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허플랫폼의 유효성에 관한 연구

        이대희 ( Dae-hee Lee ) 한국경제법학회 2004 경제법연구 Vol.3 No.-

        특허플랫폼은 특허풀보다 더 복잡하고 많은 수의 특허가 존재하는 경우에 사용되는데, 의미 그대로 플랫폼(정거장)으로서 매우 복잡한 다수의 표준과 다수의 기술을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까지 특허플랫폼에 해당하는 사실상의 유일한 예는 제3세대 특허플랫폼(Third Generation Patent Platform, 3GPP)인데, 3GPP는 제3세대(3G) 통신시스템을 생산하고 운용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특허의 가치를 평가하고, 필수적인 특허를 인증하고, 필수적인 특허를 지정하고 사용허락하기 위한 것이다. 3G 이동통신시스템은 무선에 의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지만, 3G 시스템을 실행하기 위한 필수적인 특허는 100개 이상의 업체들에 의하여 보유되고 있어서 표준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특허받은 기술에 대한 사용허락을 받기 위하여 많은 문제점이 야기된다. 곧 3G 시스템은 매우 복잡한 시스템 및 다양한 기술과 전세계적으로 이용되며 광범위하게 분산되어 있는 특허권과 관계되고, 따라서 특허받은 기술을 사용허락받는 것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법을 택하지 않는다면, 무선에 의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가^하게 하는 제품이나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좌절되거나 매우 비효율적인 비용구조를 가질 수밖에 없게 된다. 이 글은 이러한 특허플랫폼의 성격 및 구조, 그리고 그 법적 유효성을 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허플랫폼은 표준(standard), 특허(patent) 및 반독점법(antitrust law)과 관련되는 쟁점으로서, 3GPP에 대해서는 미국, 유럽연합, 일본 등이 그 적법성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 글은 유일한 특허플랫폼인 3GPP의 플랫폼 명세서(Platform Specification) 및 3GPP의 관리회사인 3G Patents社를 중심으로 3GPP를 상세하게 고찰하고 그 유효성에 대한 미국의 입장을 중심으로 고찰하였으며, 이러한 고찰에 바탕을 두어 특허 플랫폼이 유효하기 위한 요건을 제안하였다. The patent platform is intended to deal with complexities of multiple standards and multiple technologies not faced by prior patent arrangements. The best example of prior arrangements to deal with this kind of problem is a patent pool. While the patent pool usually involves a very limited number of members, a rigid licensing arrangement, and very focused geographic emphasis, it cannot solve the problem faced by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several standards and multiple patent rights are involved. It is the patent platform that is required for more complex standards and technologies. Until recently, the only example of the patent platform is the 3G Patent Platform(3GPP). The 3GPP is an industry approach for the evaluation, certification, identification, and licensing of patents essential to the manufacture and operation of 3G systems. The 3GPP is a kind of mechanism to connect the owners of essential patents implementing IMT 2000 and potential licensee, resulting in benefiting both parties and implementing standards. The validity of the 3GPP was confirmed by US department of Justice Antitrust Division, European Commission and Japanese Fair Trade Commission. This paper deals with the origin of the patent platform, the structure of the 3GPP and its process of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of essential patents, and the confirmation of its validity by US, EC and Japan. Based upon the reasoning by US and EC, this paper proposes some requirements for the patent platform to be valid under antitrust law.

      • KCI등재

        장벽특허의 무효화 분석을 위한 선행특허기술 발굴 시스템 개발

        정병기 ( Jeong Byeongki ),고남욱 ( Ko Namuk ),경진영 ( Kyung Jinyoung ),최덕용 ( Choi Dugyong ),윤장혁 ( Yoon Janghyeok ) (주)엘지씨엔에스(구 LGCNS 엔트루정보기술연구소) 2017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16 No.1

