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즐거운 생활’수업은 얼마나 즐거운가?-‘즐거운 생활’에 대한 초등교사와 학생의 인식 -

        천지애,전세명 한국초등체육학회 2011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students on the practice of Pleasant Life class as an integrated curriculum. A case study approach was adopted and a teacher who have expertise in the integrated Pleasant Life class was selected through purposeful sampling (Patton, 2003). Using non-participant observation technique, Pleasant Life classes were observed. Besides, teacher interviews, lesson plans from the teacher, student interview data, and student drawings were collected. Data were organized and inductive categorical system was used in order to categorize them by subtopic in relation to the research problem(Miles & Huberman, 1994). To secure truthfulness of this study, member check and peer debriefing approach were used by sharing data with participants and consultation with professionals(Denzin & Lincoln, 2008). Findings revealed that the perceptions of the teacher and students toward the Pleasant Life class were turned out to be opposite. While teachers undergo difficulties such as lack of time, unsatisfactory materials and lack of interest, students perceived the integrated Pleasant Life as the time to relieve the desire to move, to interact with friends and to feel the joy of learning.

      • KCI등재

        국어과와 연계한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 구현 방안-전래동요를 중심으로-

        김민하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7 국악교육연구 Vol.11 No.2

        This study aims to find a way to link with Korean language arts when implementing a ‘pleasant life’ curriculum with traditional children’s song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rough analyzing the patterns of songs in thematic, integrated textbooks for the first and second grades and Korean language arts textbooks, it is found that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re used as a material for realiz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two academic subjects. It is also found that the pattern of using traditional children’s songs in each subject based on each subject’s characteristics and there are common teaching-learning activities such as singing and playing in accordance with the musical and playful qualities of traditional children’s songs. This makes it possible to understand the usability of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s a linking material of the two subject curricula. Secondly, as the 2015 revised ‘pleasant life’ curriculum proposed ‘aesthetic emotion competency,’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as subject competencies, teaching-learning activities related to traditional children’s songs in the thematic, integrated textbooks are found to correspond to these competencies. Since the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has covered various Korean language functions that are required to effectively teach these contents, the needs of linking ‘Korean language arts subject’ and ‘pleasant life’ subject are recognized. For this, the study sets the needs of linking Korean language arts subject and ‘pleasant life’ subject as ‘cultivation of aesthetic emotion competency through integrated acquisition of expressive methods’, ‘cultivation of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through imitation and creation’, and ‘cultivation of communication competency through collaborative play activities’. Thirdly, in order to find a plan for a linked class between Korean language arts and ‘pleasant life’ using traditional children’s songs, the study reconstructed step-by-step activities of an expression and play centered learning model in ‘pleasant life.’ Then, it abstracte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Korean language arts subject, from listening, speaking, writing, and literature areas, which could be linked with the step-by-step activities. Based on this, a linked class curriculum was presented. In order to cultivate ‘creative convergence talents’ pursu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gradual changes must be made from classroom instruc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paper can be used in gradually improving the direction of ‘pleasant life’ class. 본고는 전래동요를 활용하여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을 구현할 때 국어과와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고에서 논의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2학년 통합교과 주제별 교과서와 국어교과서의 전래동요 수록 양상을 분석한 결과 전래동요는 두 교과의 성취기준을 구현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각 교과에서 전래동요를 활용하는 양상은 교과 특성에 기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래동요가 지니고 있는 음악적․놀이적 특성에 따라 노래 부르기, 놀이하기와 같이 공통적인 교수․학습 활동도 나타났다. 이를 통해 두 교과 교육과정의 연계 소재로서 전래동요의 활용 가능성을 파악해 볼 수 있었다. 둘째, 2015 개정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에서는 교과 역량으로 ‘심미적 감성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의사소통 역량’의 세 가지를 제시하였는데, 주제별 교과서의 전래동요 관련 교수․학습 활동 중에는 이 역량에 부합하는 내용들이 발견된다. 국어과에서는 이러한 내용을 효과적으로 지도하는 데 요구되는 다양한 국어 기능들을 다루고 있어, 국어과와 ‘즐거운 생활’과의 연계 수업의 필요성을 찾을 수 있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국어과와 ‘즐거운 생활’과 연계 수업의 필요성을 ‘표현 방법의 통합적 습득을 통한 심미적 감성 역량 함양’, ‘모방과 창조를 통한 창의적 사고 역량 함양’, ‘협력적 놀이 활동을 통한 의사소통 역량 함양’의 세 가지로 설정하였다. 셋째, 전래동요를 활용한 국어과와 ‘즐거운 생활’의 연계 수업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전래동요 교수․학습의 특성을 고려하여 ‘즐거운 생활’과의 표현 놀이 중심 교수․학습 모형의 단계별 활동을 재구조화 하였다. 그리고 각 단계별 활동과 연계할 수 있는 국어과 성취기준을 듣기․말하기, 쓰기, 문학 영역에 걸쳐 추출한 후, 이를 토대로 교육과정 연계 수업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교실 수업에서부터 점차적인 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즐거운 생활’과 수업의 방향을 점차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 본고의 연구 내용이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삶의 질 유형에 따른 경찰 복지 개선방안

