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양선 출몰에 따른 근대문물 인식변화

        전제훈 ( Jeon¸ Je-hoon ) 한국도서(섬)학회 2020 韓國島嶼硏究 Vol.32 No.4

        이 논문은 조선 중종에서부터 고종에 이르기까지 한반도 동·서·남해에 출몰한 이양선을 통해 유입된 서양 근대문물의 인식변화에 대해서 분석하는 것을 연구목표로 했다. 이를 통해서 지배층의 근대문물의 다름에 대한 공포심과 피지배층의 근대문물의 새로움에 대한 호기심의 상호작용이 역사발전심리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 범위는 조선 중중 35년(1540)부터 고종 19년(1882)까지 342년 동안 조선해역에 148회출몰한 이양선(異樣船) 기록을 대상으로 했다. 이는 한반도의 서양 근대문물 유입은 조선해역에 출몰한 이들 이양선을 통해 들어온 것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해난구조 된 이양선을 통한 근대문물 유입은 생활필수품과 기호품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통상·외교를 요구한 이양선가운데 첨단 서양화포와 이를 장착한 함선(艦船) 등 당시 첨단 무기류에 대한 구매를 제안한 경우도 있었다. 연구방법은 빅데이터(Big data) 분석을 통한 계량사학(計量史學)적인 시각으로 접근했다. 이를 통해 근대문물에 대한 호기심과 공포심의 상호작용이 역사발전심리에 끼친 영향을 연구방법론으로 살펴보았다. 연구내용은 이양선의 경우 서양 근대문물과 함께 가톨릭이나 기독교 성서가 유입되는 통로역할을 했다. 따라서 조선 정부는 왕권과 유교질서를 무너뜨리지 않게 하는 쇄국(사교 유입 방지)에 전력을 기울였다. 이 또한 일본에 의해 강제로 맺어진 강화도조약(1876)이후 개항 이전에 조선이 자발적인 근대화를 이루지 못한 것에 한몫을 한 것이다. 이처럼 이양선은 조선의 근대문물 유입에 따른 근대화의 전 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핵심어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조선 정부(특히 국왕과 왕실)의 위정자 등 지배층은 유교질서 유지를 위해성서(聖書)를 비롯해 서양 근대문물의 다름에 대한 극심한 공포심(恐怖心)을 가졌다. 이러한 점이 조선 후기 개방과 개화를 통한 자발적인 근대화가 늦어지는 결정적인 역사심리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해 보았다. 반면 피지배층인 민중은 우연이든 필연이든 이양선을 통한 서양 근대문물이 유입되는 새로움에 대한 호기심(好奇心)을 갖게 된다. 이러한 피지배충의 이양선을 통한 서양 근대문물에 대한 호기심리는 훗날 개화(갑오개혁)를 통한 근대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바탕이 된다. 이양선 출몰에 따른 근대문물과 이 근대문물의 인식변화를 거칠게 분석해 보면서 다음과 같은 결과물을 얻었다. 첫째, 새로운 문물을 접합에 있어서 지배층은 공포심으로. 피지배층은 호기심으로 작용하였다. 이들 공포심과 호기심의 상호작용은 한국·한국인의 새로운 문물을 접하는 인식변화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러한 지배층의 근대문물 유입에 따른 공포심은 뒷날 기존질서를 지키려는 수구심리와 국가발전을 현존적인 입장에서 보려는 보수심리로 자리 잡은 것으로 분석됐다. 피지배층의 호기심은 후일 새로운 질서를 세우려는 개화심리와 이를 바탕으로 국가발전을 이루려는 진보심리로 발전한 것으로 분석됐다. 셋째, 이러한 지배층의 근대문물을 대하는 태도의 공포심리와 피지배층의 호기심리는 극단적으로 분리되는 것이 아니다. 서로 상호작용을 통해서 외국·외국인을 대하는 태도의 혐오인 제노포비아와 외국·외국인 선호의 제노피리아가 혼합된 콤플렉스를 극복하려는 것이다. 넷째, 한국·한국인은 이러한 제노포비아와 제노피리아가 혼합된 콤플렉스를 극복해 미래를 개척해 나가는 데 필요한 새로운 정신체계를 창조해 나가려는 것이다. 다섯째, 이러한 호기심과 공포심의 상호작용은 한국·한국인이 주체적이며 중심적인 자세를 다지는 역사발전심리를 보이는 것이다. This thesis aimed at analyzing changes in perception of Western modern civilization throughout the Western vessels that appeared and disappeared in the East Sea, the Western Sea, and the Southern Sea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Jungjong of Joseon to Gojong of Korea. It examined an effect of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ruling class that was scared to differences of modern civilization and the ruled class that was curious about its newness on psychology of historical development. The scope of the study is records of the Western vessels (異樣船) that appeared and disappeared in the seas of the Joseon Dynasty 148 times during 342 years from the 35th reign of Jungjong of Joseon (1540) to the 19th reign fo Gojong of Korea (1882). It's because the majority of Western modern civilization flowed into the Korean Peninsula throughout these Western vessels. Daily necessities and items of personal preference amounted to the majority of the inflow of modern civilization through the Western vessels salvaged. Among the Western vessels that requested trade diplomacy, there were the cases to offer to buy high-tech weapons of those days including high-tech Western grease artillery and vessels (艦船) with them. For the method of the study, it approached subjects of it from a viewpoint of quantitative history (計量史學) through big data analytics. It examined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curiosity and fears of modern civilization on psychology of historical development as the research methodology. For the contents of the study, the Western vessels served as the path that the Bible of the Catholicism or Christianity flowed into the Joseon Dynasty with Western modern civilization. Therefore, the Joseon Government devoted all its energies to close the country (prevent false religions from flowing into it) not to overthrow the royal authority and disrupt Confucian order. This also played a role in the Joseon Dynasty that could not voluntarily be modernized before the Japan-Korea Treaty of 1876 forcibly concluded by Japan. Like this, the Western vessels are the key word to be able to examine the whole process of modernization according to the inflow of modern civilization into the Joseon Dynasty. In this process, the ruling class including politicians including the Joseon government (Especially, the king and the royal family) had extreme fear (恐怖心) of differences of Western modern civilization as well as the Bible (聖書) to keep Confucian order. This point was analyzed to become crucial historical psychology that voluntary modernization through openness and enlightenment in the late Joseon Dynasty got to be delayed. On the other hand, the people, the ruled class got to have the curiosity (好奇心) for newness that Western modern civilization flowed into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Western vessels whether it was serendipitous or inevitable. Psychology of the curiosity for Western modern civilization by the ruled class provides a background for being crucial for modernization through enlightenment (Gabo Reform) later on. A rough analysis of modern civilization according to the Western vessels and changes in its perception obtained results as follows: First, meeting new civilization acts as fear for the ruling class and curiosity for the ruled class. The interactions between their fear and curiosity have found to have an effect on changes in perception of meeting new civilization of Korea and Koreans. Second, fear of the ruling class according to the inflow of modern civilization into the Joseon Dynasty was analyzed to become psychology of extreme conservation to keep the established order and conservation to look at national development from a existent position later on. The curiosity of the ruled class was analyzed to develop into enlightened psychology to establish new order and progressive psychology to accomplish national development based on it. Third, fear psychology of the ruling class in the attitude toward modern civilization is not extremely separated from psychology of curiosity by the ruled class. They tried to overcome complex that xenophobie, hatred of the attitude toward foreign countries and foreigners, and xenophilia, preference of them, are mix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interactions. Fourth, Korea and Koreans try to create a new mental structure required for changing the future by overcoming complex that these xenophobie and xenophilia are mixed with each other. Fifth, the interactions between these curiosity and fear show psychology of historical development that Korea and Koreans have an independent and central attitude.

