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간도시개발 활성화의 이론과 실제 : 원형지 개발을 포함하여

        김병기 韓國土地公法學會 2012 土地公法硏究 Vol.58 No.-

        ‘The Urban Development Act’ was enacted under the catch-phrase of “multidimensional and appropriate correspondence to the new diverse demands of urban development in the 21st century”, in order to respond to the problems arising from the urban development under the previous ‘Housing Site Development Promotion Act’. Also, the Urban Development Act is evaluated to have realized the considerable institutional evolution in the sense that it had designed the ‘urban development business by private sector’ as the alternative, enabling sustainable supply of urban land. According to the Urban Development Act, in the course of proposing the urban development area, the private sector can carry out their business as actual players and even have the right of eminent domain upon certain conditions. The urban development by the private sector as the main players can make up for the negative effect resulting from the previous urban development led by the public sector, specifically; the resistance by the citizens against the public sector’s expropriating method of urban development, enhancement of private sector’s technological skills and financing capabilities, and possibility of a creative urban development, getting out of standardized urban development etc. Furthermore, in the macroscopic aspect, the development by the private sector is in accord with the small government-oriented tendency, the private sector’s improved participation in the public utilities, and the free flow of private capital due to the relaxed regulations, and neo-liberal trend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competition system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 etc. Nevertheless, despite these positive effects, many problems are pointed out, so in the matter of the right of eminent domain, whether to admit the public interest of the urban development business should be decided, considering the purpose, scale, and development plan; and public expropriation should be determined accordingly, while balancing public and private interest. Moreover, whether the institutions designed for the private sector’s improved participation are highly effective or bring adverse effect is debatable. In addition, private sector can develop a raw land it was supplied with; According to existing law, the supply of raw land institution under the Urban Development Act and the advance supply regulation according to the advance-supply of raw land of ‘the Bogeumjari Housing Construction Site Process’ under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are the examples. Both are the same in the sense that they can be supplied with and develop a raw land; however, different in the laws they are based on and the time stages when the supply occurs. In the case of the private sector’s development of a raw land they are supplied with, ecofriendly and dimensional development is possible by establishing both land use plan and architectural plan; and a creative urban development can be induced by the relaxation of the initial funding, quick land supply, effective use of land through the whole development of land and building, and supply of land tailored to consumers. However, the problems caused accordingly should not be overlooked; especially, the institutional weakness must be examined and complemented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Amended Sejong City Act. It is evident that the positive effect can be anticipated by the private sector’s participation in the urban development. Even so, it should be discussed in the perspective of securing public interest in the light of the distinctiveness of private sector. As the participation of private sector basically assumes profit maximization, in order to minimize the adverse effect, subject and scope should be determined so as to prevent the impairment of public interest; and the role of public sector is more than important in this respect. 도시개발법은 과거 택지개발촉진법 하에서 이루어지는 도시개발에 있어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응하기 위하여 ‘21세기 새롭고 다양한 도시개발수요에의 전방위적·현장밀착형 대응’ 이라는 명제 하에 제정되었다. 그리고 지속적으로 필요한 도시 토지를 공급할 수 있는 대안적 형태의 ‘민간에 의한 도시개발사업’을 설계한 점에서 가장 큰 제도적 진화를 경험했다고 평가된다. 도시개발법에 따라 민간부문은 도시개발구역을 제안하는 과정에서 개발계획의 실질적인 수립주체가 되어 사업을 시행할 수 있으며, 일정한 요건 하에 토지수용권도 갖는다. 민간부문을 사업시행자로 하는 도시개발은 이전의 공공부문 주도의 도시개발로 인해 발생하는 부정적인 효과를 보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공부문의 강제수용방식 도시개발에 대한 국민들의 반발심리, 민간부문의 기술력 및 자금조달능력을 제고, 획일적인 도시개발을 탈피한 창의적인 도시개발의 가능성 등이다. 나아가 거시적인 측면에서 작은 정부 지향추세, 규제완화로 인한 민간부문의 공익사업참여확대 및 민간자금의 자유로운 이동,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경쟁체계 확립 등 신자유주의적 조류와도 부합한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인 측면에도 불구하고 많은 문제점도 지적되는 바, 민간부문의 토지 수용권에 있어서 도시개발사업의 공익성 인정 여부는 목적, 규모 및 계발계획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하여야 하며, 이에 따른 공공수용은 공익과 사익을 비교형량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또한 민간부문의 참여확대를 위한 제도들이 결과적으로 큰 실효성이 없거나 역효과를 가져온다는 점도 논의의 대상이다. 한편, 민간부문은 토지를 원형지로 공급받아 개발할 수도 있다. 현행법상 근거로는 도시개발법상의 원형지 공급제도와 국토해양부의 보금자리주택지구 원형지 선수공급 업무처리지침에 따른 원형지 선수공급 제도가 그것이다. 양자는 원형지를 공급받아 개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근거법령과 원형지 공급의 시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민간부문이 원형지를 공급받아 개발하는 경우 토지이용계획과 건축계획을 동시에 수립하여 자연친화적이고 입체적인 개발이 가능하고, 사업시행자의 초기 자금부담 완화, 신속한 토지 공급, 토지와 건축물의 일체적 개발을 통한 토지의 효율적인 이용, 수요자에게 맞춤식으로 토지를 공급하여 창의적인 도시개발을 유도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점도간과하여서는 안 된다. 특히 세종시 수정안에 있어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제도적 문제점을 검토하여 보완하여야 한다. 도시개발에 있어서 민간부문의 참여를 통해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 그렇다 할지라도 민간부문의 특수성에 비추어 공익성 확보의 관점에서 논의 되어야 한다. 민간의 참여는 근본적으로 이윤추구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그 대상과 범위를 결정하여 공익성이 훼손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이에 대해서는 무엇보다 공공부문의 역할이 중요하다.

