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 일유형이 남한에서 탈북이주민 고용에 미치는 영향

        김화순 통일연구원 2014 統一 政策 硏究 Vol.23 No.1

        North Korean Migrants’ poor employment situation in the South Korean labormarket including their high unemployment rate and low wage level have raised manydebates over the causes of such problems. As the causes of the employment problems,previous studies have pointed out North Korean Migrants’ inadequacies and weakemployment intention, South Koreans’ prejudice and exclusiveness, etc., but theimportance of the cohort effect of North Korean Migrants’work experiences on theircurrent employment has been overlooked. Recognizing this problem and giving attention to North Korean residents’ workexperiences, the present researcher conducted the third and conclusive study, following theprevious studies “A Study on North Korean Residents’ Work Types” and “Determinantsof North Korean Residents’Work Type in the Period of Marketization.” The conclusiondrawn from this study i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ausal relation between ‘work type inNorth Korea’ before migration and ‘employment in South Korea’ after migration, and theprobability of employment or the basic livelihood benefit take‐up rate is significantlydifferent according to whether one had an formal work, informal work, or both formal andinformal work in North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binomial logi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datacollected from 413 North Korean migrants living in Seoul and sampled through quotasampling based on the year of entry, etc., both work type and education level in NorthKorea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North Korean migrants’ employment in SouthKorea. An interesting finding was that the probability of employment in South Korea washigher in work types with more market economic activities (informal work>both formaland informal work>formal work) in North Korea. Contrary to expectation, the probabilityof employment was lowest in those who had been engaged in an formal work in NorthKorea. What is more, work types with more market economic activities in North Koreashowed a lower probability of being a basic livelihood benefit recipient, and consequentlythose with an informal work were less dependent on the government than those with anformal/both formal and informal work. The most important finding from this study is that work experience in a NorthKorean market enhanced economic adaptability to the South Korean labor marketsignificantly. This suggests that North Korean migrants’experience in working at a marketin North Korea can be more useful as human resource than experience in an formal work. North Korean Migrants’ poor employment situation in the South Korean labormarket including their high unemployment rate and low wage level have raised manydebates over the causes of such problems. As the causes of the employment problems,previous studies have pointed out North Korean Migrants’ inadequacies and weakemployment intention, South Koreans’ prejudice and exclusiveness, etc., but theimportance of the cohort effect of North Korean Migrants’work experiences on theircurrent employment has been overlooked. Recognizing this problem and giving attention to North Korean residents’ workexperiences, the present researcher conducted the third and conclusive study, following theprevious studies “A Study on North Korean Residents’ Work Types” and “Determinantsof North Korean Residents’Work Type in the Period of Marketization.” The conclusiondrawn from this study i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ausal relation between ‘work type inNorth Korea’ before migration and ‘employment in South Korea’ after migration, and theprobability of employment or the basic livelihood benefit take‐up rate is significantlydifferent according to whether one had an formal work, informal work, or both formal andinformal work in North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binomial logi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datacollected from 413 North Korean migrants living in Seoul and sampled through quotasampling b... 그간 남한 노동시장에서 탈북이주민의 고실업,저임금 등 고용부진 상황은 그 원인을 둘러싸고 많은 논의를 촉발하였다. 선행연구들은 고용문제의 원인으로 탈북이주민 자신의 취약성, 취업의지나 남한사람들의 편견이나 배제 등을 지목해왔지만, 북한에서 탈북이주민의 일 경험이 현재 남한에서 고용에미치는 중요성은 간과되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북한 주민의 일경험에 주목해온 필자의 “북한주민의 일자리 유형연구”와 “시장화시기 북한 주민의 일유형 결정요인”연구를 잇는 세 번째 연구이자 마무리 연구이다. 결론적으로 이주 이전 ‘북한에서 일유형(work type)’과 이주이후 ‘남한에서 고용(employment)’ 간에는 유의한인과관계가 존재하며, 북한에서 공식일/비공식일/이중일을 했는지에 따라 취업확률이나 기초생계수급률이 유의하게 달라진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입국연도 등에 의해 할당표집한 서울시 거주 탈북이주민 413명의 조사자료를 이항로짓, 다중회귀분석한 결과, 북한 일유형과 학력 변수 모두가 남한에서 탈북이주민의 취업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흥미로운 점은 북한 시장경제활동이많은 일유형일수록(비공식>이중>공식일유형) 남한에서 취업확률이 높았다. 일반적인 예상과는 달리북한에서 공식일 경력을 가졌던 사람들의 취업확률이 가장 낮았다. 또한 북한에서 시장경제활동 경험이 많은 일유형일수록 기초생계수급자일 확률이 낮아 비공식일 종사자들의 국가의존도가 공식일/이중일 종사자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가장 중요한 발견은 북한 시장에서 일했던 일 경험이 남한 노동시장에서 경제적 적응력을유의하게 높인다는 연구결과이다. 이 같은 결과는 북한 장마당 등 시장에서 일했던 탈북이주민의 일 경험이 인적자원으로서 공식 직업경험보다 더 유용하게활용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간 정부는 북한 비공식일 종사자들을 무직자로 분류해왔는데, 이같은 탈북이주민 직업분류방식을 재검토해야 할 것이다. 향후북한 시장화가 진전된다면 북한 주민 인적자원의 개발 혹은 시장적응력이 향상될 것으로 전망된다.