      • KCI등재

        『주역』과 탈현대 문명 건설의 방안

        홍승표(Hong, Seung Pyo) 한국이론사회학회 2012 사회와 이론 Vol.20 No.-

        현대 문명은 큰 위기에 직면해 있다. 현대 문명 위기의 근원은 현대문명의 토대이기도 한 현대 세계관이다. 이에 따라 현대문명은 현대적인 의미에서 발전을 추구하고 달성할수록 저발전이 심화되는 역설적인 상황에 직면해 있다. 그러므로 현금 의사회 학자에게 부과된 역사의 소임은 새로운 세계관의 바탕 위에서 탈현대 문명을 설계하고, 이에 도달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이다. 이 논문은 위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집필된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주역(周易)』?에 근거해서 탈현대 문명 건설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주역』이 제시하는 탈현대 문명 건설 방안은 무엇인가? 일단 그것은 현대 문명 건설 방안과는 판이하다는 점을 지적해야 할 것 같다. 현대는 욕망충족적인 사회와 이성적인 사회 건설을 목표로 달려왔다. 과학기술의 발달, 경쟁과 갈등은 현대 문명 건설을 달성하는 주요한 기제였다. 『주역』 이 제시하는 탈현대 문명 건설 방안은 사랑, 용서와 포용, 낮춤, 믿음, 도(道)를 따름, 곤경에 대한 창조적인 대응 등 여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각각의 방안과 관련한 ?주역?의 입장을 정리해보았다. 사랑은 가장 근본적인 탈현대 문명 건설 방안이며, 나머지 다섯 가지 방안도 사랑의 다양한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를 용서하고 포용하는 것은 탈현대로 나가는 길이며, 이를 통해 현대 자체가 탈현대로 변화해간다. 자신을 낮춤으로써, 사람들의 마음이 모여들어 탈현대 문명을 이룰 수 있다. 진정한 믿음을 갖는 것은 탈현대 문명을 건설하는 하나의 방안이다. 탈현대 문명 건설은 ‘도를 따름’으로서만 달성 가능하다. 현 문명이 처한 곤경에 창조적으로 대응할 때, 곤경은 탈현대 문명으로 들어서는 문이 될 것이라고 『주역』은 말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find the ways of constructing post-modern civilization in teaching of I Ching. This is possible because I Ching is an old but very symbolic book. The six ways of constructing post-modern civilization discussed in this paper are love, forgiveness, humbling oneself, belief, following tao, creative reaction to difficulties. Love means to move the modernity with great humility. Even in the criticism of modernity, love uses the tone of compassion, not anger. Forgiving and tolerating the faults of modernity is the way to reach post-modernity. Modernity itself can be changed to post-modernity through forgiveness and tolerance. The construction of post-modern civilization can be achieved by putting ourselves to the lowest position. In other words, the post-modern civilization can be created by humbling ourselves like the earth. Another way of constructing post-modern civilization is having true belief. When we believe deeply the modern civilization that is considered not to be believable, the miraculous change can occur and we can cross the big river of modern civilization. One way of constructing post-modern civilization is to follow tao. At the present moment of civilization, following tao means: ‘the strong follows the weak’ and ‘inner awakening not conquering the outer world’. In I Ching, it is stated that when we face the difficulties of the present civilization creatively, the same difficulties can be the gate for the post-modern civilization. That is, when the modern civilization is situated at the dead-end, there exists a chance for the radical development of civilization.