      • KCI등재

        Job Switch From the Private Sector to the Public Sect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witchers

        권남호 서울대학교행정대학원 2021 The Korean Journal of Policy Studies Vol.36 No.2

        While significant attention has been directed to the job switchers from the public sector to the private secto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about the job switchers in the opposite direction. This paper examines whether sector switchers’ characteristics from the private to the public sector are different from stayers. It is related to a broader set of questions that ask how employees’ characteristics and sector switching are related. The empirical analysis using the National Survey of College Graduates (2003, 2006, 2010, and 2013) shows the switchers’ characteristics. First, females and unmarried employees were more likely to switch their jobs from the private to the public sector from 2003 to 2006. However, these gender and marriage status differences became insignificant from 2010 to 2013. Second, black employees were more likely to move from the private to the public sector for the whole period. Third, the more educated employees seemed to have more freedom to change their private to public careers. Fourth, employees with experience in government-funded projects were more likely to switch jobs from the private to the public. Fifth, workers who showed a low satisfaction level in job security and considered PSM as an essential job principle were more likely to shift across sectors from the private to public. This paper’s findings highlight a neglected sector switch from private to public and open a window into the extent and characteristics of employees who switch their jobs from the private to the public sector.

      • KCI등재

        지방자치법상 민간위탁의 개념- 행정실무상 유사개념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홍정선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13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13 No.4

        (1) 행정의 고비용․저효율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 1980년대 초에 도입된 민간위탁제도는 이제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민간위탁의 방식으로 공공사무가 수행된다면 민간위탁의 취지에 맞게 수행되어야 한다. 민간위탁제도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는 먼저 민간위탁의 개념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지방자치단체가 직접 처리해야 할 사무를 민간위탁의 대상사무로 한다면, 그것은 지방자치단체가 관련법령을 위반하는 것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2) 민간위탁제도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는 또한 민간위탁과 유사개념 내지 유사제도와의 구분 내지 비교가 이루어져야 한다. 예컨대 민간에 대한 보조금의 교부를 통해 공공사업을 수행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공공사업을 민간위탁사업으로 수행한다면, 그리고 보조금은 사업비의 일부이고, 민간위탁금은 사업비의 전부라고 한다면, 예산의 낭비가 나타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려면 보조금교부사업과 민간위탁사무의 구분 내지 비교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3) 민간위탁개념과 구분 내지 비교하여야 할 개념으로 유사제도인 위임, 위탁, 대리, 대표자의 행위, 대행, 이양, 아웃소싱(외주, 외부조달), 용역, 행정재산의 사용․수익의 허가, 대부계약, 보조금의 교부 등을 볼 수 있다(유사개념과의 자세한 비교는 본문 참조). 특히 사용ㆍ수익의 허가를 통한 사인의 수익을 중심적인 목적으로 하는 행정재산의 사용ㆍ수익의 허가와 민간에 의한 공익사무의 실현을 중심으로 하는 민간위탁과의 구분 내지 비교, 사인의 수익을 중심적인 목적으로 대부계약과 민간에 의한 공익사무의 실현을 중심으로 하는 민간위탁과의 구분 내지 비교,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사무를 민간에 위탁하는 민간위탁과 자금의 사용을 민간에 위탁하는 것이 아니라 자금을 민간에 이전하는 보조금 지원과의 구분 내지 비교는 실무상 특히 중요하다. The Entrusting Public affairs to private sector has been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efficient manage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since 1980s. However it is widely used in administration, the legal grounds for The Entrusting Public affairs to private sector is not defined exactly till now.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s legal definition of the term “The Entrusting Public affairs to private sector” precisely and make comparison with terms like Subsidies, Deputy, Entrust, Outsourcing, Act as proxy, The Administrative Authority to private sector, etc. For example, Subsidies to private corporation for public administrative purpose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Entrusting Public affairs to private sector because the latter could be the whole operating expenses of specific public service, while the former is just a part of operating expenses. It means Entrusting Public affairs to private sector could bring concerns about the dissipation of the country’s wealth. To prevent these kinds of concerns, the exact legal definition of the term “The Entrusting Public affairs to private sector” should be constructed. Therefore this study propose several kinds of view to make the practical and legal usages of Entrusting Public affairs to private sector. There are several legal issues about The Entrusting Public affairs to private sector. This thesis investigates possible legal issues in relation to the legal definition of the term “The Entrusting Public affairs to private sector”. The state power should not only look for improving operational efficiencies but also strictly follow the legal principle of constitutionalism. The issue about The Entrusting Public affairs to private sector should be examined under this principles.

