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통령 등 경호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 및 개정방향

        오재환(Oh, Jae Hwan) 한국민간경비학회 2012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11 No.3

        Welcoming the 50 year anniversary of foundation of security service organization in 201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s on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laws and to provide directions for revision to reform as the world class security service organization. The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according to legislation article 2 paragraph 1 is, ‘all activities to protect and remove physical harm including guarding and patrolling of certain area and safety works to defense to protect the object’s life and possessions’. Due to the authority of the security servic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employees affiliated to security service department violating people’s basic human rights while going through the security process.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rticle 37 Paragraph 2 states that ‘all freedom and rights of people can be restricted to minimum in the need of national security, maintenance of order or for the public weal’. Thus, during the process of security service, all accompanied guard duty should be based on legislations related to security services based on deferred law. This essay provides current problems on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laws and suggests directions to reform. It is as follows when summarized in details. First, current law articles related to organization, employees and duties that are currently blended with security department and employees should become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Government Organization Act’ and articles related to duties of security department should become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of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Second, specific articles that respond to harmful actions that could happen while processing security service duties to enhance the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legislation article 5 (arranging area of guarding, etc.) and to reduce arguments. Third, specific reasoning should be made in current presidential guard law article 19 (use and possession of weapons) by indicating guard equipment that can be used in preparation and process of security service, range and the definition of guard equipments. 본 연구의 목적은 2013년 경호처 창설 50주년을 맞이하여 전 세계최고수준의 경호기관으로 거듭나기 위한 일환으로 현행 대통령 등 경호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향후 개정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대통령 등 경호에 관한 법률 제2조(정의) 제1항에 의거한 경호는 ‘경호대상자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신체에 가하여지는 위해를 방지하거나 제거하고, 특정지역을 경계ㆍ순찰 및 방비하는 등의 모든 안전 활동을 말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경호업무의 수권적 업무특성으로 인해 경호처 소속 직원은 해당 업무 수행과정에서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할 가능성이 높다. 대한민국 헌법 제 37조 제2항은 ‘국민의 모든 자유와 권리는 국가안전보장ㆍ질서유지 또는 공공복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최소한으로 제한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경호업무수행과정에 수반되는 제반 경호직무활동은 법률 유보의 원칙에 의거 경호직무와 관련된 법률의 근거에 입각해야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측면에서 현행 대통령 등 경호에 관한 법률에 대한 문제점 및 개정방향을 제시하였다. 세부적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경호처 조직, 직원, 직무와 관련하여 혼재되어 있는 현행 법률을 경호처 조직 및 직원과 관련된 조항은 ‘대통령 등 경호에 관한 조직법’으로 경호처 직무와 관련된 조항은 ‘대통령 등 경호에 관한 직무법’으로 이원화 하여야 한다. 둘째 대통령 등 경호에 관한 법률 제5조(경호구역의 지정 등) 경호 업무의 법적권한을 강화하여 차후 법적 다툼의 소지를 없애기 위해서 동법 세부조항으로 경호직무 수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위해행위 발생시 대응할 수 있는 구체적인 해당 조항을 추가해야 한다. 셋째 현행 대통령 등 경호에 관한 법률 제19조(무기의 휴대 및 사용)의 획일적인 조항을 경호행사 준비 및 실시단계 시에 사용할 수 있는 경호장비의 정의, 사용범위 및 경호무기의 정의, 사용범위로 이원화하여 명시함으로써 경호임무 수행과정에 사용할 수 있는 경호장비 및 경호무기사용의 법적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

