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다 쇼고(小田省吾)의 한국근대사 연구와 식민사학

        하지연 한국근현대사학회 2012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63 No.-

        This study is on Oda Shogo’s Colonial Activities in Korea and His Historical Recognition on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Oda was one of the government service in education and he teached korean history in Gyeongseong Imperial University. He came to korea for an adviser of Educational institution in 1908. Since he had acted over as long period as 37 years, the influence of such Korean history and colonial education, etc. Especially the book of modern history of late Chosun Dynasty, Series of korean history(『朝鮮史大系』), he distorted historical accounts about korea. He attempted to distort the truth with a logic that can be hardly understood. This Study pocuses on Oda’s representative writing production, Series of Korean history, So I explain his career briefly refer to prior studies. Oda organized ‘association of Korean History’ and started writing on korean history for justified Japanes Imperialism and invasion, therefor the modern korea history of Oda Shogo, that gave supported japan’s aggressive policy. His representative writing production was the Series of Korean history, and he wrote for Magazine, ≪靑丘學{叢≫, ≪朝鮮≫about colonial education. All his writings were influenced ower perception, and his distortion on korean history were fatal strike for our historical recognition. Above all, Oda’s historical recognition for korea, effects on Japanese present authorized textbook. It was reproduction on Colonialism History. This study is on Oda Shogo’s Colonial Activities in Korea and His Historical Recognition on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Oda was one of the government service in education and he teached korean history in Gyeongseong Imperial University. He came to korea for an adviser of Educational institution in 1908. Since he had acted over as long period as 37 years, the influence of such Korean history and colonial education, etc. Especially the book of modern history of late Chosun Dynasty, Series of korean history(『朝鮮史大系』), he distorted historical accounts about korea. He attempted to distort the truth with a logic that can be hardly understood. This Study pocuses on Oda’s representative writing production, Series of Korean history, So I explain his career briefly refer to prior studies. Oda organized ‘association of Korean History’ and started writing on korean history for justified Japanes Imperialism and invasion, therefor the modern korea history of Oda Shogo, that gave supported japan’s aggressive policy. His representative writing production was the Series of Korean history, and he wrote for Magazine, ≪靑丘學{叢≫, ≪朝鮮≫about colonial education. All his writings were influenced ower perception, and his distortion on korean history were fatal strike for our historical recognition. Above all, Oda’s historical recognition for korea, effects on Japanese present authorized textbook. It was reproduction on Colonialism History.

      • KCI등재

        식민사학자 오다 쇼고(小田省吾)의 경성제대 교수 활동과 조선사 인식

        최혜주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1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 No.108

        Oda Shogo (小田省吾) came to Chosun in 1908 and lived there for 37 years. He was a person that supported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to compile textbooks and found Keijō Imperial University, participated initiatively in organizing Japanese’s Chosun research groups, and contributed to creating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by laying the grounds for colonial education. First, Oda regarded that the mission of Keijō Imperial University should be studying Oriental culture, cultivating colonial officials, and completing the project of harmonizing and unifying the two races. He insisted that the mission should be promoted by ‘Japan’s mind’ as the driving force. He devoted his whole life to etching the ‘Japan’s mind’ into Chosun. Second, the professors of history in Keijō Imperial University took the lead in distorting history in the name of studying Chosun’s culture and history. Oda deemed that investigating and understanding Chosun history should be the most essential thing in ‘harmony and union between Japan and Chosun’. As a professor of Keijō Imperial University, the goal was to insert distorted Chosun history to students and justify Japan’s rule over Chosun. Third, Oda wrote history of Chosun, which came from the necessity to reorganize Chosun history grounded on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to fight against Chosun’s resistance to Japan after the 3.1 Movement. Distorting the history of Dangun in Chosun that is up to 2,000 years ahead of Japan’s history, he negated Dangun. He produced Ilseondongjo-ron saying Amaterasu’s brother, Susanoo, crossed into Chosun and also Tayulseong-ron saying the south of Chosun in the ancient times was Japan’s colony. Fourth, being engaged in Cheongguhakhoe, Oda strived to study the history of party strife by extending the research on the dismantlement of Chosun history, persecution on Catholicism, and Hong Gyeong-rae’s Revolt. He supported Dangpaseong-ron saying the cause of Chosun’s collapse was from not Japan’s invasion but its own party strife. Later, Ilseondongjo-ron stressing intimacy between Chosun and Japan and Tayulseong-ron saying Chosun had been ruled by Japan from the ancient times in the history were established. Oda spread the origin of colonial rule and the theory for justification by doing the teachings at Keijō Imperial University and activities in Cheongguhakhoe. 오다는 1908년 내한이후 37년 동안 조선에 살면서 총독부의 교과서 편찬사업을 주도하고 경성제대 교수로 활동하였다. 또한 일본인의 조선연구 단체 결성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식민교육의 기초를 만들어 식민사관 창출에 기여한 인물이다. 첫째, 오다는 경성제대의 사명을 동양문화를 연구하고 식민관료를 양성하여 양 민족이 융화 결합하는 사업을 완성하는 것에 두었다. 이 사명은 ‘일본정신’을 원동력으로 추진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는 ‘일본정신’을 조선에 부식시키는 데 일생을 바친 인물이다. 둘째, 경성제대 사학과 교수들은 조선 문화와 역사를 연구한다는 미명하에 역사왜곡에 앞장섰다. 오다는 조선의 역사를 연구하고 이해하는 것이 ‘일선 융화의 결합’에 가장 필요한 일이라고 보았다. 경성제대 교수로서 학생들에게 왜곡된 조선사를 주입하여 일본의 조선 지배를 합리화시키는 것이 목적이었다. 셋째, 오다의 조선사 저술은 3.1운동 이후 한국인의 항일운동에 대항하여 식민사관에 입각한 조선사를 재구성할 필요에서 나왔다. 일본의 역사보다 2천년이나 앞서있는 단군조선의 역사를 왜곡하여 단군을 부정하였다. 아마테라스의 동생 스사노오가 조선에 건너갔다는 일선동조론과 상고시대 조선의 남부는 일본의 식민지였다는 타율성론이 만들어졌다. 넷째, 오다는 청구학회 활동을 하면서 조선사적 해제, 천주교 박해와 홍경래 난에 관한 연구를 확대하여 당쟁사 연구에 매진하였다. 조선 멸망의 원인도 일본의 침략에 의한 것이 아니라 당쟁 때문이라는 당파성론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한국과 일본의 근친성을 강조하는 일선동조론과 역사적으로 고대부터 일본의 지배를 받아왔다는 타율성론이 식민사관으로 정립되었다. 오다는 식민지배의 기원과 정당성을 찾는 이론을 경성제대 교수 및 청구학회 활동을 하면서 전파시켜 나간 것이다.