      • KCI등재

        『주역』과 탈현대 문명 건설의 원칙

        홍승표(Hong, Seung-Pyo) 동양사회사상학회 2012 사회사상과 문화 Vol.25 No.-

        탈현대 문명 건설이라고 하는 이 시대의 과제에 대해, 상징의 책인 『주역周易』은 어떤 가르침을 베풀 수 있는가? 이 논문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보고자 했다. 오늘날 현대 문명은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으며, 위기의 근원은 현대 문명의 토대인 현대 세계관이다 그러므로 현 인류에게 주어진 과제는 새로운 세계관의 토대 위에서 탈현대 문명을 구상하고, 문명 대전환을 이루는 일이다. 바로 이런 문제의식의 기반 위에서 이 글은 『주역 』에서 탈현대 문명건설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 글의 내용은 다음 세 부문으로 나뉜다. 첫째, 이 글에서는 『주역 』을 통해 세계관의 혁명을 논하고자 했다 현대 세계관으로부터 탈현대 세계관으로의 대전환은 탈현대 문명 건설의 첫 걸음이다. 세계관의 혁명과 관련해서 『주역 』이 주는 가르침은 다음과 같다. 세계관의 대전환의 출발은 현대 문명이 만들어놓은 망상의 늪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다. 그리고 이젠 낡아버린 현대 세계관의 타파에 나서야 한다. 세계관의 혁명은 지난한 일이기에 단숨에 성공할 수 없다 그러므로 어떤 어려움에 부딪히더라도 불굴의 의지를 갖고 노력을 계속해야 한다. 둘째, 이 글에서는 『주역』을 통해 탈현대 문명 건설의 기초를 살펴보고자 한다. 탈현대 문명 건설의 전제는 인류가 현대적인 노력을 중지하는 것이다. 우리는 내 밖에 있는 세계를 바꾸어 현대 문명을 건설했지만, 탈현대 문명의 건설은 ‘나의 변화’ 에서부터 시작한다. ‘나의 변화’란 내 안에 덕을 길러 내가 이 세상을 정화시키는 우물과 같은 존재로 바뀌는 것이며, 이것이 탈현대 문명 건설의 기초가 된다. 셋째, 이 글의 마지막 과제는 『주역』을 통해 탈현대 문명 건설의 원칙을 탐구하는 것이다 『주역 』은 탈현대 문명 건설이란 대업을 이루기 위해서는 조급해서는 안 되며, 때를 기다릴 줄 알아야한다고 말한다, 또한 인류 최대의 역사 投事인 탈현대 문명 건설을 위해서는 모든 행위 주체의 역 량을 결집시켜야만 한다고 말한다. 마지막으로 『주역』은 탈현대 문명 건설에는 어려움이 뒤따르기에 항심을 갖고 끈기 있게 노력해야함을 강조한다. Construction of the post-modern civilization is the great task given to this age α'hat is the teaching of I-Ching to the taskì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looking for the answer for the question. Nowadays the modern civilization meets the serious crisis. And the fundamental cause of the crisis is the modern view of world which is the bas is of the modern civilization. Therefore, the task given to current human being is to design the post-modern civilization based on the new world view and to achieve the great transition of civilization. Based on these awareness, I will look for the principle in construction of the post-modern civilization in I-Ching. The contents of this paper are composed of next three parts. First, revolution of world view through I-Ching is discussed in this paper. The grand transition from the modern world view to the post-modern world view is the fìrst step in constructing the post-modern civilization. The teaching related to world view revolution given in I-Ching is as follows. The start of the grand transition of world view is to get out of the mire of delusion which is made by the modern civilization. And the modern view of world which is old now shollld be broken down. Second, the basis in constructing the post-modern civilization through l-Ching is looked for. The premise of the post-modern civilization construction is to Stop modern efforts. Construction of the post-modern civilization starts from 'the change of myself 'The change of myself' means to cultivate virtues inside of me Third, the last task of this paper is to look for the principles of the post-modern civilization construction. 1n the 1-Ching, it is said that we should not hurry and must know to wait the exact rime. We should concentrare all one's efforts to build the post-modern civilization. Lastly it is said that we should have steadiness because building a new civilization is very diffìcult task.