        기업에서 기술 아이템을 사업화할 경우 특허침해와 같이 사업화에 장애를 유발하는 장벽특허가 존재할 수 있다. 장벽특허가 존재할 경우, 기업은 무효화 전략, 회피설계, 비침해 논리개발과 같은 대응전략을 수립할 수 있으며, 본 논문은 장벽특허를 무력화시킬 수 있는 선행특허를 발굴하는 시스템의 제안을 목표로 한다. 미국특허청 특허에 대한 서지정보와 전문정보를 포괄하는 특허 데이터 베이스에 기반하여, 본 시스템은 장벽특허에 대한 관심어 그룹 설정 모듈, 임의의 특허가 관심어 그룹의 내용을 담고 있는 정도를 파악하는 정보엔트로피 계산 모듈, 토픽모델링을 통해 장벽특허와 임의의 특허 간의 의미론적 특허 유사도 계산 모듈을 거쳐, 최종적으로 장벽특허를 무효화시킬 수 있는 잠재성을 지닌 선행특허들을 추천한다. 본 시스템의 활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미국의 특허 무효화 소송 판정사례들에 대해 제안된 시스템을 적용한 사례연구가 제시된다. 본 시스템의 자동화 프로세스를 통해 선행특허기술 수집 및 내용분석에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술전문가들이 연구개발 전략수립과 같은 본연의 고부가가치 업무에 많은 시간을 투자할 수 있는 긍정적 효과가 기대된다. Barrier patents refer to the existing patents which impede technology-based firms from commercializing their technology item. When barrier patents exist, a firm usually employs some strategic alternatives to cope with these commercialization-hindering patents, such as invalidation analysis, avoidance design and non-infringement logic.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the invalidation analysis among those alternatives and thus aims to developing a patent prior art search system for invalidation analysis of such barrier patents. Building on the patent database constructed using all patent registrations in the United States Trademark and Patent Office, this system recommends potential prior patents for validation analysis of a barrier patent, using three modules: 1) a user interest term definition module to organize invalidation factors about a given barrier patent, 2) an information entropy calculation module to measure the amount of the user interests contained in each patent, and 3) a text similarity measurement module to calculate the relatedness between the barrier patent and any patent. We show the availability of this system by applying the system to real patent invalidation litigations. It is expected that this system will dramatically reduce the time and costs required for patent invalidation analysis and accordingly help researchers more concentrate on their own knowledge intensive tasks such as R&D planning.

      • KCI등재

        표준특허의 기술적・경제적 효율성 분석

        오승환,손수정,안중하,장필성 한국혁신학회 2023 한국혁신학회지 Vol.18 No.1

        A essential patent is a collection of patents that must be infringed if the standard is implemented because it is designed so that the standard cannot be implemented without infringing on the patented technology to implement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standard. Therefore, if a patent is recognized as a essential patent, it has the advantage of making it easier to prove infringement and generate profits when the standard technology is implemented. In view of the fact that stable royalty income can be generated through essential patents, major patent countries are making steady efforts to register essential patents. In this study, we looked at the technical and economic values of essential patent where global competition is fierce. To this end, 43,058 US, Chinese, European, Japanese, and Korean IP5 essential patent (declared patents) provided by KISTA (Korea Intellectual Property Strategy Agency) and 428,910 general patents in similar technologies were compared for efficiency. Using the data envelope analysis (DEA) methodology, the efficiency of essential patent and general patents was compared and analyzed over time, and the technical efficiency of essential patent in five countries, including the US, China, Europe, Japan, and Korea, was also examin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the technical and economic efficiency of essential patent wa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patent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iciency gap was decreasing after 2010, when the number of essential patent began to increase rapidly. In the comparison of essential patent patent efficiency between countries, it was analyzed that US essential patent showed high efficiency, and in the case of Korea,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iciency of essential patent registered after 2016 has increased relatively after staying at the bottom until 2015. In the case of Korea, it seems that it is time to pursue quantitative growth through support for essential patent, but at the same time, a careful management policy to prevent a qualitative decline in registered essential patent seems necessary. 표준특허는 표준에 기재된 내용을 실행하기 위해 특허기술을 침해하지 않고는 해당 표준을 실행할 수 없도록 설계된 특허이기 때문에 해당 표준을 구현할 경우 반드시 침해되는 특허의 집합체이다. 따라서 표준특허로 인정을 받는다면 표준의 구현을 위해 해당 특허를 필수적으로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침해입증의 편의성, 수익창출의 수월성 확보 등에 용이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처럼 표준특허를 통한 안정적인 로열티 수입 확보가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특허 주요국들은 표준특허 확보를 위해 꾸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처럼 글로벌 경쟁이 치열하게 일어나고 있는 표준특허가 갖는 기술적・경제적 가치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특허전략개발원에서 제공받은 미국, 중국, 유럽, 일본, 한국 IP5 표준특허(선언특허) 43,058개와 유사 기술 분야 일반특허 428,910개를 대상으로 효율성을 비교해보았다. 방법론으로는 자료포락분석(DEA) 방법론을 활용하여, 표준특허와 일반특허의 효율성을 시계열로 비교・분석하였으며, 미국, 중국, 유럽, 일본, 한국 등 5개국 표준특허의 기술적 효율성도 함께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표준특허의 기술적・경제적 효율성이 일반특허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표준특허의 수가 급격하게 늘어나기 시작한 2010년 이후부터는 효율성 차이가 줄어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가간 표준특허 효율성 비교에서는 미국 표준특허가 높은 효율성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한국의 경우 2015년까지는 하위권에 머물다가 2016년 이후 등록된 표준특허의 효율성이 상대적으로 높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한국의 경우 표준특허에 대한 지원을 통해 양적인 증가를 추구해야하는 시기로 판단되지만, 이와 함께 등록된 표준특허의 질적 하락을 방지하기 위한 세심한 관리 정책이 필요해 보인다.