      • KCI등재

        小田省吾의 교과서 편찬활동과 조선사 인식

        최혜주 동북아역사재단 2010 東北亞歷史論叢 Vol.- No.27

        For 37 years in Korea, Oda laid foundation for colonial education and created the colonial view of Korean history, through compilation of textbooks and the establishment of Gyeongseong Imperial University. His roles were: 1) taking charge of compilation of textbooks as head of compilation division in the Bureau of Education; 2) leading the establishment of Gyeongseong Imperial University as head of preparatory course thereof and as professor of department of law and literature; and 3) creating the prototype of colonial view of Korean history and propagating it through the study of Korean history and writing. It was due to his realization of the urgency of assimilationist colonial education for Japan-Korea assimilation and was for the purpose of national identity education that he thought highly of compilation of textbooks. For such purpose, based on the “Imperial Rescript on Education” and the “Imperial Rescript of 1908,” he tried to create “subjects of the Japanese Empire” out of Koreans by indoctrinating Koreans with the concept of emperor and national identity. His study of Korean history and writings resulted from by his conviction that “Japan-Korea assimilation” requires making the general public understand Korean history. Considering that textbooks played an educating role of creating imperial subjects and that Gyeongseong Imperial University played an important cultural role of colonial rule, his roles were not insignificant. Also, his writings of Korean history were necessitated by the restructuring of Korean history on the basis of colonial historical view as opposed to Koreans’ anti-Japanese struggles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He denied the existence of Dangun based on the theory of Japan-Korea common origin, and advocated the theory of Koreans’ heteronomy that in ancient times southern Korea was colonized by Japan while northern Korea was ruled by China. Further, he attempted to explain the fall of Chosun Dynasty not through Japanese invasion but through the theory of Koreans’ factionalism. For Oda, the ultimately purpose was to serve the “assimilation and combination of Japan and Korea.”