      •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명수정,이병국,심창섭 한국환경연구원 2012 수시연구보고서 Vol.2012 No.-

        20세기 이후 온실가스 배출 증가로 인해 지표면 평균 온도의 상승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홍수, 가뭄, 폭염 등의 이상기후로 인한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선진국에서는 국가 기후변화 적응전략과 대책을 수립하는 등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2010년 범정부적 차원에서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2011∼2015)’을 발표하고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들은 정부부문 위주로 이뤄지고 있으며 국가 경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민간부문, 특히 산업계의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구체적인 대책이나 전략은 미비한 실정이다. 민간부문에서의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어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이 시급하다. 본 연구는 산업계를 중심으로 한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국내·외 문헌 및 사례조사와 국가 간 비교가 가능한 산업계 기후변화 리스크-적응 역량 지수를 개발하여 적용하였으며 산업계 주요 업종별 설문조사와 면담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먼저 기후변화가 민간부문, 특히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기후변화 중 특히 홍수나 태풍과 같은 극한 기후 사상의 피해가 증가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대표적인 사례로 2011년 태국에서 발생한 대홍수는 태국 산업계에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초래했을 뿐만 아니라 전 세계 경제에도 영향을 미쳐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발생 가능한 위기에 사전 대비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또 주요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리스크 및 적응 역량을 비교하기 위해 국가 간 비교가 가능한 산업계의 기후변화 리스크-적응 역량 지수를 개발하였다. 지수 분석 결과, OECD 회원국과 비교하여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리스크는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적응 역량은 중간 정도로 파악되었다. 적응 역량 중 특히 자원과 인프라 역량은 낮고 기술 역량과 사회경제적 역량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주어진 여건을 초월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과 사회경제적 역량을 강화하여 기후변화 리스크와 자원부족의 한계를 뛰어넘어야 한다. 또한 수송과 보건 등 기후변화 적응 역량 구축의 기본이 되는 관련 인프라를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산업계를 대상으로 기후변화 인식과 영향, 그리고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적응수요 파악을 위해 산업계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기후변화를 위기이자 기회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산업계에 미치는 기후변화 위험요인을 극복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재정지원이나 세제혜택 및 규제완화, 기후변화 적응 교육과 연수 기회 제공 등의 정부 유인책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정부의 적응대책 중 산업계에 도움이 되는 정책으로는 ‘적응산업 및 에너지’를 꼽았으며 다음으로 ‘기후변화 감시 및 예측’, ‘재난 및 재해’ 부문을 꼽았다. 따라서 산업계의 기후변화적응 인프라를 강화하고 기상 예·경보 체계를 강화하며 날씨경영의 활성화를 유도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산업계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서는 기업의 자발적 노력과 소비자의 자극 및 정부의 지원, 그리고 정보의 공유와 경쟁업체의 자극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여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서는 산업계뿐만 아니라 정부를 비롯하여 소비자의 역할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산업계를 중심으로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 역량강화를 위한 정책의 기본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기업의 기후변화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고 적응 전략 수립을 유도해야 한다. 기후변화 리스크 관리를 위해서는 리스크 평가가 선행되어야 하며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적응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정부에서는 산업계가 리스크 평가와 적응 전략 수립을 자발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지원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기업경영에 있어서 기후변화 적응을 고려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서는 기업이 어떠한 외적 교란에도 업무 연속성에 지장을 받지 않으며 만약 피해를 입더라도 신속히 복구될 수 있도록 기업의 회복력과 업무연속성을 향상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관련 보험을 활성화하고 기업 평가체계를 개선하며 모기업-협력업체 간 적응 파트너십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적응 인증제도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날씨경영과 연계하는 것도 필요하다. 나아가 기업의 평가체계에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항목을 포함하도록 유도하는 것도 필요하다. 셋째,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컨설팅 서비스와 적응시장을 활성화하는 것이다.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낮으며 기후변화 적응에 필요한 리스크 평가 및 업무연속성 관리와 적응 전략 수립을 위해서는 역량 강화가 필요하므로 이를 돕는 컨설팅업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산업계의 기후변화 적응에 필요한 관련 정보의 제공 및 공유와 더불어 관련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 주요 업종별 적응 프로그램 혹은 이니셔티브를 구축하고 정보 공유체계를 구축해야 하며 기후변화 적응 매뉴얼을 개발하고 제공해야 한다. 또 관련 전문가를 양성하고 산업계 뿐만 아니라 소비자를 포함한 민간부문 전체에 대한 교육과 홍보가 필요하다. 다섯째, 기후변화 적응행동 주체 간의 협력체계를 강화해야 한다. 기후변화 적응은 사회 전체가 모두 나서야 성과를 거둘 수 있다.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민관 파트너십 구축과 협력 강화로 기후변화에 적응해 가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민간 부문 중 제조업 중심의 산업계에 대해 다룬 연구로 여러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산업계의 다른 부문과 기후변화가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망, 민간부문 중 시민사회의 기후변화 적응 등에 대해서는 향후 과제로 남겨두는 바이다. Since the 20th century, damages have been rapidly increasing globally from extreme weather events such as floods, droughts, and heat waves, as well as the mean temperature rise of the Earth. Along with the developed countries that are exerting efforts to adapt to the climate change through drawing up national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ies, Korea is putting in efforts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with the National Strategic Plan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2011-15, which was promulgated in 2010. However, these efforts are mostly government-driven. Concrete plans or strategies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are not so well established in the private sector, especially the industrial sector, that constitutes the greater part of the national economy. As the damages from the climate change in the private sector are increasing, it is necessary for the private sector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endeavor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propose the direction for the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y of the industrial sector of the nation. To this end, the study conducted library research for relevant documents and cases and developed an index for climate change risk and adaptive capacity of the industrial sector in order to do international comparison. The study also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s