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론개혁에 관련된 담론 분석

        정재철(Jae-Chorl Chung) 한국언론정보학회 2001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7 No.-

        이 논문은 언론개혁에 관한 양극화된 사회적 담론을 생산하고 있는 한겨레 신문과 《조선일보》의 신문기사들을 대표적인 텍스트로 삼아 신문들의 사회적 담론 생산기제의 문제점들을 사회적 맥락 안에서 분석해 밝히고 그 해결방안을 모색한다. 이 논문의 연구결과는, 《조선일보》 진영이 소위 자유민주주의 이념을 내세워 생산하는 좌/우의 이념 대결 담론이 한편으로는 《조선일보》 자체의 이념적 정체성의 문제와 다른 한편으로는 시민언론운동단체가 지닌 운동의 본질적인 성격에 비추어 볼 때, 좌/우 이념 대결 담론은 《조선일보》를 포함한 주류언론에 내재된 모순의 효과라고 볼 수 있는 언론개혁 요구를 반공 이데올로기 층위의 모순과 접합시켜 국민들로 하여금 언론개혁을 좌/우 이념적 관계의 문제로 보도록 유도함으로써, 시민언론 운동단체들이 오래 전부터 개진해온 언론개혁의 요구를 견제하고 냉전적인 반공 이데올로기를 부활시켜 극우적 법질서를 실현하는 메커니즘으로 기능했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근본적으로 언론개혁담론의 논의의 핵심이 이념 담론에서 제도 개선에 관련된 담론으로 돌아가야 할 것을 주장한다. 또한 본 논문은 오늘의 언론개혁 담론에서 비롯된 이념 담론은 진보와 보수이념을 배타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 보완적으로 건강하게 뿌리내릴 수 있도록 대승적으로 발전시켜야 하며, 이를 위한 사회적인 공론의 환경과 조건을 준비해야 할 것도 제안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how and why Chosun Ilbo and Hankyoreh Shinmun produce particular social discourses about the media reform in different ways. In doing so, this paper attempts to disclose the ideological nature of media reform discourses in social contexts. For the purpose, a content analysis method was applied to the analysis of straight news, while an interpretive discourse analysis was appled to analyze both editorials and columns in newspapers. As a theoretical framework, an articulation theory was applied to explain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forces, ideological elements, discourse practices and subjects to produce the media reform discourses. In doing so, I attempted to understand the overall conjuncture of the media reform aspects in social contexts. The period for the analysis was limited from January 10th to August 10th this year. Newspaper articles related to the media reform were obtained from the database of newspaper articles, "KINDS," produced by Korean Press Foundation, in searching the key word, "media reform". Total articles to be analyzed were 765, 429 from Hankyoreh Sinmun and 236 from Chosun Ilbo. The research results, first of all, empirically show that both Chosun Ilbo and Hankure Synmun used straight news for their firms' interests and value judgement, in selecting and excluding events related to media reform or in exaggerating and reducing the meanings of the events,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in a greater or less degree between two newspaper companies. Accordingly, this paper argues that the monopoly of newspaper subscriber by three major newspapers in Korean society could result in the forming of one-sided social consensus about various social issues through the distorting and unequal reporting by them. Second, this paper's discourse analysis related to the media reform indicates that the discourse of ideology confrontation between the right and the left produced by Chosen Ilbo functioned as a mechanism to realize law enforcement of the right in articulating the request of media reform and the anti-communist ideology. It resulted in the discursive effect of suppressing the request of media reform by civic groups and scholars and made many people to consider the media reform as a ideological matter in Korean society.

