such phenomenon means that it is necessary for university students to form voluntary reading culture and to have adequate reading education. Gyeongju Campus of Dongguk University fostered many competent mentors in the campus from the 2nd semester 2015 and operated a program to spread reading-discussion-writing activities as voluntary campus culture. This thesis introduces operation summary and characteristics of reading and discussion program managed by Dongguk University, Gyeongju Campus from the 2nd semester 2015, instruction plan form, feedback system questionnaire items, and others. “Dongguk Reading a Book“ which was newly-organized after expanding previous "Reading Mentoring" since 2011 became a representative extracurricular program providing a liberal education in collaboration with the Writing Education Center and the library. Following ar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reading and discussion program of Dongguk University. First, it was operated in collaboration with the library and the Writing Education Center. Second, it raised voluntary participating level and prepared many reading models through various application methods. Third, it introduced lending system of selected books and helped participating students improve interest and satisfaction. 'Satisfaction degree of lending system' assessed by actually participating students was high enough as much as 4.7 out of 5 points. Fourth, the professor in charge performed weekly feedback through a guidance plan. It was necessary to describe program summary, guidance objective, guidance form, guidance method, guidance contents (subject, target, content), activity form, and excellent participants in the guidance plan. Upon completion of the program, it conducts questionnaire survey of program satisfaction to investigate any problems and to check any improvements for reference to operation.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survey made in the 1st semester of 2016, students' satisfaction was high in general. It is believed that recognition of students on the program is affirmative. It is required to analyze reaction and needs of students as consumers from now on and then, to provide them with systematic reading and discussion programs. There are some pending improvements related to operation but this thesis aimed to explore operational procedures and educational meaning of the reading and discussion program so that it may give a help for professors, working group, and students to understand reading and discussion program.

      • KCI등재

        공공도서관 어린이 독서프로그램의 효과 측정 영역 개발에 관한 연구

        임여주,정연경 한국문헌정보학회 2014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8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public library reading programs for children in qualitative way and to apply the outcomes to identify areas to measure the success of library reading program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2013 Reading Books with Libraries’ program and adults who were in charge of managing the program. Observations on the program were also conducted. The findings indicate that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2013 Reading Books with Libraries’ program positively changed in various aspects. Selected areas to measure the success of library reading programs include: reading behavior; attitude to books; awareness of libraries and librarians; participation of library reading programs; the ability to read aloud; the ability to comprehend stories by listening; aggression; the ability to express one’s own feelings; speech ability; concentration power; and undiscovered potential. The elements that affect the success or failure of library reading programs include: librarian’s enthusiasm on running the reading program; environmental condition of the community child care center; age differences between child participants; running style of the instructor’s program; selection of books; child participants’ reading abilities and interests in reading; available time for free voluntary reading.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어린이 대상 독서프로그램의 효과를 정성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독서프로그램의 성과 측정 영역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3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사업에 참여하는 도서관의 독서프로그램어린이들, 프로그램 담당자들과 면담 및 관찰을 하였고 독서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프로그램에 참가한 어린이들은 대체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며 독서프로그램의 효과 측정 영역이 책 읽기와 책에 대한 태도, 도서관과 사서에 대한 인식, 독서프로그램의 참여도, 소리 내어 읽는 능력, 이야기를 듣고 이해하는 능력, 공격성, 자신의 감정 표현 능력, 발표력, 집중력, 잠재력으로 나타났다. 또한 독서프로그램의 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사서의 적극적인 노력, 지역아동센터의 환경, 학년 구성, 강사의 수업 구성 방식, 독서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책의 선정, 독서프로그램 참가 어린이의 독서능력 및 독서에 대한 관심, 자유시간의 제공 여부를 들 수 있었다.