        박종철,김종갑 한국경찰복지연구학회 2015 경찰복지연구 Vol.3 No.1

        본 연구에서는 경찰공무원의 복지실태를 경제·건강·가족·문화·직업가치 분야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삶의 질 유형에 따른 경찰 복지의 개선 방안을 제시 하였다. 경찰 복지의 중요성은 치안만족도 향상을 위한 전제적 기본 요건이며 직 장에 대한 자긍심과 자부심 형성은 바로 국민에 대한 질 높은 서비스로 이어지므 로 반드시 지휘부에서 관심을 두고 추진해야 할 과제이다. 그 동안 각종 현안에 밀려 적극적인 관심을 받지 못했던 경찰 복지 분야가 조금 씩 개선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아직까지도 삶의 질 측면에서 본다면 그 수준은 매우 낮다고 평가된다. 또한 경찰 업무의 특수성을 제대로 반영치 못하고 군(軍)이나 일반 공무원과 격을 맞추 는 식의 복지 정책은 현장 경찰관들로부터 외면당할 뿐이다. 때문에 앞으로의 경찰 복지는 삶의 질 유형에 따라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 함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건강한 삶을 위해서는 위험성·돌발성 등의 직무특성에 대비한 심리적 치 료의 확대와 전체 경찰관을 대상으로 한 정기적 심리진단과 이에 근거한 적 지원 책이 필요하다. 또한 현재 6개 광역시에 설치되어 있는 ‘트라우마 센터’를 전국으 로 확대하고, 강력사건에 노출된 경찰관은 의무적으로 트라우마 치료를 받도록 해 야 한다. 둘째, 안전한 삶을 위해서는 ‘경찰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인성교육 등 사회재교 육의 강화와 직무 중 안전확보를 위해 신고 출동시 ‘웹캠(webcam)’으로 증거수집 을 할 수 있도록 관련 법령과 규칙 개정이 필요하다. 또한 지역경찰 근무자에게 퇴 직시 ‘운전경력증명서’를 발부하여 지역경찰과 내근 간의 자율적 순환을 유도하는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 셋째, 쾌적한 삶을 위해서는 근무환경 개선과 더불어 경찰 업무 특수성을 반영 한 독자적 보수체계의 마련과 지방 순환 근무자와 신임 경찰관들이 안정적으로 직 무에 전념할 수 있도록 주거문제 해결을 위한 숙소 마련이 필요하다. 넷째, 편리한 삶을 위해서는 현실적으로 정보가 단절된 퇴직 경찰관의 실질적인 자립지원을 위한 각 지방경찰청에 ‘퇴직 경찰관 복지지원센터’를 설치와 현직 경 찰관과 정보교류를 할 수 있도록「홈페이지」등을 개설하여야 한다. 또한 최신 상 식과 업무 지식 습득을 도울 수 있는 평생교육 기반 구축이 필요하다. 다섯째, 즐거운 삶을 위해서는 경찰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존중의 토대 마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경찰을 소재로 한 공영 프로그램의 개발과 각종 광고 및 인터 뷰 등을 통한 경찰 활동 사항의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This research suggests a police welfare improvement plan that depends quality of life pattern by dividing current welfare system of police officer into areas of economy, health, family, culture and vocational value. It is important that police welfare system is prerequisite factor of improving satisfaction of public order and formation of pride and self-confidence will encourage high quality service toward citizens. Therefore, improvement of police welfare must be promoted with interest of command. For while police welfare has not been issued for a long time since there were various other pending issues. It has been improved a bit, but still it is very low in life quality perception if evaluate. Also distinct characteristic of police work has not been reflected properly and just match with soldiers or normal government officer, so the system is ostracized by police. Due to that below factors should be included in police welfare depends on life quality patterns. First, it is necessary to have support plan based on periodic psychological test from entire police and enlarge psychological treatment for work characteristic such as danger and sporadicalness for healthy life. Also ‘Trauma center’ that are located in only 6 megalopolises should be expanded to entire nation and police who exposed to crime case to take trauma treatment compulsorily. Second, laws and revision of laws that to collect evidences by ‘webcam’ during mobilization for securing safety while working as well as reinforcing social re-education likes personality education to prevent ‘police accident’ for safe life. Also it is urgent to have policy that induce autonomous rotation between desk job and local police by issuing ‘Certificate of driving experience’ to local polices when they retire. Third, it is required to have a plan that resolving accommodation problems to focus on work stably for regional rotation workers and new police officers and building exclusive pay system that reflects distinct characteristics of police as well as improving work environment for pleasant life. Fourth, for convenient life, there should be a ‘Hompage’ to share information with current police officer and installation of ‘retired police officer welfare center’ at each local police agency for effective self-reliance support of retired police officer who completely isolated from current information. Also it is necessary to build lifelong education system that can help newest information and acquisition of work knowledge. Fifth, social support and respect toward police is needed for happy life. To achieve this, active promotion of police activity such as development of public program, various advertisement and interview from police is needed.