      • KCI우수등재

        언론개혁 운동의 성찰과 전망

        손석춘 비판사회학회 2021 경제와 사회 Vol.- No.130

        Korean society has been discussing “press reform” as a task of the times for over 30 years. However the media is still receiving social criticism. Even reporters are being blamed for “garbage”. After the uprising in June 1987, the media reform movement unfolded in two directions. These are ‘the democratization of the press’ and ‘the launch of a new press’. Despite the June Uprising and Candlelight Revolution, it is necessary to thoroughly reflect on the reason why the ‘democratization of the press’ has not been achieved, and the reliability of the ‘new press’ has rather lowered. The media movement was powerless in the neoliberal system structured by the 1997 IMF bailout crisis. Moreover, as the regime change took place after 36 years in the same period, the media movement gradually entered the ‘the sphere of influence of the Democratic Party’. The “legislative movement” promoted by the media movement groups became ineffective due to the compromise attitude between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and the Democratic Party. On the contrary, in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monopolistic newspapers even secured broadcasters. With the candlelight revolution, the media reform movement could face a new phase. However, as the politically biased discourse on media reform grows, the crisis of the movement is deepening. The 30-year experience of the press movement raises the task of establishing a strong subject of the movement based on the ‘people’s point of view’, rather than a ‘political bias’ when discussing media reform. The power to check and lead the media movement and the political bias of the new media will ultimately come from strengthening the people’s own capacity. 한국 사회가 30여 년에 걸쳐 ‘언론개혁’을 시대적 과제로 논의해 왔지만, 언론은 여전히 사회적 비판을 받고 있으며 심지어 ‘적폐 중의 적폐’로 지탄받고 있다. 1987년 6월 항쟁 이후 언론개혁 운동은 두 방면으로 전개되었다. 언론 민주화와 ‘새로운 언론’이 그것이다. 6월 항쟁과 촛불혁명을 거쳤음에도 ‘언론 민주화’가 요원하고 ‘새로운 언론’의 신뢰도가 오히려 낮아진 이유를 냉철하게 성찰할 필요가 있다. 1997년 IMF 구제금융 사태로 구조화된 신자유주의 체제에 언론운동은 무력했다. 더구나 같은 시기 36년만의 정권 교체가 이루어지면서 언론운동은 서서히 ‘민주당의 자장’에 들어갔다. 언론운동 단체들이 추진한 ‘입법 운동’은 노무현 정부와 민주당의 타협적 자세 때문에 유명무실화된 반면에 이명박 정부에서는 오히려 독과점 신문 기업들이 방송마저 확보하는 입법으로 귀결되었다. 촛불혁명으로 언론개혁 운동은 새 국면을 맞을 수 있었다. 하지만 정파에 편향된 언론개혁 담론이 전면에 나서면서 운동의 위기는 심화되고 있다. 언론개혁 운동이 한낱 특정 정파의 이익에 복무하는 양상마저 나타나고 있다. 언론운동 30년의 경험은 언론개혁을 논의할 때 ‘정파 관점’에서 벗어나 ‘민중 관점’을 기반으로 운동의 주체를 튼튼하게 세워야 할 과제를 제기하고 있다. 언론노동 운동이나 시민언론 운동, 새로운 언론의 정파화를 견제하고 견인할 힘도 궁극적으로는 민중 자신의 역량 강화에서 나올 것이다.

      • KCI등재

        미디어(media) 개념을 통해 본 개혁개방 이후 중국문학의 변화양상

        박민호(Park, Min-Ho) 한국중어중문학회 2016 中語中文學 Vol.0 No.65

        Over the last 30 years since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Chinese literature has changed drastically. Such a change stemmed from various causes, but among which, the influence of ‘media’ is not small at all. Since the reform and opening up, Chinese literature has gradually transformed itself into a new form under the mutual overlapping and competition of ‘print media’, ‘image media’, and ‘internet media.’ ‘Pure literature,’ that is to say, ‘literature for literature’ ideology that Chinese literature has adhered to since the 1980s has slowly lost its influence under the flow of ‘visual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literature. In addition, with the appearance of internet media, the Chinese literature has become more popularized, open, and de-authoritative. This study mentioned ‘craze for internet literature’ that brought about ‘Wangshuo phenomenon’ in the late 1980s, ‘Bulaohu fever’ in the early 1990s, and both new vitality and concern to the Chinese literary circles in the 2000s, in order to analyze the change in literature since the reform and opening up from the perspective of ‘media.’ These phenomena symbolize that the Chinese modern literature which had dominated China since the New Culture Movement on May 4, 1919 is beginning to disappear from the center stage of history. Even so, we shouldn’t overestimate the good points of new literary tendencies by disparaging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Chinese modern literature. Future research and consideration on literature-media should be based on ‘dialectic attitude’ that leans to neither optimism nor pessimism by taking a close look at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literature-media while acknowledging that it is a historical trend that cannot go against a new flow of literature that is born and grown by the influence of various media.

