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國의 傳貰權, 中華民國(臺灣)의 典權과 日本의 不動産質權의 比較

        김상용 한국토지법학회 2014 土地法學 Vol.30 No.1

        한국의 전세권과 중화민국의 典權 그리고 일본의 부동산질권은 토지소유권에 대한 권능의 분화가 명확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부동산에 대한 공시제도가 완비되지 못한 시대에 민중들이 보유하고 있던 부동산이용권을 환매조건부로 매각하는 방법에 의한 민중들의 금전융통을 위한 부동산담보제도로부터 발전된 동북아시아 3국의 고유한 부동산물권이라 평가된다. 지주계층은 대토지를 소유하면서 노비를 동원하여 농지를 경작하는 방법으로 수확물을 거둘 수 있었기 때문에 토지이용권의 매각의 방법은 담보의 방법으로 거의 이용하지 않았을 것으로 추론된다. 토지를 소유하지는 못하고 토지를 경작·이용만 하던 민중들은 그들의 생계유지를 위한 금전의 융통을 위하여 민중들이 보유하고 있던 경작·이용권을 매각하고 그 매각대금으로 자금을 융통하고, 경작·이용권을 다시 회복할 수 있게 환매조건부로 경작·이용권을 매각한 것이 부동산에 대한 전세권, 전권 및 부동산질권의 역사적 발전배경으로 파악된다. 특히 이러한 전세권, 전권 및 부동산질권은 가진 것이라고는 토지의 경작권뿐이고 그 경작토지로부터의 수확물로는 생계유지가 불가능하여 생계유지를 위하여 민중들이 갖고 있던 경작권을 매각하여 그 매각대금으로 생계를 유지하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그리하여 민중들은 매각한 경작권을 회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환퇴, 回贖, 채무변제를 하여 민중들이 생계유지를 위한 경작권을 반환받으려고 하였던 것으로 이해된다. 그리하여 전세권, 전권, 부동산질권은 동북아 3국에서의 토지의 경작권만 가진 민중들의 생명유지를 위한 금전의 융통을 위하여 이용되었던 제도들로부터 발전된 물권이라 판단된다. 이러한 민중들의 생존수단이었던 토지경작권을 매수한 가진 자들은 그 경작권의 매수·이용을 통하여 그 대가를 초과하는 수확물을 취득하는 방법으로 폭리를 취하고 致富하였던 것이었다고 판단된다. 한편으로 경작·이용권을 매수하여 매각대금을 지급하고 당해 부동산의 점유를 이전받아 경작·이용한 자는 매도인이 환매를 할 때까지는 당해 부동산으로부터의 수확물을 전부 취득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권리들이 폭리의 방법으로 활용될 수가 있었다. 따라서 전세권, 전권, 부동산질권은 어렵게 살아가던 민중들의 부동산담보방법으로 이용되었으나 또한 금전을 가진 자들의 폭리를 위하여 이용되었다. 이러한 전래의 환매조건부부동산의 경작·이용권의 매매가 점차 이러한 권리의 매도인이었던 민중을 보호하는 방향으로 발전된 제도가 바로 전세권, 전권, 부동산질권이라 이해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전세권, 전권, 부동산질권은 前근대적 부동산담보제도라 평가된다. 특히 부동산등기부가 편철되어 근대의 저당권이 이용되기 전의 부동산담보방법이 바로 이러한 전세권, 전권 및 부동산질권이라 파악된다. 동북아 3국에서 부동산등기부와 근대의 저당권의 이용되기 전의 부동산담보방법이 바로 전세권, 전권 및 부동산질권의 母胎라 생각되며, 그러한 부동산담보권이 각국에서 각각 특색있게 발전되어 각국의 민법전에 규율되고 있는 것이다. 한국의 전세권은 용익물권이면서 동시 담보물권으로 발전되어 왔으며, 중화민국의 전권은 용익물권이지만 전권자가 소유권을 취득할 수 있는 기대권으로 발전되었으며, 일본의 부동산질권은 담보물권으로 발전되어 왔으나 ... In der nordöstlichen asiatischen Region waren traditionelle eigentümliche Sichenrungsmethode an die unbeweglichen Sachen von alter Zeit benutzt worden: Cheonsegwon in Korea, Dian in China und Pfandrecht an unbeweglichen Sachen in Japan. Obwohl Zivilgesetzbücher der nordöstlichen asiatischen Länder nach dem rezipierten kontinentaleuropäischen Zivilrecht erlassen worden wären, sind die obenerwähnten traditionellen eigentümlichen Grundsicherungsmethode in die neu erlassenen Zivilgesetzbücher der nordöstlichen asiatischen Länder vorgeschrieben worden. Das Cheonsegwon in Korea ist ein beschränktes dingliches Recht mit beiden Charateristiken des dinglichen Nutzungrechts und des Grunfpfandrechts. Darüber lautet § 303 Abs 1 des Koreanischen Bürgerlichen Gesetzbuches, dass der Cheonse-Berechtigte den von dem Cheonsegwon belasteten Grundstück mit der Entrichtung des Cheonse-Geldes benutzen, und er den Cheonse-Geld sowohl von dem Cheonse-Begründer zurückbekommen als auch das Cheonse-Geld vorzüglich