      • KCI등재

        대통령 경호기관의 역대 공식홍보자료 분석

        주일엽(Joo Il-Yeob) 한국경호경비학회 2019 시큐리티연구 Vol.- No.59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통령 경호기관의 역대 공식홍보자료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공식홍보자료 구성과 용어의 변화를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대통령 경호기관의 역대 공식홍보자료를 대상으로 구성, 용어의 변화 등에 대해 문헌연구 중심의 질적연구(qualitative study)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통령 경호기관의 공식홍보자료 구성은 대통령 경호기관 중심에서 국민 중심으로 홍보 구성 방향이 점진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통령 경호기관의 공식홍보자료 용어는 경호기관의 특성상 다소 경직된 용어 사용이 불가피하지만 이러한 가운데에서도 국민 친화적 홍보 용어 사용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통령 경호기관은 적극적인 홍보 노력을 통해 국민의 알 권리를 충족하고, 경호업무의 학문적 발전을 선도하면서 대통령 경호기관의 행정작용에 대한 정당성 확보와 긍정적 인식 형성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또한, 대통령 경호기관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법적⋅제도적 개선을 통해 조직, 기능, 직원 등에 대한 구체적 근거를 보강하고, 그 업무영역도 국가안전 총괄 및 조정 분야로 확대하는 방안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change of composition and terminology of the official public relation(PR) brochures of the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of Korea. For this purpose, the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on the official PR brochures of the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ositions of the official PR brochures of the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have been gradually changing from the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to the public. Second, the terminologies of the official PR brochures of the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have been gradually increasing the using public friendly terms in the middle of the using rigid terms because of the nature of the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Therefore, the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should fulfill the public s rights to know through active PR efforts in the future and concentrate the capabilities in securing the legitimacy of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while leading the academic development of security servic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ays to renew specific concrete grounds for organization, functions, and employees through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to secure the professionalism of the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and to extend the scope of work to the field of national security management and coordination.

      • PROTECTION SECURITY Organizations of the ROK : A Comparative Study of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and National Po-lice Agency

        Jo Sung-gu,Jung Yook-sang J-INSTITUTE 2017 International Journal of Military Affairs Vol.2 No.1

        Protection security organizations in the Republic of Korea were conceived in 1949 to provide protection security services to the first President, Rhee Syngman. It was in 1963 that the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was created at the inauguration of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thereby launching hybrid security in conjunction with the National Police Agency. Ever since, the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and the National Police Agency have taken numerous actions against threats of assassination from North Korea’s special forces and terrorism in the aftermath of the Korean War, and have taken counter-terrorist actions by North Korean Special Forces during the Korean War. Prominent examples include a surprise infiltration incident of 1968, the attempted assassination of President Park Chunghee in Seoul in 1974, and the attempted assassination of President Chun Doohwan in Myanmar in 1983. Presently, the hybrid security service has garnered commendations from abroad for successfully aiding largescaled events such as Asia-Europe Meeting, Asia Pacific Economic Cooperation, G20 Summit, and Nuclear Security Summit to consummate. Unfortunately, however, there is not a great number of studies conducted on the hybrid security service. This study has undertaken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s and the National Police Agency’s training and legal grounds from the theoretical perspective. Discussions were also made on the efficient directions for these two organizations. Consequently, the study discovered the organizations’ common goals, such as enhancing personal protection, maintenance of authority, maintenance of order, and citizen friendliness. Therefore, this study sought after ways to create an integrated form of the protection security organization, a break away from the two separate entities we currently have in Korea.

      • KCI등재

        경호학의 발전을 위한 대통령경호실 특별채용 확대방안

        Tae Min Kim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5 Crisisonomy Vol.11 No.2

        대통령과 같은 국가요인에 대한 위해는 국가위기를 초래할 수 있는 중대한 문제이다. 대한민국에서는 국가요 인에 대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대통령경호실에서 경호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현재 경호 관련학과의 많은 학생 들은 대통령경호실에 채용되기를 희망하고 또 이를 위해 준비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대통령경호실에 채용되는 경호학과 학생은 극소수에 불과한 실정이다. 학생들에게 미래비전을 제시하지 못한다면 경호학전공자들의 이탈과 감소를 조장하게 하는 요인이 되고, 이는 취업률뿐만 아니라 재학생충원율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최근 학령인구가 급감하고, 이에 대비하기 위하여 정부차원에서 구조개혁 정책을 펼치고 있다. 특히 대학평가 및 구조 개혁에서 취업률과 재학생충원율은 주요 지표로 작용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적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경호 학과의 침체는 물론 경호학의 발전을 기대하기 어렵다. 경호학과 출신자들은 대통령경호실의 잠재적 인적자원으 로서 준비된 사람들이다. 따라서 경호학의 발전을 위해서는 대통령경호실 특별채용제도를 확대해야 하고, 특히 경호학과 특별채용제도를 도입해야 한다. Any harm on important figures on the nation such as the President is a critical issue that can cause national crisis. To secure safety of important figure of the nation, the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performs the security work in Korea. Currently, many students majoring in what is related with security science want to be hired in the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and are preparing for that. However, only a few students are employed in the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actually. If a futuristic vision is not presented to the students, it would be a factor to drive breakaway and reduction of the security-majoring students, which would considerably influence on the rate of employment and enrolled students reinforcement. As academic population drops recently, the government spreads structural reform to countermeasure against this. Especially, the rate of employment and enrolled students reinforcement work as a main index in assessment and structural reform of universities. Unless such virtual problems were not solved, department of security science would be depressed and it would be hard to expect development of security science. Graduates of the development of security science are those who are prepared as potential human resources of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To develop security service, therefore, a special employment system of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should be expanded, and a system to especially employ the graduates of Security Science should be introduced.

