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적이탈 제한의 대상적격 : 헌재 2020. 9. 24. 2016헌마889 결정과 관련하여

        구자완(Koo, Jawan) 한국헌법학회 2021 憲法學硏究 Vol.27 No.1

        헌법재판소는 헌재 2020. 9. 24. 2016헌마889사건에서 국적법 제12조 제2항 본문 “제1항 본문에도 불구하고 「병역법」 제8조에 따라 병역준비역에 편입된 자는 편입된 때부터 3개월 이내에 하나의 국적을 선택하거나 제3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때부터 2년 이내에 하나의 국적을 선택하여야 한다.”는 규정에 대하여 대한민국 남성인 복수국적자는 병역준비역에 편입된 때부터 3개월 이내에 대한민국 국적으로부터 자진하여 이탈한다는 뜻을 신고하지 않으면 병역의무가 해소될 때까지 대한민국 국적에서 자진하여 이탈할 수 없다는 의미로 해석하고 심판대상 법률조항이 국적이탈의 자유를 침해하여 헌법에 합치되지 않는다는 결정을 내렸다. 심판대상 법률조항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해석은 다음의 점에서 문제가 있다. 첫째, 헌법재판소는 심판대상 법률조항에 대한 입법목적을 자의적으로 해석하고 있다. 헌법재판소는 심판대상 법률조항에 대한 입법목적을 병역의무 면탈의 수단으로 국적을 이탈하는 것을 제한하여 병역의무 이행의 공평을 확보하는 것으로 밝히고 있다. 이는 명확히 하자면 국적법 제12조 제3항의 입법목적이다. 입법부는 심판대상 법률조항에 대한 입법사유를 자유로운 국적선택제도를 신설하여 이 중국적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명시하고 있다. 둘째, 직계존속이 외국에서 영주할 목적으로 체류한 상태에서 출생하여 주된 생활의 근거를 외국에 두고 있는 복수국적자에게는 병역법상 실제에 있어서 병역의무 이행이 부과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에게 부과되지 않는 병역의무 이행을 부담지우는 모순된 해석을 하고 있다. 셋째, 우리나라의 국적법은 단일국적주의를 원칙으로 하여 복수국적을 불가피한 경우에 최소한으로 인정하며 복수국적 상태를 가능한 조속히 해소하도록 요구하는 것을 기본방향으로 하고 있음에도 직계존속이 외국에서 영주할 목적으로 체류한 상태에서 출생하여 주된 생활의 근거를 외국에 두고 있는 남성 복수국적자에게 대한민국에서 외국국적의 불행사 서약 없이도 38세까지 장기간에 걸쳐 복수국적의 지위를 누리도록 특혜를 부여하는 해석을 하고 있다. 이는 국적법의 기본방향에도 어긋나는 것이며 평등의 원칙을 규정한 헌법에도 반하는 것이다. 전래적인 법해석방법론이라 할 수 있는 문리적 해석, 논리적・체계적 해석, 역사적・주관적 해석에 의할 경우 심판대상 법률조항 후문의 적용대상은 ‘병역준비역에 편입된 때부터 3개월 이내에 대한민국 국적으로부터 자진하여 이탈한다는 뜻을 신고하지 않은 대한민국 남성인 복수국적자’가 아닌 ‘국적법 제12조 제3항에 속하는 자’로 해석되어야 타당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해석에 의할 경우 헌법재판소가 판단한 국적이탈의 자유 제한이라는 심판대상 법률조항의 위헌적 요소들은 제거된다. 즉 심판대상 법률조항은 합헌으로 해석될 수 있다. 우리 헌법재판소는 판례를 통해 헌법합치적 법률해석의 원칙을 원용하고 있다. 헌법합치적 법률해석의 원칙은 미국의 연방대법원이 판례를 통해 정립한 합헌성 추정의 원칙을 독일의 연방헌법재판소에서 수용하여 발전시킨 법률해석의 지도원리로서, 일견 위헌으로 보이는 법률조항이라 하더라도 합헌적 해석이 가능할 때에는 헌법에 합치되는 해석을 택하여 이를 합헌으로 판단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헌법재판소의 결정은 첫째 심판대상 법률조항의 적용대상으로서 국적이탈 제한의 대상적격을 불합리한 해석에 의하여 확대하고 있다는 점에서, 둘째 헌법합치적 해석이 가능한 규정에 대하여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리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심판대상 법률조항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은 법원과 그 밖의 국가기관 및 지방자치단체를 기속한다. 헌법재판소는 2022년 9월 30일을 시한으로 입법자에게 개선입법을 촉구하였다. 입법부는 주된 생활 근거를 외국에 두고 있는 복수 국적자에게는 병역법상 병역의무 이행이 부과되지 않기 때문에 이들에게 병역의무 해소 시 까지 국적이탈을 제한하는 입법을 하게 될 경우 국적이탈의 자유를 침해할 뿐 아니라 결과적으로 이들에게 조속한 복수국적상태의 해소를 면제하고 장기간 복수국적의 지위를 누리도록 특혜를 부여하게 된다는 점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 In the Constitutional Court of the Constitutional Law on September 24, 2016, in the 889 case,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ded that the Article 12(2), “Despite the main text of paragraph 1, those who fall under Article 8 of the Military Service Act will One nationality must be selected within three months, or one nationality must be selected within two years from the time falling under any of the subparagraphs of Article 12(3).” of the Nationality Act violated the freedom of nationality and did not comply with the Constitution. The Constitutional Court interpreted the Article 12 as meaning that multiple Korean nationals, who are Korean men, will voluntarily leave the Korean nationality within three months from the time they are included in the military service, or they cannot voluntarily leave the Korean nationality until their military duty is resolved. This interpretation by the Constitutional Court is unfair in the following respects: First, the Constitutional Court arbitrarily interprets the legislative objectives of the Article 12(2). The legislature states that the reasons for legislation on the Article 12(2) are intended to create a nationality selection system. However, the Constitutional Court says that the purpose of legislation against the Article 12(2) is to ensure fairness in the performance of military service by restricting citizenship as a means of evading military service. This is an extended interpretation of the Nationality Act of the Article 12(2) for the legislative purpose of Article 12(3) of the Nationality Act. Second, the Military Service Act does not impose military service obligations on multiple nationalities who are born with their parents staying abroad for permanent residency and have the main basis for their lives in foreign countries. Nevertheless,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a contradictory interpretation that puts pressure on them to fulfill military service obligations that are not imposed on them. Third, the Nationality Act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monolithic nationalism, which requires the government to recognize multiple nationalities as a minimum if they are inevitable, and to resolve the status of multiple nationalities as soon as possible. However, the Constitutional Court s interpretation of the Article 12(2) provided special benefits to male citizens who were born while their parents were staying abroad for permanent residency, so that they would have a dual citizenship status for a long time until they were 38 years old. This also goes against the basic direction of the Nationality Act and goes against the Constitution that stipulates the principle of equality.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uses the presumption of constitutionality on constitutional law interpretation through precedents. In the case of literary interpretation, logical and systematic interpretation, historical and subjective interpretation, which can be called a traditional methodology of legal interpretation; The subject of nationality exclusion restrictions prescribed in Article 12(2) is not a “multi-nationality, a Korean male who has not chosen his nationality within three months from the time he is in the military preparation role,” and should be interpreted as a “person who falls under Article 12(3) of the Nationality Act.” and This interpretation removes the unconstitutional elements of Article 12(2) as determined by the Constitutional Court. Therefore,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is problematic in that first, it misrecognizes the eligibility for the restriction of nationality in Article 12(2), and second, it is making a decision that is inconsistent with the constitution on articles that can be interpreted in conformity with the constitution.

