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미국의 독서교육관련 자격증 현황

        정옥년 한국독서교육연구학회 2015 한국독서교육학회지 Vol.3 No.1

        이 논문은 미국에서의 독서교육 전문가 활동의 역사와 역할 범주, 독서교육전문가가 되기 위해서 필요한 자질과 자격요건, 독서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의 예를 살펴본 것이다. 미국의 독서교육 전문가 양성 현황은 국가나 전문 학회보다는 민간 사설 기관에서 독서교육 지도자들을 양성하고 있는 국내 상황과는 좋은 대비가 된다. 무엇보다 독서교육을 하는 사람들을 교사 혹은 교육자의 범주로 보고 이에 걸맞는 자질과 역할, 그리고 윤리의식을 기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독자 변화와 치유를 위한 의미 구성 기제 탐색 - 구성 통합적 텍스트 이해 모형을 중심으로 -

        정옥년 한국독서치료학회 2017 독서치료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독서의 생물 문화적 성격을 토대로 인지적 과정과 감정을 연결함으로써 독자 변화 혹은 치유 효과를 나타내는 기제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성 통합적 텍스트 이해 모형에 따르면 독자는 텍스트를 읽고 표면구조, 텍스트기반, 상황모형, 화용모형 등의 정신적 이해 표상을 만들어낸다. 독자의 정신적 표상은 모두 독자 감정과 관련되어 있다. 독자 감정은 독자의 스키마가 동화 혹은 조절되는 상황에서, 그리고 독자가 텍스트 세상으로 들어가서 인물들에게 공감과 동일시를 하거나 자신의 감정기억을 되살릴 때 유발된다. 독자 감정은 적절한 중재를 받을 경우 일반 심리요법에서와 같이 감정적 변화 과정을 거치면서 독자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산출할 수 있다. 특히 적합한 심미적 간격을 두고 이루어지는 독자의 동일시, 공감, 카타르시스, 스키마 동화 및 조절은 독자를 변화시키고 치유하는 기제가 될 수 있다. 한편, 독서는 책이라는 문화적 요소를 통한 기호적 중재 활동이기도 하다. 기호적 중재 도구를 활용하는 방법을 익힌 독자들은 수직적, 혹은 수평적 수준에서 감정과 의미를 연결하고 정교화 함으로써, 그리고 개인적으로 혹은 다른 사람들과의 대화를 통해서 문화적 경험을 성찰함으로써 새로운 이해와 통찰을 얻을 수 있다.

      • 스토리텔링 수업 연구의 전망과 교사 역할

        정옥년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4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2 No.3