      • KCI등재

        특허심판과 특허소송의 관계 재정립에 관한 논의

        김용섭 대한변호사협회 2022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510

        Controversies arise as to whether the plan for re-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tent trial and patent litigation to convert patent trial from the required preposition principle to the voluntary preposition principle is really an ideal solution for patentrezepts. In case of a dispute by filing a lawsuit directly to the court without going through the trial and decision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Trial and Appeal Board by adopting the voluntary preposition principle in patent trial, the appeals to the administrative disposition of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concerning reason for patent refusal, etc. are considered appropriate to be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Seoul Administrative Court and the Daejeon District Court, because the trial decision cancellation litigation is basically an administrative litigation. However, if there is a problem with the patent trial system, it is more urgent to reform the problem before discussing the arbitrariness of the patent trial. Moreover, considering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that the administrative trial which is a voluntary pretrial procedure is not unconstitutional even though the judicial procedure is not applied mutatis mutandis, the adoption of the voluntary preposition principle in patent trial may not be helpful even for reform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Trial and Appeal Board. Unlike other special administrative trials such as tax trial, patent trial does not appoint experts such as lawyers who are well-versed in patents as non-standing members in composition of trial judges. In addition, all of the judges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Trial and Appeal Board are civil servants belonging to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nd many of them have doctoral degrees, but the qualifications of judges are given only by a certain amount of training at the National Intellectual Property Training Institute. In order to impro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hire a number of lawyers specialized in patents as judges and guarantee their tenure and also guarantee the status equivalent to a judge such as Administrative Law Judge (ALJ) or an Administrative Patent Judge (APJ) in the United States. Such a competition system will contribute to resolving the delay in trial by reducing the burden of the firsr instance court on cases by allowing the cases that have undergone administrative trial (patent trial) to be filed directly to the second instance high court (patent court), even though it is arbitrarily displaced. In conclusion, the problem of arbitrary preposition principle in patent trial is a matter of legislative policy, and it is a national task to be solved through legislation by the National Assembly from the perspective of how to re-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patent trial and patent litigation is desirable for the people and beneficial to the national interest. 특허심판을 필요전치에서 임의전치로 전환하는 특허심판과 특허소송의 재정립이 과연 이상적 해결책인 특허처방(Patentrezept)인지 논란이 야기된다. 특허심판에 있어 임의전치주의를 채택하여 특허심판원의 심결을 거치지 아니하고 법원에 소송을 제기하여 다툴 경우 심결취소소송은 기본적으로 행정소송인 점을 감안하면 특허거절 사정 등 특허청의 행정처분에 대한 불복은 서울행정법원과 대전지방법원의 관할로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그런데 특허심판제도에 문제점이 있다면 특허심판의 임의전치를 논하기에 앞서 이를 개혁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더구나 임의적 전심절차인 행정심판의 경우에는 사법절차를 준용하지 않아도 위헌이 되지 않는다는 헌법재판소 결정취지를 고려하면 특허심판의 임의전치주의 채택은 특허심판원의 개혁을 위해서도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 특허심판은 조세심판 등 다른 특별행정심판과 달리 심판관의 구성에 있어서 특허에 정통한 변호사 등 전문가를 비상임위원으로 위촉하지 않고 있다. 또한 현재 특허심판원의 심판관 전원이 특허청 소속 공무원으로 박사학위자가 다수이지만, 심판관의 자격이 국가지식재산연수원에서의 소정의 연수만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려면 특허에 전문화된 변호사 상당수를 심판관으로 채용하고 임기를 보장하여, 미국의 행정법판사(ALJ) 또는 행정특허판사(APJ)와 같이 법관에 준하는 신분보장을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쟁시스템은 비록 임의전치가 되더라도 행정심판(특허심판)을 거친 경우에는 제2심인 고등법원(특허법원)으로 곧바로 제기하여 제1심 법원의 사건 부담을 줄여 재판지연을 해소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특허심판의 임의전치주의 문제는 입법정책의 문제로 특허심판과 특허소송의 관계를 어떻게 재정립하는 것이 국민에게 바람직하고 국익에 도움이 되는지의 관점에서 국회의 입법을 통하여 해결해야할 국가적 과제이다.