      • KCI등재후보

        재산권 개혁과 중국 미디어기업의 발전 양상

        김성옥 ( Sung Ok Kim ) 한중사회과학학회 2009 한중사회과학연구 Vol.7 No.3

        In this thesis, starting from the topic of Chinese Media enterprise` function during transitional economy period, made discussion the property reform`s influence on the media enterprise`s role and performance. on the basis of the institutional economics, analyse was conducted from the view of regarding property right structure as the outcome of the pursuing behavior of different goals of state and market. Due to the socio-political system of China, state owned power governed the media market and enterprise behavior. When experiencing transitional economy, Chinese media enterprise, as one of government propaganda organization lying under the state regulation, market entity, and the creator of contents product has striven for brand-new concept and the change of its function. And due to the reform`s influence, media enterprise`s ownership and stock ownership structure have been diversified, and also much more autonomy of media enterprise have been appeared in the area of media management and editing. These trends, like other state owned enterprise reform, can not only bring the definition change of media enterprise in the economy and politics, but also reflect the newly born power-relationship between state and market. during the reform period, Chinese state owned enterprise has introduced shareholding system. Shareholding system, as one of effective mechanisms which can achieve the gradual reform of property right, can bring the decentralization of property right entities and the stakeholder diversification. the reform has resulted in the state owned enterprise`s goal change, specifically speaking, the enterprise needed to consider more conditions, when pursuing the profit maximization, and build the new relationship with the society as well.

      • KCI등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살펴본 미디어의 정치적 편향성 및 선택적 미디어 노출로 인한 정치적 양극화: ‘검찰개혁’을 바라보는 상반된 인식을 중심으로

        박지영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20 韓國 政治 硏究 Vol.29 No.3

        In this paper, I argue that the media in general are politically biased and that selective exposure to partisan media may lead to an individual’s opinion extremity. To capture “media bias, ” the text scaling model (Wordfish model) was used to estimate ideal points of ten major newspapers in South Korea. My empirical finding suggests that Korean newspapers are ideologically divisive and that editorial texts of ten national newspapers have commented differently on the prosecution reform depending on their ideological stance. Next, I examine how a citizen’s selective exposure to partisan media affects her perception of the government’s prosecution reform drive. I find that selective exposure to partisan media outlets intensifies an individual’s political orientation and leads to political tensions over prosecution reform. 본 논문은 지난 1년간 한국 사회에서 검찰을 둘러싼 정치적 논란과 여론의 적대적 양극화 현상에 주목하여 우선 검찰을 다루는 언론의 편향성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이러한 언론의 편향성이 21대 총선에서 유권자의 투표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경험적으로 증명한다. 미디어 편향성을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는 텍스트 스케일링 방법인 워드피시(Wordfish) 모형을 사용하여 10개 주요 일간지의 ‘검찰’ 관련 사설을 분석하여 개별 언론사의 이념적 위치를 추정한다. 미디어 편향성에 대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정파적 성향의 미디어에 대한 선택적 노출이 검찰개혁과 관련한 개별 이슈들에 대한 유권자의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경험적 분석에 따르면 정파적 미디어 이용은 검찰개혁과 관련된 사안에 대해 대중들의 정파적 인식을 강화시키고 결과적으로 해당 사안에 대해 정치적으로 양극화된 태도로 이어졌음이 드러났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특정 매체가 지니는 보도 성향에 따라 해당 매체를 접하는 사회의 여론 또한 다르게 형성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나아가 미디어의 편향성에 의해 정치적 갈등이 극단적으로 표출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크라나흐가 사용한 종교개혁 소통의 근본적 도구인 이미지로부터의 선교학적 교훈