        이 논문에서는 수업에서 이야기가 활용되는 기법을 중심으로 사례기반, 문제기반, 시나리오기반, 내러티브기반이라는 스토리텔링 수업 유형을 구분하고, 각각의 특징과 그것들을 뒷받침하는 연구들을 검토했다. 사례는 과거에 일어났던 일에 대한 이야기이다. 사례기반 수업에서는 문제와 해결책이 정해져 있다. 내러티브는 허구적인 것 혹은 실제로 일어난 것일 수 있다. 이것은 다른 유형의 이야기보다 학습자를 훨씬 더 몰입하게 한다. 시나리오기반 수업에서 이야기는 어떤 해결책을 평가하는 준거를 가지고 있다. 시나리오와 상호작용하면서 학습자가 어떤 결정을 하고 행동하는지에 따라서 결과는 달라진다. 문제기반 수업은 최적의 해결책 준거나 기준이 없는 비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가르치고자 할 때 특히 적절하다. 이야기를 활용하는 수업은 정보처리에 필요한 인지 전략, 즉 주의집중 안내, 정교한 부호화, 지식 조직, 자기 참조, 감정 유발 등을 촉진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모든 스토리텔링 수업의 기저에는 패턴 인식자로서 정신을 보는 이론이 있다. 우리는 비슷한 구조, 사건, 맥락을 유의미한 전체로 연합해서 정신적인 삶을 조직하고 파악하려고 한다. 이야기를 통해서 지나간 삶의 트라우마를 치유하고, 미래에 대비해서 새롭게 의미를 구성하고, 준비할 수 있는 것은 바로 이러한 정신적 작용 덕분이다. 스토리텔링 수업은 학습자들이 능동적으로 학습에 참여하고, 질문하고, 협력해서 상호작용하도록 장려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미 정해진 지식과 내용을 전달하는 것이 교사의 역할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는 다소 불편한 것이 될 수 있다. 스토리텔링 수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와 과제에 대한 이해, 대안적인 교재 개발, 수업 전략 등의 차원에서 교사들의 새로운 인식과 변화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current researches about storytelling as an instructional method and to suggest what teachers need to do for maximizing the potentialities of storytelling. An instructional storytelling could be grouped into one of four types as case-based, problem-based, scenario-based and narrative-based instruction. Cases are examples of authentic situations in real world contexts that illustrate important lessons. A narrative is a recounting of a sequence of events. The typical structure of the narrative itself can be anticipated, enabling the student to know when to focus attention and what to focus on. Scenario-based learning includes a series of problems and choices. It is more interactive than case-based learning. Problem-based instruction is appropriate for the situation when there is no known solution to the problem presented. Benefits may be derived from generating potential solutions and thinking in novel ways. Stories used in instructional settings function as rich contexts which include concepts, principles, skills, values and emotions and facilitate learning, guiding attention, encouraging elaborative encoding, facilitating knowledge organization, encouraging self reference and inspiring emotion. Underlying all the practices of instructional storytelling, there is a theory of mind as a pattern recognizer. Our mind usually attempt to identify a meaningful unity in the diverse and traumatic events. We can construct new meanings in prior experiences through storytelling and prepare for the future with them. People learn best by actively participating, questioning and collaborating in an authentic and contextually rich settings like instructional storytelling. But teachers who think that their major task is to transmit a lot of knowledge to students could be uncomfortable with instructional storytelling.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nd learning tasks, development of alternative textbooks will contribute to change the teachers’ perception of new instructional strategies such as storytelling.

      • 독자 변화와 치유를 위한 의미 구성 기제 탐색 - 구성 통합적 텍스트 이해 모형을 중심으로 -

        정옥년 한국독서치료학회 2017 한국독서치료학회 학술대회지 Vol.- No.15

        본 연구는 독서의 생물 문화적 성격을 토대로 인지적 과정과 감정을 연결함으로써 독 자 변화 혹은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기제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구성 통합적 텍 스트 이해 모형에 따르면 독자는 텍스트를 읽고 표면구조, 텍스트기반, 상황모형, 화용모 형 등의 정신적 이해 표상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독자의 정신적 이해 표상은 모두 독자 감정과 관련되어 있다. 독자 감정은 독자의 스키마가 동화 혹은 조절되는 상황에서, 그리 고 독자가 텍스트 세상으로 들어가서 인물들에게 공감과 동일시를 하거나 자신의 감정기 억을 되살릴 때 유발된다. 독자 감정은 적절한 중재를 받을 경우 일반 심리요법에서와 같이 감정적 변화 과정을 거치면서 독자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산출할 수 있다. 특히 적 합한 심미적 간격을 두고 이루어지는 독자의 동일시, 공감, 카타르시스, 스키마 동화 및 조절은 독자를 변화시키는 기제가 될 수 있다. 한편, 독서는 책이라는 문화적 요소를 통 한 기호적 중재 활동이이기도 하다. 기호적 중재 도구를 활용하는 방법을 익힌 독자들은 수직적, 혹은 수평적 수준에서 감정과 의미를 연결하고 정교화 함으로써, 그리고 개인적 으로 혹은 다른 사람들과의 대화를 통해서 문화적 경험을 성찰함으로써 새로운 이해와 통찰을 얻을 수 있다.