      • KCI등재

        대학생을 위한 독서프로그램 운영 사례연구 : 비판적 읽기를 중심으로

        김은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8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critical reading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The critical reading program was conducted 19 times 7 month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6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teacher-student reading program of S Women’s University, on whom the researcher executed an interview for a qualitative case study. Specifically, it investigated the students’ motive to participate in the reading program, what change they had through this activity, and what turns out to be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is experience. Also,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cale, the debate competence scale, the writing self-efficacy scale, the speaking self-efficacy scale and the reading self-efficacy scale had been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critical reading program.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collected quantitative data from the scale was statistically analyzed by nonparametric test of SPSS 20.0, in terms of the difference of means from the pre test and post test. As a result, the critical reading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tudents' writing self-efficacy, reading self-efficac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the meeting students' reading was expressed the social community in terms of membership, knowing, risk, responsibility. The factor of critical reading program educational experience was cognitive, affective, social. Tthe most important step of critical reading was evaluative reading and creative reading. 본 연구는 비판적 읽기 중심의 독서프로그램을 운영하여 교육적 효과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독서프로그램에 대한 제안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S대학 사제동행독서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 6명을 대상으로 7개월간 19회에 걸쳐 비판적 읽기 중심 독서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양적 측면에서 프로그램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사전-사후로 비판적 사고성향, 토론능력, 쓰기효능감, 말하기효능감, 읽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질적인 측면에서는 독서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동안 변화를 탐색하기 위해 모임 후 설문조사를, 프로그램 후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비판적 읽기 중심 독서프로그램은 쓰기효능감과 읽기효능감, 비판적 성향의 하위요인 ‘사고의 신중성’ 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질적인 측면에서 학생들의 모임은 ‘멤버쉽, 앎, 위험도, 책임성’ 면에서 사회적 공동체 모습을 나타냈고, 학생들은 인지적, 사회적, 정의적 측면에서 교육적 경험을 보고하였다. 그리고 비판적 읽기단계 중 ‘창의적 읽기’와 ‘평가적 읽기’를 가장 유익한 단계로 보고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독서프로그램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과 제안을 하였다.