      • KCI등재

        실험적 사용에 의한 특허권 제한 범위의 고찰

        김창화(Kim Chang Hwa) 한국재산법학회 2017 재산법연구 Vol.34 No.1

        특허법은 특허권의 효력이 미치지 아니하는 범위 중 하나로서, 연구 또는 시험을 하기 위한 특허발명의 실시는 특허권의 효력이 제한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리하여, 특허권의 존속기간 중 해당 특허발명을 연구 또는 시험을 하기 위해 생산, 사용, 양도 등의 행위를 하여도 특허권 침해를 구성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특허권 효력의 제한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여러 국가들에서 채용하고 있으나, 그 예외의 범위에 있어서는 나라마다 차이가 있다. 미국의 경우에는 이러한 실험적 사용 예외의 범위를 상당히 제한적으로만 인정하고 있고,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그 범위가 미국에 비해 다소 넓은 것으로 판단된다. 일반적으로, 좁은 해석을 주장하는 자들은 특허권자의 이익 보호에 초점을 두고 있으나, 넓은 해석을 주장하는 자들은 기술의 개량을 통한 기술발전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본 글은 이러한 주장 중 어떠한 것이 보다 타당한지를 살펴보고, 우리의 해석 방향을 검토하였다. 그리하여, 특허에 대한 실험적 사용 예외의 범위는 보다 넓은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실험적 사용 예외의 범위에 대한 결정은 양자의 이익 즉, 특허권자와 해당 특허 발명을 실시하는 자 사이의 이익의 조화에 있기 때문에, 특허권자의 이익에 치우칠 수 없다. 또한, 특허 시스템이 특허 발명을 공개하게 하는 이유와 특허의 강화가 반드시 실험적 사용 예외의 제한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볼 때, 실험적 사용 예외의 범위는 좁기보다는 넓은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더욱이, 의약품에 대해서만 특별하게 그 범위를 넓게 인정하여 그 차이를 두고 있는 것도 납득이 되지 않는 부분이다. In many countries Patent Acts including our country provide an exemption from patent infringement liability for experimental use. Thus, it is not an infringement of patent to make, use, assign the patent for the purpose of research and study when the patent is alive. However, the scope of the limit is different. United States provides a very narrow exemption but our country does not. In general, those who assert the limited application of experimental use focus on the protection of patent right holders. However, those who claim the broad application of experimental use put weight o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rough improving the technology. This paper examined which one is reasonable and then what is the direction for our patent law. Therefore, it reached a conclusion to interpret the experimental use exemption more broadly. One of the reasons is that since the purpose of the patent law is the balance of interests between patent holders and the public, the scope of the limit should not narrow. Also, when considering that the experimental use exemption is the effect of disclosure of a patent under the patent system, and that the broad interpretation of the experimental use exemption does not make the patent weak, experimental use exemption should be interpreted more broadly. Moreover, the US law interprets the experimental use exemption for the pharmaceutical patents broadly, but it is not proper to discriminate them with other patents.