      • KCI등재

        조선총독부 편찬『심상소학국사보충교재』의 편찬 배경과 역사 인식

        박찬교 한국역사교육학회 2016 역사교육연구 Vol.- No.24

        이 글의 목적은 일제강점기 최초의 초등 국정 역사교과서인 『심상소학국사보충교재』의 편찬 배경과 역사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책은 1910년대 초등 역사교육이 부재한 상황에서1920년대 『보통학교국사』를 통한 역사교육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의 상황을 보여주는 중요한 텍스트이다. 1920년대 보통학교에서 한국사 교육이 실시된 발단은 3·1운동이었지만, 그 배경에는 일본정계의 지형 변화가 있었다. 일본에서 하라 다카시를 수반으로 한 정당 내각이 들어서자 식민통치 정책이 ‘내지연장주의’로 전환하였던 것이다. 이에 따라 보통학교의 학제가 일본과 동일해졌고 역사교육이 실시되었다. 『심상소학국사보충교재』는 이때 조선총독부가 발행한 초등학교용 국정 한국사 교과서이다. 이미 1910년대 일본 국내와 식민지 조선에서 중등 일본사 교육과정에 한국사가 포함되어 있었지만, 개정된 교육과정이 실시되기 전까지 새로운 초등 교과서를 만들기에는 시간이 많지 않았다. 또한 조선총독부가 굳이 일본사 교과서를 새롭게 만들어야하는 부담을 질 필요도 없었다. 이에 조선총독부는 일본 국내의 교과서를 그대로 가져다 쓰고, 한국사 내용을 추가하기 위해서 『보충교재』를 편찬하였던 것이다. 『보충교재』의 발행 시기를 고려해봤을 때, 『보충교재』는 사이토 총독의 부임 직후부터 편찬계획이 수립되었으며 상당히 짧은 시간 안에 완성되었다. 이것이 가능했던 이유는 한국사에 정통한 오다 쇼고가 교과서 편찬을 주도했기 때문이다. 제국대학 출신의 전문역사가인 오다 쇼고는조선총독부 중추원에서의 ‘반도사’ 편찬 경험을 바탕으로 신속하게 한국사 교과서를 만들어 냈던것이다. 이 때 1910년대 일본사 교과서 편찬에 영향력을 끼쳤던 재한일본인의 영향력은 배제되었다. 『보충교재』는 단원 구성에서부터 조선총독부의 한국사 교육 목적이 드러난다. 전반적으로 ‘내선일체’와 ‘병합의 정당화’와 관련된 단원이 부각되어 있다. 또한 한·일간의 밀접한 관계를 보여줄 수 있는 사건과 주제를 드러내는 구성을 선택하였다. 『보충교재』의 내용 서술에 나타난 역사인식의 특징은 두 가지이다. 첫째, 단군을 부정하였다. 이는 재한일본인의 역사인식이 투영된 1910년대의 역사교육과 대비되며, 당시 한국인의 역사인식과도 너무나 큰 거리를 보여준다. 이 무렵 친일파를 포함하여 단군을 인정하는 인식이 식민지 조선에서 광범위하였지만, 오다 쇼고가 교과서 편찬을 주도하면서 일본 사학계의 단군 인식이 반영되었던 것이다. 이후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역사교육에서 단군은 사라졌다. 둘째, 한반도의 북방세력은 침략자로, 남방의 일본은 한민족의 보호자로 도식화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에 따라 고구려는 한민족과는 구별되는 만주의 한 종족으로 묘사하였고, 발해의 역사는 아예 배제시켰다. 또한 일본의 침략은 객관화되거나 왜곡되었다. 왜구는 침략자가 아닌 시대적 산물로 규정되었으며, 임진왜란에 대해서도 조선의 책임과 명의 침략상을 강조하였다. 근대사부분에서도 일본은 북방의 침략자인 청과 러시아에 맞서 조선을 구원한 것처럼 서술되었다. 이미1910년대에도 만선사관(滿鮮史觀)과 일선동조론(日鮮同祖論) 등 식민사학과 병합을 정당화하는 논리들이 식민지 조선의 역사교육에 반영되고 있었지만, 『보충교재』에서는 교육적 효과를 위해 더욱 체계화 ... This article aims at analyzing the background of the publication of Shimsangsohakguksa-bochungkyojae(Supplemental Textbook of Japanese National History for primary school), the first government-complied history textbook in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in Korea and its historical perception. This textbook is an important historical source because it shows the situation of the transitional time from the 1910’s lacking primary history education to the 1920’s with history education through the curriculum of national history for primary school. In the 1920’s, the reason to introduce Korean history into primary school was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but its background was derived from the political changes in Japan. The government led by Hara Dakashi started to rule Japan and their colonial policy was converted to ‘extend the domestic policies’. Accordingly, the primary school’s curriculum became identical with that in Japan and history education was introduced. Shimsangsohakguksa-bochungkyojae was the government-compiled Korean history textbook for the primary education published b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of Korea. Already in the 1910’s, Japan and the colonial Joseon, the Korean history was included in the curriculum of Japanese history in secondary school. But, until the revised curriculum was introduced, there had been too short time to publish a new textbook for primary school. In addition,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of Korea had no burden to make a new Japanese history textbook. So the colonial government just used the Japanese textbooks and published the supplemental textbook in order to add the contents of the Korean history. When considering the publication time of Shimsangsohakguksa-bochungkyojae, its publication plan was established just after arrival of the Governor-general Saito and done within considerably short time. Its reason was that Oda Shogo, who was the expert of Korean history, led the publication of the textbook. Oda Shogo, the professional historian who studies in the Imperial University of Japan, based on his experience to publish the History of the Peninsular in Jungchoowon of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of Korea, made the Korean history textbook very quickly. However, the influences from Japanese residents in Korea, who had affected the publication of Japanese History in the 1910, was excluded. This textbook showed the purpose of Korean history education b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of Korea, from its own table of the contents. In general, it emphasized the chapters related to the oneness of Korea and Japan and the justification of annexation. It also selected the events and themes to show close relationships between Korea and Japan. There are two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perception in the contents of this textbook. First, Dangun was denied. It was contrasted to the history education in the 1910’s, which had reflected that of the Japanese scholars in Korea, and it was also very different from that of Korean people. At that time, the perception to recognize Dangun including pro-Japanese parties, existed broadly in the colonial Joseon. However, when Oda Shogo led the publication of history textbook, the Japanese historians’ recognition on Dangun was reflected. Subsequently, Dangun disappeared from the history education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in Korea. Second, it drew the northern power of the Korean peninsular as the invader while southern power, Japan as the protector of the Korean people. According to this perception, Goguryeo is described as one of Manchurian people who were distinguished from the Koreans, and Balhae was completely excluded. The Japanese invasion was objectified or distorted. Japanese pirates were defined as the products of an era not as the invaders. Fo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textbook emphasized Joseon’s responsibility and Ming China’s invasion. Even in the modern history, Japa...

      • KCI등재

        일제강점기 단군부정론과 고조선 영역축소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오다 쇼고와 이마니시 류를 중심으로-

