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인의 경제적 노후준비 종단변화궤적 유형과 영향요인 분석: 잠재계층성장분석(LCGA)을 활용하여

        이계승,김동하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8 장애와 고용 Vol.28 No.2

        Purpose o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rajectories of economic preparations for the aging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o identify the related predictors according to the Andersen model. Method: The data for this study used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covering from the second years to the second to the eighth wave. Latent class growth model was employed to explore the trajectories of economical preparations for the aging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significant predictors. A total of 3,847 participants were analyzed. Results: As a result, five classes were identified: early start preparation increase group, non-preparation group, continuous preparation group, preparation decrease group, and middle start preparation increase group. Each group was found to be associated deferentially with education level, presence of spouse, disability grade, type of disability, family income, employment, home ownership,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 status, ADL, and socioeconomic status. Conclusion or Implications: These findings proposed the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for the strategies concerned with facilitating the economic preparations for the aging among the disabled. 연구문제 또는 목적: 본 연구는 장애인의 경제적 노후준비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고 이질적인 특성을 지닌다는 것을 고려하여 어떠한 변화궤적 유형들로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들을 Andersen의 모델에 따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 2차년도부터 8차년도까지 총 7개년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잠재계층성장분석을 통해 장애인의 경제적 노후준비 종단변화궤적 유형을 확인하였으며, 각 유형에 따른 예측요인들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대상자는 총 3487명이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장애인의 경제적 노후준비 종단변화궤적 유형은 노후준비초기시작집단, 비노후준비집단, 노후준비지속집단, 노후준비감소집단, 노후준비중도시작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교육, 배우자유무, 장애정도, 장애유형, 소득, 취업유무, 주택소유유무, 기초생활수급유무, 일상생활능력, 사회경제적 수준이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또는 시사점: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장애인의 경제적 노후준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별화되고 구체적인 대응방안과 실제적인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장기요양 재가급여 수급자의 급여이용 유형별 영향 요인

        강은나 ( Kang¸ Eunna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21 공공정책연구 Vol.38 No.2

        이 연구는 앤더슨의 행동모델을 기반으로 다섯 가지 재가급여 중 단기보호를 제외한 방문요양, 방문목욕, 방문간호, 그리고 주야 간보호 이용을 결정하는 요인을 소인 요인, 자원 요인, 욕구 요인으로 구성하여 재가급여 유형간 이용을 결정짓는 요인을 분석하다. 2019년에 실시한 장기요양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재가급여 수급자 3,045명의 자료를 토대로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방문요양과 방문목욕 이용의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성별, 가구형태, 거주지역이 두 재가급여 이용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수급자의 건강상태 및 의료욕구 요인은 방문 요양과 방문목욕 간의 이용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방문요양과 방문간호 이용에 있어서는 장기요양인정등급만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방문요양을 기준집단으로 주야간보호 이용을 결정짓는 요인으로는 가구형태, 거주지역, 복지용구 개수, 장기요양인정등급, 치매여부, 만성질환 개수, 이동가능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일부 재가급여 선택과 이용에 있어 수급자 특성과 재가급여 특성 간의 불명확성과 간극에 대한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factors that determine types of in-home benefits for recipients of LTC benefits based on Andersen’s behavioral model. Long-term care survey data conducted in 2019 were used, and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determinants of using home-visit care or home-visit bath were gender, household type, and area of residence, but recipients’ health status and medical needs factor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lso, only state of long-term care grading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variable in the use of visiting care or visiting nursing. Lastly,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use of day and night care or home-visit care were analyzed by household type, residential area, state of long-term care grading, dementia status, number of chronic diseases, and mobility level.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on the uncertainty and ga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LTC benefit recipi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home LTC benefits were presented.

      • KCI등재

        고등학생 유형 결정요인 탐색: 진로성숙도와 성취도를 중심으로

        길혜지,윤지윤 한국직업교육학회 2015 職業 敎育 硏究 Vol.34 No.6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roles of parents, teachers, and schools to help students find their dreams and lead happier lives.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GEPS) data in 2013 were analyzed to recognize the patterns of the highschool 2nd graders’ career maturity and academic achievement level. According to the patterns, studen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①high achievement-high maturity, ②low achievement-high maturity ③high achievement-low maturity, ④low achievement-low maturity). For each group, the determinants of students’ maturity and academic achievement level were identified with the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determinants of students’ high maturity were gender, relationship with parents, their understanding of learning, autonomous creativity. These determinants appear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maturity level of the students even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it is possible for students to encourage balanced growth between the academic and career maturity and lead happier lives through the help of parents and teachers. 이 연구는 경기교육종단연구 2차년도(2013) 자료를 활용하여 일반계열 고2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진로성숙도를 동시에 고려하여 크게 4가지 유형(①고성취-고성숙, ②저성취-고성숙, ③고성취-저성숙, ④저성취-저성숙)으로 나눈 후, 각 유형별 특성을 살펴보고 더 나아가 학생유형 결정요인을 학생과 학교수준에서 구체적으로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성취 수준과 무관하게 ‘고성숙’ 유형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부모와의 신뢰관계, 자신의 학습이해, 자기주도적 창의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숙 수준과 무관하게 ‘고성취’ 유형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가구소득, 부모와의 신뢰관계, 자신의 학습이해, 자기주도적 창의성, 남녀공학, 수업능력이었다. 한편, ‘학생1인당 동아리 수’는 ‘저성취-고성숙’ 유형 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차별적인 요인이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학생들이 학업성취도와 진로성숙도 측면에서 균형 잡힌 성장을 하기 위해서 학부모와 교원들이 어떠한 교육적 노력을 함께 기울어야 하는 지에 대한 의미 있는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