      • KCI등재

        북한 호위사령부의 경호제도 변화에 대한 고찰

        김두현(Kim Doo Hyun) 한국공안행정학회 2005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0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ways to develop the Security Science and a military countermeasure against North Korea, through the study about the security structure and the security operation for the National Defense Commission Chairman of North Korea to affect the security circumstance of South Korea. At first, in this paper, the theory of the security and security systems of the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s in foreign countries are describ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 such as his legal status, the security system, the structure and the personnel management of the Security Service, the security operation, the security intelligence, the security and the report system are studied through documental researches. In particular, government organizations and authority structures of North Korea seem to be externally in the form of the separation of the three powers. Yet, actually everything is controlled by the military authority centralized to the National Defense Commission Chairman and Chosun Labor Party. In this paper, the ways to develop the security in the systematic, the managerial and the academic way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in the systematic way, the current system of the 3 line security adopted in western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s to be converted to the system of the 5 line security that North Korea applies originally, and the system to preselect the security personnel tentatively is necessary for the specialization and the elitism of the security. Second, in the managerial way, to achieve the scientific security, up-to-date equipments digitalized to collect the security intelligence such as the device attached to the train of the National Defense Commission Chairman of North Korea is to be loaded in the exclusive security vehicles(the car, the train, the helicopter and so on) for the VIP, and the economical management of the security structure such as the expansion of the employment of female security guards and the introduction of the customized security system is to be required. Third, in the academic way, this paper proposes to commit the training of security personnels and the in-service to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universities or colleges) for the specialization of security guards and to include the Security Science and the Security English in the subjects for the test to employ security guards in Public Service, in order to improve the foreign language ability of security guards and their fundamental knowledge related with the security science. 북한의 국방위원장은 나라의 방위력과 전반적 국력을 조직ㆍ지배하는 국가의 최고기관의 장으로서 정치ㆍ경제의 총체를 지휘ㆍ통솔하는 막강한 국가수반의 지위에 있다. 이와같은 법적지위에 있는 국방위원장의 경호를 호위사령부에서 담당하고 있는데 최근 ① 5선 경호개념의 운영, ② 경호조직의 군사력 집중, ③ 심기경호에 의한 건강관리, ④ 경호기법의 다양화, ⑤ 경호 정보 및 보안체계의 강화 등 일련의 경호제도가 바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이 아직도 테러지원국가로 분류되고 있고, 핵 및 생화학무기의 개발로 우리나라를 위협하고 있을 뿐만아니라 군부의 권력집중 현상으로 인해 남한의 경호환경이 악화되고 있고, 또한 1,21 청와대 무장간첩사건, 버마 아웅산묘소 폭파사건, 8.15 육영수 저격사건, 대한항공기 폭파사건 등이 북한에 의해 암살 및 테러를 가해왔던 과거의 역사적 사건들로 비추어 볼 때, 이에 대한 대응책이 강구되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경호체계를 ① 3선 경호개념에서 5선 경호개념으로 전환, ② 경호요원의 전문화를 위해 경호공무원의 조기 선발제도 도입, ③ 최첨단 경호정보수집 및 대테러장비의 보완, ④ 경호실무 중심 형태의 인력운영을 위한 경호ㆍ의전ㆍ비서의 통합적 맞춤형 경호체제의 도입 등을 통해 북한의 경호위해요소에 대하여 대응하여야 한다.

      • KCI등재

        공경호기관의 진출 활성화방안 연구

        손경환(Son, Kyung-Hwan),신승균(Shin, Seung-Gyoon) 한국민간경비학회 2014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13 No.1