      • KCI등재

        국가안보사범에의 대처를 위한 국가안보 법제 연구 : 미국 자유법(USA Patriot Act)과 해외정보감독법(FISA)의 교훈

        한희원 한국국가정보학회 2020 국가정보연구 Vol.13 No.1

        National security is safety and defense of a nation state, including its citizens, economy, and institutions, which is regarded as a duty of government. Originally conceived as protection against military attack, national security is now widely understood to include also non-military dimensions, including the security from terrorism, economic security, energy security, environmental security, cyber-security etc. People’s happiness under the global unlimited competition circumstances can only be established by the premises of national security. All sovereign states therefore will construct ‘national security criminal legal system’ as a natural government responsibility. However, the abstract and conceptual provisions of crimes to ensure the security and existence of a liberal democratic nation and to protect constitutional orders are not enough to attain national security and defend constitutional value and security. Of course, as the Article 37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is provided that “[t]he freedoms and rights of citizens may be restricted by Act only when necessary for national security, the maintenance of law and order or for public welfare.” Meanwhile, "The freedom and rights of the people shall not be downplayed for reasons not listed in the Constitution. Even if all freedom and rights of the people are limited by law only if necessary for national security, order maintenance or public welfare, and even if limited, they cannot infringe on the essential contents of freedom and rights," The most important of the basic laws of American intelligence community activities today are the American Freedom Act and the Foreign Intelligence Surveillance Act. However, although there have been fragmentary introductions of the U.S. Freedom Act and the Foreign Intelligence Surveillance Act in Korea, few papers or reports have introduced the radius of activities of the intelligence tool as a result of the need, the reason for revision, and the controversy over the fundamental violation of the for him, of cours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U.S. Patriot Act, which has been said to be the embodiment of U.S. national security protection, must be preceded. However, there were many prejudiced views that the U.S. Patriot Act is a unique law for the federal state and a human rights violation law. In this paper, I will look at the reasons and details of the need for a new view and provision of security criminal legislation along with the emergence of transnational security threats through the U.S. Freedom Act and the Foreign Intelligence Surveillance Act. Hopefully, this research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pay attention to the rule of national security law by promoting the harmony of efficiency and compliance with legal procedures through legal and regulatory control over national security criminals, which are still very insufficient in Korea to date in 2020. 글로벌 무한경쟁 환경에서 국민 행복은 국가안보가 전제되지 않으면 성립되지 않는다. 이에 많은 주권국가가 국가안보법제를 구축한다. 자유의 적에 대해서는 관용을 베풀 수 없다는 것이 인류의 지혜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국가안보와 관련된 몇 개의 죄를 추상적으로 규정하고 있다는 것만으로는 국가안보가 확보되지는 않는다. 현재 미국 정보공동체에 가장 중요한 활동 근거법이 미국 자유법과 해외정보감독법이다. 그동안 국내에도 미국 자유법과 해외정보감독법에 대한 단편적인 소개는 있었다. 하지만 헌법 위반 논란, 법에 따른 정보기구의 활동반경과 현재의 실제적인 활동가능 모습을 소개한 논문은 거의 없는 상황이다. 이를 위해서는 미국 애국법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특히 미국 애국법에 대한 법리논쟁은 왜 미국 자유법이 만들어졌는지를 알려준다. 사실 미국 애국법은 연방국가인 미국에 독특한 법이고 인권침해법이라는 편견에 사로잡힌 견해들이 적지 않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초국가적안보위협세력의 대두와 함께 국가안보사범 법제에 대한 새로운 조망과 필요한 이유 그리고 그 구체적인 내용을 미국 자유법과 해외정보감독법을 통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아무쪼록 본 연구가 2020년 현재까지도 미진한 국가안보사범과 그에 대한 처단 절차에 대한 법규범적 통제를 통하여 효율성과 적법절차 준수의 조화를 도모하는 등으로 국가안보 법치에 대한 관심을 가지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 KCI등재