        권진호(Jin Ho Kwon)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6 선교와 신학 Vol.40 No.-

        이 소고는 소위 웹 2.0시대가 열리며 SNS가 중요한 소통수단으로 자리매김한 디지털 사회에서 선교의 새로운 소통도구에 대한 통찰을 얻기 위하여, 이미지(그림)를 통해 종교개혁의 빠른 확산과 성공에 기여한 루터의 동역자 크라나흐의 프로그램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디지털화는 종전과는 다른 새로운 형태의 공공성과 참여를 이끌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선교와 복음전도를 위해 적절한 도구 내지는 미디어에 대한 “내용과 방법”을 숙고해야만 한다. 이 목적을 위해 우리는 루터의 종교개혁 사상을 전달하는데 근본적인 도구로서 이미지를 잘 사용한 루카스 크라나흐로부터 교훈을 얻을 수 있고 또 얻어야 한다. ‘루터 10년’의 2015년 주제 “종교개혁 - 이미지와 성서”는 미디어 사건으로서의 종교개혁을 기억나게 하는 기회를 제공해 줄 뿐만 아니라, 종교개혁의 중심적인 소통 수단인 이미지에 주목하게 한다. 종교개혁상황에서 이미지는 종교개혁의 내용을 전달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화가인 루카스 크라나흐는 종교개혁을 촉진했다. 우선, 마틴 루터의 모든 초상화는 크라나흐의 작업장으로부터 나왔다. 크라나흐는 루터의 초상화를 독특한 이미지로 만들어냄으로써 종교개혁을 널리 공적으로 전파했다. 두 번째, 크라나흐는 종교개혁의 주제들을 시각화하여 종교개혁의 의미와 중요성을 부각했다: “율법과 복음,” “복음적인 교회,” “교황제도에 대한 비판.” 크라나흐는 가톨릭 이미지 스타일을 개인적인 성향에 따라 계속 전개하였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종교개혁적인 이미지 스타일을 발전시켰는바, 이미지와 본문을 결합했다. 이 소고로부터 우리가 알 수 있는 사실은 종교개혁이 당시 강력한 소통매체를 통하여 더 크게 확산되었다는 점이다. 미디어 혁명이 일어난지 500년이 되는 우리 역시 소통매체의 디지털화를 통한 당시와는 비교될 수 없는 급격한 삶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때에, 이미지를 통해 종교개혁의 성공에 기여한 크라나흐의 프로그램을 숙고하면서 디지털화된 사회에서 선교의 소통도구와 그 활용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는 일을 게을리 해서는 안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programs, in which Lucas Cranach, a co-worker of Martin Luther, contributed with the Lutheran subject pictures and portraits to rapid expansion and success of the Reformation, and acquire insights into use of image as a communication medium for missions in the digital age. The digitization requires us to adopt new forms of publicity and participation. Therefore, we must reflect upon what new and adequate media should be and how they should be applied for mission and evangelism. For this purpose, we can and must learnlessons from Lucas Cranach, who used image as fundamental tool to deliver Luther’s reformational thoughts. The annual topic of the year 2015 of the Luther-decade, “Reformation - image and the Bible,” gives opportunity to assess the Reformation as a media event, and draws our attention to image as an instrumental communication medium for the Reformation. In the context of the Reformation, the images which conveyed reformational contents played a crucial role. With distinctive portraits of Martin Luther, produced by Cranach, the Reformation gained wide publicity. Moreover, Cranach’s works visualized the important Reformation themes such as Law and Gospel, evangelical church, and criticism of papacy. He not only customized the Catholic style of image but also developed new Protestant style of art, the combination of texts and images. This paper discusses the impact of using strong communication media on development of the Reformation. The world we live in today undergoes dramatic changes especially in communication media and is heavily influenced by the media. What does it mean to live in a digital world as Christian? This is the question we must answer repeatedly and seriously, particularly with regard to the Christian mission or communicative tools of mission in our digitalizing environment.