        이 연구는 현행 우리나라 공경호의 대표조직이라 할 수 있는 대통령 경호실을 중심으로 경호 관련학과 전공자들의 공경호기관 진출방향과 문제점, 이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대상으로 하여 먼저 각 대학 경호 관련학과의 현황과 재학생들의 진출분야 선호도, 대통령경호실 등을 포함한 공경호기관에 이들 학과 졸업생들의 진출 현황 등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내용들을 기반으로 하여 경호 관련학과 전공자들이 무엇 때문에 공경호기관 진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를 공경호기관 입직과정과 경호 관련학과의 교과과정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또한 외국의 공경호기관에서의 경호원 선발방법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공경호 입직과정이 내포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상호 비교 검토하였다. 공경호기관의 입직경로상의 문제점으로는 공경호기관의 선발방법의 한계, 경호 관련학과의 교과과정의 문제, 외국경호기관의 입직사례 등을 살펴보았고, 그에 대한 경호 관련학과의 공경호기관의 진출 활성화 방안으로 제한경쟁체제의 도입, 대통령경호실의 공개채용제도의 변경, 경호 관련학과의 재정립의 필요성을 알아보았다.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current issues of career development i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ecurity sciences, dealing with the status of departments of security sciences established in all colleges nationwide, the students' preferences of professional field, and the employment status of graduates in public security organization areas including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with priority given to South Korea's representative group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Based on these arguments, this research considers why students have a trouble entering pubic security organization areas by examining the processes of employment and the curricula of the department of security sciences. Moreover, this research compares the different processes of employment in Korea with other countries and suggests their strengths and limitations. This research indicates the constraints of employing processes in public security organization areas, the problems of school curricula, and the cases of recruiting methods in foreign countries and suggests the introduction of limited competition system, the revision of open recruitment system, and the reestablishment of department of security sciences to activate career development of students majoring in security sciences.

      • KCI등재

        정부수립 이후 대통령경호처의 경호무도 변천사

        안경일 ( Kyeong-il An ),박세림 ( Se-lim Park ) 대한무도학회 2021 대한무도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정부 수립 이후 대통령 경호기관의 탄생배경에 대해 알아보고 시대의 변화에 따른 대통령 경호기관의 변화와 경호무도의 변천사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최초의 대통령 경호기관은 1948년 경무대경찰서에 의해 경호경비 업무가 시작되었으며, 1953년 대통령경호, 경비 전담 업무로 변화한다. 둘 째, 1961년 군사정변에 의해 경찰조직과 군 조직의 경호형태로 변화된다. 이후 1988년 경호공무원의 채용으로 경찰, 군인, 경호공무원의 경호 형태로 체계화된다. 셋째, 1950년대 초 경호무도는 일제강점기 성행한 유도와, 검도가 주류를 이루었으며, 1960년대에 이르러 다양한 훈련 종목이 추가되어 발전된다. 이후 북한의 도발에 대응하기 위해 특공무술의 개발로 이어진다. 넷 째, 대통령경호실의 무도훈련은 2015년 시대에 맞는 변화를 이루어 다양한 상황에서 대응할 수 있는 ‘충’무도가 정립되어 훈련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background of the birth of the presidential security agenc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and to reveal the changes in the presidential security agency and the history of security guard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times. First, the first presidential security agency was started by the police station in 1948 and was transformed into a security guard and security service in 1953. Second, the military government changed the form of security into police and military organizations in 1961.ever since hiring security officers made the form of security guards more diverse such as police, military, and security officer in 1988. Third, guard martial arts in the early 1950s was dominated by Judo and Kendo, which were popular in Japanese colonial era, and by the 1960s various training events were added and developed. After that, special martial arts emerged to respond to North Korea’s provocations. Fourth, the training of the office of the Presidential Security adopted ‘Choog’mudo in order to deal with various situatuions and meet demands of the time in 2015.

      • KCI등재

        경호환경 변화에 따른 대통령경호처 특별사법경찰제도의 실효적 운영방안 연구

        김태영,김태형,김호 한국치안행정학회 2022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9 No.2