      • KCI등재

        1890-1910년대 한국 근대 매체 속에투영된 타자로서의 중국 심상(心像) 연구

        류창진 중국인문학회 2017 中國人文科學 Vol.0 No.67

        This study starts from the prerequisite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literary text in order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the period of the modern public area between 'Korea' and 'Modern' in the 1890-1910s. During this period, many epic literary works with the character of the narratives were appeared in the modern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magazines. In particular, the intellectuals of this period tried to present their arguments with the spaces and devices called 'modern' and 'medium' while suggested a paradigm to cope with the crisis of the times. Based on this prerequisite,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two purposes and implications. First, exploring the expansion of China's research area is incorporated into a field of Korean and Chinese modern literature by paying attention to the distinct characteristic of the period such as '1890-1910', 'Korea' 'modern' and to the literary specificity of the image of China in the media and the newspaper. Second, we explore China as projected into the other in narrative literature, and then look closely at the Chinese cognitive system of Korea in the modern order of East Asia. This is the discussion of how the mechanism of 'China' was perceived and operated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with the discourse of 'people', 'modern nation state' and 'civilization flowering'.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the image of China as projected into the other in the Korean modern media from 1890 to 1910, 1) Acceptance of civilization flowering and China as the other. 2) China as self-establishment of nation and as the other. and 3)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establishing the modern nation state and China as the other. First, Acceptance of civilization flowering and China as the other. In modern times, the Joseon Dynasty began to recognize Western civilization as a universal civilization. As a result, the discourse of Western civilization acted as a dominant framework of recognition that excludes the traditional meaning of "Chinese" while dismantled the traditional order of the Joseon Dynasty and transformed the society. Therefore,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magazines in this period devoted a lot of space to the contents of 'Blooming', 'Boom', 'Civilization' and 'Barbarism' In this process, if the civilized and the blooming countrie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and Japan were set as positive some, China, other semi-armed states and barbarians were set as negative others. In particular, China functioned as a lesson and a negative image to Korea.Second, it is China as self-establishment of nation and as the other. The most remarkable of the discourses of civilization in this period was the establishment of 'nation' which is the core of the modern country. In particular, self-determination as a 'nation' had led to the expectation of the birth of a new concept of 'modern nation state'. Therefore, it is early days to criticize the reality of the period and to emphasize the self-establishment of nation. However, the image of China and Chinese people projected into the media were negative at that time. Chinese and Chinese performed their role as a lesson to the Joseon Dynasty and were represented as negative the others. It can be said that it used the appropriate mature national consciousness which was suitable for the modern nation and shaped the concrete self-establishment as the nation. Third, it i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establishing of the modern nation state and China as the other. In general, the core interest of intellectuals in the era of crisis is concentrated on the search for a new social order which is appropriate on the period. And it leads to the proposition of the establishment of a modern nation state. Especially,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the Joseon Dynasty in 1890-1910, enlightenment for civilization, blooming, and even the ultimate goal of nation state was essential. And this was embodied as emphasizing the institutionalization of establishi...

      • KCI등재

        『文明小史』 속 ‘문명’ 담론의 표상(表象)과 그 패러독스(paradox)

        류창진,정해리 중국인문학회 2018 中國人文科學 Vol.0 No.69

        『文明小史(Wenmingxiaoshi)』 witten by LiBoYuan is a symbol of civilizations such as the exposition of modern ideas in modern Chinese period and the reflection on the practice of civilization, social reform, and new political system. These facts are so relatively distinct in the recognition of LiBoYuan and the 『Wenmingxiaoshi』 that it may not be necessary to reconsider. However, this fact poses one question at the same time. The question is that the conflicting positions between the representations of the civilization discourse in 『Wenmingxiaoshi』 and the back of it show contradictions This paper starts from the awareness of these issues. In this point of view, 『Wenmingxiaoshi』 is an important reference text that can trace the modern ideas, and it will be a valid standard to shed new light on the formation of modern China. Therefore, this paper first looks at the discourse of civilization as a modern representation system scattered throughout the 『Wenmingxiaoshi』, and tries to see the paradoxical inherent in 'civilization'. LiBoYuan had embodied his civilization discourse through popular propag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scientific knowledge through education, civilization reform, and modern institutionalization as a cornerstone of civilization. This confirms how many efforts and attempts had been made by modern China, including LiBoYuan, toward civilization. To them, civilization blossom was a discourse that was identifiable to all of the Western world, which was a result that are synonymous with the spread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scientific knowledge, the construction of education and school based on civilization and the foundation of the social reform and modern institutions However, the civilization discourses and representations reflected in the 『Wenmingxiaoshi』 were not coordinated or filtered by the clash of Western civilization and Chinese tradition. The western philosophy and civilization theory that were imported at the time when the Western powers were forcing the Western civilization against the whole world and they were conveyed to the public as an idea of civilization. So this revealed the false perception of Western civilization, the paradox of civilization. Considering this point, it can be said that 『Wenmingxiaoshi』 written by LiBoYuan is a new paradigm of modern Chinese, and presents the afterimage which has not properly established it yet. despite its presentations of civilization discourse.