      • KCI등재

        긍정심리학 기반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연구

        강민수(Kang Min So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2

        본 연구에서는 긍정심리학 기반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즐거운 삶, 몰입하는 적극적인 삶, 의미있는 삶의 경험에 어떠한 변화를 일으키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78명의 대학생에게 한 학기동안 15회에 걸쳐 프로그램을 실시하며 사전•사후 심리적 안녕감, 우울, 낙관성 검사를 통해 그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이 세 가지 검사결과 에서 긍정적 변화를 모두 보인 56명(32%)의 학생들 가운데 15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질적사례연구를 위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양적연구결과 긍정심리학 기반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우울, 낙관성 사전•사후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검증되었으며 긍정적 효과를 보였다. 질적연구결과 긍정심리학 기반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즐거운 삶, 몰입하는 적극적인 삶, 의미있는 삶이라는 세 가지 구성요소별로 각각 정서, 인지, 행동차원에서의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세부적으로는 첫째, 긍정적 정서와 생각을 유도한 프로그램은 같은 일상생활 속에서 좀 더 적극적으로 즐겁게 생활하는 행동의 ‘변화’를 보였다. 둘째, ‘몰입하는 적극적인 삶’으로서의 긍정심리 개입을 통해 높은 ‘자기수용’을 인식하는 ‘변화’도 경험하였다. 셋째, ‘의미있는 삶’을 만들어가기 위해 자신이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일에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여 만족감과 성취감을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 수행이후 이들은 낙관성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또한 감사함을 찾는 프로그램 활동을 통해 자기중심적 관찰에서 주변사람들과의 관계적 관찰에서 감사함을 찾는 관점으로 확대됨을 경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how mental health promotion programs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brings changes in pleasant life, engaged life and meaningful life. This research considers 15 programs featuring 178 students during one semester. Pre-and-post examination of psychological well-being, depression and optimism were conducted to identify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56 students (32%) showed positive changes in all 3 factors. 15 students among them were selected for an in-depth interview for a qualitative case study. As a result of the quantitative study, a mental health promotion program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in the pre-and-post examinations of psychological well-being, depression and optimism. Mental health promotion programs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showed positive changes in mental, cognitive and behavior perspectives in the fields of pleasant life, engaged life and meaningful life of college students. Specifically, positive psychology and thinking programs influenced students to become more enthusiastic and active in pursuing a pleasant life. Secondly, positive psychology intervention concerning engaged life brought a recognition of higher "self-acceptance". Thirdly, each individual spent more time and effort to experience more satisfaction and accomplishments. Lastly, subjects showed greater optimism after the program. Through the searching gratitude program, study subjects expanded their appreciation of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s.