        오현수 한국고대학회 2022 先史와 古代 Vol.- No.69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Japan sought to find the legitimacy of the Korean peninsula rule by distorting Dangun and Dangun Joseon. Japanese scholars who led the distortion of history of Dangun and Dangun Jose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clude Oda Shogo and Imanishi. Oda Shogo said that Dangun myths were fabricated by Buddhist figures in the late Goryeo period and there was no related record before that. The Dangun myths described in the Samguk Yusa are accompanied by Buddhist, but this happens naturally because the recorder, Ilyeon, was a monk. Anyone can reflect their personal perception, feelings, and ideological background when describing history book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Dangun myths contains not only Buddhism but also Taoism, Confucianism and traditional religious elements. From the historical point of view of Dangun myth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the fields of mythology, archaeology and literature. There were studies on the bear totem mythology, ancient mother mythology, the mural paintings of Goguryeo tombs in the Jian area, and the faith of 'Jecheon and Jeho' in Dongye. On the other hand, Imanishi Ryu said that Joseon was overwhelmed by the forces of the Yan Dynasty and retreated to the south of the Daedong River, and Yan and Jin occupied the north of the Daedong River. He is a complete disregard for the history of Gojoseon. However, the fact that Gojoseon already existed before the Gojoseon-Yan war has been proven in literature and archaeological studies. The record of 'Baljoseon' described in Guanzi and the non-wave-like bronze sword culture in northeast China tell the historical situation of Gojoseon before the Chosunhou' rule period. And the boundary between Gojoseon and Yan is the manpanhan.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Imanishi Ryu's view to limit the area of Gojoseon to some parts of the northwest of the Korean peninsula is wrong. Japanese scholar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had no interest in restoring the history of Dangun, Dangun Joseon, or Gojoseon. Today, Korean historians can say that most of the remnants of colonial history have been liquidated, but the critical review of Japanese scholars' distortion of history should continue in the future. 일제강점기 일본은 한국사 왜곡을 통해 한반도 통치의 정당성을 찾고자 하였다. 통칭 ‘식민사관’으로 통하는 역사작업 중 일제가 매우 중요하게 취급한 분야는 단군과 단군조선에 대한왜곡이었다. 이 작업에 가장 앞장섰던 일본인 학자로는 오다 쇼고와 이마니시 류를 들 수 있다. 오다 쇼고의 단군전승에 대한 언급 중에서 주목해서 검토할 만한 주장은 고려 후기 불교계인물이 날조했다는 것, 충렬왕 이전에 단군전승에 대한 기록이 있었다는 증거가 없다고 말한부분이다. 우선, 오다 쇼고의 주장처럼 『삼국유사』에 기술된 단군전승에는 불교적 윤색이 가미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것은 『삼국유사』의 기록자가 일연이라는 승려였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누구라도 역사서를 기술할 때 자신의 개인적 인식이나 감정, 사상적 배경이 반영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삼국유사』 이전에 단군전승을 기록한 문헌이 없다는 점에 대해서는 우리 학계에서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신화학, 고고학, 문헌학 방면에서 이를 극복할만한 많은 연구 업적들을 제시하였다. 한편 이마니시 류는 조선이 전국시대에 연나라의 세력에 압도되어 열수, 즉 대동강 남쪽까지 후퇴했고 연나라와 진나라는 대동강 북쪽까지 점유했다고 하였다. 그리고 그 이전 고조선의역사는 철저히 무시되었다. 그렇지만 고조선-연나라 항쟁 과정 이전에 고조선이 이미 존재했다는 것은 문헌과 고고학 방면의 연구에서 입증되고 있다. 『관자』에 기술된 발조선과 아울러중국 동북지역의 비파형동검문화는 춘추시대 혹은 전국시대 초반 고조선의 존재를 알려준다. 그리고 고조선과 연나라의 경계에 대해서는 『위략』에서 만번한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현재만번한은 문현과 번한현의 합성어로 보고 있는데, 이는 『한서』 「지리지」의 <요동군>조에 나오고 있다. 그리고 연나라의 침입 이전 고조선은 요동 지역에서 정가와자유형의 문화를 기반으로하였다는 점에서 고조선의 영역을 한반도 서북부 일부 지역으로 한정하려는 이마니시 류의견해는 잘못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일제강점기 일본인 학자들은 단군과 단군조선 혹은 고조선에 대한 역사 복원에는 아무런관심이 없었다. 오로지 식민사관에 입각하여 단군조선의 역사성을 부정하고, 이 또한 연나라와 항쟁하던 전국시대 후반의 사실만을 인정하는 선에 그치고 있다. 오늘날 고조선사학계는식민사학의 잔재를 대부분 청산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일본인 학자들의 역사 왜곡에 대한 분석과 비판적 검토 작업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실시되어 고조선사의 진면목이 더욱 부각되었으면 한다.