      • KCI등재

        남한기업의 탈북이주민 노동력 평가

        김화순 ( Wha Soon Kim ) 북한연구학회 2011 北韓硏究學會報 Vol.15 No.2

        그간 탈북민 일자리 연구와 관련 조사들이 많이 이루어져왔으나, 기업인의 관점에서 탈북민 노동력을 평가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는 탈북민 최대 밀집지역인 서울남부 지역 사업장 307개(탈북민 채용기업체 100개, 미채용기업 207개)를 조사하여, 노동력 수요요인, 노동력 활용장애요인을 파악하고, 외국인 및 내국인 노동력과의 비교 평가하였다. 탈북민 노동력을 주로 활용하는 기업은 근로여건이 열악한 인력부족 기업체들이었다. 이들 기업들은 탈북민 인력관리 시, 문화적 차이 때문에 애로를 겪었지만, 좋은 조건의 탈북민 고용지원금의 유인에 끌려 또 항상적 인력부족 때문에 탈북민 노동력을 고용하고 있었다. 채용기업들의 외국인, 내국인, 탈북민 노동력 선호도를 살펴본 결과, 기업들은 내국인을 가장 선호하였고, 외국인보다는 탈북민근로자를 선호하였다. 기업들은 탈북민들에게 내국인보다는 약간 낮은 임금을 주고 있었으나 탈북민들의 생산성에 비한다면 높은 임금이라고 보고 있었다. 채용기업주의 절반가량은 앞으로 추가 채용할 의사를 갖고 있었다. 향후, 한국사회에서 탈북민 근로자들은 부족한 내국인 노동력을 대신하면서 외국인 근로자보다는 조금 더 선호되는 대체인력으로 인력부족업종 분야에서 자리 잡아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남는 문제는 두 가지이다. 첫째, 인력이 항상적으로 부족하고 국내 근로자들이 기피하는 기업에게 구태여 정부의 지원금을 줄 때 발생하는 시중효과 문제와 근로조건이 열악한 기업체의 탈북민 고용선호가 탈북민의 사회통합에 미칠 부정적 영향이다. 이를 연구의 후속과제로 제안하고자 한다. There have been high interest in and surveys on jobs for North Korean Migrants, but few studies have been made to evaluate the labor force of North Korean Migrants from entrepreneurs` viewpoint. Thus this study purposed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the demand of labor force and obstacles to the use of labor force, and to compare labor force between aliens and natives by surveying 307 workplaces (100 companies with North Korean Migrant employees and 207 without) in the southern area of Seoul having the largest population of North Korean Migrants. Summing up the results, companies utilizing the labor force of North Korean Migrants were mostly businesses with poor working condition and under labor shortage. Despite difficulties in labor force management resulting from cultural differences, they employed North Korean Migrants as they were attracted by the government`s subsidies for the employment of North Korean Migrants and they were always short of labor force. In the results of surveying companies` labor force preference for aliens, natives, and North Korean Migrants, they preferred natives most, and preferred North Korean Migrants to aliens. They paid North Korean Migrants a somewhat lower wage than that to natives but considered the wage high for their productivity. Around half of the employers had the intention to employ more North Korean Migrants. As North Korean Migrant workers are expected to fill the shortage of labor force in future Korean society, they will be settled as substitute labor force preferred to alien workers particularly in industrial areas under labor shortage. There are two questions to be answered. One is whether the government should grant subsidies to companies that are always under labor shortage and avoided by native workers and the other is how the social integration of North Korean Migrants can be achieved if only companies with relatively poor working condition prefer the employment of North Korean Migrants. These questions are suggested as tasks for future research.