and interviews with major fields of the industrial secto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study proposed the direction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y of the private sector in Korea. The study started with the impacts of the climate change on the private sector, especially the industrial sector, and found that damages have increased from extreme weather events, especially from floods and typhoons. One drastic example was the Thailand Great Flood in 2011, which resulted in colossal disasters to the Thai industries and adverse impacts on the global economy. The present study developed an index for the climate change risk adaptive capacity of the industrial part in order to compare the climate change risks and adaptive capacities of Korea with those of major countries of the world. The comparison revealed that Korea's risk was relatively higher than other countries', but its adaptive capacity was ranked in the middle. As for the adaptive capacity of Korea, resources and infrastructures were weak, while technology and socioeconomic capacities were strong. Further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increase in socioeconomic capacity are necessary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resources. It is also necessary to strengthen the infrastructures in transportation and health, which are essential elements in building up climate change adaptive capacities. Next, the study identified the present state of the industrial sector through a survey on the perceptions about climate change and the adaptation needs. A questionnaire survey revealed that most of the respondents perceived the climate change to be both risks and opportunities at the same time. The government's support and incentives are needed in order to help the industrial part overcome the climate change risks and turn them into opportunities. Financial support, tax benefits, relaxation of regulations, and providing opportunities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education and training can be helpful. Among the government's adaptive measures, ‘adaptation business and energy' was chosen to be the most helpful policy for industries, followed by ‘monitoring and projecting climate change' and ‘disaster'. This result indicates tha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early warning system of the climate change and to activate the weather management system in order to help the industrial sector make use of the weather information in their efforts to strengthen the climate change adaptative infrastructures.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 climate change adaptation of the industrial sector requires the industries' voluntary efforts, stimulation from the customers, governmental support, information sharing, and the rivals' stimulation. In other words, the industrial sector, the government, and the customers jointly play their important rol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esent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direction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y. First, the government should encourage the industry to intensify their risk management for climate change and draw up adaptation strategies. The prerequisite of the climate change risk management is risk assessment, which will lead to the establishment of adaptation strategies. The government should devise effective guidelines for the industries' voluntary risk assessment and adaptation strategy planning. It should then prepare supportive measures to implement the plans. Second, the industry should be urged to consider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their business management. In order to adapt to the climate change, it is necessary for the industry to strengthen the capacity for business continuity and resilience so that the business may maintain its continuity unaffected by external disturbances and quickly recover from damages. This will require more active insurance plans, improvement of the business assessment system, and intensification of the adaptation partnership between the main and cooperating businesses along with the entire supply channel. A certification system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capacity and connection with the weather management can be considered for introduction. Also, it is necessary to lead the industries to include adaptation effort in their sustainability report. Third, it is necessary to activate consulting businesses and adaptation market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As the understanding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is still low in the private sector, capacity enhancement is needed to assess the risk, manage the business continuity, and draw up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s. Activation of the consulting business would be helpful. Fourth, information dissemination and sharing, and intensified education and publicity are desired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Adaptation programs or initiatives for individual business sectors and the information sharing system should be constructed. Manuals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for each industrial sector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Professional education and publicity is necessary not only for the industries but also for the entire private sector, including the customers. Fifth, it is necessary to intensify the cooperative system among the climate change adaptation agents. Effective climate change adaptation requires the involvement of the entire society. Construction and strengthening the cooperation system between the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will expedite the private sector's climate change adaptation. The current study has narrowed its focus on mostly the manufacturing part of the industrial sector and, therefore, has limitations. Future research can be expected to address other parts of the industrial sector, the projection of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industries, and the climate change adaptation by the civilian societies.