      • KCI등재후보

        동국대 경주캠퍼스 비교과 교육과정 프로그램 ‘독서 멘토링’의 운영 사례 연구

        조아라,이윤선,황지영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5 리터러시 연구 Vol.- No.10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Operation and performance on Extra program Reading Mentoring of Dongguk University, Gyeong-ju Campus. Dongguk University, Gyeong-ju Campus has offered 7 sessions of 'Reading Mentoring program' from September 2011 to 2014. Every semester an average of more than 50 people participated. So far, a total of 347 people attended in such programs. In particular, guaranteeing the voluntary activities by introducing systematic mentor system and no one leave during this 9 weeks program is a remarkable achievement. Each team consists of one mentor and 5~7 mentees and they will perform around nine-times mentoring of two books which they have selected. A mentor will lead and support the team members during discussing of the books. The mentors also create a weekly diary discussion. Through this process, the mentor can develop the ability to record and organize to listen to the opinions of team members. Mentees will also participate in group discussions, followed by thorough reviewing of these books. The mentees are able to understand the selected books from various angles through discussion and by debating with fellow members. Basically, a professor took control of every two teams, each team have done mentoring in a specified time and place. Based on every last week results, the best mentor and the mentees used to share an award through a presentation ceremony as encouragement. Above all, students who take part in such programs were very satisfied. Such reading mentoring programs will enhance their self-efficiency, confidence and communication skills and competence. Moreover, these programs have been steadily expanded in the future indicating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se program. Reading Mentoring program is more forward shall be supplemented. First of all, in the case of a book report, it will develop a variety of ways that professor's clinic and mutual feedback team members to improve the writing ability. Besides, meeting time of the adjustment, planning the presentation in advance, widening of opportunities and also a qualitative improvement should be sought. The Reading Mentoring program requires the question 'Why' in the future. To identify the cause and purpose of well reading mentoring system must be a greater contribution to the supplier and the customer. Reading mentoring not only a small reading group recognized that the reading campaign, the conjunction with the curriculum if typical activate the customized reading can be reborn as a model student. 이 논문의 목적은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글쓰기교육센터에서 시행하고 있는 독서 멘토링의 운영 사례를 소개하고 그 성과를 살펴보는 것에 있다. 비교과 교육과정 프로그램인 독서 멘토링 프로그램은 2011년 2학기에 신설되어 매학기 1회씩, 2014년까지 총 7차례의 프로그램이 운영되어 왔다. 매학기 평균 50명에 웃도는 인원이 참가, 지금까지 총 374명이 참가했다. 특히 체계적인 멘토링 시스템을 도입하여 활동에 대한 자율성을 보장하고, 9주 동안 이탈 인원 없이 프로그램이 참여하는 것은 괄목할만한 성과라 할 수 있다. 독서 멘토링은 한 명의 멘토와 5~7명의 멘티가 한 팀을 이뤄 9주 동안 2권의 책을 읽고 토론하는 활동으로 진행된다. 멘토는 책을 통해서 멘티들과 함께 토론을 이끌면서 멘티들을 지원하고, 매주 토론 일지를 작성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멘토는 팀 구성원의 의견을 경청하고 정리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멘티들은 그룹 토론을 통해 서로의 의견을 교환하고 그 결과를 감상문으로 작성한다. 동료 구성원들과의 토론·토의를 통해 멘티들은 다각도로 선정 도서를 이해할 수 있었다. 기본적으로 2팀 당 1명의 지도 교수가 배정되어 팀을 관리하고, 각 팀은 지정된 시간과 장소에서 멘토링을 실시하였다. 마지막 주에는 독서 멘토링 발표회를 개최하여 결과를 공유하고 우수 멘토·멘티에 대한 시상까지 이루어졌다. 이러한 독서 멘토링은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도움을 주고, 종합적 의사소통 능력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무엇보다 참여 학생들이 독서 멘토링 프로그램에 대해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만족하고 있다는 점은 이 프로그램이 앞으로 지속적으로 확대 시행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독서 멘토링은 조금 더 보완되어야 한다. 우선 감상문 쓰기의 경우, 교수의 클리닉, 팀원 상호 피드백 등을 통해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방법이 고안될 예정이다. 그 외에도 모임 시간의 조정, 사전 설명회, 기회의 폭 확대, 질적 향상도 도모해야 한다. 앞으로 독서 멘토링 프로그램에 필요한 과제는 ‘왜’라는 물음이다. 명분과 목적을 잘 파악해야 독서 멘토링 시스템이 공급자 및 수요자에게 기여할 수 있는 점도 많아진다. 독서 멘토링이 소규모 독서 모임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교과와의 연계, 독서 캠페인으로 활성화된다면 대표적인 학생 맞춤형 독서 모델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애독 장려를 위한 공공도서관 방학독서교실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서울 소재 4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정진수 한국문헌정보학회 2014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8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vacation reading programs in promoting children’s love of reading in public libraries. Within the conceptual framework of free voluntary reading (FVR), the study identified the concept of reading that public libraries should pursue in developing children’s reading programs and analyzed current vacation reading programs that four public libraries in Seoul held during winter and summer vacations of 2013. More specifically, the study analyzed (1) their purposes, (2) durations, targeted children groups, the number of children users, (3) their instructors, (4) the content design of the programs, (5) selected books, and (6) completion certificates and rewards for participation. Lastly, the study discussed whether the programs satisfied the characteristics for promoting free voluntary reading and played the roles for vacation reading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e need for shifting the current vacation reading programs to be more inclusive, so that more children can develop to learn love of reading. 본 논문은 독서습관 형성과 독서의 생활화라는 목적을 추구하는 공공도서관을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 애독을 장려하는 ‘즐거운 독서’의 개념과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전통적인 어린이 대상 독서프로그램의 하나인 방학독서교실프로그램 전반을 검토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방향제시를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교육청 소속 4개의 도서관으로부터 2013년 겨울과 여름독서교실 자료를 수집하여 (1) 독서교실의 목적, (2) 독서교실기간, 대상, 모집방법 및 수료인원, (3) 독서교실 담당강사, (4) 독서교실 프로그램 내용구성, (5) 독서교실 선정도서, (6) 독서교실 수료증과 보상에 관한 사항들을 검토분석 하였다. 마지막으로 즐거운 독서관련 선행연구 분석에서 도출된 요소를 적용하여 애독을 장려하는 즐거운 독서를 위한 방학독서교실프로그램 실태를 토론 및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공도서관의 독서교실 확대 운영을 통한 어린이 애독문화 확대를 제안하였고 향후 애독 장려관점의 공공도서관의 독서교실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에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아동복지시설의 독서 프로그램 조사 연구 - 취약계층 아동을 위한 지역아동센터의 사례를 중심으로 -