      • KCI우수등재

        탈북민의 북한 가족 송금의 수행성과 분단 통치성

        이지연 비판사회학회 2019 경제와 사회 Vol.- No.124

        This paper explores the North Korean migrants’ family remittance to North Korean family in terms of performativity and governmentality in the context of the South-North Korean Division. The number of North Korean migrants living in South Korea have been above 33,000. Half of them have made remittances to family members in North Korea through the transnational network of informal brokers across South Korea, China, and North Korea. This family remittance allows North Korean migrants to continue and reconstruct their family relation in North Korea from a distance even though they become South Korean citizens. The repetitive practice of sending money to North Korean family has brought about the ambivalent moral sentiments to North Korean migrants. While rebuilding solidarity in the family, they often experience alienation whenever they get the phone call for money from a distance. Nevertheless, sending money to their family members in North Korea enables North Korean migrants to make up for the stigma of treachery, which the North Korean government has attached to the defector and his family. The money they sent could be a kind of resource which make their family negotiate with the officials of SPSD (State Political Security Department) in North Korea. In South Korea, on the other hand, government officials and experts tend to regard the North Korean migrants’ family remittance as abnormal or illegal. This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administrative techniques of the South Korean regime to effectively govern the division system of the Korean peninsula. Thus, the family remittance of North Korean migrants reveals the discrepancy between their legal status and social position in their daily lives. This problematic situation implies both risks and possibilities of crossing the ambiguous boundaries of the divided Korean Peninsula. 탈북민들이 북한 가족에게 하는 송금은 남한에 있으면서도 중국을 경유하는 초국적 연결망을 활용해 북한과 현재적으로 접촉하는, 그들에게는 일상 속의 한 단면이다. 북 한을 떠나 중국, 제3국을 거쳐 남한에 ‘몸’을 이끌고 온 탈북민들은 이제는 다시 ‘돈’을 매개로 그 궤적을 거슬러 올라가 북한의 가족들과 관계를 재형성한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탈북민들의 북한 가족 송금을 수행성의 관점에서 해석했다. 첫째, 개인적 차원 에서 북한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돈을 통해 탈북민들이 북한 가족과 상호작용하면서 실현하는 도덕적 감정과 가치들을 해석했다. 이는 행위자의 의도나 동기를 실증적으로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닌, 남한과 북한 사이에 낀 위치성에서 탈북민들이 북한 가족에게 하는 송금의 과정과 그 효과를 해석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둘째, 개별적으로 보이는 탈북민들의 북한 가족에의 송금이 분단을 우회하는 연결망을 생성하면서 여전히 분단국가의 통치가 실행될 때 어떻게 사회적·정치적 의미들을 구성하는지 해석했다. 탈북민들은 북한 가족에게 돈을 보내면서 현재적으로 가족과의 유대감을 회복하지만, 송금의 반복 속에서 자신이 물화되고 도구화되는 소외감을 느끼는 양가적인 도덕 감정을 갖는다. 그러나 탈북민들은 북한으로의 송금을 통해 자신이 남한에 오면서 북한 에 남은 가족들이 겪게 되는 보위부 감시와 같은 정치적 낙인과 위험을 돈을 통해 물질 적으로 대처한다. 이러한 돈의 효과는 일상 속에서 북한 사회 체제하에서 구조화된 사 회적 관계에 기여하는 새로운 자본의 성격을 가지고 순환하며 북한 사회 내에서 탈북민 의 존재성을 재구성한다. 한편, 남한에서는 탈북민들의 가족 송금에 대한 정부와 전문 가들의 담론들은 이들의 송금 행위를 예외적이고 비정상적인 것으로 규정하며 억압, 색 출, 처벌하는 것이 아닌 계산, 관리, 예측되어야 하는 경제와 안보의 문제로 통치하고 있고, 이를 통해 분단의 경계들도 관리되고 조율된다. 탈북민의 송금 행위는 이중적인 존재성, 즉 몸은 남한에 거주하면서 돈을 매개로 북한과 연결되는 상황을 발현시키면서 분단의 경계를 넘나드는 탈북민의 특수한 사회적 위치를 북한과 남한 양쪽에서 모두 생성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탈북민들의 위치는 여전히 분단의 경계에서 가 능성과 취약성, 위험을 동시에 감당하는 것이기도 하다.