durch Versteigerung des von dem Cheonsegwon belasteten Grundstücks gewinnen kann, wenn der Cheonse-Begründer das Cheonse-Geld zeitgemässig nicht zurückbezahlen würde. Daher wird das Cheonsezins des Cheonse-Berechtigten an dem Cheonse-Begründer mit dem Zins des Cheonse-Geldes des Cheonse-Begründers an dem Cheonse-Berechtigten aufgerechnet. Gegenstand des Cheonsegwons kann zwar nur unbewegliche Sache sein. Jedoch wird die Gebäude hauptsächlich als Gegenstand des Cheonseigwon benutzt. Die Zeitdauer des Cheonsegwon kann nicht zehn Jahre überschreiten(§ 312 Abs 1 KBGB: Koreanisches Bürgerliches Gesetzbuch). Das Dian in China ist ein dingliches Nutzungrecht mit Entrichtung des Dian-Geldes des Dian-Berechtigtes an dem Dian-Begründer, und der Dianzins des Dian-Berechtigten an dem Dian-Begünder wird mit dem Zins des Dian-Geldes des Dian-Begründers an dem Dian-Berechtigten auch aufgerechnet. Wenn der Dian-Begründer das Dian-Geld nach dem vereinbarten Termin an dem Dian-Berechtigten nicht zurückbezahlen würde, wird der Dian-Berechtigte das Eigentum am Gegenstand des Dian erwerben(§ 911 CBGB(Bürgerliches Gesetzbuch von der Republik China). Anders als das koreanische Cheonsegwon kann der Dian-Berechtigte das Eigentum an Dian-Gegenstand erwerben. Der Gegenstand des Dians ist gewöhnlich Boden, nicht Gebäude. Höchsttermin des Dians kann 30 Jahre nicht überschreiten(§ 912 CBGB). Das Pfandrecht an unbeweglicher Sache in Japan ist ein Grundpfandrecht, nicht dingliches Nutzunsrecht. Mit anderem Wort könnte es eine Art des Nutzungspfandrechts des Grundstücks sein(§ 356 JKBGB(Japanisches Bürgerliches Gesetzbuch). In der finanzilellen Praxis in dieser Zeit wird es fast nicht benutzt. Die Zeitdauer des Pfandrechts an der unbeweglichen Sache kann 10 Jahre nicht überschreiten(§ 360 JBGB). Wenn der Pfandrecht-Begründer seine Schuld an dem Pfandrecht-Berechtigten nicht erfüllen würde, kann der Pfandrecht-Berechtigte seine Forderung durch die Versteigerung oder die Gewinnvollstreckung des Pfandrecht-Gegenstandes gewinnen. Solche traditionellen eigentümlichen Grundpfandrechte in den nordöstlichen asiatischen Ländern sind hauptsächlich von Volk benutzt worden, das keines Eigentum, sondern nur dingliches Nutzungsrecht am Grund und Boden gehabt hatte. Ernte aus dem von dem Volk kultivierten Boden waren dem Volk gewöhnlich nicht genug für den Lebensunterhalt seiner Familie, weil das Volk den Bodeneigentümern beinahe die Hälfte der jährlichen Ertrages und dem Staat Steuer soll bezahlen haben. Daher ist es dem armen Volk genötigt, Geld für Lebensunterhaltung seiner Familie leihen zu müssen. Aber das Volk hatte nur das dingliche Nutzungsrecht am Boden, nicht keines Bodeneigentum gehabt. Deshalb muß das arme Volk das digliche Nutzungrecht gekauft haben. Solche Verkaufmethode des dinglichen Nutzungsrechts waren also als ein Geschäft für Wucherei der Reichen benutzt worden, die das dingliche Nutzungrecht mi...