        이순영 ( Lee Soon-young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7 청람어문교육 Vol.0 No.63

        이 연구는 아동복지시설에서 운영하고 있는 독서 프로그램의 내용과 특성을 분석하고자 기획되었다. 아동복지시설의 독서 프로그램은 취약계층 아동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간 교육과 사회복지 분야에서 모두 적절한 관심을 받지 못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유의표집과 눈덩이표집 방법을 활용하여 우수 사례로 평가받는 28개 사례를 조사하였다. 독서 프로그램의 내용과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운영계획서), 수업 관찰, 시설 종사자와 강사 면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연구에서 확인한 독서 프로그램의 기본 특성은 운영 체계, 운영자, 예산, 사례 측면에서 기술하였다. 아동복지시설의 독서 프로그램들은 소수의 아동과 장기간 자유롭고 창의적인 활동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강점도 있으나, 1) 프로그램의 목표와 내용의 적합성 문제, 2) 목표-내용 간정합성 부족, 3) 프로그램 운영과 효과에 대한 평가 미비 등 각종 문제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독서 프로그램임에도 불구하고 독서 활동은 없거나 미비하고, 문화예술체험 활동이 과도하고, 외부 강사가 가져온 프로그램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시스템이 아동복지시설의 독서 프로그램이 갖고 있는 본질적인 문제였다. This study examined 28 reading-specialized programs provided in child welfare institutions in South Korea. Various data including program syllabus, class observations, interviews(program lecturers and center-chairs), and fieldnotes were gathered and analyzed in two years. This study first found out major characteristics of reading programs in child welfare institutions, such as program operations and dual system by center-chair and program lecturer. Although reading programs in child welfare institutions had many strengths based on the small group of children and the possibility of flexible and creative reading activities, most programs had many fundamental issues and problems, especially mismatch between the goal and the contents of the program and the lack of reading activities. Unpacking embeded issues in reading programs in these institutions, some ideas and suggestions to enhance the quality of program were suggested.

      • KCI등재

        맞춤형 독서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초·중·고 학생들의 읽기 효능감 분석

        기혜선,정옥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lications of the analysis of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ading efficacy tests for the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reading programs. Differentiated reading programs are a systematic approach to designing curricula and classes to suit students' diverse situations and needs. In order to use reading efficacy as an indicator of the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reading programs, a total of 960 students, each from fou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under the Inch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were tested for reading efficacy. The results g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developing differentiated reading program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more social factors when organizing reading programs. Second, differentiated reading programs should be designed to consider the statu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reading efficacy and should be organized so that the high school students’ reading efficacy be linked to life-long reading activities. Third, it is not necessary to organize the differentiated reading program by gender overall, but it is helpful to give special support from teachers for elementary senior male students. 본 연구는 학교 독서 교육의 새로운 방향으로서 맞춤형 독서 교육을 제안하고, 이를 위해 실시한 초·중·고 학생들의 읽기 효능감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맞춤형 독서프로그램은 학생들의 다양한 상황과 요구에 맞추어 교육과정과 수업을 설계하는 체계적인 접근이다. 맞춤형 독서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인천광역시교육청 산하 초·중·고 각 4개교씩, 총 960명을 대상으로 읽기 효능감 검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또래와의 상호 비교를 통해 읽기에 대한 자신감을 얻거나, 주변인들의 긍정적 피드백으로 자신을 능숙한 독자로 인식하는 경험이 적은 것으로 보였다. 이에 따라 맞춤형 독서프로그램에서는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초·중·고 전체 학생들의 읽기 효능감은결과 중에서 중학생들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낮았다. 이는 중학교 단계에서 특히 읽기 효능감을 고려한 맞춤형 독서프로그램 설계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고등학생들의 읽기 효능감은 중학생들의 읽기 효능감보다 높게 나타났고, 초등학생들의 읽기 효능감과 비슷한 수준으로 회복된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고등학생들의 경우 졸업 후 평생 독서로까지 연결될 수 있도록 독서프로그램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넷째, 초·중·고 전체 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읽기 효능감 차이는 없었지만, 초등 고학년 남학생들의 읽기 효능감이 여학생들에 비해서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남학생들의 발달적 특징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과 교사 지원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중학생의 읽기 동기 구성 요인 분석과 읽기 동기 신장 프로그램 개발