        사회서비스 지속성이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여 및 참여형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혼합다항로지스틱 회귀모형(mixed-effects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의 활용

        진선미 ( Jin Sun-mi ),강은나 ( Kang Eun Na ),장용석 ( Jang Yong-seok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保健社會硏究 Vol.3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만 7세 미만 미취학아동을 양육하는 여성 1,020명을 대상으로 사회서비스 지속성이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여부와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자료는 한국복지패널조사(Korea Welfare Panel Study) 제1차년도(2006 년)부터 제4차년도(2009년)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사회서비스 지속성이 미취학자녀를 둔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패널로짓분석 (Panel logit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경제활동 참여 형태에 대한 영향력 분석은 혼 합 다항로지스틱 회귀모형(Mixed-effects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독립변수인 사회서비스 지속성은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여부 및 형태에 유의미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경제활동 참여 형태와 관련하여 사회서비스 지속성은 비임금근로 및 임시직 ? 비정규직 취업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상용직 취업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 취학아동을 양육하는 여성의 경제활동참여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 교육수준, 배우자유무, 거주지역, 과거고용경험, 배우자의 월평균 소득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미취학아동을 양육하는 여성의 경제활동참여 형태는 연령, 교육수준, 배우자 유무, 거주지역, 과거고용경험이 비임금근로 및 임시직 · 비정규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현재 제공되고 있는 사회 서비스의 성격과 효과성을 규명하고, 기혼 여성의 고용가능성 및 노동시장 지위향상을 위한 정책적 그리고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service continuity on married women`s labor participation and employment status. The samples of this study were 1,020 married women with children under 7 years of age, and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first wave of Korea Welfare Panel Survey(KWPS, 2006) to the fourth wave of KWPS(2009). As statistical methods, Panel Logit Analysis and Mixed-effects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 were used to test the factors influencing married women`s labor participation and their employment patter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service continuity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married women`s labor participation. With relation to employment status, social service continuity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elf-employed and temporary/irregular job status and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regular job status. Second, the economic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is determined by age, education, spouse`s monthly income, living location, and previous occupations. Third, the employment status of married women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age, education level, spouse`s monthly income, and previous occupations. Based on these empirical findings, the study has discussed some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improve married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등급별 오류 분석-로지스틱 회귀모델을 이용한 통계분석을 중심으로-

        이민우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20 한국어 교육 Vol.31 No.2

        This study attempted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errors according to the proficiency level of Korean learners by statistically analyzing the corpus in large-scale learners.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proficiency-level errors in the location, pattern, and level of errors in the learner’s corpus using the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 along with observing the occurrence rate. As a result, some errors showed that the frequency or probability of occurrence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proficiency level increased, but there were some types of errors that appeared steadily. Through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 types of proficiency-level errors were present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tatistically searched for significant variables at each stage of learning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overall errors using large-scale learner balanced corpus data.