      • KCI등재

        탈북이주민의 사회통합을 위한 문화적 이해: 기숙형 탈북 아동 방과후 공부방 사례를 중심으로

        신난희 ( Shin Nan Hee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3

        본 논문은 한국사회에 국민의 신분을 갖는 이주민이 증가하면서 사회적 갈등도 함께 증가하는 현상을 주목한다. 본 논문은 이주민의 사회통합 현상을 다룸에 있어서 이주민에게 일어나는 사회문제는 이주민 개인 혹은 이주민집단에 의해서만이 아니라 이주민이 적응하는 주류사회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한다는 관점을 취한다. 둘째, 주류사회로의 이주민 사회통합을 논의하기 위해서는 이주민 및 이주민사회에 관한 문화적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관점을 취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관점에서 탈북이주민에 대한 한국사회의 맥락, 탈북이주민과 한국지원기관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고 이 과정에 작동하는 탈북이주민의 가치 및 행위 양상에 관하여 기숙형 탈북 아동 방과후 공부방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에 의하면, 지난 십여 년 동안 탈북이주민지원정책은 동화주의 및 도구주의적 패러다임에 기초하여 진행되었다. 탈북이주민은 한국사회 주류 지원세력의 탈북이주민 지원패러다임에 영합하거나 과잉 동화하는 방식으로 생존 전략을 구사하였다. 이 과정에서 탈북이주민은 한국사회의 가치와 행위 양식을 형식적으로 차용하면서 북한사회 및 디아스포라이주과정에서 내면화하고 습득한 가치, 문화요소, 행위양식을 확대, 강화하며 복합적인 문화적 적응양상을 창출하였다. 탈북이주민이 활용한 한국사회 지원제도의 틈새는 지원패러다임과 정책 제도의 형식적 차원으로 제도의 합법성 속에서 사적인 전용과 이익 실현을 추구하는 것이었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 that social conflicts increase as the number of immigrants who have the status of citizens in Korean society increases. Dealing with the social integration of migrants. this paper takes the viewpoint that social problems that occur to immigrants occur not only by migrants themselves or immigrant groups, but also in interaction with immigrants` mainstream society, and the second viewpoint, in order to discuss the integration of migrants into the mainstream society, it is necessary to prioritize cultural consideration of migrants and migrant communities. This paper analyzes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e North Korean migrants and the Korean support organizations in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 and discusses the values and behaviors of North Korean migrants working in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analysis, over the past decade, the policy to support North Korean defectors has been based on an assimilationism and instrumental paradigm. The North Korean migrants had to accomodate to the paradigm and systems of mainstream support of Korean society or had to over-assimilate them. In this process, the North Korean immigrants formally embraced the values and behavior style of Korean society and expanded and strengthened the values, cultural elements and modes of behavior internalized and acquired in the North Korean society and diaspora migration process, creating a complex cultural adaptation pattern. The gap in the Korean social support system utilized by North Korean immigrants was the formal dimension of the support paradigm and policy system, in pursuit of privatization and profit realization in the legitimacy of the system.