        재미동포사회의 선천적 복수국적제도 개선 요구 분석

        오정은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9 다문화와 평화 Vol.13 No.2

        Some people hold dual or multiple citizenships by birth, if they inherited different nationalities from each of their parent, or if they inherited one nationality from their parent(s) and acquired another nationality from the country where they were born, which offer birthright citizenships, at the same time. In the past, the Republic of Korea (here after, Korea) did not allow to maintain multiple citizenships and it imposed to choose only one nationality on persons with multiple nationality by birth when they became legally adults. However, since 1st January 2011, the Korea has permitted multiple citizenships in certain cases. As for the persons who obtained multiple citizenships by birth, it is allowed to keep their multiple nationalities if they take a vow not to exercise a foreign nationality. When the Ministry of Justice drafted a bill permitting multiple citizenships to people who acquire them by birth, some argued that the new Nationality act would allow certain privilege to upper class society with multiple nationalities. However, after the bill was implemented as a revised Nationality Act, many Korean-americans who became multiple citizenship holders complain about the new Act saying that the new Act pose an obstacle for Korean-american adults with multiple citizenships who wish to be certain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which are apt to prefer candidates with mono citizenship as American, because the new act severly restrict to renounce the Korean Nationality for men who reach the age for Korean military service until they fulfill Korean military duty, unlike that the previous Act made lose Korean Nationality automatically for Korean- american adult who held both Korean and American nationality. The complaint from Korean-american means that the permission of the multiple citizenship made unexpected side-effects and that the multiple citizenship system is in need of reform. 한 사람이 출생과 동시에 두 개 이상의 국적을 취득하여 선천적 복수국적자가 되는 경우가 있다. 부와 모의 국적이 서로 다른 상태에서 양계 혈통주의에 따라 부와 모의 국적을 모두 취득하는 경우와, 속인주의(혈통주의) 국적법에 따라 부모의 국적을 부여받는 사람이 속지주의(출생지주의) 국적법이 적용되는 국가에서 태어나게 되어 부모의 국적과 출생한 국가의 국적을 동시에 취득하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한다. 한국은 과거 엄격한 단일국적주의 국가였고, 선천적 복수국적자에게는 성인이 되었을 때 1개의 국적만 선택하도록 요구하였었지만, 2011년 1월 1일부터는 선천적 복수국적자가 국내에서 외국국적을 행사하지 않겠다는 외국국적불행사서약을 하면 계속해서 복수국적을 유지하도록 허용한다. 복수국적 도입 전에는 선천적 복수국적 허용이 사회 상류층에 대한 특권 부여라는 비난이 일었다. 그런데 실제로 선천적 복수국적제도가 시행되자, 재미동포사회에서 선천적 복수국적자들이 해당 제도의 피해자임을 주장하며 국적법 개정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대한민국 국적법이 남성 선천적 복수국적자에게 만18세가 되는 3월 이후에는 병역의 의무가 해소될 때까지 대한민국 국적 이탈을 금지하고 있는데, 성인이 되어 뒤늦게 이러한 법을 알게 된 재미동포 가운데 한국국적 이탈을 못해서 미국에서 사관학교에 진학하거나 정부의 고위직으로 승진하는 등 자신의 꿈을 펼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주장이다. 재미동포사회의 불만은 선천적 복수국적 허용이 본래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부작용을 낳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현행 복수국적 제도에 대한 개선 검토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 KCI등재