      • KCI등재

        『주역』과 탈현대 문명 건설의 원칙

        홍승표 동양사회사상학회 2012 사회사상과 문화 Vol.25 No.-

        Construction of the post-modern civilization is the great task given to this age. What is the teaching of I-Ching to the task?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looking for the answer for the question. Nowadays the modern civilization meets the serious crisis. And the fundamental cause of the crisis is the modern view of world which is the basis of the modern civilization. Therefore, the task given to current human being is to design the post-modern civilization based on the new world view and to achieve the great transition of civilization. Based on these awareness, I will look for the principle in construction of the post-modern civilization in I-Ching. The contents of this paper are composed of next three parts. First, revolution of world view through I-Ching is discussed in this paper. The grand transition from the modern world view to the post-modern world view is the first step in constructing the post-modern civilization. The teaching related to world view revolution given in I-Ching is as follows. The start of the grand transition of world view is to get out of the mire of delusion which is made by the modern civilization. And the modern view of world which is old now should be broken down. 탈현대 문명 건설이라고 하는 이 시대의 과제에 대해, 상징의 책인 '주역周易'은 어떤 가르침을 베풀 수 있는가? 이 논문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보고자 했다. 오늘날 현대 문명은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으며, 위기의 근원은 현대 문명의 토대인 현대 세계관이다. 그러므로 현 인류에게 주어진 과제는 새로운 세계관의 토대 위에서 탈현대 문명을 구상하고, 문명 대전환을 이루는 일이다. 바로 이런 문제의식의 기반 위에서 이 글은 '주역'에서 탈현대 문명 건설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 글의 내용은 다음 세 부문으로 나뉜다. 첫째, 이 글에서는 '주역'을 통해 세계관의 혁명을 논하고자 했다. 현대 세계관으로부터 탈현대 세계관으로의 대전환은 탈현대 문명 건설의 첫 걸음이다. 세계관의 혁명과 관련해서 '주역'이 주는 가르침은 다음과 같다. 세계관의 대전환의 출발은 현대 문명이 만들어놓은 망상의 늪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다. 그리고 이젠 낡아버린 현대 세계관의 타파에 나서야 한다. 세계관의 혁명은 지난한 일이기에 단숨에 성공할 수 없다. 그러므로 어떤 어려움에 부딪히더라도 불굴의 의지를 갖고 노력을 계속해야 한다. 둘째, 이 글에서는 '주역'을 통해 탈현대 문명 건설의 기초를 살펴보고자 한다. 탈현대 문명 건설의 전제는 인류가 현대적인 노력을 중지하는 것이다. 우리는 내 밖에 있는 세계를 바꾸어 현대 문명을 건설했지만, 탈현대 문명의 건설은 ‘나의 변화’에서부터 시작한다. ‘나의 변화’란 내 안에 덕을 길러 내가 이 세상을 정화시키는 우물과 같은 존재로 바뀌는 것이며, 이것이 탈현대 문명 건설의 기초가 된다. 셋째, 이 글의 마지막 과제는 '주역'을 통해 탈현대 문명 건설의 원칙을 탐구하는 것이다. '주역'은 탈현대 문명 건설이란 대업을 이루기 위해서는 조급해서는 안 되며, 때를 기다릴 줄 알아야한다고 말한다. 또한 인류 최대의 역사役事인 탈현대 문명 건설을 위해서는 모든 행위 주체의 역량을 결집시켜야만 한다고 말한다. 마지막으로 '주역'은 탈현대 문명 건설에는 어려움이 뒤따르기에 항심을 갖고 끈기 있게 노력해야함을 강조한다.

      • KCI등재

        현대문명의 위기와 후천개벽 사상의 포스트모던적 함의

        김철수 ( Kim Chul Soo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20 선도문화 Vol.28 No.-