      • KCI등재

        일제 식민사학의『고종실록』 편찬배경과 편찬과정 연구

        서영희 한국사학회 2022 史學硏究 Vol.- No.145

        『고종실록』은 일제에 의한 편찬이라는 근본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한국 근대사 연구의 기초자료로 광범위하게 활용되어 왔다. 하지만 조선의 ‘전통’을 존중하여 『철종실록』을 모델로 편찬했다는 일본 측 주장과는 달리, 『고종실록』 역시 조선사편수회의 『조선사』처럼 근대적인 사료수집과 편집과정을 통해 李王職에 의해 편찬되었으므로 식민사학의 범주 내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고종실록』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편수되었는지 규명하는 것은 일제 식민사학의 근대사 인식 비판, 더 나아가 한국 근대사 연구의 사료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다. 일본 궁내성은 고종 사망 직후 아사미 린타로(淺見倫太郎)에게 의뢰하여 『이태왕실록』을 편찬했으나, 공개하지 않은 채 비밀에 부쳤다. 또 이왕직에서 오다 쇼고(小田省吾)가 주도하여 고종·순종실록을 편찬하는 동안 조선사편수회에서는 다보하시 기요시(田保橋潔)가 『조선사』의 마지막권인 제6편의 제4권에서 고종 즉위년부터 1894년 6월까지 사료를 편찬했다. 일제의 고종시대사 편찬인 『이태왕실록』, 『고종실록』, 『조선사』 제6편 제4권을 면밀히 비교, 대조해 볼 필요가 있다. 『고종실록』은 아사미 린타로의 『이태왕실록』에서 선구적 모습을 보였듯이, 형식적인 왕실 의례를 부각시킨 왕조의 역사로 편찬되었다. 조선의 전통을 존중한다는 명분을 내세워 편찬한 『고종실록』이 식민사학의 고종시대사 왜곡에 기본 토대가 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특히 갑오개혁 이후 史官 제도가 폐지된 대한제국기 역사를 왕조시대 ‘실록’ 형식으로 편찬함으로써 대한제국기의 변화된 사회상과 일제의 국권 침탈과정은 상대적으로 축소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舊慣조사 당시부터 수집, 정리한 방대한 규장각자료가 있고, 기쿠치 겐조(菊池謙讓)를 중심으로 수많은 근대 사료를 모집했으면서도 『고종실록』 편찬에는 주요 사료로 반영하지 않았다. 오다 쇼고 등 일본인들이 주도한 감수 기록이 나타나있는 『實錄編纂成案』을 보면 근거사료로 제시된 자료들은 대부분 『승정원일기』와 『일성록』 혹은 『관보』이다. 대한제국 정부기록류를 비롯한 공·사문서들을 제외한 채 연대기 자료들만 발췌하여 형식적인 고종시대사를 편찬한 것이다. 반면 일제가 근대적인 학술사업이라고 대대적으로 홍보한 조선사편수회의 『조선사』 제6편 제4권은 1894년 6월까지만 편찬하고 나머지 대한제국기와 병합전후사는 『고종실록』에 미룸으로써 해당 시기의 민감한 사료들을 낱낱이 공개하는 곤혹스러움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전통’의 형식을 취한 이왕직의 『고종실록』 편찬과 근대 역사학적 방법에 의거했다는 조선사편수회 『조선사』는 고종시대사 편찬에서 적절히 역할을 분담하며 식민사학의 근대사 인식의 틀을 형성했다. 그런 의미에서 이왕직의 실록 편찬과 조선사편수회 사업은 별개의 사업이 아니라 총독부 통치 방침 아래 긴밀한 상호 연계성을 가지고 진행되었다고 볼 수 있다. 식민사학의 고종시대사 왜곡은 사료의 선택적 배제 혹은 의도적인 맥락 배치로 이루어졌다. 방대한 양의 고종시대 자료들을 수집했다고 공표함으로써 마치 ‘실증’의 노고를 다한 것처럼 표방하면서도, 고종시대의 근대적 모습을 보여주는 사료들을 철저히 배제했다면 그것을 과연 엄밀한 실증이라고 ... 『The Annals of King Gojong(高宗實錄)』 has been widely used as pabulum for the study of Korean modern history, although it has fundamental limitation due to compilation by Japanese imperialism. Unlike Japanese claims that it was compiled by making 『the Annals of King Cheoljong(哲宗)』 a model in respect for the ‘tradition’ of Joseon, 『The Annals of King Gojong』 should be understood within colonial historical studies, because it was compiled by Yiwangjik(李王職) for the collection and editing process of modern historical records, like 『Joseon History』 by Joseon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It is imperative for the crtique of colonial historical studies within the colonial period and overcoming the limitations to historical records for the study of Korean modern history to find out how 『The Annals of King Gojong』 was compiled. Japanese Imperial Household Agency(宮內省) asked Asami Rintaro to compile 『The Annals of Yitaewang(李太王)』 immediately after the death of King Gojong, which was compiled, but never disclosed. While Oda Shogo took the lead to compile 『Annals of Gojong and Sunjong』 in Yiwangjik, Dabohashi Giyoshi compiled historical records from coronation year of King Gojong to June 1894 in volume 4 of chapter 6 in 『Joseon History』. It is necessary to compare 『The Annals of Yitaewang』, 『The Annals of King Gojong』, and 『Joseon History』, which were compiled by Japanese imperialism. As 『The Annals of King Gojong』 was compiled as the history of the dynasty, highlighting perfunctory royal protocals, whose pioneering figure was shown in 『The Annals of Yitaewang』 by Asami Rintaro, That is the reason why 『The Annals of King Gojong』 lays the foundation of distortion of King Gojong era, although it was insisted to be compiled in respect for the ‘tradition’ of Joseon. As the history of the Great Han Emipre was compiled as the ‘annals’ of the dynasty, in which the system of historiographer was abolished after the Gabo Reformation, it led to dwindle down transformed social aspects in the era of the Great Han Empire and the process of infringement of sovereignty by Japanese imperialism. There were massive materials collected from the time of Old Customs Investigation, and Kiguchi Kenjo led the collection of modern historical records, however, those materials were not reflected in the compilation of 『The Annals of King Gojong』. In 『Sillogpyeonchansungan』, which was supervised by Japanese, including Oda Shogo, most of historical records were based upon 『Daily Records of the Royal Secretariat(承政院日記)』, 『Ilsungrok(日省錄)』, and the offical gazette. The perfunctory history of King Gojong era was compiled by excerpting only from the chronicles without public and private documents, including government documents of the Great Han Empire. 『Joseon History』 chapter 6, volume 4, by Joseon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was compiled until June 1894, and the era of the Great Han Empire and the era before and after annexation were put aside for 『The Annals of King Gojong』. Thus they could avoid the embarrassment to open sensitive historical records in this era. As a result, the compilation of 『The Annals of King Gojong』 in the form of ‘tradition’ by Yiwangjik, and 『Joseon History』 based upon modern historical method by Joseon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divided roles, and shaped the recognition framework of modern history by colonial historical studies. In this context, the compilation of annals by Yiwangjik was not separate from the works of Joseon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and was pursued hand in hand. Distortion of history of King Gojong era was made by selective exclusion of historical records or intentional contextual arrangement. Fundamental question can be raised about whether it can be ‘actual proof’ in the strict sense when historical records showing modern images in King Gojong era were thorough...