        국가유산기본법의 제정과 향후 과제

        주강원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홍익법학 Vol.24 No.2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Heritage(hereinafter "the Act"), which is promulgated on May 16, 2023, is enacted to reflect the changed cultural property policy environment since the enactment of th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ct in 1962, and to convert to a national heritage system that meets international standards of 1970 UNESCO Convention. The Act will substitute th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ct and function as the highest law to govern the national heritage system from next year. The present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ct has been criticized for many different reasons; first, the term "cultural property" needs to be replaced to "cultural heritage" or "national heritage" because it is difficult to embrace various kinds of heritage due to its strong implication of property. Second the classification of cultural property should be amended to correspond to the types provided in the international conventions. Third, the basis for compensation for losses for individual special sacrifices caused by the designation of cultural properties should be provided. Finally the unsystematic organization of the chapters and articles and the lack of detailed regulation on the protection of world heritage were also pointed out. The newly enacted Act shows some positive aspects in that it has introduced the concept of the national heritage which focuses on the value of the community heritage rather than the property value, presents the objective to include the protection, the succession and also the enjoyment of the national heritage, and elaborates the principles of the national heritage protection in more detailed way. Nevertheless the various problems in th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ct still remain. First of all the lack of the compensation provision for the limitation on the private property right should be corrected. Also the problem of the composition and organization of the Act and the related laws needs to be systemized. Finally It is necessary to clarify in detail the procedures and methods of protecting world heritage in the Act, the World Heritage Act, and the relevant enforcement decrees. 2023. 5. 16. 공포된 국가유산기본법은 1962년 문화재보호법 제정 이래 변화된문화재 정책 환경을 반영하고 유네스코 등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국가유산체계로전환하기 위하여 제정된 것으로 기존의 문화재 관련 제도에 있어 기본법적 역할을하였던 문화재보호법을 대체하고 변화된 국가유산체제의 최상위 기본법의 역할을수행할 예정이다. 현행 문화재보호법은 1962. 1. 10. 제정된 이후로 여러 차례의개정을 거친바 있으나, 변화된 문화재 환경을 관장할 미래지향적인 법으로서 여러가지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대표적으로 문화재라는 용어가 재산이라는 물질적인의미가 강하여 다양한 성격의 유산을 포용하기 어려우므로 문화유산 또는 국가유산이라는 용어로 대체하여야 하고, 문화재의 분류 역시 세계 협약상의 분류에 부합하게 개정되어야 하다는 문제 제기가 있다. 또한 문화재 지정으로 인한 개인의 특별한희생에 대해 손실보상의 근거라 규정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왔으며, 문화재보호법의 비체계적인 편제와 구성방식의 문제 및 세계유산 보호와관련하여 구체적인 규정의 미흡 등도 함께 지적되어 왔다. 국가유산기본법은 재산적 가치에 초점을 둔 문화재에서 탈피해 공동체 유산으로서의 가치에 초점을 둔 국가유산의 개념을 도입하고, 법의 목적을 통하여 국가유산의 보호는 물론 창조적 계승과 국민의 문화향유까지 포괄하는 미래지향적 목표를제시하고 있으며, 국민의 국가유산향유권을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국가유산 보호정책의 기본원칙을 상세히 규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인 변화에도 불구하고 국가유산기본법에는 그간 문화재보호법의문제점으로 지적되던 다양한 문제점에 대해 충분한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대표적으로 국가유산 지정으로 인한 사인의 재산권 행사에 대한 제약에 대하여손실보상 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점에 대해서는 추후 개정을 통해 근거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국가유산기본법은 국가유산 지정·등록제도의 근거만을 규정하고 각 국가유산 유형별로 구체절인 절차를 규정하도록 하고 있으나 문화유산에관한 개별법으로 기능하게 될 문화재보호법에서 현재의 비체계적인 지정·등록 규정의 편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 전면적인 개편과 보완이 요청된다. 마지막으로세계유산의 보호의 절차와 방법을 국가유산기본법과 세계유산법 및 동 시행령에서구체적으로 밝힐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복수국적자의 외교적 보호에 관한 소고