      • KCI등재

        한국 시민언론운동의 특성과 전망

        정연우(Yeonwoo Chung) 한국언론정보학회 2017 한국언론정보학보 Vol.81 No.1

        언론운동은 정치권력으로부터 독립함과 동시에 언론권력을 해체하고 시민들의 언론 주권을 찾으려는 사회적 운동이다. 언론의 공공성과 독립성, 책임성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은 공적 영역에서는 정치권력, 사적 영역에서는 소유주로부터 나오는 언론권력이다. 시민언론운동은 언론의 주권은 시민에게 있으며 이러한 주권을 침해할 우려가 있는 정치권력과 언론 권력을 감시하는 주체로서 시민의 운동성을 강조한다. 이명박ᐨ박근혜 정권에서 시민언론운동은 저항과 투쟁의 시기였다. 시민언론운동은 정치권과의 거버넌스가 완전히 붕괴되었고 언론 전문성을 가진 지식인이 정책 생산을 중심으로 참여하는 정책적 대안의 논의와 제시 방식의 언론시민운동은 설자리를 잃었다. 시민들의 직접 행동보다는 활동가들 중심으로 활동하는 시민언론 단체들의 영향력은 한계를 보였다. 시민언론운동이 언론개혁의 동력을 강화하려면 시민사회, 언론노조, 언론단체, 정치세력 등 사회적 힘의 재구성이 필요하다. 운동의 의제와 활동에 시민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 아울러 언론운동에서 미디어운동으로 외연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 The media movement is a movement to separate from the political power and to dismantle the media power and to seek the control of citizens’ media. Political power is the biggest factor that violates the fairness and independence of the media in the public domain. On the other hand, the factor that interferes with the healthy and responsible media of the press in the private sector is the media power originating from the owner. Citizens ‘media campaign emphasizes citizens’ mobility as a subject that monitors the political power and media power that have the sovereignty of the media belonging to the citizen and may infringe on this sovereignty.In the Lee Myung Bak - Park Geun Hye regime, the civil press movement was a period of resistance and struggle. Citizen media campaigns have completely collapsed with governance. As a result, the intellectuals who have expertise in the media have lost their place in the discussion and presentation of the policy alternatives in which the policy production is centered. The influence of citizen media organizations, which are centered on activists rather than citizen’s direct action, is limited. In order to strengthen the power of the media reform, it is necessary to reconstruct social forces such as civil society, media unions, media organizations and political forces. We should also look for various ways in which citizens can participate actively in the agenda and activities of the movemen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movement of the media.

      • KCI등재

        TV 미디어 비평의 어제와 오늘

        홍원식(Won-Sik Hong),김은정(Eun-Jung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13 한국언론정보학보 Vol.64 No.4

        국내 방송에서는 유일한 미디어 상호비평 목적의 고정편성 프로그램 KBS <미디어비평>이 방송 10년을 맞았다.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비평>의 지난 10년 간 방송분의 비평대상과 내용, 비평의 근거, 문제의 귀인 방식을 방송 꼭지 단위로 분석하였다. 분석의 목적은 첫째, 메타비평의 형식으로 지난 10년 간 우리 언론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둘째, 경영진의 변화에 따라 실제로 비평의 대상과 비평초점, 프로그램 내용 등에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이었다. 분석 결과, 10년 간 <미디어비평>은 정파적 성향에 기인한 편파보도와 불공정성, 피상적보도와 받아쓰기 관행 등을 우리 언론의 문제점으로 빈번하게 지적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정권교체에 따른 경영진의 변화는 비평대상과 초점에도 영향을 미쳐, 방송 초기에는 보수언론을 대상으로 보도의 편파성?불공정성에 대해 주로 문제를 제기한 반면, 경영진 교체 이후에는 언론의 상업성에 기인한 과장?선정성과 정보원에 대한 피상적 받아쓰기에 주목?비평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It has been 10 years since KBS first broadcasted TV program 〈Media Criticism〉 for the purpose of expanding mutual criticism among Korean mass media. This study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of KBS 〈Media Criticism〉 episodes for the last 10 years.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this study explored what the program had showed us in the aspects of ‘the subject of criticism’, ‘the ground of criticism’, ‘the attribution of criticism’. The content analysis could show meaningful results to the study of media criticism, because it not only provides a meta-analysis of the problems Korean mass media have had for the last 10 years but also examines the program has been consistent in the regard of criticism fairnes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Media Criticism〉 has pointed out the practices of unfairness, political bias and superficial and shallow reporting as the most critical problems the Korean mass media have. Also, the result showed that 〈Media Criticism〉 had not been consistent in the regards of ‘the subject of criticism’, ‘the ground of criticism’, ‘the attribution of criticism’. While the program mostly focused on the problems of political bias and unfairness in the early stage, the focus of criticism moved to the problems of sensationalism and superficial reporting laster. This study discussed that the change of criticism might have a relation with the change of KBS governance.