        현대문명의 중요한 근원은 서구 근대적 세계관이다. 이 세계관은 기계론적 자연관에 근거하여 과학기술의 발전을 토대로 자유와 이성을 확보했고 산업혁명과 근대국가의 현대문명을 형성하여 왔다. 현대문명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류의 삶은 풍요로워졌고 합리적 문명건설이 가능해졌지만 현 인류가 근대적 세계관에 고착되어 발전을 추구하고 달성할수록 행복하기 보다는 대립과 갈등이 심화되고 생태적 문제들과 심리적 불안이 가중되는 역설적인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크리쉬나의 수레처럼 끊임 없이 달려온 현대문명이다. 현대문명의 현재 상황은 불안하고 위태로우며, 우리는 현대문명 이후 곧 포스트모던 시대를 담론하고 있는 것이다. 지금 인류에게 절실한 것은 서구 근대적 세계관에 대한 반성과 현대 이후의 세계관의 모색이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문제를 고민하고 있다. ‘현재 인류의 문명은 어떤 상태에 있는가?’ ‘현대문명 위기와 현 인류가 겪고 있는 고통의 본질은 무엇인가?’ ‘우리는 어디로 나아가야 할 것인가?’ 이러한 문제에 대한 답을 찾으려 고민하고 있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 후천개벽 사상은 좋은 기반을 제공해 준다. 19세기 조선사회에서 전개되었던 후천개벽 사상은 바로 이러한 새로운 문명에 적합한 세계관적 토대를 제공하여 준다. 모든 존재들의 근원적인 시·공간적 통일이라는 통일체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 후천개벽 사상은 존재물을 대립과 갈등 보다는 조화와 상생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고 이해한다. 뿐만 아니라 인간을 온 우주를 자신 안에 품고 있는 우주적인 존재로 인식함으로써, 포스트모던적 삶은 자신에 내재된 우주성을 깨닫고 자신과 세계와의 통일성을 회복하는 것이 된다. 메타종교는 인간개벽을 통해 이러한 깨달음의 삶을 영위할 수 있게 하며 새로운 문명을 여는데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 Modern civilization is confronted with serious crisis, and stands at the crossroads of great transformation. The important basis of modern civilization is a world-view of modern Western Europe, that is dualism and a mechanistic world-view. This world-view has been a base in development of modern Western civilization as scientific technology, economic capitalism, civil society, political institution such as nation-state, so far as modern religions. But in these days, modern civilization pumps a huge amount of social, political, institutional, ecological problems, and we are hoping for a transformation to new civilization. This new civilization is based on a holistic world-view as distinct from modern civilization. The many components of new civilization are embedded in the thought of the Later-World Transformation. This thought has developed by greatest religious thinker as Choi Su-un, Kim Il-bu, Kang Jeung-san in the 19th century of Korea. Accordingly,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clarify a holistic world-view of coming new civilization and the function of meta-religion in post-modern era. In order to do this, the focus will be on its relationship of characters the Later-World Transformation’ thought and post-modern civilization.

      • KCI등재

        제들마이어의 근대예술 비판론

        최병길 범한철학회 2008 汎韓哲學 Vol.50 No.3

        제들마이어는 근대 예술작품의 본질 규정에 있어서 경험주의나 유미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고 구조연구나 구조분석을 통하여 예술의 근원을 파악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후기 저서인 『위기의 예술: 상실된 중심』에서 근대문명의 특성을 파악하면서 쇠퇴해진 근대문명이 슈펭글러의 유기체론에 따르면 재생 가능하겠지만, 기계문명의 여파로 실현되지 못했다고 판단했다. 니체의 언급을 빌려 근대문명과 근대예술이 공히 병적인 상태에 처해 있다고 비관했던 그는 잃어버린 중심, 상실된 빛, 인간과 자연 등과 같은 근대예술의 본질 명제들을 제기하면서 정신성 부재를 강하게 비판, 대안제시에 나섰다. 근대예술의 재생 가능한 원천으로 인간의 이상을 내세웠다. 고대문명과 고대예술에서 인간 이상이 쇠퇴기에도 상실되지 않았던 증거를 찾아냈던 그는 근대예술의 지고한 가치로서 그러한 인간 이상의 비유를 제시했다. 그것은 신인조화론적 가치관이나 이성과 감성의 조화를 추구하는 신플라톤적 미학에서 유래한 것이었다. 근대예술의 또 다른 문제점은 예술의 자율성과 순수성이었다. 거기서는 인간의 통일된 중심이 상실되고 신과 분리됨으로써 이성적, 지적 수준이 사라졌으므로 그것을 병적이면서 죽은 비유를 가진 것으로 변질시켰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는 근대예술 전반을 부정하거나 거부했던 것은 아니며, 인간화의 경향을 벗어난 것만을 선별적으로 거부했다. 그는 최종적으로 근대예술의 재생 가능성을 제시했는데, 그것은 유머와 아동스러움이 있는 예술이었다. 그것은 기계공학에 편중된 근대예술의 경향에서 벗어나 인간이 주체적으로 선도할 수 있는 예술형식의 제안으로서 특별한 새로운 예술운동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성의 회복운동이요, 일종의 도덕재무장 운동을 지칭한다고도 볼 수 있다. Hans Sedlmayr suggested a methodology to grasp at the origin of art through the research or analysis of its structure in defining the essence of artworks in modern times. Its outcome was in disclosing the Zeitgeist and origin of art by overcoming the limit of Empiricism or Aestheticism. His initial art criticism being formed in this manner, was later transformed into an attempt to research in terms of civilizations. He, in the structure of thought, terms, etc. of his later book, Art in Crisis: The Lost Center, paid a keen attention to grasp at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civilization, influenced by Spengler's book, The Decline of the West. In particular, he foresaw that modern civilization regarded as being in a state of senility from the standpoint of civilization's history can be apparently revived if accepting Spengler's theory of organism, but saw that it was not accomplished by the aftermath of mechanical civilization. Thus he, borrowing a French Existentialist Nietzsche’s remark, expressed a pessimistic opinion that both modern civilization and modern art are in the state of disease. He, raising the essential theses of modern art such as lost center, dead light, man and nature, etc. on the basis of methodology of artwork's structure analysis and intuitional interpretation, attempted to strongly criticize the absence of spirituality in modern art and to suggest its alternative. He stated a highest value of man's ideal as the origin that modern art can be revived. What he, in comparison of ancient civilization with modern civilization, ancient art with modern art, wished to get from the antiquity was in that man's ideal was never lost even in the state of decline of ancient civilization. But modern civilization of 19th and 20th century lost man's ideal and adulterated amidst a whirl of mechanic civilization. He thought that its cause was in a loss of analogy between man and nature that was survived from the ancient civilization. Analogy, by his definition, was a phenomenon appearing in the art arousing the intimacy between man with adequate measure and God. Thus it was nothing but an expression of the theory of harmony between man and God, or a Neo-platonic aesthetics in pursuit of the harmony of reason with emotion. Another problem of modern art that he raised was autonomy and purity in art. He saw that the unified center of man was lost and was separated from God in modern art, from the result of which the rational, intellectual level of art was disappeared. Autonomous art created autonomous man, which led to a separation of man from God, and deteriorated modern art as having a morbid, dead analogy. However, he negated or denied not the whole modern art, but only one escaped from the tendency of humanization. He finally suggested a possibility of revival of modern art, which was an art with humor and childishness. It was a suggestion of art form that man can lead subjectively beyond the trend of modern art leaned upon technology. In a sense it can be called a movement of recovery of humanity as well as moral rearmament, not a simply new art movement.