      • KCI등재

        동산담보권이 설정된 동산의 선의취득과 동산담보권 보호

        장병주(Jang, Byeong-Ju)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東亞法學 Vol.- No.70

        동산담보법은 부동산 담보가 부족한 중소기업이나 영세 상인이 동산에 담보등기를 설정하여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한 법률이다. 동 법이 시행된 지 3년 6개월의 시간이 지났지만 동산담보권제도의 이용 실적은 조금씩 감소하고 있다. 동산담보권제도를 이용하여 자금을 조달하려는 수요자는 많은 반면 공급자인 금융기관에서는 자금 회수에 대한 불안감으로 인하여 동산담보권제도의 이용을 기피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입법기초자들의 예상과 달리 동산담보법상 선의취득 규정에는 동산담보권설정자의 처분행위로 인한 제3자의 선의취득 및 담보권 소멸의 위험성도 있다. 따라서 동산담보권 제도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동산담보권의 효력을 강화하여 담보권자의 법적 불안감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 동산담보법은 거래 관행이 입법화 된 것이 아니고 동산 자산을 담보로 활용하기 위하여 제정된 법률이므로 거래 안전뿐만 아니라 담보권자의 보호도 필요하다. 그러므로 거래안전을 위하여 선의취득의 개념을 변용하여 선의취득의 가능성을 인정하고, 이로 인한 담보권자의 법적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하여 선의취득을 위한 양수인의 요건 중 선의․무과실을 엄격하게 해석하여 그 인정범위를 축소함으로써 동산담보권의 효력을 강화하였다. 그 밖에 동산담보권의 효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i)물상대위 적용범위 확대, ii)집합동산의 객체 확정, iii)동산담보권설정자의 명시의무와 보고의무 그리고 iv)담보권 실행에 대하여 검토하고 이에 대한 입법적 개선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마지막으로 건전한 거래 질서 확립을 통한 거래 안전과 담보권의 효력 강화를 위하여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 여부도 신중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전질권설정자의 책임가중과 승낙전질유형의 존재의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제336조 및 제337조 규정의 해석론상 문제점 및 전질권자의 선의취득문제에 대해서-

        백경일 ( Kyoung Il Paek ) 안암법학회 2011 안암 법학 Vol.0 No.34

        Auch ein Pfand, oder wenn man lieber will, das darauf haftende Pfandrecht kann ein schicklicher Gegenstand einer weiteren Verpfandung sein, womit der Pfandglaubiger wieder seinen Glaubiger sicher stellen kann. Da aber niemand mehr Recht auf einen anderen ubertragen kann, als er selbst hat, so kann der Pfandglaubiger auch nur dieses, auf jenen Betrag, welchen der Schuldner ihm zu leisten hat, eingeschrankte Sicherheitsrecht auf seinen Glaubiger ubertragen. Eine Ausnahme ware, wenn der Inhaber den Afterverpfander, aus schuldloser Unwissenheit, fur den Eigentumer des ihm anvertrauten Handpfandes gehalten, und selbes fur einen hoheren Schuldbetrag ubernommen hatte; indem der wahre Eigentumer, wenn das Pfand dem jetzigen redlichen Inhaber vollends verkauft worden ware, sich sogar den Verlust des ganzen Pfandes gefallen lassen mußte. Solange der Eigentumer der Pfandsache und der Personalschuldner nicht von der Afterverpfandung verstandigt sind, konnen sie die besicherte Forderung durch Zahlung an deren Glaubiger und damit sowohl Haupt-als auch Afterpfandrecht zum Erloschen bringen. Nach ihrer Verstandigung hingegen konnen sie pfandbefreiend nur noch mit Zustimmung des Afterpfandglaubigers leisten. Obschon das Gesetz den Pfandglaubiger zur Afterverpfandung berechtigt, so befreiet es ihn doch deswegen noch nicht von der Verbindlichkeit zur Vorsicht, wenn er das fremde Gut anvertraue. Er haftet also fur dessen Verschulden, und mag von ihm den Ruckersatz verlangen. Da er haftet nach dem Gesetze sogar fur einen zufalligen Schaden, der die Sache in seiner eigenen Gewahrsame nicht getroffen hatte.