        Under the current administration, security has been transformed into friendly, open and low-key security activities that expand the security of the president and citizens in the security area. In addition to the advantages of this being transformed into a deauthoritative security paradigm, paradoxically, it can lead to vulnerable response to contingencies, such as precautionary security and restrictions on immediate and strong controls. In particular, various security factors such as the extreme right-wing protests in the U.S. and Europe, low-tech terrorism and cyberattacks are currently underway in Korea after the Corona 19. While the role and importance of the special judicial police system stipulated in the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law is increasing as various security hazards are highly intelligent, radicalized, and extreme, it has not been effective due to environmental factors and internally limited conditions. Therefore,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basis and operating system of the current special judicial police authority of the Presidential Security Agency and examine legal aspects and step-by-step institutional improvements for effective special judicial police authority. 최근 대통령경호처의 경호패러다임은 기존 대통령의 신변보호 위주의 권위적 경호활동에서 탈피하여 경호구역내의 시민들까지 경호대상자로 확대하는 탈권위적인 국민 친화적 경호활동으로 변모하였다. 그러나 관련 법령 개정이 되지 않은 상태로 시민들까지 경호대상자로 확대하다 보니 사전 예방경호 및 즉각적이고 강력한 경호조치가 제한되는 등 다양한 경호위해상황에 대한 대처가 취약 해질 가능성이 높은 실정이다. 특히 코로나 19 사태 이후 더욱 과격화 된 집회시위 양상과 미국과 서 구 유럽을 중심으로 발호하는 극우주의 및 Low-tech 테러, 사이버 공격 등과 같은 다양한 경호 위해요소가 우리나라에서도 현재 진행되고 있다. 이렇듯 경호위해요소들이 더욱 지능화, 과격화, 극단화되면서 기존「대통령 등 경호에 관한 법률」 (이하 대통령경호법)상에 명시되었던 특별사법경찰제도의 역할과 중요성은 증대되고 있지만 그 동안 제도적 장치의 미흡과 다양한 내외부적 요인으로 인해 실효적인 특별사법경찰권의 수행이 제한되어 왔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경호환경 변화와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현재의 대통령경호처 특별사법경찰제도의 운영의 법적 근거 및 실제 운영상의 제한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한 실효적 운영방안으로는 법률개정 방안과 실효성 있는 제도적 운영방안, 직무범위 설정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는데 먼저 법률적 측면에서는 관련 법령인 대통령경호법 또는 사법경찰관리의 직무를 수행할 자와 그 직무범위에 관한 법률 등의 개정소요를 검토하였다. 둘째 실효적 운영방안으로, 독립적 특별사법경찰 전담부서 신설, 경호구역내 테러혐의점 규명을 위한 조사역량 강화, 내부 범죄수사규칙 제정 및 수사업무시스템(매뉴얼) 전산화 구축, 사이버·과학수사 역량 강화 등을 제시하였다. 셋째 직무범위에 있어서 11개 유형의 경호업무 소관 범죄에 대한 사법경찰관 직무 수행, 사이버 순찰 등 예방경호 활동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통령 경호조직의 직무특성 연구

        조광래(Cho, Kwang Rae) 한국민간경비학회 2012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11 No.3