      • KCI등재

        직행 탈북이주자의 노동이동과 탈북결정요인

        김화순 통일연구원 2017 統一 政策 硏究 Vol.26 No.1

        This study assumes that ‘labor mobility’ of North Koreans is one of the major causes of North Korean Defections, and examines the phenomenon of North Korean Migrants in light of international immigration theory.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the newly emerging “generation escaping directly from North Korea” after food refugees and sought to examine their escape process in the context of labor mobility. With the four pillars of the formal/informal, market/state sector that divide the social economy of North Korea as basic axis, 23 cases of migrants directly escaping from North Korea were divided into 11 cases of women and 12 cases of men by type of gender/occupation. There are three facts revealed through this study. First, it was observed that the workers who worked in the North Korean formal economy sector (I) shifted to the public market economy sector (II), the informal state economy sector (III) and the informal market economy sector (IV). Workers in the state economy shifted to the difficulties of livelihood and showed different behaviors for men and women. Second, North Korean worker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such as the collective labor participation type and the personal benefit pursuit type according to whether there was labor mobility or not. The collective labor participation type was differentiated into the career?seeking type and the job?keeping type depending on the upward mobility.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ormal option, the personal benefit pursuit type was differentiated into the jangmadang type, the Party-State Agency type and the corporate utilization type, deriving the five types of labor mobility type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uses of North Korean Migrants by labor migration types, it was found that the collective labor participation type which comprises the family members, relatives and acquaintances of the North Korean Migrants. Therefore, the surveillance received from the authorities, the personal anxiety due to non?socialist censorships, career barriers of the migrants and family members, negative prospects for the future of North Korea affected the decision of North Korean defections. In the case of the personal benefit pursuit type, besides the same reason as the collective labor participation type, the favorable attitude toward the market economy affected the decision to defect. It can be concluded that experience in labor mobility in North Korea promotes defection by forming a friendly attitude toward the market economy. 이 연구는 북한주민의 ‘노동이동’이 탈북현상의 중요원인 중 하나라고 가정하고, 탈북이주현상을 국제이주이론에 비추어 검토한다. 특히 식량난민 이후 새로이 등장한 ‘직행파 탈북이주자’에게 초점을 맞추어 이들의 탈북과정을 노동이동의 맥락에서 살피고자 하였다. 북한사회경제를 구획하는 공식/비공식, 시장/국영부문의 네 가지 영역을 기본축으로 하여 직행파 탈북이주민 23사례를 성별/일자리유형별로 여성 11사례, 남성 12사례로 나누어 북한에서 노동이동의 흐름과 탈북요인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밝혀진 사실은 세 가지이다. 첫째, 북한 공식부문 국영경제(Ⅰ)에서 일하던 근로자들이 공적시장경제부문(Ⅱ), 비공식국영경제(Ⅲ), 비공식 시장경제(Ⅳ)부문으로 이동하는 것이 관찰되었는데, 남녀별로 다른 행동패턴을 보였다. 둘째, 북한근로자는 자발적 노동이동 유무에 따라 집단노동참여유형과 개인이익추구유형의 두 가지로 구분되었다. 또, 집단노동참여형은 상향이동여부에 따라 다시 경력추구형, 직업유지형으로 분화되었으며, 개인이익추구형은 이동선택지에 따라 다시 장마당형, 정권기관형, 기업활용형으로 분화되면서 총 다섯 개의 노동이동 유형이 도출되었다. 셋째, 각 노동이동 유형별 탈북사유를 분석한 결과, 집단노동참여유형의 경우 탈북자가족이나 친지이기에 당국으로부터 받은 감시, 비사회주의 행위로 인한 신변불안, 본인과 가족의 진로장벽, 북한의 미래에 대한 부정적 전망 등이 탈북결정에 영향을 미쳤다. 한편, 개인이익추구형의 경우에는 집단노동참여유형과 동일한 이유 외에 시장경제에 대한 우호적 태도가 탈북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쳤다. 이로 미루어 북한에서 노동이동 경험은 시장경제에 대한 우호적 태도나 자신감을 형성함으로서 탈북을 촉진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 KCI등재

        한국 정부의 탈북민 신자유주의적 주체 만들기 통치성에 관한 연구: ‘착한(着韓) 이웃’ 담론 분석을 중심으로

        박은아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통일인문학 Vol.72 No.-

        Since the division of the two Koreas, North Koreans arriving in the South have been interpellated with several names, such as ‘North's Defected Soldiers, Defected Ethnic North Koreans, and Defected North Korean Residents.’ In this study, the main argument is that the temporal contextual changes in the interpellation of North Koreans reflect the governmentality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oward North Korean migrants. By echo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governmentality suggested by Foucault, this study examines the governing power and its characteristics through conceptualizing ‘Chakkan(successful settlement in South Korea) Neighbor’ interpellation, which is a newly released name for North korean migrants, as the conduct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oward North Korean migr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hakkan Neighbor’ project has been initiated with the aim of improving the negative image of North Korean migrants in the South and carried out through various policies, such as ‘discovering and collecting successful resettlement cases’ and ‘organizing voluntary groups.’ The ‘Chakkan Neighbor’ interpellation as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conduct guides North Korean migrants to learn about South Korea and conc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North Korean-ness. The most emphasized message is self-reliance and self-subsistence of North Korean migrants, which demands them shifting from welfare dependents to neoliberal homo economicus. The structural discrimination of South Korean society is not mentioned or hidden; however, the causes of North Korean migrants’maladaptation and their economic failure are attributed to their laziness and insincerity. 분단 이후 탈북민들은 남북한 체제경쟁과 국제 환경의 변화에 따라 한국 정부에 의해 ‘귀순용사, 귀순 북한동포, 북한이탈주민’ 등 다양한 이름으로 호명되어왔다. 이러한 시대적 맥락에 따른 호명의 변화는 탈북민들에 대한 한국 정부의 통치성(governmentality)의 단면을 보여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에서는 탈북민들을 향한 한국 정부의 통치성의 성격과 효과에 대해 문제 제기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푸코의 통치성 이론에 기대어 탈북민들에 대한 한국 정부의 통치성 및 그 특징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 정부의 ‘착한 이웃’ 만들기 프로젝트는 탈북민들의 부정적인 이미지 개선을 목적으로 시작되었고, ‘착한 이웃’ 호명은 탈북민들에게 한국을 배우고 이들이 지닌 북한적(北韓的) 특징들을 은폐하도록 요구한다. 여기서 가장 많이 강조되는 메시지는 ‘탈북민 자립과 자활’이며, 이는 탈북민들을 복지의존자형에서 벗어날 것을 요구할 뿐만 아니라 ‘자기 기업가형’, 즉 ‘신자유주의적 호모 에코노미쿠스’로 거듭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탈북민들이 한국사회에서 경험하는 구조적인 차별은 언급되지 않거나 은폐되며, 이들이 한국사회 적응과 경제활동에 실패하는 원인을 오로지 개인의 의지박약과 불성실함의 문제로 귀결시킨다.