      • KCI등재

        회생·파산절차에서의 물상대위- 대법원 2004. 4. 23. 선고 2003다6781 판결 -

        양형우 한국민사법학회 2006 民事法學 Vol.34 No.-

        Dingliche Surrogation in das Insolvenzverfahren Das Pfandrecht erstreckt sich auch auf eine Sache oder auf Geld, das der Verpfänder durch Untergang, Verschlechterung oder durch öffentliche Enteignung als Ersatz für das Pfand angenommen hat. In diesem Fall hat der Pfandgläubiger die Sache oder das Geld im voraus in Beschlag zu nehmen, bevor es dem Verpfänder ausgeliefert oder entrichtet wird(§ 342 KBGB). Die Vorschrift der § 342 KBGB ist auf die Hypothek entsprechend anzuwenden. Nach § 58 koreanische Insolvenzordnung vom 31. 3. 2005 wird Maßnahmen der Zwangsvollstreckung gegen den Schuldner jedoch untergesagen oder einstweilen eingestellen. Damit soll verhindert werden, daß sich einzelne Gläubiger während der Dauer des Eröffnungsverfahrens noch im Wege der Zwangsvollstreckung Befriedigung oder jedenfalls Rechte an zum Schuldnervermögen gehörenden Gegenständen verschaffen oder dem Unternehmen für die vorläufige Fortführung benötigte Gegenstände entziehen.

      • KCI등재
      • KCI등재

        강제저당권의 입법적 검토

        추신영 한국민사법학회 2005 民事法學 Vol.29 No.-

        Zwangshypothek ist eine im Wege der Zwangsvollstreckung entstandene Sicherungshypothek. Sie ist im Grundbuch als Sicherungshypothek zu bezeichen. Durch die Eintragung einer Zwangshypothek erreicht der Gläubiger keine Befriedigung, sondern nur eine Sicherung seine Geldforderung. Rechtsnatur der Zwangshypothek ist Pfandrecht oder Zwangsvollstreckung? Während die deutsche Zwangshypothek in Zivilprozeßordnung vorgeschreiben ist, ist die französische hypothéque judiciaires in Zivilrecht vorgeschreiben. Sie ist näher zu Zwangsvollstreckung. Erste, Die Zwangshypothek wird durch Schuldtitel beantragen. Zweite, Der Gläubiger schließen keine Eintragungsb- ewilligung Schuldner beantragen. Dritte, Andre Gründe aus der Geschichte der Gesetzgebung. Die Zwangshypothek kann chronische Problem in Grundstücksvollstreckung in Korea lösen. Erste, Zwangshypothek dient dem schutz Schuldner. Schuldner können ihren Personalkredit mit Zeit wieder gewinnen, weil Gläubiger ohne unverzügleiche Beantragung der Zwangsversteigerung zu nehmen. Zweite, Zwangshypothek ist für Gläubiger vorteihaft. Wenn Gläubiger mit Schuldtitel für das Grundstück Schuldner Zwangshypothek beanträgt und Zwangsversteigerung im Zeitpunkt von Preiserhöhung beanträgt, können Gläubiger damit zufreiden sein. Funktionen der Zwangshypothek im Korea ist dreierlei Weise in ein Grun- dstückvollstreken: durch Eintragung einer Sichrungshypothek für die Forderung, durch Zwangsversteigerung und durch Zwangsverwaltung. Der Umfang von Schuldtitel bei Beantragung der Zwangshypothek soll Endurteil beschrängt werden. Beantragung von Gesamthypothek für mehrere Grundstück Schuldner soll mit einer Forderung verbieten werden. Gläubiger mit Schuldtitel kann persönlich in Grundbuchamt beantragen und Abgrenzung von Forderungssumme ist vorgestellt.