      • KCI등재

        식민사관의 차질(蹉跌) : -조선사학회와 1920년대 식민사학의 제도화-

        정준영(JUNG, Joon-Young) 한국사학사학회 2016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4

        이 논문은 1923년에 조직되어 대략 1930년대 초반까지 활동했던 조선사학회라는 일본인 단체에 주목하면서, 1910년대 후반 이후 일제의 식민사학이 어떤 딜레마적 상황에 처해있었으며 이에 대한 대응으로 1920년대 들어 어떻게 식민지 관변사학의 제도화를 모색했는지를 검토했다. 1923년 설립되어 1924년에 이르기까지 왕성한 활동을 전개했던 조선사학회는 식민사학의 제도화라는 큰 흐름 속에서 보았듯이 여러모로 전환기적 성격이 강했다. 조선사학회가 설립되었던 것은 1916년 조선총독부가 의욕적으로 출범시켰던 ‘조선반도사’ 편찬사업이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한 채 사실상 중단된 이후 1922년 조선사편집위원회가 설치되어 관변 역사편찬의 새로운 전환을 모색했을 무렵이었다. 이런 전환의 시점에서 조선사학회는 1910년대 조선반도사 편찬사업이 가졌던 식민지 통사의 문제의식, 즉 조선이 식민지로 전락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역사적 사실에 입각해서 통시대적으로 서술한다는 지향을 계승하면서도, 관변통사 자체가 가지는 자기모순, 즉 역사연찬과 역사보급 사이의 딜레마를 ‘지상강의(紙上講座)’이라는 새로운 형식을 취해서 극복하려 했다. 하지만 이런 조선역사의 보급이 과연 실효를 거두었는가 하는 것은 여전히 문제가 있는 듯이 보인다. 실제 서술에서 조선사강좌가 과연 누구를 독자로 겨냥하고 있었는지가 불분명할 뿐 아니라, 과연 이런 통속강좌로 조선인들에게 의도했던바 의식의 개선이 당시에 이루어 졌는지도 의문의 여지가 많기 때문이다. Chosensigakkai, or The Chosun History Society was established by Oda Shogo(小田省吾), the high-ranking officer of the Chosen Governor-General and the Japanese historians who served for government in Colonial Korea, and was officially accredited as a “academic society in 1923. This association held many academic lectures for a year since its foundation, and published and distributed lecture note, The Lecture of Chosen History(朝鮮史講座) every month. Especially, the publication of this lecture note was closely related to the Chosenhantosi(朝鮮半島史) compilation project that the colonial state had promoted enthusiastically in the 1910s promoted enthusiastically. The purpose of this project was to compile a unique Korean history in perfection from the viewpoint of Japan. But, this project failed and the colonial state changed its direction. In this sense, the activities of Chosensigakkai in the 1920s can be located i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colonial historiography. This study aims to inquire into and reveal meanings of the institutionalization of colonial historiography through analyzing the activities of Chosensigakkai in the 1920s.

      • KCI등재

        2개의 고종실록 편찬을 둘러싼 궁내성・이왕직의 갈등-아사미 린타로와 오다 쇼고의 역사 서술을 중심으로-

        나가시마 히로키 고려사학회 2016 한국사학보 Vol.- No.64

        After the Japanese annexation of the Korean Empire, former emperor Gojong and emperor Sunjong were newly designated as the Yi Household’s King. In addition, the Japanese Government established the Yi Household section under the Japanese Imperial Household Ministry. The Japanese Government then recognized the need to compile veritable records after the death of a Yi royal family member. The Government General of Chosen gathered several kinds of Korean historical materials, and some documents concerning the Korean royal family’s records were transferred to the Japanese Imperial Household to edit Gojong’s veritable records. However, Gojong’s veritable records were unfinished and the editing project was terminated in 1923. Meanwhile, in order to establish the Rules of the Yi Royal Family in 1926, the Yi Household Office started to compile their original veritable records about Gojong and Sunjong, which was finished in 1935. Gojong’s and Sunjong’s veritable records were compiled by Shogo Oda, professor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and who later became the principal of Sookmyung women’s college. He was also a supervisor of Yi Loyal Household. This article aims to clarify the meaning behind the TWO VERITABLE RECORDS compiled by Japanese Imperial Household and Yi Household by comparing one another. 韓日合邦에 따라 형식적이나마 국권이 ‘移讓’되면서 大韓皇帝인 순종은 새로 李王 으로, 太皇帝(고종)는 李太王으로 각각 ‘冊立’되었다. 즉, 일본에 의한 한국 병합이란무엇보다 옛 대한제국 황실을 포섭함으로써 가지게 된 儀典的의무가 주어진다는 것을의미했다. 그리고 이것을 가장 가시적으로 구현한 것이 바로 궁내성안에 李王職이 신설된 것이고, 또 대한황제(이태왕/이왕)의 薨去에 따른 실록편찬이었다. 그런데 朝鮮 總督府는 韓國統監府시절부터 조선왕조/대한제국에 유래되어온 도서들 지방사고에서반출하여 서울(경성) 경복궁 안에 있던 규장각에 집약하고 그 목록을 만들었다. 이에따라 각 王代실록들과 더불어 국가 의례에 관한 매뉴얼인 각종 의궤, 혹은 王統에 관한 系譜類들이 어떻게 보존되어 왔는지에 관해서 그 내용이 밝혀졌다. 이 정리 작업의 진전을 바탕으로 宮内省圖書寮는 이태왕이 薨去(1919년)함에 따라 조선총독부에 이태왕실록편찬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의궤를 비롯하여 여러 기록들의 양도를 요청했다. 그러나 이 궁내성판 실록은 결과적으로는 稿本단계에서 1923년에 편찬이 완료되었지만, 공식적으로는 끝내 공개되지는 않은 채 작업이 끝났다. 사실상 이렇게 중단되었던 자세한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채 연구과제로 남아 있다. 이왕직측은 궁내성 도서료가 주도했던 실록편찬방침에 큰 불만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皇室令개정에 의한 ‘王公族軌範’제정(1926년)이나 王公族審議會설치에 따른 제도적인 기반정비가 이루어짐에 따라 이왕직이 실록편찬에 관해서도 주도권을 잡으려 했던 움직임을 엿볼 수 있다. 그리고 그 결과로 나타나게 된 것이 이왕직에 의해 1930년에 개시되고 1935년에 완료되었던 『高宗太皇帝實錄』과 『純宗皇帝實錄』이다. 이 이왕직에 의한 실록편찬의 중심이 되었던 인물이 바로 오다 쇼고(小田省吾, 1871~1953)이다. 그는 第一高等學校교수에서 대한제국학무관료로 이동하여 조선총독부 학무국 근무를 거쳐 京城帝國大學 예과부장/법문학부 朝鮮史學講座교수를 역임했던 인물로, 역사교과서 편찬, 수사사업, 고적조사 등 그가 맡은 사업 전체를 살펴보면 대부분 조선반도에서 실시된 문교정책임을 파악할 수 있다. 오다는 경성제대 정년퇴임 후 숙명여전교장을 맡으면서 궁내성(이왕직)의 촉탁으로 근대자료수집을 지휘하였는데, 궁내성 도서료와는 또 다른 사관, 내지는 사학연구법으로 고종/순종실록을 완성시켰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2가지의 실록’ 이 작성된 경위와 과정을 역사학적으로 복원하면서 식민지시기 조선에 있어 동양의 역사서술을 둘러싸고 어떤 종류의 갈등이 있었는지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 KCI등재