        박영민 ( Young Min Park ) 청람어문교육학회 ( 구 청람어문학회 ) 2008 청람어문교육 Vol.38 No.-

        이 연구는 우리나라 중학생의 읽기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을 탐색하고 이를 읽기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67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읽기 동기에 관한 반응 자료를 학년별, 성별, 지역별 분포를 고려하며 자료를 수집하였다. 읽기 동기 검사 문항은 읽기의 사회성, 효능감 및 신념, 흥미, 몰입, 호기심, 인정, 회피, 도전심, 노력, 환경, 전략 및 메타인지 등의 요인을 포함하였다. 이 조사의 결과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읽기 동기를 구성하는 요인은 1요인은 보상 및 인정, 2요인은 사회적 상호작용, 3요인은 몰입, 4요인은 읽기 효능감, 5요인은 읽기 중요성, 6요인은 읽기 행동에 관한 흥미, 7요인은 읽기 주제에 관한 흥미로 나타났다. 이렇게 추출된 중학생 읽기 동기 구성 요인을 바탕으로 읽기 동기 신장 원리를 추출하고 `자기 선택적 읽기 프로그램`, `지속적 읽기 프로그램`, `자기 조절적 독서 프로그램`, `독서 워크숍 프로그램`, `독서 클럽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Recently, reading educators and researchers have shown interest how affective factors influence students reading achievement and behaviors. For educational adaption with reading motivation, this study investigate the reading motivation of the secondary students in Korea through reading motivation questionnaire. This study`s subject have 4673, their response is analyzed. There are 7 factors consisting of Korean secondary students` reading motivation. The factors are reward and recognition, social interaction, engagement, reading self efficacy, reading importance, reading interest for theme, reading interest for reading behavior. These result reflect reading motivation improvement programs. The reading motivation improvement programs for Korean secondary student are follows; Self-Selected Reading Program, Sustained Silent Reading Program, Self-Regulated Reading Program, Reading Workshop Program, Book Club Program.

      • KCI등재

        문화콘텐츠학과 독서 프로그램의 가능성

        박기수(Park, Ki Soo) 인문콘텐츠학회 2015 인문콘텐츠 Vol.0 No.39

        본고는 문화콘텐츠학과 학생들의 인문역량 강화 및 효과적인 문화콘텐츠 기획을 위한 독서프로그램의 가능성을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문화콘텐츠학과 독서 프로그램은 누구를, 왜, 어떻게 기를 것이냐 하는 문화콘텐츠 교육의 정체와 연관된 근본적인 질문에서 출발한다. 궁극적으로 양성하려는 인재상과 그들이 갖추길 원하는 역량 그리고 그것과 상관된 교육 목표 및 전략과 상관하여 독서 프로그램의 성격과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고민해야하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문화콘텐츠학과 독서 프로그램의 정체와 성격에 대한 논의를 전개한 후, 이를 바탕으로 한양대 문화콘텐츠학과에서 실시하는 ‘문콘도서 100권 읽기 프로그램’과 ‘문콘 바칼로레아’ 사례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기준은 한양대 문화콘텐츠학과가 지향하는 융복합, 글로벌, 현장중심이라는 세 가지 중심 요소를 기반으로 ‘즐거운 가치 창출의 체험’이 될 수 있는 독서 프로그램을 전제하였다. 이것을 중심으로 필독서 선정 기준, 독서 프로그램 운영 방안, 실제 사례를 통한 문제점 및 가능성 등을 종합적인 관점에서 고찰했다. 강요나 당위적 요구로서의 독서가 아니라 읽어야만 하고, 읽고 싶고, 읽을 수 있는 실천 가능성에 중점을 두기 위해 1학기 15권, 2학기 10권으로 진행하여 4년간 총 100권을 읽을 수 있도록 하였다. 필독서 목록은 인문학적 토대와 융복합적인 성격 그리고 현장실무중심이라는 문화콘텐츠의 특성을 적극적으로 수렴하여 마련했다. 다만, 도서 목록은 상황에 따라서 수시로 보강할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운영하였다. 또한 ‘문콘 바칼로레아’를 통해 학기마다 독서를 독려하고 검증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읽은 책의 리뷰를 작성해서 올리고, 퀴즈를 풀고, 논술을 통하여 깊이 있는 검증시스템을 모색하였다. 향후 문화콘텐츠학과 독서프로그램은 읽어야만 한다는 부담과 강박보다는 즐거운 독서 체험을 강화함으로써 생활로서의 독서를 통하여 지속성을 확보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자발성에 기초하여 읽고, 읽었으면 생각하고, 생각하면 쓸 줄 아는 독서의 선순환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This article is to contemplate the possibility of reading programs which supports the development of humanities capability and effective planning skills for students. ‘Culture Contents Department’s Reading Program’(CCRP) starts from a fundamental questions; whom , how , and why should we raise? Reading Programs have to be based on the goals which educations are trying to achieve. This article states the program’s identity first and moves on to analyze the examples of ‘Culture Contents Book 100 volumes Reading Program’ and ‘Culture Contents Baccalaureat.’ The standard contains the points which Department of Culture Contents aims at including convergence, global, and field centered. Based on thee points, must-read books were assigned and management plan was chosen specifically. The program was operated not from compulsive rules, but by one’s own will, and also encouraged students to read 25 books a year so that they could read 100 books in 4 years. Also, a system that encourages students to read was developed based on ‘Culture Contents Baccalaureat.’This system helped students to check whether they comprehended the book clearly - not by several ways such as quizzes, but reviews and writing assignments. Further, CCRP has to focus on strengthening the joyful experience of building students consistency and willingness to read. It has to be based on a virtuous circle system which starts from reading voluntarily, and leads to thinking and writing to make students enjoy reading rather than to feel pressure and be obsessed.