        이진규(Lee, JinKyu) 한양법학회 2011 漢陽法學 Vol.35 No.-

        Multiple nationality is the subject that may cause various issues in the area of international law. Especially, diplomatic protection in respect to a multiple national is a very controversial issue. It can’t be asserted yet that standards of diplomatic protection in respect of multiple nationality have been firmly established. To some extent, however, the standards are being settled through being treated in many arbitral decisions and codification endeavors of ILC. There is still support for the requirement of a close connection between States of nationality and a multiple national in case of exercising the diplomatic protection by one or all of the States of nationality against the third State. According to a majority opinion, however, any State of nationality may exercise diplomatic protection, and even jointly. This rule has more recently been followed and upheld by many cases and ILC. Based on a traditional view, there is non-responsibility rule between States of nationality with respect to the exercise of diplomatic protection by one State of nationality against another State of nationality. This view is still considered as the principle related to the exercise of diplomatic protection between States of nationality in contemporary international law. Some arbitral decisions and codification of ILC, however, show that the State of effective or predominant nationality may bring proceedings against another State of nationality in an exceptional situation. This also makes it clear that the burden of proof is on the claimant State to prove that its nationality is predominant. Korea allows multiple nationality by the amended Nationality Act. Although there is still a negative perception on the multiple nationality, the allowance of multiple nationalty is a revolutionary change in the legal system of nationality in Korea. The issue of the exercise of diplomatic protection in respect of a multiple national had been discussed in the beginning of the work for amendment of the National Act. The amended Act has not finally come to include such a clause. Consequently, there is no provision to describe the factors to be taken into account in exercising diplomatic protection for a multiple national in the Act. We, however, can infer from the interpretation of the Act that such factors include the application of Korean domestic laws, legal marriage, habitual residence, special contribution to Korea, distinguished talent in various fields and military service, etc. Korea is currently developing domestic legal system in various areas including nationality.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Korea should take responsibilities for nationals as subjects or objects of its legal system.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 exercise of diplomatic protection still entirely depends on the will of State, we should bear in mind that an effective protection of multiple nationals can be achieved by government’s strong will to reflect the current international law in domestic legal system and to execute policies established through such endeavors.

      • KCI등재후보

        국세기본법과 지방세기본법의 통합과 체제 개편에 관한 연구

        김우영(Woo-Young Kim),김금영(Keum-Young Kim) 강원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8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ol.9 No.2

        The tax system in Korea is the so-called one-item-one-tax law which has separate tax law for each taxation according to tax law. The common and procedural aspects of these tax laws are the same or similar, but they are separately prescribed by the National Tax Basic Act and the Local Tax Act. These legal systems complicate the tax law and increase the cost of tax cooperation, resulting in tax inefficiency. In this study, the National Tax Act and the laws of the Local Tax Act are integrated and presented. It is proposed that the common provisions should be integrated into a single law and the unique matters should be defined in each of the National Tax Basic Act and Local Tax Basic Act,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rovisions of the National Tax Basic Act and the Local Tax Basic Act. The integration of the common elements of the National Tax Basic Act and the Local Tax Act is expected to improve tax efficiency by reducing tax complexity and tax cooperation costs. In addition, the National Tax Act and the Local Tax Act are expected to maint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Tax Basic Act and the Local Tax Act when they are specified in the National Tax Basic Act and the Local Tax Basic Act.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research that can reduce tax inefficiency and help convenience of taxpayer and tax administration.

      • KCI등재

        근대 일본의 국적제도와"일본인"의 설정: "혈통주의"와"단일민족론"에 근거한 변용 과정

        임경택 ( Kyung Taek Yim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2 韓國文化人類學 Vol.45 No.2

        이 글은 일본 국가가 어떠한``일본인``이미지를 설정하고 또한 그 이미지를 어떠한 방식으로 사회제도를 운용할 때의 근거로 삼아 왔는지에 대해 제도를 둘러싼 담론을 통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국적제도 혹은 국적법의 변천과 그것과 관련된 담론들을 분석하였다. 국적상의 일본인은 1899년의「국적법」에 의해 최초로 설정되었는데, 이 법은 근대 호적법과 한 덩어리가 되어 제도상의 일본인을 확정하는 중요한 장치가 되었다. 이 국적과 관련된 호적제도·가족제도·천황제를 연결하는 것이 국가가 제시한 구도였고, 이것들을 잇는 키워드가``혈통주의``였다. 즉 가족이란 혈통으로 맺어져 있고, 천황은 만세일계의 핏줄이다. 혈통주의가 메이지 시대의 국가 체제를 확립하는 데에 무엇보다도 중요한 장치로서 기능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외국인의 귀화제도는 독립된 법률이 아니라이「국적법」에 포함되었고, 국가의 지침과 관련된 방향에서 논쟁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패전 직후에 대두된``단일민족론``은 소수민족을 회피하였고, 특히 이 배경하의 귀화제도는``생활양식의 일본인화``,`` 민족의식의 포기``를 의미하게 되었다. 또한 일본인=일본 민족=일본 국민이라는 단일민족론적 인식에는 변함이 없지만, 출생에 관해서만큼은 순혈성의 중시가 완화되었다. 그러한 점에서 1984년의「국적법」개정은``일본인 의 설정을 새롭게 파악하게 된 하나의 전환점이라 할 수 있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discourses related to how the Japanese state system has established the image of ``Japanese``and how the Japanese state system uses the image as the foundation for Japanese social institutions. This article also analyzes how those discourses are related to the change of the institution and laws for nationality ``Japanese``in Japanese nationality was first set-up by "the Nationality Act"in 1899. This act became an important device with "the Family Registration Act"to determine the institutional definition of what is`` Japanese``. The intention of the state was to connect family and family registration to the Imperial system through the concept of the nation formed from the same blood, jus sanguinis. That is, family members are connected by blood, and the Emperor is descended from the eternal blood line. This consciousness of the nation formed from the same blood was important in establishing the state system during the Meiji period. The institution of naturalization for foreigners was not a separate act but a part of this Nationality Act. Discussion about naturalization was also carried out under the guidelines provided by this Nationality Act. After the World War II, the concept of a single-ethnic nation has made minorities invisible. The requirements for naturalization also meant that foreigners should learn Japanese life style and give up their original ethnic consciousness in this context. In this way, even without Japanese blood, the concept of Japanese=Japanese Nation= Japanese Nationality was established. Thus, "the Nationality Act"of 1984 can be considered as a measure which establishes the concept o``f Japanese``in a new way.