      • KCI등재

        미국 디자인특허를 이용한 제품디자인의 형상 관리방안 기초연구

        서수민(Seo, Soo Min),황성걸(Hwang, Sung Gul)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7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7 No.-

        디자인특허는 시각적 대상에 대하여 독점배타적인 권리를 부여하는 제도로, 제품디자인의 외관형상에서 특정 부분을 강조하거나 지속적으로 응용하여 디자인 정체성을 구축하고자 하는 기업에게 매우 효과적인 수단으로 쓰일 수 있다. 제품디자인 형상의 재료라 할 수 있는 요소들이 선별되고 조합되는 과정에 디자인 특허적 권리가 더해질 경우 시장에서 차별성 있는 정체성 구축에 유리해 질 것이고 구체성 있는 특허로서의 권리는 형상요소 그 자체를 관리하는 것에 비하여 가치의 측정과 계획 설정이 용이할 것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디자인특허를 통한 제품디자인의 형상요소 관리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선행 연구로서 기업의 디자인특허 포트폴리오 운영 사례를 분석하고자 애플사의 스마트폰 디자인특허를 대상으로 디자인특허와 형상요소의 관계를 이해하고 형상요소를 분석할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구성은 분석 대상인 디자인특허건의 선별과 해당 디자인 특허건에서의 디자인요소 추출 및 분석단계로 이루어졌다. 우선 분석 대상 선정을 위해서 애플사의 등록 완료된 디자인특허 중 스마트폰 형상의 전체 또는 일부를 권리의 범위로 특정한 건을 선별하였고 그 중에서도 디자인특허 내의 도면에서 형상요소를 선택하거나 생략하는 편집이 이루어진 건만을 따로 구분해 냈다. 그 후 형상요소의 추출 단계에서는 대상 도면에서 형상에 관련된 권리 부분만을 남긴 후 형상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 즉, 원이나 사각형과 같은 기본도형이나 하나의 완결된 외곽선을 낱개로 분리해 제품외관에 사용된 모든 요소를 추출했다. 그 결과 분석 대상 디자인 특허건에서 다루어진 모든 형상 요소의 도출이 이루어 졌고 각 요소가 서로 결합한 상태를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일부 형상요소는 다른 형상요소들 보다 더 자주 그리고 더 다양하게 디자인특허권으로 운영되었음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애플사가 디자인정체성을 구축하기 위해서 핵심적인 형상요소를 관리한 패턴으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애플사는 2011년 삼성사와의 디자인특허 분쟁 이전부터 특허에 대한 집중적 투자와 관리를 해온 기업으로 디자인특허가 가진 제도적 특징과 장점이 충분히 활용된 포트폴리오를 구축해 왔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애플사의 디자인 특허건에서 형상요소의 분석을 시도하고 분석방법을 제시한 본 연구는 후속연구에서 애플사가 최초의 스마트폰을 선보인 이후 십여 년간 핵심적 형상요소를 어떻게 관리해 왔는지를 분석할 토대가 될 것이며 더 나아가서는 디자인특허를 통한 제품형상의 효과적인 관리방안을 도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Design patenting is a system that grants exclusive rights to the visual aspect of objects, which can be used as a very effective tool for companies that seek to establish a design identity by emphasizing or continually applying certain aspects of a product’s design. This is because, if the design patent right is added to the process of selecting and combining shape elements, which can be considered the materials of the product design shape, it will be beneficial to establish the identity through market differentiation and it would be relatively easier to measure the value and set a plan concerning the rights as a concrete patent than to manage the shape elements themselves. This study is preliminary research for developing a management method for the shape elements of product design through design patent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gn patent and shape elements to analyze a company’s operating case of a design patent portfolio, and propose a way of analyzing shape elements through the specific case of Apple’s smartphone design patent. This study consists of selecting the design patent cases for analysis and extracting and analyzing the design elements in the corresponding design patent case. First, to specify the analysis target among Apple’s registered design patents, the cases that included the whole or part of the shape of the smartphone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s were sorted. Among them, only the cases in which the shape elements were selected or omitted in the plan included in the design patent were selected. Subsequently, in the stage of extracting the shape elements, only the parts of the rights in the target plan related to the shape were left, and all elements used in the product shape were extracted by separating them into the minimum unit that constitutes the shape—including basic figures such as a circle, rectangle, or complete outline. Thus, all shape elements covered in the analyzed design patent cases were obtained and the way each element was combined with the others was identified.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some shape elements were managed more frequently under the patent rights and more diversely than other shape elements, which can be considered as the pattern through which Apple managed the key shape elements to establish its design identity. Apple has been extensively investing in and managing patents since before its design patent dispute with Samsung in 2011. This means that Apple is a corporation that has established a portfolio that sufficiently utilizes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nd advantages of design patents. This study, which attempts to analyze the shape elements in Apple’s design patent cases and thus proposes an analysis method, will be the foundation for the follow-up studies to analyze how Apple has managed key shape elements in the ten years since it introduced the first smartphone.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n effective management plan for product shapes through design patents.