      • KCI등재

        통합적 읽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읽기능력 및 읽기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봉세(Kim, BongSae),정동영(Chung, DongYuong),정윤우(Chung, YunW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동요와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읽기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이러한 동요와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읽기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읽기능력 및 읽기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동요와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읽기 프로그램 활동이 초등학교 읽기 곤란학생의 읽기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둘째, 동요와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읽기 프로그램 활동이 초등학교 읽기 곤란학생의 읽기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C도에 소재한 S초등학교 3학년 2개 학급에서 읽기능력과 읽기태도에서 낮은 점수를 얻고 점수 분포가 유사한 30명을 의도적 표집을 통해 선정하고, 각각 15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동요와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읽기 프로그램은 국어와 음악 교육과정 및 교사용 지도서, 교과서, 초등학생에게 익숙한 동요와 동화를 참고하여 지도 교수 및 교과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 8주 24차시 분의 동요와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읽기 프로그램 구안하였다. <연구문제 1>과 <연구문제 2>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 처치 전 후 읽기능력 및 읽기태도에 대한 공변량 분석(ANCOVA)을 통해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동요와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읽기 프로그램이 읽기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읽기태도에서도 유의미한 수준으로 효과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비추어 동요와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읽기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읽기능력과 읽기태도 신장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the integrative reading program using children s songs and fairy tales, and testify the effect of the integrative reading program on the reading ability and reading attitude of elementary students. To achieve the above objective,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posed. First, what is the effect of the integrative reading program activity using children s songs and fairy tales on the reading ability of the elementary students having difficulty reading?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the integrative reading program activity using children s songs and fairy tales on the reading attitude of the elementary students having difficulty reading? The 30 subjects were selected intentionally from the two classes of the third grade of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C Province, who have low scores and are similar in terms of score distribution of reading ability and reading attitude. Also, they were assigned into two groups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15 students respectively. The integrative reading program of 8 weeks and 24 periods using the children s songs and fairy tales were designed with the help of a thesis director and the course expert, referring to korean language and music curriculum , teacher s guidebooks, textbooks and fairy tales familiar to elementary students. The verification of the 〈research task 1〉and〈research task 2〉was done by the difference of reading ability and reading attitude using the analysis of ANCOVA before and after experimental treat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shown that the integrative reading program using children s songs and fairy tales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ding ability and the meaningful difference of effect in reading attitude, too. Based on the above findings, it was proved that the integrative reading program using children s songs and fairy tales contributed to improving reading ability and reading attitu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