      • KCI등재

        리더십 교육에서 윤리적 사고력 배양을 위한 수업 모형 탐색

        정옥년 한국하이데거학회 2009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2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ructional models for ethical literacy in college leadership program. In order to achieve it, several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and ethical literacy? Second, what are the theories and methods of leadership development? Thir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ypical instructional models for ethical literacy in college leadership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value inquiry with the leadership development methods be utilized in college leadership program. So to perceive and identify the ethical issues around the real problems in organizations using the multiple ethical frameworks and to solve the problems rationally and to do ethical decision making should be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the various instructional methods such as collaboration learning, project method, discussion, team learning, mentor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are available to teach the ethical literacy in college leadership program. 이 논문은 대학생들의 리더십 교육에서 윤리적 사고력 배양을 위한 수업 모형을 탐색한 것이다. 윤리적 리더십의 관점과 윤리적 사고력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살펴보았고, 리더십 개발을 위한 학습이론과 교육방법을 탐색하였다. 마지막으로 윤리적 사고력 배양을 위한 성찰적인 수업 모형으로 서 사회-과학 추론 모형과 윤리 탐구 모형을 분석했다. 리더십 교육에서 윤리적 사고력을 배양하기 위해서는 윤리와 가치를 반영하 는 수업 특성과 리더십 개발을 위한 수업 특성을 모두 통합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즉 어떤 윤리적인 틀이나 이론을 사용해서 실제 경험이나 조직에서 벌 어지고 있는 특정한 문제나 상황을 중심으로 그것들의 성격을 파악하고 인식 하는 것에 목표를 두어야 한다. 그리고 다양한 윤리적 준거와 자원들을 활용 해서 그 상황에서 이해당사자들에게 최선이 될 수 있는 의사결정과 해결 방 안을 모색해야 한다. 문제해결 탐구와 의사결정 과정에서는 다양한 자원을 토대로 협력학습, 토론학습, 팀 학습, 자기주도학습 등을 사용하는 것이 필 요하다. 마지막으로 사람을 가르치는 일 자체가 윤리적 성찰이 필요한 행위 라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 글쓰기를 위한 읽기의 성격과 전략

        정옥년 한국작문학회 2007 작문연구 Vol.0 No.5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flect on the nature and strategies of reading to write. Reading-to-write tasks are frequently requested by the academic discourse communities. But many college students have difficulties in addressing them. So it is necessary to explicate the nature of them in order to find out the strategies of reading source texts to write. The nature of reading to write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It is an act of activation and composing of schemata needed to solve the writing tasks as problems. 2. It is a process of transforming the representations of the reading comprehension which has been gained from source texts and the readers' background knowledge. 3. It is eventually a contributing activity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a community by way of knowledge transforming and generation of new texts. Based on the nature of reading to write, several strategies of reading source texts to write can be identified. The imitation strategy and the reading comprehension strategy may be easily adopted by many students. So some students succeed at certain writing tasks and apply their knowledge of discourse conventions in different situations. But the best one is the mining strategy as a metaphor which emphasizes on the rhetorical situation and the method of inquiry. When students mine texts in light of their goals as writers, they can begin to attend to specific features of the texts they read, selecting, organizing, and connecting ideas for the purpose of writing. In learning to mine texts, students recognize that the choices and decisions they make as writers vary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social context in which they write. From the point of the nature of reading to write, some practical implications to the college writing instruction are suggested. 이 글에서는 대학 공동체에서 주로 하고 있는 글쓰기 위한 읽기의 성격이 어떠한 것인지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글쓰기 위한 읽기 전략들을 탐색하였다. 글쓰기 위한 읽기의 성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글쓰기의 문제 상황을 해결하는 데 필요한 스키마를 활성화하고 구성하는 것이다. 둘째, 글쓰기에 필요한 여러 가지 담론 지식들을 채굴하고, 이를 변형하는 과정이다. 셋째, 참여자 입장에서 텍스트를 이해하고 비판하면서 궁극적으로 담론 공동체의 대화에 기여하는 것이다. 글쓰기 위한 읽기의 성격에 비추어 볼 때 독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읽기 전략은 모방 전략, 이해 전략, 채굴 전략으로 구분해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읽기 전략들은 서로 배타적인 것이 아니라 다른 전략들을 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러한 논의들은 글쓰기 위한 읽기 지도와 관련해서 몇 가지 시사점을 준다. 첫째, 글쓰기 위한 읽기 지도에서는 글을 효과적으로 구성하는 요소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둘째, 글쓰기 위한 읽기 지도에서 읽기가 언제나 초점이 될 수는 없다. 셋째, 글쓰기 위한 읽기는 비판적 읽기만으로는 부족하다. 마지막으로 읽기와 쓰기는 대학 공동체에서 필요한 실제적인 문식성으로서 여러 가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창의성 관련 인문 독서 경험의 효과