      • KCI등재

        회생절차에서의 담보권 실행행위에 대한 부인

        양형우 대한변호사협회 2012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23

        Die Anfechtung wird nicht dadurch ausgeschlossen, dass die anzufechtende Rechtshandlung durch einen Vollstreckungstitel, der sogar in einem rechtskräftigen Urteil bestehen kann, gedeckt ist oder mit Hilfe der staatlichen Vollstreckungsorgane tatsächlich vorgenommen worden ist(§ 104 Koreanische Insolvenzordnung). Durch § 104 wird klargestellt, dass zu den Rechtshandlungen, die nach §§ 100 ff. anfechtbar sind, auch die Vollstreckungsakte gehören, die ein Insolvenzgläubiger auf Grund eines vollstreckbaren Schuldtitels zur Sicherung oder Befriedigung seiner Forderung erwirkt hat. Die Anfechtung richtet sich in diesen Fällen gegen die Vollstreckungshandlung als solche. Unerheblich ist, ob die durch die Vollstreckung gesicherte oder befriedigte Forderung anfechtbar erworben worden war. 회생절차개시결정이 있기 전에 채권자가 채무자의 경제적 파탄상태를 알고서 담보권을 실행한 경우, 관리인은 이를 부인할 수 있는지가 문제된다. 채무자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104조는 집행행위의 부인을 규정하고 있는데, 여기서 채권자의 담보권 실행행위가 집행행위에 해당하는지, 담보권실행은 채무자의 행위가 개재되지 않고 채권자에 의해 실행된다는 점에서 부인의 대상에는 채권자의행위도 포함되는지, 유담보계약에 의한 담보권실행도 부인할 수 있는지 등이 문제된다. 생각건대 부인에 관한 규정은 절차개시 후의 법률행위나 재산취득에 관한 규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절차개시 후의 재산취득에는 채무자의 행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제65조), 부인의 대상을 채무자의 행위로한정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채권자의 행위에 유해성이 인정되어도 부인할 수 없게 되어 부인권제도의취지에 반할 수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위기부인의 경우에는 채무자의 행위뿐만 아니라 제3자의행위이더라도 그 ‘법적 효과’가 채무자의 행위와 동일한 때에는 제100조 1항 2호, 3호를 유추적용하여그 행위를 부인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또한 회생절차개시 전에 담보권자가 한 담보권실행행위는 채무소멸이라는 법적 효과에서는 채권자가 채무자의 재산에 대해 강제집행하는 경우나 채무자가 담보권자에게 채무를 변제한 경우와 동일하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제104조의 집행행위에는 강제집행뿐만아니라 담보권실행 등을 위한 경매도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결국 제104조의 집행행위란 부인의 대상으로 되는 행위가 강제집행, 담보권실행 등을 위한 경매 등에 의해 실현되는 것을 말한다. 그밖에 채권자가 담보물을 법정절차에 의하지 않고 유담보계약에 의해 처분하더라도 담보권의 실행이라는 본질에는 변함이 없으므로, 채권자의 담보권 실행행위가 제100조 1항 각호의 요건을 갖춘 때에는 관리인은그 행위를 부인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강제집행등과 체납처분의 절차조정법의 입법필요성에 관한 고찰

