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한국판 DSM-5 성격검사(PID-5)의 신뢰도와 타당도

        신소영,황순택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0 No.3

        This research tes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ersonality Inventory for DSM-5 (PID-5) - which is based on ‘Pathological personality traits’, the core criterion of DSM-5 Section Ⅲ personality disorder - after translating it into Korean language. The test comprises of 5 domains - negative affect, attachment, antagonism, disinhibition, psychoticism - and each domain comprises of 25 detailed facets, and there are total 220 questions (219 in the Korean version).To 607 adults over the age of 18, along with the Korean version of PID-5, the Korean Personality Disorders Test and PSY-5 were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collected data. As the result of analyses, first, the Korean PID-5 showed appropriate levels of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Secondly, reviewing the factor structure, the facets of negative affect domains, attachment domains and psychoticism domains were identical to the factor structure of the original. However, the facets of antagonism domains and disinhibition domains were difference to the factor structure of the original. Thirdly, the Korean version’s PID-5 face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to each personality disorder’s core personality traits. Fourth, the Korean version’s PID-5 facet showed relative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SY-5’s related scales. The results above show that, although there are partial differences to the results of preceding overseas research, the PID-5 is measuring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various personality disorders in this country relatively well, and shows the possibility of becoming a tool for evaluating DSM-5 Section Ⅲ personality disorders. 본 연구에서는 DSM-5 Section Ⅲ 성격장애의 핵심 준거인 ‘병리적 성격 특질’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DSM-5 성격검사(The Personality Inventory for DSM-5; PID-5)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 검사는 부정적 정서성, 애착상실, 적대성, 탈억제, 정신병적 경향성이라는 5개의 ‘영역(domains)’으로, 각 영역은 다시 25개의 세부적인 ‘양상(facets)’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220개(한국판은 219문항)의 문항으로 되어있다. 만 18세 이상의 성인 607명에게 한국어판 PID-5와 함께 성격장애 진단검사, 정신병리 5 요인 척도(PSY-5)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로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첫째, 한국판 PID-5의 내적 일관성과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적절한 수준이었다. 둘째, 요인구조를 살펴본 결과 부정적 정서성 영역(domain), 애착상실 영역, 정신병적 경향성 영역의 양상(facets)은 원판의 요인구조와 동일했다. 그러나 적대성 영역과 탈억제 영역의 양상은 원판의 요인구조와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한국판 PID-5 양상은 각 성격장애의 핵심 성격 특질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넷째, 한국판 PID-5 양상은 PSY-5의 관련 척도와 대체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외국의 여러 선행연구 결과와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기는 했으나 PID-5가 국내에서도 다양한 성격장애의 중요한 특징들을 대체로 잘 측정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DSM-5 Section Ⅲ 성격장애를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서 가능성을 보여준다.

      • KCI등재

        한국판 DSM-5 성격질문지 단축형(Korean version of the Personality Inventory for DSM-5 Short Form, K-PID-5-SF)의 구성과 타당화

        홍태화,김율리,황순택 한국임상심리학회 2018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7 No.3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5 (DSM-5) Section III includes a hybrid dimensional-categorical model of personality disorders. The Personality Inventory for the DSM-5 (PID-5) was developed with 220 items to assess the personality traits within this model but has several limitations such as fatigue and difficulty in maintaining attention. The 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Personality Inventory for DSM-5 Short Form (K-PID- 5-SF).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t was found that K-PID-5-SF had similar factor structures to those of the Korean version of PID-5.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K-PID-5-SF was adequate. The K-PID-5-SF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Korean version of PID-5, Korean Personality Disorders Test, the Personality Psychopathology Five, and the NEO-Five Factor Inventory. In conclusion, the K-PID-5-SF had adequate reliability and validity for evaluating personality pathology, contributing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an alternative DSM-5 model for personality disorders.