      • KCI등재

        실용신안 권리보호에 대한 중국 특허권평가보고서제도의 유효성 연구

        호효림(Hyo-rim Ho)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기술혁신학회지 Vol.20 No.1

        중국의 실용신안은 발명 특허를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신청기한이 짧고 수권속도가 빠르며 발명 특허와 마찬가지로 독점권이 있어 기업이 빠른 속도로 시장을 선점하는데 유리하다. 그러나 중국에서의 실용신안권은 실질 심사를 하지 않기 때문에 안정성이 낮은 편이고 무효 기각된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발명특허보다 보호에 어려움이 있다. 중국은 국내 중소기업의 발명과 창조 활동을 적극 장려하고 자국의 실용신안을 보호하기 위해 실용신안에 특허권평가보고와 비슷한 특허보호정책을 제정하였고 특히 특허침해소송 시 특허권평가보고를 근거로 삼아 실용신안 특허권자와 특허권 권리분쟁의 당사자를 사법적으로 구제할 수 있는 길을 열어 주었다. 많은 전문가들은 특허권평가보고 제도를 구축함으로서 실용신안 특허권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피고가 답변기한 내에 특허권 무효심판요청 시 특허권평가보고가 실용신안 특허권에 신규성, 진보성의 근거를 제시하지 못하거나 특허권이 안정성이 없다고 기록하지 못할 상황에서 법원은 심판을 중지하지 않고 재심사위원회의 특허권 무효심판 결정의견을 기다리지 않아도 되어 사법 절차의 효율을 높이고 특허권자의 권리유지 시간을 가속화하는 데 유리하다. 그러나 실질적인 특허권 침해 분쟁에서 특허권평가보고서제도와 무효심판제도는 충돌이 일어날 수 있다. 그러므로 본문에서는 현행 중국의 실용신안제도를 분석하고 한국의 실용신안제도와의 비교를 통해 중국의 특허권평가 보고서제도의 본질과 역할을 확인하고 실용신안 특허권 침해 소송의 실제 사례를 통해 특허권평가보고의 결과로 인한 변수를 분석하여 특허권평가보고와 무효심판이 충돌하는 실질적인 원인을 규명하고 특허권평가보고서제도의 유효성과 권리 보호를 위한 특허권평가보고서제도의 활용에 관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China’s utility model as a supplement to the invention patent, has short application duration, fast authorized speed, and has the same exclusive rights with patents, so companies can quickly dominate the market. But the utility model does not need to carry out substantive examination, so has lower stability, high frequency of invalid to accepted, so compare with the invention patent, difficult to be protected. In order to actively encourage th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o promote their inventions, and protect domestic patents, China established a protection policy of patent evaluation report for the utility model rights, especially the patent evaluation report can be used as evidence in a patent infringement trial, to provide judicial remedies for utility model patentee and the party of patent disputes. Many experts believe that the establishment of patent evaluation report system can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utility model patent right, and when the defendant request for invalidation of the patent right in the defense period, if there is no novelty, creativity lost or no other reason has not led to the stability of patent right given in a patent evaluation report of the utility model patents, the court may not suspend the trial, without having to wait for the Patent Reexamination Board makes the patent invalid declaration decisions,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judicial process, accelerate the patentee’s time. However, in practical patent infringement, the patent evaluation report system and invalidation system are in conflict. In this paper,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ent China utility model system and compared with the South Korean utility model system, review the role and character of the patent evaluation report system, and through the actual cases of the utility model patent infringement litigation, analysis possible variates from the decision of patent evaluation report, to find out the reason of the patent evaluation report system being in conflict with the invalidation system, and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for protecting Utility Model with China’s Patent Evaluation Report.