        본 연구는 실질적으로 막강한 권한을 갖고 있는 우리나라의 국가원수인 대통령의 신변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대통령실 경호처(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조직의 직무특성인 전문성과 권력성에 대하여 문헌연구 중심의 질적 연구를 통해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통령 경호조직의 전문성으로 대통령 경호기관인 대통령실경호처는 경호업무를 총괄하는 행정기관으로서 조직의 전문성이 매우 중요하며 ① 대통령 경호기관 구성원의 전문성, ② 경호기관 지휘ㆍ통제의 전문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대통령 경호기관 구성원은 경호원 모두가 개인적으로 어떤 상황에서도 국가원수를 지킬 수 있는 경호업무의 전문성을 보유하는 한편, 국가 경호작전체계 운용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까지도 보유하고 있어 하며 그래야만 대통령 경호기관, 즉 대통령실 경호처는 경호전문기관으로서 인정받고 그로부터 전문성에 근거들 둔 권력이 나올 수 있다. 둘째, 대통령 경호조직의 권력성으로 대통령 경호조직, 대통령실 경호처의 권력성은 대통령과 대통령 경호조직의 관계가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으며 ① 개인적 권력(personal power), ② 지위 권력 (position power)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개인적 권력(personal power)은 전문지식(expert power), 준거적 권력(reference power), 정보성 권력(intelligent power)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지위 권력(position power)은 합법적 권력(legitimate power), 보상적 권력(reward power), 강제적 권력(coercive power)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은 대통령 경호조직의 특성에 대하여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대통령 경호조직의 전문성, 대통령 경호조직의 권력성 등 두 가지 모두를 고르게 포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대통령 경호조직, 즉 대통령실 경호처의 전문성을 고려하지 않고 정치적으로 활용할 경우에 권력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은 커진다. 대통령 경호조직의 월권행위는 대통령의 국정운영에도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하여 성공하는 대통령이 되는데 걸림돌이 될 것이다. 대통령 경호 조직은 그 지위권력으로서 주어진 합법적 권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그 이상의 권력은 주어져서도 안 되고 만약 주어진다고 해도 대통령 경호조직 스스로가 그 권력을 행사하지 않도록 조심하여야 한다. 또한 대통령 경호조직의 축소와 소속의 변경은 대통령실장이 마음만 먹으면 경호작전에도 관여를 할 수 있는 체제가 된다는 점에서 경호원칙에 심각하게 어긋날 뿐만 아니라 자칫 경호작전상 불확실성을 가져와 대통령의 안전에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현재의 대통령실 경호처의 위치는 하루빨리 본래대로 복귀시켜 독립적인 대통령 경호조직으로(대통령경호실)로 운영되어야 한다. 향후 대통령 경호조직의 권력은 대통령과의 신임관계나 물리적 거리에 의한 권력이 아니라 합법적 권력과 전문적 권력으로부터 나오도록 해야 한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research and analysis on professionalism and power of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PSS), an organization that is responsible for the president’s security which consequently holds immense authority and power.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SS is an organization that oversees protection business, requiring a great deal of professionalism; and such professionalism can be divided into: 1. professionalism in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nd 2. professionalism in commanding and controlling of the organization. The members of PSS must harbor the professionalism, or in this case the expertise, on protection business, in order to protect the head of the state in any circumstances. In doing so, the PSS then can be acknowledged as the professional protection organization, thus being to retain the power. The second result is on the power of a presidential protection organiz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idents and PSS can be an essential factor on the power of the organization. The power can be divided into: 1. personal power, and 2. position power. Personal power then can be divided into expert power, reference power, and intelligent power. Position power, on the other hand, can be divided into legitimate power, reward power, and coercive power. Above results provides an important point on the characteristic of presidential security organization – the organization must be able to evenly embrace both the professionalism and power. When the organization, the PSS in this case, is politically abused without any regards to professionalism of the organization, the power of the PSS becomes a liability. Such overstepping of authority by a presidential security organization will also put pressure on the president thus hampering a successful term. The power of a presidential security organization must stay within the legal boundary. A power more than such limit should not be given, and if given the organization itself must be careful not to exercise such power. The PSS is currently under the Office of the President, which means that every detail from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organization and each protection strategy can be interfered by the Chief of Staff. This causes seriously problem in whole protection strategy, jeopardizing the security of the president. Therefore, the PSS must be reinstated as an individual organization. The power of the PSS in the future must come not from the level of trust from the president or physical distance between the president and the organization, but from legal authority and professionalism.

      • KCI등재

        요인테러 관점의 일본 아베 前 총리 암살사건 연구

        김태영,문홍렬,방준영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23 일본연구 Vol.3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direction of the security safety policy that Korea should pursue in the future through a case analysis study on the assassination of former Prime Minister Shinzo Abe in Japan in 2022. To this end, the progress of the assassination case was first examined based on the concept of factor terrorism and the recent aspect. Second, the main countermeasures taken by the Japanese National Police Agency were analyzed in terms of counter-terrorism safety measures and the problems were examined. Third, through these problems,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s security safety policy in the future were derived. As a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literature 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s with security safety experts were conducted simultaneously. Seven policy implic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security safety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main problems of the Japanese case derived as a result of the study were presented. It includes strengthening the security information collection capabilities of the Presidential Security Agency, expanding the concept of multi-area operations, establishing security manuals and connecting with related agencies, unifying the command system centered on the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strengthening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science security equipment, and improving communication with security targets. 이 연구의 목적은 2022년 일본 아베 신조 전 총리 암살사건 사례분석 연구를 통해 향후 우리나라가 지향해야 할 경호안전 정책의 방향성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으로 요인 테러의 개념 및 양상을 토대로 일본의 암살사건 진행 과정을 살펴보았다. 둘째 일본 경찰청에서 조치한 주요 대응사항을 대테러 안전대책 측면에서 분석하여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셋째 이러한 문제점을 통해 향후 우리나라의 경호안전정책의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도출된 문제점 및 우리나라 경호안전 분야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7가지를 제시하였다. 경호정보 수집·분석·공유 역량 미흡에 따른 관계기관과의 협업 강화, 경호개념의 미정립에 따른 다영역 작전 개념의 경호구역 확대, 유형별 경호매뉴얼 정립 및 관계기관과의 연계성 강화, 통합경호작전 지휘를 위한 대통령경호처 중심의 일원화, 개별 경호인력의 역량 미흡에 따른 국가 경호안전 교육훈련 역량 강화, 과학 경호장비 개발·운용 미흡에 따른 연구개발 강화, 경호대상자와의 소통 미흡 개선 등을 도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