      • 보건의료서비스 질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갑주 ( Gap Joo Kim ),이수창 ( Soo Chang Lee ) 영남대학교 한국균형발전연구소(구 영남대학교 영남지역발전연구소) 2014 한국균형발전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보건의료서비스 질 요인을 Parasuraman의 SERVQUAL 결정요인인 감정이입, 유형성, 대응성, 보증성, 그리고 신뢰성으로 선정하여 공공의료기관과 민감의료기관의 보건의료서비스 고객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공공의료기관과 민간의료기관의 서비스 질 요인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공의료기관의 경우,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의료서비스 질 요인으로는 감정이입, 유형성, 그리고 신뢰성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정도에 있어서는 감정이입, 신뢰성, 그리고 유형성 순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민간의료기관의 경우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의료서비스 질 요인으로는 감정이입, 유형성, 대응성, 그리고 신뢰성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객만족에 대한 영향정도에 있어서는 신뢰성, 감정이입, 대응성, 그리고 유형성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보건의료서비스 질 오인 중 보증성은 공공의료기관과 민간의료기관의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s of SERVQUAL of health care on client`s satisfaction through comparison public sector with private sector. The study employs regression analysi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SERVQUAL of health care on user`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or public sector, mpathy, tangibles, and reliability have positive influences on client`s satisfaction. In the case of the private sector, tangibles, responsiveness, reliability, and empathy positively affect client`s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assurance is not a determinant factor influencing user`s satisfaction in both public sector and private sector. In the size of impacts, empathy is the highest in public sector and reliability is the highest in private sector. These things stand for that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to increase client`s satisfaction visiting public health centers and private medical hospitals are empathy and reliability.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suggests the ways of improving service quality in terms of enhancing public interest in the health care field. Firstly, the important factors of service quality in public sector are empathy, tangibles, and reliability. In order to increase the service quality for visitor`s satisfaction, public sector should focus on changing or innovating the atmosphere toward performing public interest of health care, improving kindness and care system for service, and modernizing equipments and facilities for health care. Secondly, tangibles, responsiveness, reliability, and empathy are the significant factors in private sector. Private sector needs to build a creative care system that can give clients convenience and speed, to employ special consultants who help clients understand their position and express their emotion, and to enhance employees` intention for providing service voluntarily as well as modernizing equipments and facilities for health care.