      • KCI등재

        한국판 DSM-5 성격질문지 정보제공자보고형(K-PID-5-IRF)의 신뢰도와 타당도

        안선영,황순택 한국임상심리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8 No.1

        This study set out to translate into Korean the Informant-Report Form of Personality Inventory for DSM-5 (PID-5-IRF), which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DSM-5 Personality Trait Model comprised of five domains and 25 facets, and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For these purposes, the items of PID-5-IRF in English were translated into Korean through the process of translation and reverse translation and organized the entire items so that they would have consistent meanings with the item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elf-Report Form of PID-5 (K-PID-5-SRF). K-PID-5-IRF (n=230) and K-PID-5-SRF & the Korean Personality Disorders Test (n=176) were conducted to college students and ordinary citizens aged 18 or older.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K-PID-5-IRF recorded a high level of internal consistency in domains and facets. Its factor structure properly matched overall that of PID-5-IRF in English and that of the DSM-5 Personality Trait Model despite number of factors and differences in three facets between them. Concordance between K-PID-5-SRF and KPID- 5-IRF was a little bit lower than that of their English counterparts, but i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and was in a proper level founded in researches on correlations between the informant-report form and the self-report form on personality. Finally, domains and facets of K-PID-5-IRF had a relatively appropriate match with the core personality traits of each personality disorder. These findings imply that K-PID-5-IRF is a tool to assess the personality traits of grown-ups in a reliably and valid manner.

      • KCI등재

        한국판 DSM-5 성격질문지(K-PID-5) 타당화: 반복 연구

        홍태화,황순택,김율리 한국임상심리학회 2018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7 No.4

        DSM-5 성격질문지(The Personality Inventory for DSM-5, PID-5)는 성격장애를 평가하기 위하여 DSM-5 Section III 성격장애의 핵심기준인 병리적 성격 특질을 반영하여 개발된 척도이다. DSM-5 성격질문지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선행연구(Shin & Hwang, 2016)에서 영문판과는 불일치하는 요인구조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 사용된 문항들을 부분적으로 수정하여 요인구조를 재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만 18세 이상의 성인 510명을 대상으로 수정된 한국판 PID-5(K-PID-5), 성격장애 진단검사, Personality Psychopathology Five(PSY-5) 척도, 그리고 NEO-Five Factor Inventory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로 신뢰도를 확인한 결과 내적합치도와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적절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영문판과 거의 동일한 요인구조로 나타났다. 또한 성격장애 진단검사, PSY-5 척도, NEO-FFI의 관련 변인들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반복연구 결과는 선행연구와는 달리 KPID- 5가 영문판과 거의 동일한 요인구조로 구성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또한 이 도구가 선행연구에서 확인한 바 DSM-5 Section III 성격병리에 대한 신뢰롭고 타당한 평가도구임을 재확인해주는 것이다.

      • KCI등재

        성격장애에 대한 대안적 DSM-5 모델의 확인적 요인분석: PAI를 중심으로

        김수종,박은영,홍상황,권해수 한국자료분석학회 201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Ruiz et al. (2018) findings that the pathological personality characteristics (negative affectivity, detachment, antagonism, disinhibition, psychoticism) of the alternative DSM-5 model for personality disorders (AMPD) can be evaluated through the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PAI) can be applied to each students, adults and prisoners. For this, 400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data of university students, adults, and prisoners of national size collected during the PAI standardization process in Korea. This study constructed PAI_pathological personality via PAI questions and perform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it show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generalization in Korea by showing acceptable level of fitness in all groups.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PAI_pathological personality were identifi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group analysis between PAI and PAI_pathological personality. These results show that PAI can measure some concepts of AMPD. These results show that PAI can measure some concepts of AMPD. 이 연구는 Ruiz et al.(2018)이 PAI 문항을 사용하여 성격장애에 대한 대안적 DSM-5 모델(AMPD)의 병리적 성격특질(부정적 정서성, 애착상실, 적대성, 탈억제, 정신병적 경향성)을 도출한 결과가 우리나라 대학생, 성인, 수형자 집단에게도 적용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성격평가질문지(PAI) 증보판 표준화 과정에서 수집한 대학생, 성인 및 수형자의 자료에서 각각 400명의 자료를 무선 표집 하고 PAI 문항을 사용하여 PAI_병리적 성격특질을 구성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든 집단에서 적합도가 적절하여 PAI로 AMPD의 개념을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후 PAI의 척도와 PAI_병리적 성격특질 간의 상관 분석과 집단 간 분석을 통해 PAI_병리적 성격특질의 특징과 제한점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들은 PAI_병리적 성격특질과 AMPD의 병리적 성격특질 간의 유사성을 지지하며, 다양한 장면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PAI의 활용성을 증대시킨다. 아울러 새롭게 제시된 성격장애 모델을 PAI와 같은 다차원적인 성격평가 도구에 적용하는 것은 개인의 포괄적인 성격특성을 평가하는 심리학적 장면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