        2개의 고종실록 편찬을 둘러싼 궁내성·이왕직의 갈등

        나가시마 히로키(永島廣紀) 고려사학회 2016 한국사학보 Vol.- No.64

        韓日合邦에 따라 형식적이나마 국권이 ‘移讓’되면서 大韓皇帝인 순종은 새로 李王으로, 太皇帝(고종)는 李太王으로 각각 ‘冊立’되었다. 즉, 일본에 의한 한국 병합이란 무엇보다 옛 대한제국 황실을 포섭함으로써 가지게 된 儀典的 의무가 주어진다는 것을 의미했다. 그리고 이것을 가장 가시적으로 구현한 것이 바로 궁내성안에 李王職이 신설된 것이고, 또 대한황제(이태왕/이왕)의 薨去에 따른 실록편찬이었다. 그런데 朝鮮總督府는 韓國統監府시절부터 조선왕조/대한제국에 유래되어온 도서들 지방사고에서 반출하여 서울(경성) 경복궁 안에 있던 규장각에 집약하고 그 목록을 만들었다. 이에 따라 각 王代 실록들과 더불어 국가 의례에 관한 매뉴얼인 각종 의궤, 혹은 王統에 관한 系譜類들이 어떻게 보존되어 왔는지에 관해서 그 내용이 밝혀졌다. 이 정리 작업의 진전을 바탕으로 宮内省圖書寮는 이태왕이 薨去(1919년)함에 따라 조선총독부에 이태왕실록편찬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의궤를 비롯하여 여러 기록들의 양도를 요청했다. 그러나 이 궁내성판 실록은 결과적으로는 稿本단계에서 1923년에 편찬이 완료되었지만, 공식적으로는 끝내 공개되지는 않은 채 작업이 끝났다. 사실상 이렇게 중단되었던 자세한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채 연구과제로 남아 있다. 이왕직측은 궁내성 도서료가 주도했던 실록편찬방침에 큰 불만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皇室令 개정에 의한 ‘王公族軌範’제정(1926년)이나 王公族審議會 설치에 따른 제도적인 기반정비가 이루어짐에 따라 이왕직이 실록편찬에 관해서도 주도권을 잡으려 했던 움직임을 엿볼 수 있다. 그리고 그 결과로 나타나게 된 것이 이왕직에 의해 1930년에 개시되고 1935년에 완료되었던 『高宗太皇帝實錄』과 『純宗皇帝實錄』이다. 이 이왕직에 의한 실록편찬의 중심이 되었던 인물이 바로 오다 쇼고(小田省吾, 1871~1953)이다. 그는 第一高等學校교수에서 대한제국학무관료로 이동하여 조선총독부 학무국 근무를 거쳐 京城帝國大學 예과부장/법문학부 朝鮮史學講座 교수를 역임했던 인물로, 역사교과서 편찬, 수사사업, 고적조사 등 그가 맡은 사업 전체를 살펴보면 대부분 조선반도에서 실시된 문교정책임을 파악할 수 있다. 오다는 경성제대 정년퇴임 후 숙명여전교장을 맡으면서 궁내성(이왕직)의 촉탁으로 근대자료수집을 지휘하였는데, 궁내성 도서료와는 또 다른 사관, 내지는 사학연구법으로 고종/순종실록을 완성시켰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2가지의 실록’이 작성된 경위와 과정을 역사학적으로 복원하면서 식민지시기 조선에 있어 동양의 역사서술을 둘러싸고 어떤 종류의 갈등이 있었는지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After the Japanese annexation of the Korean Empire, former emperor Gojong and emperor Sunjong were newly designated as the Yi Household’s King. In addition, the Japanese Government established the Yi Household section under the Japanese Imperial Household Ministry. The Japanese Government then recognized the need to compile veritable records after the death of a Yi royal family member. The Government General of Chosen gathered several kinds of Korean historical materials, and some documents concerning the Korean royal family’s records were transferred to the Japanese Imperial Household to edit Gojong’s veritable records. However, Gojong’s veritable records were unfinished and the editing project was terminated in 1923. Meanwhile, in order to establish the Rules of the Yi Royal Family in 1926, the Yi Household Office started to compile their original veritable records about Gojong and Sunjong, which was finished in 1935. Gojong’s and Sunjong’s veritable records were compiled by Shogo Oda, professor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and who later became the principal of Sookmyung women’s college. He was also a supervisor of Yi Loyal Household. This article aims to clarify the meaning behind the TWO VERITABLE RECORDS compiled by Japanese Imperial Household and Yi Household by comparing one another.