      • KCI등재

        놀이-기반 교과로서 즐거운 생활에 대한 논의 - Bobbitt을 중심으로

        조상연 ( Sangyeon Jo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7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1 No.4

        이 연구에서 연구자는 Bobbitt(1918)의「The curriculum」을 중심으로 교육과 놀이에 대한 논의를 고찰하고 이를 기초로 놀이-기반 교과로서 즐거운 생활의 정체성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먼저 교육과 놀이에 대한 Bobbitt의 논의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학교교육의 본질로서 놀이는 놀이답게 경험되어야 한다. 둘째, 놀이-기반 교육의 측면에서 학교교육은 놀이의 활동과 태도의 모든 측면을 총체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셋째, 놀이-기반 교육의 측면에서 아동은 교과를 놀이로 온전히 즐기는 존재로, 교사는 해당 교과의 교육 목적이나 의도를 인식하며 여건을 조성하는 존재로 공존해야 한다. 이에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교육에 있어 놀이-기반 교육이 그 본성을 회복해야 한다. 둘째, 즐거운 생활은 놀이-기반 교육의 본성을 구현하는 중심 교과로서 그 정체성을 모색해야 한다. 셋째, 즐거운 생활에서 놀이는 교육 내용 및 방법인 동시에 궁극적인 목적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넷째, 놀이-기반 교과로서 즐거운 생활 교과를 가르치는 교사는 놀이와 교육의 온전한 공존을 위한 중요한 책무를 수행해야 한다.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considered the discussion of 'education and play' in Bobbitt(1918)'s「The curriculum」. Based on this, the researcher sought to explore the identity of the「Pleasant Life」(one of the Korean elementary integrated school subjects)' as a play-based subject. Bobbitt(1918)'s discussion of 'education and pla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should experience the play as a full play. Second, in terms of play-based education, school should take into account both aspects of play activities and attitudes as a whole. Third, children and teachers should coexist as being their own unique attributes. The children should exist as beings who enjoy the school subjects as play, and the teacher as a being recognizes the educational purpose of the subjects, and also creates appropriate conditions for the purpose. Therefore,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in school, play-based education should restore its nature. Second,「Pleasant Life」should seek its identity as a central subject that embodies the nature of play-based education. Third, in「Pleasant Life」, play should be treated as a content and method of educ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ultimate aim. Fourth, teacher who teaches「Pleasant Life」should carry out important missions for the desirable coexistence of play and education.

      • KCI등재

        통합교육과정「즐거운 생활」교과에 대한 비판적 검토: 체육교과를 중심으로

        이승배 한국체육교육학회 2022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7 No.5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xamine for the subject of‘Pleasant Life’which has continued as an integrated curriculum for the past 40 years, from the perspective of physical education. Methods: To this end, this researcher selected a total of nine key informants and collected data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and document, and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for 10 months from February to November 202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imultaneously applying and utilizing ‘explanation’ that is the explicit analysis technique, and ‘cross-case syntheses technique’ among Yin’s(2014) case study analysis techniques. Result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 of pleasant life operated by integrated education was found to have serious practical problems related to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such as an increase in child obesity rate, inhibition of normal development, lack of brain stimulation-development, and blocking instinct for exercise. Second, the subject of pleasant life was found to lack logical basis for the integra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art subjects, logical contradictions for the legitimacy of integration due to undifferentiated development stages, and logic on the hierarchical connection of curriculum contents in the subject of physical education. Third, the global trend in the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s that most of countries, except Korea, have operated and transferred physical education courses separately from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subject of pleasant life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hich is currently operated as an integrated education, should be operated by separating the contents related to physical education. 목적: 본 연구는 지난 40여 년간 통합교육과정으로 지속되어온「즐거운 생활」교과에 대한 문제점을 체육교과 교육의 입장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2022년 2월부터 11월까지 10개월 간 총 9명의 연구참여자를 선정하였으며, 국내ㆍ외 문헌및 문서자료와 관찰 및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Yin(2014)의 사례연구 분석기법 중 ‘설명적 분석기법’과 ‘사례 통합 분석기법’을 동시에 적용ㆍ활용하며 분석했다. 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으로 운영되고 있는 즐거운 생활 교과 운영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비만율 증가, 정상적인 발육발달 저해, 뇌 자극-발달 부족, 운동 욕구의 본능 차단과 같이 초등체육과 관련하여 심각한 현실적인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즐거운 생활 교과 운영은 체육와 예술의 통합에 대한 논리적 근거 부족, 미분화 발달 단계로 인한 통합의 당위성에 대한 논리적 모순, 그리고 체육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위계적 연계성에 대한 논리가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초등학교 체육교육과정에 대한 세계적인 동향은 한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들이 초등학교 1학년부터 체육교과를 분리ㆍ독립해서 분과교육의 형태로 운영ㆍ전향하고 있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통합교육으로 운영되고 있는 초등학교 1ㆍ2학년「즐거운 생활」교과는 체육교과 관련 내용을 따로 분리함으로써 분과교육의 형태로 전환시켜 운영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 KCI등재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 교과의 변천과 국악교육의 방향