      • KCI우수등재

        속인주의(Jus Sanguinis) 기반으로 속지주의(jus soli) 적용·확대를 위한 대한민국 국적법 제2조(출생에 의한 국적취득) 개정 관련 쟁점 검토

        鄭錦心 ( Jeong Kum Sim ) 법조협회 2021 法曹 Vol.70 No.6

        대한민국은 보충적출생지주의를 도입하기 위해 영주자의 국내출생자녀에 대해 간이하게 국적을 부여하는 제도를 입법예고하였지만, 반중정서, 여론분열, 정치적 이슈화로 사실상 국적법 개정은 요원해졌다. 국적이란 특정국가와 개인을 연결하는 법적 유대로서 국적법은 국민의 자격과 요건을 정하는 법률이다. 보충적출생지주의 도입은 속인주의를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속인주의를 유지하면서 세계화 추세와 이민자 증가의 현실적 상황을 반영한 것이다. 현시점에서 독일이 지난 2000년 국민 공감대 형성, 정치권합의 등을 거쳐 조건부 절충안을 담아 보충적출생지주의를 국적법에 포함한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그렇다면 유보된 국적법 개정을 어떻게 하면 재추진할 수 있을까? 국적법 관련 빅데이터 분석, 전문가 토론회 등을 거쳐 정책, 법령 분야, 공감대 형성 분야, 입법시기 분야로 쟁점을 도출하여 3가지 분야에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하였다. 법령·정책 분야는 ① 외국인정책기본계획의 틀에서 점진적 도입 ② 사회통합과 국익의 조화를 반영한 대상자 선정 ③ 아동 인권보호로 접근, 출생등록제 연계한 보충적출생지주의 도입 ④ 정부입법 이외 방식 검토이다. 공감대 형성 분야는 ① 반중정서 해소 ② 저출산·고령화 유일한 대책이라는 편견 해소 ③ 정치화 극복 ④ 언론, 공청회ㆍ토론회, 청년 인플루언서 등을 활용한 홍보이다. 입법시기 등 분야는 ① 국정상황, 정부시책, 정책환경, 국민정서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시기 결정 ②새정부 출법 후 재입법 추진이다. 저성장시대 도래가 예견된 미래사회를 준비하고, 외국인의 국내출생자녀와 그 부모가 국내에서 안정적으로 정착하여 새로운 경제활동의 주체로서 국가발전의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출생을 기반으로 한 국적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며, 새정부출범과 함께 보충적출생지주의 도입 및 재입법화 추진은 전향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In order to introduce supplementary birthplace principle for the first time in Korea, legislation was announced to grant nationality to domestic children of permanent residents, but the revision of the Nationality Act has virtually become a long way off due to anti-Chinese sentiment, public opinion division, and political issues. Nationality is a legal bond that connects a specific country and individuals, and the Nationality Act is a law that determines the qualifications and requirements of the people. The introduction of supplementary birth principle does not give up the Jus Sanguinism but reflects the realistic situation of globalization and the increase in immigrants while fundamentally maintaining Jus Sanguinism. Korea should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Germany included supplementary birthplace principle in the Nationality Act with conditional compromise through the formation of public consensus and political consensus in 2000. If so, how can we re-promote the revision of the reserved Nationality Act? Through big data analysis and expert discussions related to the Nationality Act, issues were drawn into the legal and policy fields, consensus formation fields, and legislative period fields and reasonable alternatives were suggested in three areas. The legal and policy fields are ⅰ) gradual introduction from the framework of the basic foreign policy plan. ⅱ) selection of subjects reflecting the harmony of social integration and national interests. ⅲ) introduction of supplementary birthplace principle linked to the birth registration system. fourth government legislation. ⅳ) Consensus formation fields are ⅰ) Resolving anti-China sentiment. ⅱ) Overcoming politicization. ⅲ) Promoting using the media, public hearings and discussions, and youth influencer. Legislative period fields are ⅰ) Decide appropriate time in consideration of state affairs, government policies, policy environment, and public sentiment. ⅱ) Re-legislation should be promoted after the inauguration of the new govern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aradigm of birth-based nationality policy so that foreign-born children and their parents can stably settle in Korea and establish themselves as growth engines for national development, and the introduction and re-legislation of the new government should be considered proactively.