      • KCI등재

        특별기고논문 : 북한이탈주민의 경험을 중심으로 표현하는 초등학교 통일수업

        송영민 ( Young Min Song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1 동양문화연구 Vol.7 No.-

        초등학교 통일수업은 「통일교육지침서」의 요청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연계하여 이루어진다. 교사는 초등학생의 학습특성을 고려하여 이 두텍스트를 사회문화적으로 표현한다. 남한 학생을 대상으로 남한에서 이루어지는 통일수업에서, 북한이탈주민의 경험은 사회문화적으로 표현한 통일수업을 가능하게 한다. 북한이탈주민의 경험은 남한의 사회문화에서 접할 수 있는 구체적인 남한과 북한의 사회문화적 경험이다. 또한 북한이탈 주민과 더불어 사는 삶은 남한학생들이 사회문화 속에서 통일을 실천하는 시작이다. 그래서 북한이탈주민의 경험은 초등학생의 학습특성을 고려하면서 편향되지 않게 실천 가능한 통일수업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본고에서는 「통일교육지침서」와 「초등학교 교육과정」및 북한이탈주민의 경험을 연계한다. 이에 터하여 통일교육 내용체계를 통일의 필요성 이해, 통일방안의 이해, 북한의 이해, 통일한 국가로 구성한다. 그리고 이렇게 구성한 내용체계를 북한이탈주민의 경험을 중심으로 구체화한 통일수업 방안을 제안한다. 먼저, 북한이탈주민의 경험을 중심으로 표현하는 통일의 필요성 이해에서는 분단의 배경과 폐해를 과거의 사건보다는 현재의 상황으로 인식하는데 초점을 둔다. 통일방안의 이해에서는 통일을 위한 접근 방식과 우리의 통일방안을 정치적 협상보다는 생활 속의 실천 문제로 인식하는데 초점을 둔다. 북한의 이해에서는 초등학생들의 경험 영역을 고려하면서 남북한의 같음과 다름을 공정하게 인식하는데 초점을 둔다. 끝으로 통일한 국가에서는 북한이탈주민과 더불어 사는 삶을 통해 통일국가의 미래상을 실현하기 위해 실천 가능한 과제를 인식하는데 초점을 둔다. 이러한 북한이 탈주민의 경험을 중심으로 표현한 통일수업을 통해 정의로운 통합을 위해학생들이 참여자로서 노력하려는 마음을 함양하고자 한다. An unification instruction in elementary school has been performed on the requirement of unification education guidebook and curriculum. Teachers have to consider a learning characteristics to express these two essential texts in unification instruction. A learning characteristics of students require sociocultural approach. In South Korea and to South Korean students, it is North Korean migrants that make possible a unification instruction based on the sociocultural approach. The experience of North Korean migrants represents North Korean`s perspectives about their society and culture, and those experience can be encountered in South Korean. In addition, South Korean students can start practices for unification by sharing their life with North Korean migrants. Then experience of North Korean migrants makes it possible that unification education considering learning characteristics and non-biased instruction. To construct these unification instruction, teachers may consider connectivity of unification education guidebook, elementary curriculum and experience of North Korean migrants. According to state above, contents system of unification education is organized understanding of unification necessity, unification ways, North Korea, and a nation of accomplishing unification. Following them, I will propose texts of unification instruction reflecting the experience of North Korean migrants. In understanding of unification necessity focused on the experience of North Korean migrants, the teaching text makes students to learn background and harmful effect of division as a current situation. In understanding of unification ways, the text makes students to cognize our unification ways as a practice matter in life than political negotiation. In understanding of North Korea, the text makes students to cognize conformability and differenc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by fairness. Finally, in a nation of accomplishing unification, the text makes students to find an image of the future and matter of practice for sharing their life with North Korean migrants. By all these instruction intend to have a mind of participants who effort to unification as a justice integration.