      • KCI등재

        李王職의『高宗 · 純宗實錄』편찬사업과 그 실상

        장영숙(Jang, Young Sook) 한국사학회 2014 史學硏究 Vol.- No.116

        이왕직 실록편찬위원회의 33인의 편찬위원들 가운데 3분의 1에 해당하는 11명은 일본인이었다. 감수위원과 편찬위원, 사료수집위원들의 대부분이 한국인이긴 했지만 그 가운데서도 중심적인 역할을 맡은 위원장과 각 부서의 핵심인력은 일본인이 담당하였다. 실록편찬에 참여한 사람들은 대부분 이왕직과 궁내부, 중추원, 총독부에 속해 있던 사람들이었다. 특히 이왕직실록편찬위원회의 위원장으로 있던 시노다 지사쿠와 감수부에 있으면서 실록편찬을 총지휘한 오다 쇼고, 사료수집위원으로 활동한 기쿠치 겐조 등은 총독부의 식민정책을 추종하고 대변하는 역할을 하였다. 이들은 식민사관을 만들어낸 중심인물이었으며, 철저하게 이를 신봉하며 조선사 왜곡에 앞장섰던 어용사가였다. 이러한 인물들이『고종?순종실록』편찬에 있어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 실록편찬에 활용된 자료인 『고종순종실록자료』는 왕실관련 기사의 요체만을 기록한 것이기 때문에 원자료 자체가 지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자료의 1기분, 즉 1878년까지의 기사량이 현저하게 적어서 실록에서도 고종 초기의 통치내용이 소략될 수밖에 없었던 점은 문제로 남는다. 이로 인해 고종 초기의 통치흔적을 풍부하게 찾아보기 어렵게 된 것은 원자료가 지니는 한계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고종실록』을 서술하는데 참고한 자료목록을 정리해 놓은『고종실록자료원부』에는 일본이 조선왕조의 역사나 문화와 관습, 실태를 파악하고 탐색하기 위해 조사한 자료와 일본인 학자들이 식민사관에 입각해서 서술한 역사책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특히 시데하라 아키라, 하야시 다이스케, 샤쿠오 슌조 등 식민사학의 태두로 거론되는 인물들의 역사서가 실록의 기본 자료로 채택되고 있었다. 이는 곧 일본이 한국에 대한 왜곡된 인식과 편견으로 만들어진 식민사관을 실록편찬에 투영시키고자 의도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만하다. 『고종?순종실록』은 한국근대사 연구에서 빠져서는 안되는 1차 사료로 활용되어 왔고, 앞으로도 활용의 범위가 넓어질 것이다. 그러나 편찬 과정상의 문제, 식민사관에 물든 일본인 학자들의 왜곡된 시각, 나아가 그들이 남긴 역사서를 주요 자료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많은 문제점을 제기할 수 있다. 더불어 사료의 이면 해석에 특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11 which account for 1/3 of total 33 members of the Lee Wang-Jik annals compilation committee were Japanese people. Korean people took the roles of supervisor, compiler and historical material collector, however, central roles of chairman and core roles of each department were taken by Japanese people. Especially, Shinoda Jisaku, the chairman of Lee Wang-Jik Annals Compilation Committee, Oda Shogo of supervision department who supervised the compilation of annals, and Kikuchi Kenzo who was a historical material collector followed and spoke for the colonial policies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They were the key persons who made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and believed in it thoroughly as government-patronized historians leading distortion of Joseon history. 『Annals Data of Gojong and Sunjong』which was used for compiling the annals contains the records of the key factor of the royal family-related articles only and so it had problems of its own. This data"s first stage articles up to the 1878 were noticeably small making the reign of Gojong in the initial stage neglected even in the annals, and it still remains a problem. 『Original Register of Annals Data of Gojong』which compiled the data list referred upon describing 『Annals of Gojong』 contain many data investigated by Japan in search of the history, culture, custom and reality of Joseon Dynasty and history books described by Japanese scholars based on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Especially, the history books of Sidehara Akira, Hayashi Daisuke, and Shakuo Shunjo who are considered authority of colonial histories were selected as basic data of the annals. It can be said that Japan intended to reflect the colonial histories made with distorted recognition and prejudice on Korea over the compilation of annals. Many questions can be raised over 『Annals of Gojong and Sunjong』due to the issues of its compilation course and distorted sight of Japanese scholars falling into the colonial histories, and as it takes the their history books as its main data. Moreover, it deserves special notices upon interpreting dark side of the historical mater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