        정옥년 ( Jung Ok-ryun ) 한국독서학회 2018 독서연구 Vol.0 No.49

        이 논문에서는 인문 독서 경험의 창의적 성격을 검토하고, 그러한 독서 경험이 창의성 개발과 관련해서 어떤 효과를 가질 수 있는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먼저 창의성을 보는 여러 가지 관점과 창의성 교육 방식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인문 독서 경험이 창의성 개발과 관련되는 기제를 살펴보았다. 인문 텍스트가 독자에게 내면화되고, 활용될 수 있는 역량이 되는 방식, 그러한 개인적 역량이 다시 사회적인 것으로 표현되는 과정에서 작용하는 상상력을 토대로 인문 독서와 창의성은 관련이 있다. 창의성과 관련된 인문 독서 경험의 효과를 기호적 중재를 통한 자기 성찰, 산물과 과정으로서의 교양 형성, 사고와 이해를 위한 인지적 도구 개발 등의 세 가지 측면에서 논의했다. 이러한 인문 독서 경험의 효과에 대한 논의는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 읽기의 내용과 방법 조화, 여러 가지 이해 수준의 통합, 전문 영역에서의 독서 문화 개발 등의 면에서 시사점을 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humanistic reading experience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The rhetorical concepts of creativity and several approaches to develop creativity are analysed. The humanistic reading experience is a human activity in which the social and the individual interchange. So it has many attributes of creativity in the course of meaning making. Three impacts of the humanistic reading experience are suggested by way of the imaginative interpretation; Self-reflection through the symbolic mediation, Buildung as a process and a product, and Development of cognitive tools for understanding. The discuss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eativity and the humanistic reading experience has some implications to the reading education. Scaffolding social interaction, considering both of reading material and method, integration of levels of understanding, fostering the reading culture in expert domains are recommended as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e reading experience.

      • KCI등재

        진로교육을 위한 독서,작문교육의 방향

        정옥년 ( Ok Ryun Jung ) 한국독서학회 2014 독서연구 Vol.0 No.33

        이 논문에서는 진로교육의 내용을 학습과 직업에 대한 준비, 전문성 개발, 지속적 변형학습이라는 세 가지로 제시하고, 각 영역에서 독서.작문교육이 할 수 있는 역할을 탐색했다. 독서와 작문교육은 학업기능을 개발하고, 직업 장면에서 필요한 직업 문식성을 개발하는 데 필수적이다. 또한 전문 영역에 서 수사학적인 문제 공간을 확충하고, 그것을 내용 문제 공간과 연결하게 함으로써 인지적 전문성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 전문적인 의사소통능력을 개발하는 수업은 여러 층위의 문식성을 통합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변형 적 학습 경험은 학습자가 자신을 성찰하고, 내적인 억압을 풀어내며, 세상에 참여하고, 비판하고, 환경과 공존하면서 살아갈 수 있게 하는 데 목적을 둔다. 따라서 자아 알기, 자아 통제, 자아 배려, 자아 재창조는 독서.작문 프로그램의 구체적 목표가 될 수 있다. 진로를 위한 문식성 수업이라면 창의 적, 표현적, 성찰적 글쓰기와 읽기 활동을 모두 통합해야 한다. 오늘날 진로 교육의 성격 변화는 의미 구성과 자기 성찰로서 독서 및 작문교육이 그만큼 더 중요해졌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In this article, the preparedness of life-long learning and work,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in domains and the continuous transformational learning are suggested as three directions of the reading and writing instruction for career education.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are essential to foster the basic academic skills and the workplace literacy. And the abilities of reading and writing contribute to develop expertise through expanding the rhetorical problem spaces and combining them with the knowledge of domain spaces. The instructional framework for professional communication skills should involve several layered literacies. The objectives of transformational learning are to reflect one-selves, to emancipate the inner conflicts, to criticize and to participate in the world, and to co-emerge with the environment. So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of reading and writing programs for career can be to know, to control, to consider and to recreate selves. Therefore, the literacy program for career should have integrated the creative, the expressive, and the reflective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The current characteristics of career education highlights the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as a more important enterprise than ev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