      • KCI등재

        특허권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

        최수미(Su-Mi Choi),유립소(Li-Zhao Liu)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8 경영경제연구 Vol.40 No.2

        무형자산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특허권과 매출액, 특허권과 기업가치 간의 관련성에 대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유가증권상장기업(코스피 기업)과 코스닥 시장에 등록된 제조업 1,824개 기업의 공시된 기업-연도별 자료를 수집하고 실증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부상 특허권이 최초로 공시할 때 특허권이 공시년도 매출액증가율과 공시 전연도 매출액증가율을 비교한 결과 기업은 장부상 특허권이 최초로 공시할 때 특허권 공시연도의 매출액증가율이 특허권 공시 전연도의 매출액증가율보다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특허권을 공시한 179개 기업에 대해 산업별로 구분하고 상위 6개 산업을 대상으로 특허권 공시한 기업과 특허권 공시하지 않는 기업의 매출액증가율을 비교 분석한 결과, 특허권 공시한 기업과 특허권 공시하지 않는 기업의 매출액증가율은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에서 특허권을 공시한 기업은 특허권이 공시하지 않은 기업보다 매출액증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허권 회계정보의 기업가치 관련성을 검증한 결과, 코스피시장에서는 특허권자산이 가치관련성에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코스닥 시장에서 장부상 특허권자산이 기업가치에 통계적으로 양(+)의 관계가 나타났다. 코스피시장에서 특허권과 기업가치 간의 관련성이 양(+)의 상관관계를 검증할 수 없지만 코스닥 시장에서 특허권이 기업가치 간의 가치관련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tents, sales, patents and firm value in the context of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intangible assets. First, we studied 179 firms whose patent rights were disclosed among 1,824 companies listed on the KOSPI market. 179 firms compares the sales growth rate of the patent right with the sales growth rate of the previous year when the patent right is disclosed for the first time. Second, the companies that disclosed patent rights to the top six industries and the companies that do not disclose patents compare and analyze the sales growth rate, and companies that disclose patent rights and companies that do not disclose patent rights. The final step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tents and firm value through a value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n the first stage, when the patent right is first disclosed, the sales increase rate of patent disclosure year is higher than that of the previous year.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second stage, 179 firms that have been granted patent rights are ranked among the top 6 industries among the top 6 industries (electronic parts, computer, image, sound and communication equipment manufacturing, medical materials and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Hypothesis 1.1 The hypothesis that a company that issued a patent is higher than a company that has not disclosed is supported by electronic parts, computer, video, sound and communication equipment manufacturing, medical materials and pharmaceuticals manufacturing, wholesale and commodity brokerage, Chemicals and chemical products manufacturing industry. Hypothesis 2 In the KOSDAQ market, the hypothesis that patent assets have positive effects on firm value is not supported by KOSPI market. The KOSPI samples can not verify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atent rights and the enterprise value, but it is meaningful that the patent rights in the KOSDAQ market have the value relevance.

      • KCI등재

        특허소송제도와 활성화에 관한 검토

        허인 ( Huh In ),심연주 ( Shim Yeon-joo )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18 法과 政策 Vol.24 No.1

        2000년대 이후 전 세계적으로 특허분쟁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분쟁의 절대적인 수가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분쟁의 양상이 복잡·고도화되고 있다. 이러한 특허분쟁은 원천특허를 확보한 선진기업이 후발기업이 시장에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시장배제형 특허분쟁에서부터 금융자본이 특허소송을 통한 수익을 창출하는 형태로까지 발전하고 있다. 친 특허권(Pro-patent) 정책을 취하며 전 세계적인 특허분쟁을 발전시키던 미국특허 시장은 소프트웨어 발명 특허성을 제한한 ‘엘리스 판결’로 인해 특허권자들은 새로운 시장을 찾고 있다. 많은 제조업체들이 아시아로 이전함에 따라 아시아 지역 특허 시장도 성장하였다. 과거 제조업체 공장이 아시아로 이전했던 이동 현상이 ‘특허 시장’에서도 반복되고 있다. 그러나 미국 특허 시장이 작아진 것은 아니다. 미국 특허상표청의 발표 자료에 따르면 2015년 전체 출원 특허 중 51.5% 이상이 외국인 출원이며, 등록 특허 중 약 52%가 해외에 본사를 두고 있는 기업 소유로 나타난 것을 보면 여전히 미국은 매력적인 시장이다. 다만 글로벌 특허 시장이 미국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특허소송은 중국과 유럽의 영향력 증대로 다극체제로 변화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특허소송 환경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바, 우리나라도 특허시장에 있어 경쟁력 확보를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고 본다. 우선적으로 손해배상액의 현실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다. 지금처럼 적은 금액의 배상은 침해를 쉽게 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특허심판에서 제출하지 않았던 증거에 대하여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하여 특허법원과 특허심판원의 전향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다. 위 사항들을 포함하여 본고는 우리나라와 주요국의 출원 현황과 소송 현황을 살펴보고 특허소송에서의 고려사항과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Since the 2000s, patent disputes have been steadily increasing worldwide. Not only the absolute number of the disputes has increased, but also the complexity of the disputes has been advanced. These patent disputes have evolved an exclusive-market, in which an advanced company securing the original patent prevents latecomers from entering the market. The U.S. patent market, which has taken the pro-patent policy and developed global patent disputes, is looking for a new market due to the ‘Alice’s Judgment’ which restricts the patentability of software inventions. As many manufacturers moved to Asia, the Asian patent market also grew. The phenomenon of transfer of manufacturing factories to Asia has been repeated in the ‘patent market’. But the U.S. patent market is not getting smaller. According to the U.S. Patent and Trademark Office, more than 51.5% of all patents filed in 2015 is alien application, and about 52% of the registered patents is owned by companies headquartered overseas. However, the patent litigation that the global patent market has been centered on U.S. will be transformed into a multipolar system due to the increasing influence of China and Europe. As the patent litigation environment that is centered on U.S. has been changing, Korea needs a plan to secure competitiveness in the patent market. Therefore, this paper compares the situation of patent lawsuits with foreign countries and tries to find ways to revitalize patent litigation.