      • KCI등재

        재영 북한 이주민의 영국 난민정책 경험과 그 함의

        이수정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2019 통일연구 Vol.23 No.2

        The paper is a study of North Korean migrants' experiences of British refugee policy in the UK. As these migrants went to the UK as refugees via South Korea, they have the capacity to compare South Korea's policy of supporting North Korean defectors with the UK's refugee policy. By analyzing these people’s interpretive/comparative narratives on both policies, this paper seek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the North Korean immigrants'“empirical interpretation" of British refugee policy experiences on the North Korean refugee policy in South Korea. As a method of research, I utilized literature analysis, visits to British refugee support agencies and interviews with officials, interviews with North Korean migrants who entered the British society as refugees, and a "refugee policy trip "with a North Korean migrant.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North Korean migrants evaluated their experience of refugee policies in the UK as relatively superior to that of South Korea. In particular, they highlighted the guarantee of freedom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applying for protection contrasts in comparison to the isolation and restraint of the early stages of entry to South Korea, and the policy of providing refugee support based on "universal" human rights in comparison to the ambivalent effect of "special" assistance to North Korean defectors. They also positively evaluated the customized crisis support policies of the UK in comparison to the unrealistically complex and rigid basic supply policies of Korean society. Based on this positive experiences of the British refugee policy, these migrants suggest the need for improvement of South Korea's initial entry policy which is still affected by the Division Grammar. They also suggested that South Korean society needs to transform its policy of supporting North Korean defectors into a policy based on universal rights perspective along with a more flexible policy to meet individual needs. 이 논문은 한국을 거쳐 ‘난민’ 자격으로 영국으로 재이주한 북한 이주민의 영국 난민정책 경험에 대한 연구이다. 즉, 영국 거주 북한 이주민들이 한국사회의 북한이탈주민지원정책과 영국 난민지원정책을 어떻게 해석하고 의미화 하는지를 이들의 비교에 기반한 해석적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영국의 난민정책 경험에 대한 북한 이주민의 경험적 해석이 한국사회의 북한이탈주민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 분석과 영국난민지원 기관 방문 및 관계자 인터뷰, 영국사회에 난민으로 진입한 북한 이주민들과의 인터뷰 및 ‘동반여행’ 등을 연구방법으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북한 이주민들은 자신들이 경험한 영국의 난민정책을 한국의 북한이탈주민정책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점이 있는 정책으로 평가하였다. 특히, 비호 신청과정에서 겪은 자유에 대한 보장을 한국 입국 초기의 고립 및 구속과 대비하였고, 보편적 인권에 기반한 난민지원 정책을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특별한 지원의 양가적 효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축적된 데이터에 기반한(것으로 상상되는) 맞춤형 위기 지원 정책을 한국사회의 비현실적으로 복잡하고 경직된 기초수급정책에 대비해 긍정적으로 의미화 하였다. 이러한 영국 난민정책의 긍정적인 경험에 기반하여 북한 이주민들은 여전히 분단문법에 영향 받고 있는 북한이탈주민 대상 입국 초기 정책의 개선, 시혜화/위계화하지 않고 보편적 권리 차원에서 접근하는 정책, 수요자 중심의 유연한 정책으로의 전환이 필요함을 제기하였다. 이러한 북한이주민들의 비교의 내러티브는 한국사회에서 제기된 북한이탈주민지원정책에 대한 무수한 학술적 문제제기의 “경험적 실체”일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해외체류 탈북자와 북한인권 개념의 복합구조: 국민, 난민, 이주민