      • KCI등재

        김기림의 시론과 ‘근대정신’의 복원

        오문석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인문학연구 Vol.0 No.55

        Kim Ki-rim often shows contradictory attitudes in his poetic theory. On the one hand, he is a champion of modernism, while on the other hand, he is being critical of the fact that modernism is becoming a technologist. In emphasizing the reflection of the zeitgeist, he denies 19th century literature and espouses modernism as the 20th century literature. When he emphasizes the criticism of civilization, he becomes critical of modernism focused only on reflecting civilization with its technique. Kim Ki-rim's ambivalent attitude toward modernism is a reflection of his dual attitude toward civilization. Because he simultaneously demands acceptance of civilization and criticism of civilization. Therefore, he criticizes modernism emphasizing only the acceptance of civilization, and also the romanticism and realism that focuses only on criticism of civilization. He proposes coexistence of the two and calls it the 'total poetry'. The total poetry seeks to integrate the contradictory attitudes of acceptance of civilization with criticism of civilization. Kim Ki-rim regards it as a modern spirit. He insists the total poetry, which combines contradictory attitudes toward civilization, is the realization of a modern spirit. Modern spirit originated from the Renaissance, when the two contradictory emotions of humanity and intelligence were coexistence. Contradictory emotions are subsequently reconfirmed as romanticism and classicism, following Hume's suggestions. Kim Ki-rim believes Hume's proposal to restore classicism, excluding romanticism, is falling short of the modern spirit. In contrast, he seeks to compensate for the modernism of Classicism and to restore the modern spirit by recovering romanticism. The modern spirit of working through the coexistence of conflicting emotions has disappeared since the Renaissance, when Kim Ki-rim hoped to recover it throughout the total poetry. But the romanticism that Kim Ki-rim seeks to restore is not the past romanticism but the future romanticism that exceeds the acceptance of the civilization. Therefore, Kim Ki-rim meets up with the revolutionary Romanticism of Im Hwa in that the romantic spirit that Kim Ki-rim introduces in modernism includes active criticism of capitalist civilizations. Eventually, the total poetry of Kim Ki-rim, the synthesis of modernism and realism, was meant to restore the modern spirit of synthesis through contradiction. 김기림은 그의 시론에서 모순된 태도를 자주 보여준다. 한편으로는 모더니즘의 옹호자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모더니즘이 기교주의로 전락하고 있다면서 비판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한다. 시대정신의 반영을 강조할 때 그는 19세기의 문학을 부정하고 20세기의 문학으로 모더니즘을 옹호한다. 문명비판을 강조할 때 그는 모더니즘이 기교를 내세워 문명을 반영하는 데만 치중한다고 비판적 반응을 보인다. 모더니즘에 대한 김기림의 양면적 태도는 문명에 대한 이중적 태도의 반영이다. 그는 문명에 대한 감수와 문명에 대한 비판을 동시에 요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명감수만 강조하는 모더니즘, 문명비판에만 치중하는 낭만주의와 리얼리즘의 일면성을 비판하고, 양측의 공존을 제안하고 그것을 ‘전체시’로 명명한다. 전체시는 문명감수와 문명비판이라는 모순된 두 가지 태도의 종합을 지향하며, 김기림은 그것을 ‘근대정신’으로 이해한다. 그는 문명비판의 경향파와 문명감수의 모더니즘을 종합하는 전체시가 근대정신의 실현이라고 주장한다. 근대정신은 인간성과 지성이라는 두 가지 모순된 정서의 공존을 보여준 르네상스에서 발원한 것이다. 이후 모순된 정서는 흄의 제안을 따라 낭만주의와 고전주의로 재확인된다. 김기림은 낭만주의를 배제하고 고전주의를 복원하는 흄의 제안이 근대정신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맞서 그는 낭만주의를 복원함으로써 고전주의 편향의 모더니즘을 보완하고, 근대정신을 회복하고자 한다. 서로 상반된 정신의 공존을 통해 작동하는 근대정신은 르네상스 이후로 사라졌었는데, 김기림은 그것을 전체시를 통해 회복하고자 한 것이다. 그의 전략은 고전주의 편향의 모더니즘에 낭만주의를 끌어들여 고전주의(모더니즘)와 낭만주의의 모순적 공생 관계를 유도하는 것이다. 그것은 모더니즘의 문명감수의 정신에 낭만주의의 문명비판의 정신을 추가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러나 김기림이 복원하려는 낭만주의는 문명감수조차 거부하는 과거의 낭만주의가 아니라 문명감수의 정신을 초과하는 미래의 낭만주의이다. 따라서 김기림이 모더니즘에 도입하는 낭만주의 정신은 자본주의 문명에 대한 능동적 비판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임화의 혁명적 낭만주의와 만난다. 결국 김기림의 전체시, 즉 모더니즘과 경향파의 종합은 모순을 통한 종합이라는 근대정신의 회복을 모색한 것이다.