        김경종 한국민사집행법학회 2007 民事執行法硏究 : 韓國民事執行法學會誌 Vol.3 No.-

        민사집행절차와 체납처분절차는 국가기관에 의한 금전채권의 실현이라는 점에 있어서 공통성이 있기 때문에 동일한 재산에 대하여 강제집행·담보권 실행을 위한 경매와 체납처분이 경합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그런데 동 일한 재산에 대하여 금전채권에 기초한 민사집행절차와 조세채권에 기초한 체납처분절차가 서로 경합하는 경우에 이를 조정할 근거법률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민사집행 또는 체납처분의 집행기관은 동일한 재산에 대하여 각 각 민사집행법 또는 국세징수법에 의하여 제각기 민사집행절차 또는 체납처 분절차를 속행할 수 있게 되어 동일한 재산에 대하여 이중압류와 이중환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민사집행에 의하여 압류 및 매각이 된 부동산에 대 하여 체납처분에 의한 압류 및 공매절차가 별개로 이루어지거나, 민사집행의 매각 및 대금납부에 따른 소유권이전등기촉탁을 하려는 경우에 이미 공매에 의한 소유권취득이 이루어져 민사집행에 의한 매각절차 전체가 무위로 돌아 가는 사태가 발생하고 있다. 이와는 반대의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동일한 재산에 대한 민사집행절차와 체납처분절차의 경합은 채권자와 집행기관에게 이중적으로 시간·노력 및 비용을 낭비하게 하는 결 과를 초래한다. 그리고 매수인에게 불측의 손해를 끼칠 뿐만 아니라 일반 사 채권자의 권익을 침해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공탁실무에 혼란을 초래하며, 참가압류제도가 파행적으로 운영되는 원인을 제공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동일한 재산에 대하여 민사집행과 체납처분이 경합하는 경우에 양 절차의 충돌을 방지하고 그 관계를 조정하는 절차의 마련이야말로 필수적 이며 또한 당연한 과제이다. 동일한 재산에 대하여 강제집행등과 체납처분이 경합하는 경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입법례로서는 양 절차의 경합을 민사집행절차에 일원화시켜 조정하는 독일식 제도와 양 절차의 압류단계에서의 경합을 인정하고 압류가 선행하는 절차에 의하여 환가절차를 진행하여 조정하는 일본식 제도가 있다. 두 제도 중 일본식 제도가 보다 우리나라의 실정에 적합하고 실현가능한 제도로 평가된다. 일본식 제도를 도입하여 민사집행절차와 체납처분절차의 경합을 조정하기 위하여는 기존의 법률을 부분적으로 개정하기 보다는 새로운 제3의 법률, 즉 “강제집행등과 체납처분의 절차조정법”(가칭)을 제정하는 방안이 바람직하다 . “강제집행등과 체납처분의 절차조정법”(가칭)이 조속히 제정되어 매수인의 지위와 사채권자의 권익을 보호함과 동시에 이중적인 강제집행으로 인한 국가적인 낭비를 줄일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 러시아의 담보제도

        차선자 대한민사법학회 2003 민사법연구 Vol.11 No.1

        동부유럽을 비롯한 러시아의 경우 급격한 경제체제의 변화를 겪으며 자본주의라는 새로운 형태의 체제에 적응해야하는 부담을 가지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가장 먼저 핵심문제로 등장하게 된 것은 경제의 활성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자본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이를 위하여 외자유치를 위한 각종의 특별법이 제정되었으며, 과거 국영특수 은행에 의하여 이루어지던 기업투자문제는 상업금융업무를 담당하는 은행에 의한 여신지원의 문제로 전이되게 되었다. 따라서 여신지원의 전제가 되는 담보제도는 산업자본의 융통성 있는 운용을 위하여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이 중 부동산에 대한 담보제도는 토지에 대한 사소유권 문제가 완전히 정리되어 있지 않고 있기 때문에, 결국 동부유럽과 러시아 등의 체제전환국에서 담보목적물로 등장하는 가장 중요한 것은 동산 또는 채권 등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논문은 동산과 채권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러시아의 담보제도를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 러시아이 동산담보제도로는 먼저 질권을 들 수 있다. 이것은 1995년 효력을 발하게된 러시아 민법전에 규정되었으며, 1992년의 질권법 (Pfandgesetz)과 1998년의 저당권법(Hypothekengesetz)이 함께 적용된다. 또한 러시아 민법 제491조에 의하여 매매계약의 당사자는 소유권유보의 합의를 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매도인은 매수인이 매매대금의 지불의무 또는 합의된 다른 종류의 조건들을 이행하지 아니하면 반환청구권을 취득하는 것으로 하므로써 매도인이 매수인에 대하여 가지는 채권을 담보하게 된다.(러시아 민법 491, 223조) 마지막으로 러시아의 경제가 안정적이지 못한 이유에서 신용제공자가 채무자의 재산에 대해서 간접적으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물적 담보가 우선적으로 고려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그 예로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 양도담보제도이다. 채권을 대상으로 하는 담보제도에 대해서 러시아는 이제까지 입법을 통하여 이를 보장하고 있는 예는 없으나 다만 계약상의 합의에 의하여 그러한 구성을 하는 것은 가능하다는 입장을 위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