      • KCI등재

        의약품특허의 존속기간연장제도 개선방안

        엄태민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23 지식재산연구 Vol.18 No.1

        This article intends to contribute to the examination of recent developments, challenges and controversies concerning Patent Term Extension, with a focus on pharmaceutical patents. The article recognizes that majority of countries in the world, particularly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the European Union and Japan introduced the Patent Term Extension. This article also recognizes those countries have one thing in common that the term of a patent for pharmaceutical patent can be extended up to 5 years. This article subsequently shows that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commonly allow the extension of patent term itself, while the European Union assures market exclusivity for a certain period after the expiration of the original patent term by issuing a Supplementary Protection Certificate. The article concludes the followings: First, even if there are multiple patents corresponding to one permission for manufacturing and distribution of a pharmaceutical item, a provision that the patent term can be extended for only one of them should be introduced in the Patent Act. Second, even if there are multiple permissions for manufacturing and distribution of pharmaceutical items corresponding to patents with multiple active ingredients, a provision that the patent term can be extended only for the first permission of a pharmaceutical item must be stipulated into the Patent Act. Third, it is necessary to newly establish a limitation on the effective patent term in the Patent Act, which states that the actual term of the extended patent term cannot exceed 14 years from the date of permission for manufacturing and distribution of a pharmaceutical item. Fourth, an appeal procedure against an examiner’s decision to reject an application for patent term extension is also needed in the Patent Act. 이 글은 의약발명의 유형과 보호 현황을 검토하고, 주요국의 의약품특허존속기간연장제도를 비교・분석하여, 의약산업 발전 촉진과 국민건강 증진이라는 공익적 목적을 동시에 조화롭게 이룰 수 있는 의약품특허의 존속기간연장제도 개선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요국은 특허권을 보유하고도 약사법 등에 따른 품목허가 등을 위해 특허발명을 실시할 수 없는 기간만큼 존속기간을 연장해 주는 특허권의 존속기간연장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동 제도를 통해 연장 가능한 기간은 우리나라, 미국, 유럽연합 및 일본은 모두 최대 5년으로 동일하나, 우리나라, 미국 및 일본은 존속기간 자체를 연장해 주는 반면 유럽은 존속기간이 만료된 이후에 추가로 일정 기간 독점권을 부여해 주고 있는 것이 가장큰 특징이다. 이 글은 의약산업 발전 촉진과 국민건강 증진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의약품특허의 존속기간연장제도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첫째, 하나의 의약품 품목허가에 대하여 복수의 특허가 있는 경우에 그중하나의 특허에 대해서만 존속기간연장등록을 할 수 있다는 규정을 특허법에신설해야 하고 둘째, 복수의 유효성분으로 하는 특허권을 바탕으로 하는 복수의 의약품 품목허가가 있는 경우에 최초로 품목허가를 받은 의약품만 존속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는 명시적 규정을 특허법에 도입해야 하며 셋째, 연장된 특허권의 존속기간은 의약품 품목허가일로부터 14년을 넘을 수 없다는 유효 특허기간의 한정 규정을 특허법에 도입해야 하고 넷째, 존속기간연장등록출원의 거절결정에 대한 구제수단을 특허법에 마련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