      • KCI등재

        비의료인 개설 의료기관(‘이른바 사무장병원’)에 대한 국민건강보험법상 부당이득징수 처분

        문현호 사법발전재단 2020 사법 Vol.1 No.54

        Under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the requirements for collection of unjust enrichment or unjust profit are very abstract in that they are defined as the costs of health care benefits (insurance money) received by “fraud or other improper means.” In the past, the Korean Supreme Court has tended to judge that if there is a violation of not onl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but also other laws such as the Medical Act, it falls under the requirements of “fraud or other improper means” without developing any logic. One of the examples is the case of institutions established and operated by a person ineligible to establish the institution (non-medical personnel). Meanwhile, under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there has been confusion in judgements of courts as to whether the collection of unjust enrichment or unjust profit is discretionary or not. In the recent case for violating the provisions on prohibition of opening more than one institution under the Medical Act,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collection of unjust enrichment or unjust profit should be independent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purpose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in that the purpose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Medical Act. In this case, whether the claim for the costs of health care benefits by a medical institution established and operated by a disqualified person constitutes “fraud or other improper means” was questioned again, and the nature of the unjust profit collection and the legality of the full collection became an issue. In this ruling, the Supreme Court concluded that a medical institution established by a person who could not open a medical institution corresponds to a health care institution that is the other party to the unjust profit collection, and the claim for the costs of health care benefits by such medical institution constitutes “fraud or other improper means.” In addition, under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the authority has the discretionary power regarding the scope of the collection of unjust enrichment or unjust profit. Furthermore, the Supreme Court determined that collecting the full amount of the costs of health care benefits from a medical personnel who opened a medical institution operated by a non-medical personnel, without considering the following circumstances: the contents of health care benefits and the amount of the costs of health care benefit; the role and degree of illegality of the medical personnel in the process of opening and operating the institution; the degree of profits obtained by the medical personnel; and cooperation to the investigations, is contrary to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and amounts to the abuse or misuse of discretionary power, barring special circumstances. This is part of efforts to reduce unreasonable consequences under Korea’s unique system of not paying the costs of health care benefits to the institutions established and operated by a person ineligible to establish a medical institution (non-medical personnel). The subject case was followed by the decision, which determined that the collection of the full amount of the costs of heal care benefits from a non-medical personnel is contrary to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and corresponds to the abuse or misuse of discretionary power (Supreme Court Decision 2018Du44838 decided Jul. 9, 2020) This judgment is expected to serve as an important guideline for general factors to be considered with respect to the unjust profit collection under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국민건강보험법상 부당이득징수 처분의 요건은 ‘속임수나 그 밖의 부당한 방법’으로 받은 요양급여비용이라고 되어 있어 매우 추상적이다. 종래 대법원은 종래 국민건강보험법뿐만 아니라 의료법 등 다른 법 위반이 있는 경우 별다른 논리 전개 없이 부당이득징수 처분의 요건 ‘속임수나 그 밖의 부당한 방법’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여 온 경향이 있었는데, 그중 하나가 이른바 사무장병원의 경우이다. 한편 국민건강보험법상 부당이득징수 처분이 기속행위인지, 재량행위인지에 관하여 하급심의 판단이 엇갈리는 등 혼선이 있어 왔다. 그러던 중 최근 의료법상 중복개설금지조항 위반을 이유로 한 부당이득징수 처분 사건에서, 국민건강보험법과 의료법은 그 목적이 서로 다르다는 점을 고려하여, 국민건강보험법상 요양급여를 청구할 수 있는지 여부는 국민건강보험법의 취지를 고려하여 독자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는 대법원판결이 선고되었다. 대상 사건에서는, 사무장병원이 요양급여비용을 청구하는 것이 ‘속임수나 그 밖의 부당한 방법’에 해당하는지가 다시 문제 되었고, 부당이득징수 처분의 성질, 전액 징수의 적법성 등이 쟁점이 되었다. 대법원은 이 판결에서, 의료기관을 개설할 수 없는 자가 개설한 의료기관은 부당이득징수 처분의 상대방인 요양기관에 해당하고, 이러한 의료기관이 요양급여비용을 청구하는 것은 ‘사위 기타 부당한 방법’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국민건강보험법상 공단은 부당이득징수 범위 등에 관한 재량이 있다고 해석하였다. 나아가 요양기관이 실시한 요양급여 내용과 요양급여비용의 액수, 의료기관 개설·운영 과정에서의 개설명의인의 역할과 불법성의 정도, 의료기관 운영성과의 귀속 여부와 개설명의인이 얻은 이익의 정도, 그 밖에 조사에 대한 협조 여부 등의 사정을 고려하지 않고 의료기관의 개설명의인을 상대로 요양급여비용 전액을 징수하는 것은 다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비례의 원칙에 위배된 것으로 재량권을 일탈·남용한 때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였다. 위와 같은 판단은 불가피하게 사무장병원이 요양급여비용을 청구하는 것은 ‘사위 기타 부당한 방법’에 해당한다고 판단하는 상황에서 부당한 결과를 조금이나마 줄이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대상판결 이후에는 비의료인 개설자를 상대로 요양급여비용 전액을 징수하는 것 역시 재량권을 일탈·남용이라는 취지의 후속 판결(대법원 2020. 7. 9. 선고 2018두44838 판결)도 선고되었다. 대상판결은 향후 사무장병원뿐만 아니라 국민건강보험법상 부당이득징수 처분에서 고려할 일반적인 요소에 관하여 중요한 지침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후보