      • KCI등재

        인도 공기업의 민영화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전력산업을 중심으로

        김찬완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09 국제지역연구 Vol.13 No.2

        The public sector in India has remained an issue of inefficient economic policy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concerned units have not been able to generate adequate return for the investments done in past which obviously brings the burden on the fiscal front for both the central as well as state governments in India. There are many studies that advocate privatization of public sector enterprises. Based on their findings, they vouch that in general, the performance of the private sector is superior to that of public sector. Obviously, the undertakings became one of the main targets of the economic reform since 1991 when India stepped forward for the economic liberalization. However, only few units have been privatized since then. In this regard,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some success factors of privatization of public sector units in India with special reference to power sector. It is generally believed that difficult tasks such as privatization of public sector enterprises have to be conducted quickly and decisively. In a democratic society like India, however, it is more important to have the citizens' support and political consensus for the task. The result of this study also approves the above mentioned hypothesis. Unlike the general perception, however, trade unions in India could not block the process of the privatization of the power sector. The trade unions have been subjected to far-reaching differentiation and polarization because most of them are acting according to their own political ideology and direction. It is well known that major trade unions in India belong to the political party. Therefore, whenever their own political party which is the ruling party pursues some radical reforms like privatization of power sector, the trade union could not challenge the reform and could not supports the other trade unions which are against the privatization. It is observed that in order to privatize a public sector such as power sector, it is very important to have the citizens' support and political consensus. It could be the case that these are not sufficient conditions for the reform; however, they are necessary conditions for privatization. Moreover, it appears to be a difficult task for the present Indian government to have these conditions in the near future because some of coalition partners such as the Trinamool Congress and others are strongly against the reform. In this situation, this study commends the government of India and the state governments to focus on improving the performance by transferring the management to any professional agency or manager and providing accounting transparency of public sector enterprises. 인도 공기업은 오랜 기간 비효율 경제정책의 상징이 되어왔다. 대부분의 공기업은 투자한 만큼 수익을 창출해내지 못하고 중앙정부는 물론 주정부의 재정에 부담을 가중시켰다. 많은 연구들은 민간기업의 성과가 공기업보다 낫다는 것을 확인하고 공기업의 민영화를 지지하고 있다. 1991년 인도가 자유화를 단행한 이후부터 인도 공기업은 개혁의 대상이 되었다. 하지만 지금까지 극히 일부 공기업만이 민영화되었다. 따라서 이 글은 전력산업을 중심으로 인도 공기업의 민영화 성공요인을 찾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공기업의 민영화와 같은 어려운 과제들은 단호하고 빠르게 추진되어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인도와 같은 민주사회에서는 시민들의 지지와 정치적 합의가 더 중요하다. 이 글의 연구결과도 이와 같은 가설을 입증하고 있다. 일반적 인식과는 달리 인도 노동조합들은 공기업의 민영화 과정을 차단하지 못했다. 대부분의 인도 노동조합들은 자신들의 정치이념과 경향에 따라 행동하기 때문에 상이하고 대립적이다. 인도의 주요 노동조합들이 정당에 소속되어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따라서 자신들이 속해있는 정당이 집권당일 경우 노동조합들은 전력산업의 민영화와 같은 급진적 개혁에 반대하지 못하고 있다. 이 연구는 전력산업과 같은 공기업의 민영화를 위해서는 시민들의 지지와 정치적 합의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공기업의 민영화를 위한 충분조건은 아니더라도 최소한 필요조건들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현 인도정부는 가까운 장래에 이러한 조건들을 갖출 가능성이 미미해 보인다. 뜨리나물 콩그레스와 같은 연정 파트너들이 민영화를 강하게 반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도중앙정부와 주정부는 전문 경영인에게 경영권을 이전하거나 회계의 투명성을 강화하는 등 공기업의 경영성과를 높이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중국 공산당의 사영분야 당조직 건설 정책 변화: 지방정책과 중앙정책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정종호,윤태희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16 국제지역연구 Vol.25 No.4