      • KCI등재

        새 정부의 ICT·미디어 관련 정부 조직 개편 방향에 대한 연구

        김수원(Suwon Kim),김성철(Seongcheol Kim)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7 언론정보연구 Vol.54 No.4

        미래창조과학부와 방송통신위원회를 중심으로 한 박근혜 정부의 ICT 및 미디어 거버넌스는 불완전했던 것으로 평가된다. 환경 변화, 정책 수요, 직무 분석 등을 반영한 신중한 검토와 논의 없이 이루어진 졸속 조직 개편이 그 원인으로 꼽힌다. 새롭게 출범한 정부가 불완전한 거버넌스를 보완할 조직 개편을 시도할 것이라는 기대와는 달리 문재인 정부는 여건상의 한계로 미래창조과학부의 명칭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 바꾸는 데 그쳤다. 따라서 문재인 정부가 ICT 및 미디어 산업의 발전과 미디어 공공성 회복이라는 과업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현대통령 임기 내에 ICT 및 미디어 관련 정부 조직을 개편할 필요가 있다. 다만 이전 조직 개편의 실패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는 공론화와 신중한 논의의 과정을 통해 조직 개편의 완결성을 높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정부 개편을 위한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국민들의 인식을 조사하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물리적 조직구조와 방송통신위원회의 운영 체계 개편을 위한 고려 사항을 컨조인트 모형으로 구성하고 설문을 통해 국민들의 선호를 분석했다. The ICT and media‐related governance in Korea, under the former president Park, turned out to be incomplete. Many argue that it lacked careful reviews and discussions based on analyses on environmental changes, policy demands, function of each governmental organization, and so on. Accordingly, it was expected that new president would complement the incomplete ICT and media governance. However, the present government, under the president Moon, could not renovate the current governance, but just changed the name of the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to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Since the current governance needs to be reformed, sooner or later,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public opinion, as one of the important pillars of the public discussions. In this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public’s perspective, using conjoint analysis method, and the directions and considerations for the next reform of ICT and media governance in Korea we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The Reform of Chinese Media System

        Yan-Fang Bu(부얀팡)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08 언론정보연구 Vol.45 No.2

        중국 시장경제체제의 상징과 함께 시장구조의 메커니즘이 많은 분야에서 그 역할을 하고 있으며 물로 미디어 산업도 예외가 아니다. 특히 90년대 이후, 중국 미디어개혁의 목표가 명확해졌다. 그 하나는 여론 수호를 보장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긍정적으로 시장화 개혁을 진행하는 것이다. 몇 개의 주요 개혁정책과 사례연구의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중국의 미디어 시스템 개혁을 부분 분리, 시스템의 총체적 변형, 지분구조 개혁, 주식시장 상장화 노력이라는 네 가지로 설명한다. With the development of Chinese market economy market mechanism is playing more and more roles in many fields. Of course the media industry is not the exception. Especially after 90's, the goals of Chinese media reform became more clearly, one is to guarantee the guidance of public opinion, the other is to advance the marketization reform positively. Based on the analysis of some main reform policies and several case studies this paper sums up four ways of Chinese media system reform. They are: partial separation, the whole transformation of system, shareholding reform and seeking to go public in the stock mark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