        권덕원 한국국악교육학회 2018 국악교육 Vol.46 No.4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roblems of the theory of subject integration, analyze the contents of the integrated textbooks for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s, and explore the direction for advance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e integrated subjects of ‘honest life,’ ‘wise life,’ and ‘pleasant life’ was appeared in the 1980s. The initial pleasant life subject was integrated music, art and physical education subjects, but over time, the nature of each subject weakened and the nature of music decreased further in the integrated subject revised in 2015. In view of the ongoing development of the theory of subject integration, pleasant life lessons are expected to be further removed from music in the future and Korean music education is also expected to be continuously reduced. Therefore, teachers who teach pleasant life classes should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integrated subject and why they do not deal with the essence and core of Korean music in the education of the integrated ones. And the contents and methods of Korean music education for students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hould be organized. In the long run, the effective method for systematic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s to dismantle the integrated subjects and make the music subject independent. It is important to find a way to teach the essence and the core of Korean music in the integrated subject, and devise and implement integrated teaching methods and guidelines centered on Korean music.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교과론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 교과서 내용을 분석하여, 향후 보다 발전된 국악교육을 위한 방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 등의 통합 교과는 1980년대에 시작되었다. 초기의 즐거운 생활 교과는 음악ㆍ미술ㆍ체육 교과들이 통합된 교과였으나, 통합교과론자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각 교과의 성격을 약화시켰고, 2015년에 개정된 통합 교과에서는 음악 교과의 성격을 더욱 축소시켰다. 뿐만 아니라, 이제는 즐거운 생활 교과가 음악 교과와는 전혀 관련이 없는 교과라는 주장까지 하고 있으며, 그 결과 교과서 이름 역시 ‘즐거운 생활’이 아니라, ‘봄’ ‘여름’ ‘가을’ ‘겨울’ 등, 그들이 주장하는 생활 중심 주제들로 변경시켜 버렸다. 이와 같이 진행되고 있는 통합교과론의 전개 양상으로 볼 때, 향후 즐거운 생활 교과는 음악에서 더욱 멀어질 것으로 보이며, 그에 따라 통합 교과 안에서 이루어지던 국악교육 역시 지속적으로 축소되거나 소멸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즐거운 생활 교과를 가르치는 교사들은 통합 교과의 성격과 의도를 이해하고, 통합 교과의 교육에서 국악의 핵심을 왜 다루지 않는지를 분과론적 입장에서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장기적으로 볼 때 국악교육을 체계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은 통합 교과를 해체하고 음악 교과를 독립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 통합 교과의 체제 속에 있는 현재로서는 통합 교과의 내용 체계를 토대로 하되, 통합 교과서와 지도서에 제시된 내용에만 안주하지 말고, 통합 교과 속에서 국악의 본질과 핵심을 지도할 수 있는 방법을 지속적으로 탐색하여, 국악을 중심으로 하는 통합 학습 방법과 지도안을 구안하고 실행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 KCI등재

        초등학교 ‘즐거운 생활’ 교과의 점자교과서 미술영역 분석

        손예름(Son, Yereum),강옥려(Kang, Ock-Ryeo)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1 시각장애연구 Vol.37 No.4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1학년 ‘즐거운 생활’ 교과의 미술영역 내용을 분석하고, 점자교과서에는 이를 어떻게 표현하고 있으며, 자료의 내용은 어느 정도로 적절하게 점역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분석을 위해 먼저 선행연구들에서 제시한 기준에 따라, ‘즐거운 생활’ 미술영역의 내용을 활동장면, 활동순서, 완성작품으로 나누어 분석을 하였다. 그런 다음, 이 내용이 점자교과서에는 어떠한 점역 표현 형식으로 점역 되었는지 분석하고, 점역의 정도와 점역 적절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초등학교 1학년 ‘즐거운 생활’ 교과의 미술영역 내용은 완성작품이 48개, 활동장면이 32개, 활동순서가 30개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총 110개의 그림 및 사진 자료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점자교과서에 제시된 미술영역 110개의 자료는 그림설명으로 점역된 자료가 67개, 촉각그림과 그림설명이 함께 점역된 자료가 41개, 촉각그림만 점역된 자료가 1개, 그림설명과 일부분 생략된 자료가 1개로 모두 생략된 자료는 하나도 없었다. 또한, 미술영역 110개의 자료 중 점자교과서에 내용이 모두 점역된 완역은 50개, 내용이 수정되어 점역된 경우는 60개로 확인되었고, 완역, 수정된 자료 중 77개만이 적절하게, 33개의 자료는 부적절하게 점역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점자교과서 미술영역의 점역 표현 형식과 점역 정도 및 적절성에 관한 논의와 함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Braille elementary school textbook ‘Pleasant Life’, especially focusing on the fine arts section and compares them with ones in the textbook in the first grade of normal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evaluates how appropriately they are presented in the Braille textbook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Method: For analysis, first of all, all contents of the fine arts section in the textbook ‘Pleasant Life’ for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were analyzed. After then, all contents of the fine arts section in the Braille ‘Pleasant Life’ textbook were analyzed in three categories(i.e., activity scenes, activity instruction sequences, and finished works) by using the analysis tool and criteria suggested in previous researche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fine arts section of the textbook Pleasant Life for the normal children, 48 finished works, 32 activity scenes, and 30 activity instruction sequences are found. All 110 data were presented in the form of pictures and photographs. Second, in the Braille textbook, 67 picture descriptions without tactile pictures, 41 art pieces with tactile pictures and picture descriptions, and 1 piece with only tactile pictures are found. There was only one case with a partially omitted picture description. No picture and description omitted from the textbook is found. Third, out of 110 data reviewed, 50 of the contents were fully transcribed in Braille, and 60 of them were transcribed in Braille with some revisions. 77 materials were rated as ‘appropriate’ and 33 materials were evaluated as ‘inappropriately translated’.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discussion and suggestion for further research were presented.