        The rise of the private sector and the emergence of private entrepreneurs are two of the most significant social economic changes in China’s reform era. At the central level, after the announcement of the “Three Represents (三个代表),” the Chinese Communist Party officially executed construction of party organization in private sector to embrace the private sector. However, regions like Zhejiang Province and Wenzhou City in particular, where private economy was highly developed, construction of party organizations in the private sector had been pursued much ahead of the announcement of the Three Represents. The cases of Zhejiang Province and Wenzhou City’s private sector party construction indicate how local governments’ successful co-optation of the private sector significantly impacted the central policy for private entrepreneurs. Therefore, this paper highlights the necessity of conducting analysis at the various levels of dynamics, including successful local and regional cases and their impact on the central authority’s perception and decision to extend the policies to the national level, to understand state-private entrepreneur relations in China. 사영분야의 성장 및 사영기업가의 출현은 개혁·개방기 중국의 가장 중요한 사회경제적 변화 중 하나이다. 본 논문은 저장성(浙江省) 및 저장성 산하 원저우시(温州市)의 사영분야 당조직의 형성과 발전과정에 대한 고찰을 통해, 사영기업가 포섭 정책이 중앙에서 공식적으로 추진되기 훨씬 이전부터, 다른 지역에 비하여 사영분야 발전이 급속히 진행된 일부 지방을 중심으로 사영분야 당조직 건설을 통한 사영기업가 포섭 정책이 우선적으로 전개되어 왔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동시에 저장성 및 원저우시의 사례는, 지방 차원에서의 당조직 건설을 통한 사영분야 포섭 정책이 중앙의 사영분야 포섭 정책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하여 주고 있다. 이상과 같은 저장성 및 원저우시의 사영분야 당조직의 형성과 발전 과정은, 국가의 다양한 층위에서 사영분야의 당조직 건설과 관련하여 상이한 노력이 존재하여 왔으며, 지방에서 성과를 거둔 사영분야 포섭 정책이 실제 중앙의 정책형성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사례이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중국의 국가-사영기업가 관계 역시 중앙차원의 정책에 대한 분석뿐만 아니라 지방차원의 성공적 관행과 이에 대한 중앙의 인식, 이를 전국차원으로 확대한 중앙의 결정 등 다양한 동학을 고려한 접근 및 분석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 KCI등재

        민간부패의 개념과 가벌성 - 민간부패 처벌 법제의 정비를 위한 소고 -

        안수길 ( Sugil An ) 한국법정책학회 2017 법과 정책연구 Vol.17 No.1

        민간부패 처벌 법제 정비에 일조하고자 민간부패의 개념과 가벌성을 검토했다. 형법해석학의 관점에서 보면 부패란 수임인(대리인)이 제3자(증뢰자)와 결탁해 위임인(고용주)에 대한 의무를 위반하여 이익을 주고받는 행위라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임인이 공무원이면, 즉 위임인이 국가이면 공직부패이고, 수임인과 위임인 모두 민간인이면 민간부패이다. 민간부패의 처벌 근거는 사무처리의 공정성이나 경쟁의 공정성을 해친다는 데에서 찾을 수 있다. 사무처리의 공정성을 보호법익으로 삼아 민간부패를 범죄화하는 것은 사회의 투명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민간인에게 공무원 수준의 청렴의무를 요구해 형벌권의 과잉행사를 조장한다는 단점도 있다. 다만 이 단점은 사무가 공공성이 강한 때에는 줄어든다. 부패행위를 경쟁의 공정성을 침해하는 범죄로 규정 할 수도 있다. 공정한 경쟁은 시장경제질서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는 조건이 어서 형법으로 보호할 가치가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경제 외에 스포츠 분야 에서도 공정한 경쟁을 해치는 부패행위를 형법으로 벌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상의 내용에 기초하면 현재의 민간부패 처벌 규정들을 세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사 무처리의 청렴성을 보호하는 규정, 경쟁의 공정성을 보호하는 규정, 이 둘을 동 시에 보호하는 규정으로 말이다. 이 유형화는 민간부패 처벌 규정들을 짜임새 있게 고치는 출발점이 될 수 있다. Corruption in the private sector has become a major task of crime policy. But current crime policies show their limits when facing this task, because they have up to now focussed on corruption in the public sector. This problem is further complicated by the fact that criminal provisions against corruption in the private sector are now inconsistently scattered in many individual laws. It is urgent to develop a crime policy to prevent and reduce corruption in the private sector.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has attempted to examine what corruption means, and whether and why it is punishable not only in the public sector, but also in the private. Indeed, there is no universal definition of corruption. But from the angle of the criminal law doctrine (Strafrechtsdogmatik) corruption can be defined as the behavior of an agent who receives benefit from a third person and giving benefit to a third person by violating his duty to his principal. If an agent is a government official, and thus his principal is a state, then corruption is classified into corruption in the public sector. If, on the contrary, the agent and his principal are both civilians, corruption belongs to corruption in the private sector. The culpability of private-to-private corruption can be sought in the fact that it breaches the duty to manage another`s business fairly or harms fair competition in the market. Examples of the former are Art. 322novies Swiss Criminal Code (“accepting bribes”) and Sec. 309 Austrian Criminal Code (“acceptance of gifts and bribery of employees or agents)”; an example of the latter is Sec. 299 German Criminal Code (“taking and giving bribes in commercial practice”). Penalizing private-to-private corruption for ensuring the duty of fair management of another`s business is able to contribute to fight against corruption in general effectively, but creates also the risk of being misused to interfere in the freedom of action of civilians. However, this risk could be significantly reduced, if a business has a public character and can therefore be treated more or less as an official business. On the other hand, in the field of commercial practice corruption can be criminalized for ensuring fair competition in the market as an essential prerequisite for a modern economic system. It is remarkable that nowadays legislators in many countries tend to protect conditions of fair competition not only in business transactions, but also in sport which has gained in significance. This leads us to the question whether fair competition in sport can be a legal good (Rechtsgut) that should be protected by criminal law. It may be concluded from the above that penal provisions against private-to-private corruption in many individual law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provisions to protect the legal good “fair management of another`s business”, those to protect the legal good “fair competition” and those to protect these legal goods at the same time. This categorization could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a fair and effective anti-corruption criminal legislation.