      • KCI등재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권별 오류 분석

        이민우 이중언어학회 2020 이중언어학 Vol.79 No.-

        This study attempted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errors by statistically analyzing the corpus of errors in large-scale learners.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language-specific errors in the location, pattern, and level of errors in the learner’s corpus using the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 along with the occurrence rate.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identify characteristic error types with high or low probability of occurrence by student’s language. Through this study, the results that can be referred to in order to summarize the characteristic types of language-specific errors were present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tatistically searched for significant variables for each language reg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overall errors using large-scale learner balance corpus data. 이 연구는 대규모 학습자 산출 오류 주석 말뭉치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권별 오류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시도한 것이다. 이 연구는 학습자 말뭉치의 오류 위치, 양상, 층위 등에서 나타나는 언어권별 오류의 특징을 발생 비율과 함께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델을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확인 결과 언어권별로 발생확률이 높거나 낮은 특징적인 오류 유형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언어권별 오류의 특징적 유형을 정리하기 위해 참조할 수 있는 결과를 제시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대규모 학습자 균형 말뭉치 자료를 이용하여 전반적인 오류를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언어권별로 유의미한 변인들을 통계적으로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장애인 흡연행동의 종단적 변화유형과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이계승,김동하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9 사회복지연구 Vol.50 No.4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trajectories of smoking behavior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o identify the predictors. For this study, data were drawn from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PSED). A total of 3,712 samples were used from the fourth to the eighth wave. Latent class growth model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longitudinal change classes for the disabled, and the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predictors. As a result, five classes were identified: Intermittent smoking group, non-smoking group, smoking group, moderate smoking reduction group, and Success group trying to quit smoking. Each group was found to be associated deferentially with sex, age, education level, drink, degree of disability, disability acceptance, socioeconomic status, home ownership,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 status, and discrimin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specific and differentiated practical and policy countermeasures to promote quitting of the disabled. 본 연구는 장애인의 흡연행동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한다는 특성을 고려하여 어떠한 변화궤적 유형을 나타내는지를 살펴보고, 유형별 예측요인의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고용패널조사 4차~8차까지 총 5개년의 자료를 활용하여 3,712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장애인 흡연행동의 종단적 변화유형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잠재계층성장분석(LCGA)을, 예측요인들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 흡연행동의 종단적 변화유형은 간헐적 흡연지속집단, 비흡연집단, 흡연지속집단, 중도흡연감소집단, 금연시도 성공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예측요인으로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음주여부, 장애정도, 장애수용, 사회경제적 수준, 주택소유여부, 수급자유무, 차별이 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장애인의 금연을 촉진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차별화된 실천적・정책적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Factors Affecting Korean Public Opinion of the Police: The Conflict Perspective

        홍명기,장정현 한국테러학회 2020 한국테러학회보 Vol.13 No.4

        This study aims to explain factors affecting overall confidence in the police force among Korean people based on the conflict perspective. Data for the current study was obtained from the Korea Social Integration Survey(KSIS) of 2018. 8,000 citizen survey instruments were utilized and various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conflict perspective-based variables were included in the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Results revealed that conflict-based perceptions such as the implausibility of social status elevation, the unjustness of society and lack of communication with the government and congress tended to be linked to a lower level of confidence in the police. On the other hand, high levels of life satisfaction and a higher perception of the country’s democracy were linked to stronger confidence in the police. Among all independent variables, perceived unjustness of society was the strongest factor in explaining low confidence in the police. Implications for policie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 KCI등재

        대구 중학생의 고등학교 유형 선택 결정 요인

        박상은(Park, Sangeun),서봉언(Seo, Bongeon) 한국지역사회학회 2018 지역사회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학생과 학부모들이 진학할 고등학교 유형을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고자 대구교육실태연구2016 중학교 자료를 활용하여 1,873명을 대상으로 전·후기고의 다양한 고교유형을 반영하여 고등학교를 진학하고자 할 때 학생의 가정배경, 개인특성과 학교특성, 고교 선택 시 고려하는 요소와 진로영향력 등의 요인들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다항로지스틱 다층모형을 적용하여 검토하였다. 첫째, 학생들의 성취수준은 고등학교를 선택하는 데에 있어 가장 강력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그에 반해 부모 학력, 가구소득 등과 같은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학생의 개인특성 변인을 통제하면 고등학교 유형 결정에 독립적인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모의 기대수준이 고등학교 유형 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둘째, 지리적 접근성과 유리한 내신 성적은 다른 학교유형에 비해 일반고를 선택할 때 고려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목․자사고와 특성화․마이스터고는 상대적으로 진로와 취업을 더욱 고려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고등학교 진학 시 의사결정에 작용하는 요인에 차이가 있었다. 특목․자사고에 비해 통학거리 즉 지리적 접근성이 일반고의 경쟁력 있는 요인으로 나타남에 따라 보다 통학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배정방법을 고안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요컨대 고등학교 계층화로 인한 일반고 위기론이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전․후기고의 다양한 고교유형을 반영하여 고등학교 유형 선택의 결정요인을 파악한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일반고의 활성화를 위해 경쟁력 있는 요소를 적용한 방안모색이 필요하며, 일반고 내 학교선택의 효과성에 대한 후속연구를 기대해본다. This study examines determinants that explain high school choice as an indication of educational aspiration among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Using multinomial logistic multi-level model, we explored determinants of high school choic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data retrieved from the Analysis of Actual Status of Daegu Education 2016. The main research question is as follows: What are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choice of high school typ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Daegu? Our research found that there is robust influence of academic achievement to choose high school. Family background such as parents’ education and family income, however, independently has less influence on high school choice than students’ variables such as academic motives, their own educational aspirations, and study time. Factors related with career and employment are important to choose self-governing private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Further, geographical proximity and the advantages of academic performance have no rival factors in choosing general high schools compared with self-governing private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Taken together, this study suggest that a variety of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implemented in general high schools to overcome their difficulties. We also proposed further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high school choice specifically within general high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