      • KCI등재

        ‘즐거운 생활’과의 성격으로서 ‘놀이’의 정당화

        이경진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9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oretically whether 'play' can be justified as the characteristic with a ‘pleasant life’. To this end, based on Dewey's discussion of play, the meaning and attributes of play were defined and justified by revealing in what way play is commensurate with the purpose of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order for a play to be a character of a subject, one should aim at an attitude or level, not a kind of activity. Play is the ideal attitude of life in that it is the intrinsic attitude of life and the experience of immersion as an attribute. The reason why this attribute of play has educational legitimacy can be discussed in terms of the inherent aspects of education: the restoration of meaning in the educational process and the efficiency of the educational results. This discussion call for a change in the perspective of looking at the source of a pleasant life and a realignment into a play-oriented "Pleasant Life" 본 연구의 목적은 ‘놀이’가 즐거운 생활과의 성격으로서 정당화될 수 있는지를 이론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놀이에 관한 듀이의 논의를 기반으로 놀이의 의미와 속성을 규정하고, 놀이가 어떤 점에서 교육의 목적과 합치되는지를 밝힘으로써 정당화하였다. 이를 토대로 즐거운 생활과 성격으로서의 놀이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놀이가 한 교과의 성격이 되기 위해서는 활동의 종류가 아닌 활동의 태도나 수준이라는 관점을 지향해야 한다. 놀이는 내재적 삶의 태도라는 점과 몰입의 경험을 그 속성으로 한다는 점에서 이상적인 삶의 태도라 할 수 있다. 놀이의 이러한 속성이 교육적 정당성을 갖는 이유는 교육 과정의 의미 회복과 교육 결과의 효율이라는 교육 내재적 측면에서 논의될 수 있다. 이러한 논의는 원천교과를 바라보는 관점에 대한 변화와 놀이 중심 ‘즐거운 생활’ 교과로의 재편성을 요구한다.

      • KCI등재후보

        2015 초등통합교과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일 고찰

        정광순 ( Kwang Soon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5 통합교육과정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2015 바른 생활과 교육과정, 슬기로운 생활과 교육과정, 즐거운 생활과 교육과정을 개정하고 있는 현재 시점에서 초등통합교과교육과정의 역사에서 진일보하는 개정이 되기 위해서 무엇을 고려해야 하는지를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지난 5번의 국가수준의 통합교과 교육과정 어떤 모습으로 발전하고 성장해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기초로 2015 개정 초등통합교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서 고려해 볼 점을 주로 2009 개정으로 인한 변화를 보완 정교화 하는 방향에서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대주제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다. 둘째, 바ㆍ슬ㆍ즐 교과의 내용 및 필수학습 요소 구축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a direction of the revision at this point of time that the curriculum of integrated subjects which are disciplined life, intelligent life, and pleasant life have been revising. For this purpose, how the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in the national level have been developed through five revision procedures was examined. Based on this, the suggestions for 2015 revised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s were advanced as in following: first, they may inquiry to the role or function of the Themes Second, they have to build the essential contents of disciplined life, intelligent life, and pleasant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