      • KCI등재후보

        문명의 현 시점에서 마음공부의 함의

        홍승표,윤지원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2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54 No.-

        마음공부란 자신 안에 살고 있는 ‘참된 자기’ 를 자각하고, 이를 깨어나 활동하게 하기 위해 기울이는 노력을 일컫는다. 이 논문의 목표는 현재의 시대 상황에서 마음공부가 어떤 의의를 갖는 것인가를 밝히는 것이다. 이 논문의 내용은 아래와 같은 문제의식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인류는 현대 세계관의 바탕 위에서 현대문명 건설에 진력해왔고, 커다란 성취를 이루었다. 그러나 현실을 돌아보면, 현 인류가 고통에 빠져 있고, 문명 자체가 커다란 위험에 봉착해버렸다는 사실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현대적인 관점에서 보면, 현 문명의 상황은 이상사회에 근접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런 양자 간의 괴리는 현대적인 관점이 더 이상 현실을 설명하지 못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현 문명 위기를 극복하고 탈현대문명 건설에 나서기 위해서는 인간과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의 대전환이 요청된다. 새로운 세계관은 통일체적 세계관이라고 명명한 탈현대 세계관이다. 세계관 대전환의 핵심은 인간을 바라보는 관점의 전환이다. 즉, ‘분리된 개체로서의 나’ 에 대한 인식으로부터 ‘우주적인 존재로서의 나’ 로의 전환이 그것이다. 마음공부가 중대한 함의를 갖는 것은 바로 이런 시대적인 맥락 속에서이다. 마음공부란 바로 ‘우주적인 존재로서의 나’ 를 자각하고 실현하기 위한 노력이다. 그리고 탈현대문명은 바로 ‘우주적인 존재로서의 나’ 에 기반을 두는 새로운 문명이다. 그러므로 마음공부는 바로 현대문명 위기를 해결하고 탈현대문명을 건설하는 핵심적인 기제가 된다. 현시대 속에서 마음공부가 갖는 의미를 설명하는 것, 이것이 바로 이 논문의 목적이다. Mind training is the efforts to realize the real self inside himself and to make activate i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meaning of mind training at the present time. The contents of this paper is based on the following perception. Humankind have made every effort to build modern civilization based on the modern view of world, and have achieved great success. But we can find easily that humankind fall in deep suffering and the civilization itself meets danger. But in terms of the modern view of world, the current civilization is evaluated as a civilization which is close to ideal society. The discrepancy between two means that the modern view of world can not explain the real world. Therefore, the grand transition of the view of world is needed to overcome the current civilization crisis and to build post-modern civilization. The new view of world is the post-modern view of world named the unified view of world. The essence of the transition of the view of world is the transition of the view of human being. This means the transition of the view of human being from seeing as a separated individual to seeing as a cosmic being. The important implication of mind training is in this context. Mind training is the efforts to realize myself as a cosmic being. And the post-modern civilization is a new civilization based on the cosmic being. Therefore, mind training is the essential mechanism to resolve the current civilization crisis and to build the post-modern civilization. To explain the implications of mind training at the present time, this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