        송영훈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6 다문화사회연구 Vol.9 No.2

        This study analyzes three approaches to North Korean human rights for North Koreans abroad with the concepts of nationality, refugee, or migrant. The first approach is that North Koreans abroad may be given South Korean citizenship under the Korean Constitution. Yet, no country except South Korea recognizes North Korean defectors as South Koreans and this approach has made little contribution to the protection of North Koreans from bing repatriated to North Korea. The second approach is that North Korean defectors as a group should be given a refugee status. Each government, however, may decide North Korean defectors as a refugee depending on its own individual evaluation of North Korean asylum-seekers. The third approach is that North Korean defectors can be considered a migrant. By viewing North Korean defectors as migrants, North Korean human rights issues may be reduced to universal human rights ones with which the government in an asylum has to deal. Three approaches should not be exclusive of one another. They represent an aspect of North Korean human rights and they should be compromised in order to enhance human rights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practice. 이 연구는 해외체류 탈북자의 성격을 국민, 난민, 이주민으로서 분류하고 북한인권 개념을 복합적 구조를 분석하고 있다. 해외체류 탈북자들의 성격에 대한 인식에 따라 인권보호 책임의 주체가 달라지고 실효적 효과도 달라진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해외체류 탈북자를 한국 국민으로 보호해야 한다는 주장은 헌법의 원칙에 부합하지만 국제정치에서 중국과 동아시아 국가들이 이들을 북한으로 강제로 송환하는 것을 막는 데 실효성이 크지 않다. 둘째, 북한 내 인도적 위기 상황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난민협약을 탈북자들에게 일괄적으로 적용하는 접근은 각국 정부가 탈북자들의 상황에 대한 평가를 개인별, 시기별로 달리하여 난민인정을 거부하는 것을 반영하지 못한다. 셋째, 이주민으로서 탈북자를 인식하는 접근은 탈북자들의 체류국 정부의 협조가 선행되어야 하지만 이들의 인권문제를 체류국의 보편적 인권의 문제로 환원시키는 장점이 있다. 국민, 난민, 이주민으로서의 탈북자라는 세 가지 개념적 접근을 상보적으로 활용할 때 해외체류 탈북자의 실질적 인권 보호 및 증진이 이뤄질 수 있다.

      • KCI등재

        탈북이주민 정착정책의 인식과 과제: “정착지원을 넘어 사회통합으로”

        김화순,최대석 통일연구원 2011 統一 政策 硏究 Vol.20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new values and strategies of consistent North Korean Migrants settlement policies going beyond the instrumental value of settlement support.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through FGI and interviews how the four issues of North Korean Migrants settlement policies --the concept of North Korean Migrants, settlement blueprint, policy priority, and service delivery system --were perceived by the actors of governance --the Ministry of Unification, foundation, North Korean Migrants leaders and local governance membe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discussion, the actors showed a large gap in their opinions on concept of North Korean Migrants and on who should take charge of the delivery system, but they shared common perceptions concerning settlement blueprint and policy priority. The particularly controversial issue was who should take charge of the delivery system, and the actors had quite different opinions on the four delivery system models -central government model, foundation model, local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model. The North Korean Migrants Foundation professed that it is the center of the delivery system commissioned by the government, but the actors of local governance viewed that it is desirable for the government, whether central or local, to play the role by itself. The Hana Center also believed that the private sector should play the role of the hub of the delivery system.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ctors of governance have quite diverse views over the concept of North Korean Migrants and the delivery system in the North Korean Migrants settlement program and further discussions are necessary on related issues. 이 연구는 정착지원이라는 도구적 가치를 넘어서 일관된 탈북민 정착정책의 새로운 가치와 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거버넌스를구성하는 각 행위주체- 통일부, 재단, 탈북민리더,지역거버넌스 구성원들이 탈북민 정착정책의 네가지 쟁점- 탈북민 개념, 정착청사진, 정책우선순위, 서비스 전달체계-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졌는지 FGI와 인터뷰를 통해 조사하였다. 논의결과, 거버넌스 구성주체들은 탈북민의 개념과 누가 전달체계를 맡아야 할 지에 대해서는 의견 차이가 컸으나, 정착청사진과 정책우선순위에있어서는 구성원간의 인식공유가 잘 이루어지고있었다. 특히 쟁점이 되었던 부분은 전달체계를 누가 담당해야 할 지였는데, 중앙정부안, 재단안, 지방정부안, 민간안 -네 가지 전달체계 모형을 두고각 주체들 간에는 의견의 차이가 컸다. 북한이탈주민 지원재단은 통일부의 수탁기관이며 전달체계의중심임을 자임하였으나, 지역거버넌스의 행위주체들은 중앙정부든 지방정부든 정부가 직접 그 역할을 맡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하나센터 역시민간이 전달체계의 허브역할을 맡아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탈북민 정착사업에 있어거버넌스 주체들 간에 탈북민 개념과 전달체계를둘러싼 시각차이가 상당히 크다는 점과 향후 관련논의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