        국민건강보험법상 ‘임의 비급여 진료행위’의 부당성

        김정중 사법발전재단 2012 사법 Vol.1 No.21

        This is a commentary on the Supreme Court en banc Decision 2010Du27639, 2010Du27646 decided June 18, 2012 which held as to whether, in treatment area not constituting the non-reimbursable treatment area (so-called, legally non-reimbursable treatment act) under the Act and statutes, the act of a medical care institution treating health insurance member or dependents against the medical care payment criteria, etc. and collecting expenses from members, etc. (so-called, voluntary non-reimbursable treatment act) constitutes “collecting medical care payment expenses from, or assessing them on member, etc. by fraudulent or any other unjust means” as an element of the disposition of unjust enrichment collection or suspension of business of medical care institution under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The Supreme Court examined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s purpose, and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and statutes system, etc. It held that 「medical care institution shall provide a medical care payment to members, etc., barring legally non-reimbursable treatment act, according to the criteria and procedure of medical care payment under the Act and statutes in principle; it shall follow criteria and procedure under the Act and statute in collecting medical care payment expense from insurer and member, etc.; and the voluntary non-reimbursable treatment act violates the criteria and it constitutes in principle “fraudulent or any other unjust means.”」Nonetheless, the Supreme Court recognized the exceptions in light of medical practitioner's best treatment duty under the medical law and treatment contract and the patient's right to receive a proper treatment. And it held as criteria for exceptions that a medical care institution has to show procedural issues coordinating irrational medical care payment criteria, etc. rationally, medical care institution's medical need for such treatment beyond the medical care payment criteria, etc., explanation and consent received from member, etc. and it bears the burden of proving them. By this decision, it overruled a precedent holding voluntary non-reimbursable treatment acts without exception as unjust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06Du10368, June 15, 2007, etc.). The judgment of this case can be evaluated to reflect a medical reality where, with maintenance of exist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during the process of medical care institution doing its best in treatment, it collects expenses from patient outside of the health insurance framework. The Supreme Court recognized exceptional permission of voluntary non-reimbursable treatment act and presented its criteria. Thus, the court's burden for hearing and deciding related issues has increased. More specific decision criteria as to voluntary non-reimbursable treatment act's exception criteria are expected to be formed in the future through the parties' dispute, fact-finding, and specific case holdings. 이 글은 국민건강보험법상 요양기관이 법령이 정한 비급여대상(이른바 ‘법정 비급여 진료행위’)에 해당하지 아니한 진료영역에서 건강보험의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에게 요양급여기준 등을 벗어나 진료하고 그 비용을 가입자 등으로부터 지급받는 행위(이른바 ‘임의 비급여 진료행위’)가 부당이득 징수처분 또는 요양기관 업무정지처분의 요건인 ‘사위 기타 부당한 방법으로 가입자 등으로부터 요양급여비용을 지급받거나 가입자 등에게 이를 부담시킨 때’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관한 대법원 2012. 6. 18. 선고 2010두27639, 2010두27646 전원합의체 판결의 해설이다. 대법원은 국민건강보험제도의 취지, 국민건강보험법령의 체계 등을 살핀 후, “요양기관은 법정 비급여 진료행위가 아닌 한 원칙적으로 요양급여기준에 관한 법령이 정한 기준과 절차에 따라 가입자 등에게 요양급여를 제공하여야 하고, 보험자와 가입자 등으로부터 요양급여비용을 지급받을 때에도 그 산정기준에 관한 법령에서 정한 기준과 절차에 따라야 하는데, 임의 비급여 진료행위는 그 기준에 위반되는 것이므로 원칙적으로 ‘사위 기타 부당한 방법’에 해당한다.”는 취지로 판시하였다. 그러나 한편 대법원은 의료인에게 의료법상 또는 진료계약상 최선의 진료를 다할 의무가 있고, 환자에게도 적절한 진료를 받을 권리가 있음을 고려하여 그 예외를 인정하고, 그 기준으로 요양급여기준 등의 불합리를 합리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절차에 관한 사항, 요양기관이 요양급여기준 등을 벗어나 진료하여야 할 의학적 필요성, 가입자 등에 대한 설명과 동의 등을 제시함과 아울러 그 예외적 사정에 대한 증명책임은 요양기관에게 있음을 밝혔다. 이로써 종래 임의 비급여 진료행위를 예외 없이 부당하다고 보았던 판례(대법원 2007. 6. 15. 선고 2006두10368 판결 등)를 변경하였다. 이 사건 판결은 기존 국민건강보험 체계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요양기관이 최선의 진료의무를 다하는 과정에서 건강보험의 틀을 벗어나 진료하고 그 비용을 환자 측으로부터 수수하는 의료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대법원이 임의 비급여 진료행위의 예외적 허용가능성을 인정하고 그 기준을 제시함에 따라 관련 쟁점에 관하여 법원의 심리부담은 크게 증가할 것이다. 임의 비급여 진료행위의 예외적 허용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판단 기준은 앞으로 당사자의 공방과 관련 사실관계에 관한 심리, 구체적 판단 사례 등을 통하여 구체화 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