      • KCI등재

        한국 공공부문 임금 결정에 대한 연구

        신광영(Kwang-Yeong Shin) 한국사회학회 2009 韓國社會學 Vol.43 No.5

        이 논문은 노동패널 10차 자료를 이용하여 공공부문(공공행정부문과 공기업)에서 임금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사적 부문과의 비교를 통해서 밝히고자 한다. 공공부문은 입직과 승진과 관련하여 전형적인 사적부문 내의 내부노동시장과 유사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제도적으로는 사적부문의 내부노동시장과는 달리 임금이 관료적으로 결정되고, 임금인상률은 정치적으로 결정되는 경우가 많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동패널10차 자료 분석 결과 사적부문과 공공부문(공기업과 공공행정 부문)의 임금격차는 주로 중하위 임금분위에서만 존재하며, 최상위 임금분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적 부문에 비해서 공공행정부문에서는 성에 따른 임금 격차가 적은 반면, 교육과 노동시간에 대한 보상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공공행정부문에서는 노조의 임금효과가 사적부문이나 공기업에서보다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공기업은 공공행정부문과는 상당히 다른 방식으로 임금결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기업이 사적부문의 성격을 많이 지니고 있어서 공공부문 내에서도 내적인 이질성이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wage determination in the public sector(public administrative sector and public enterprise), comparing it with income determination in the private sector. The public sector seems to be similar to the internal labor market in the private sector in terms of entry of new employees into organization and promotion. Wage determination in the public sector, however, has been done by bureaucrats and frequently the rate of wage increase has been decided by politicians.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following: Firstly, wage premium of the public sector exists in the middle and low quantile of wage distribution, whereas there is no significant wage premium of the public sector in the highest quantile of wage distribution. Secondly, sex discrimination in the public sector was lower than that of the private sector, whereas returns to education and working hours was not much different between the public sector than the private sector. Thirdly,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wage according to occupation between public enterprises and the private sector, displaying more stratified wage system within the public enterpises. Fourthly, there is a strong heterogeneity within the public sector due t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ublic administrative sector and public enterprise sector.

      • KCI등재

        자치단체 유형별 민간등이전비용과 그 구성요소가 부채비율에 미친 영향

        고화순,정창훈 한국비교정부학회 2019 한국비교정부학보 Vol.23 No.3

        This study investigates on how the cost of transfer to the private sector affects the ratio of the liability in different types of local governments by employing a panel dataset of local governments from 2008 to 2015 in Korea. Local governments provide subsidies to the private sector in order to support public services in the name of the cost of transfer to the private sector. If local governments provide generous subsidies to the private sector, it will lead to an inefficient resource allocation as well an increase of debt or liabil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first, the cost of transfer to the private sector does not appear to result in an increase of liability in most types of local government except for ward (district). Second, major components of cost of transfer to the private sector have a different impact on the local liabilities. While an increase of subsidies leads to an increase of liability in ward districts, it does not have any impacts on the rest type of local governments.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the cost of transfer to the private sector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iability in local governments except for ward. Future study could further test the topic in detai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