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지역공동체 평생교육의 개념과 성격에 관한 고찰

        오혁진(Oh Hyuk-Jin) 한국평생교육학회 2006 평생교육학연구 Vol.12 No.1

          Nowadays, there are so many kinds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in local area and their importance is increasing on the basis of regional innovation and decentralization. Nevertheless, we can not deny that there are lots of serious problems in current local lifelong education because of the weakening of local community which has been emphasized traditionally in lifelong education.   But local community is the real essence of community education which is recognized as a prototype of current lifelong education. And, the original nature of local community itself is still important, and additionally, its utility are increasing more and more for successful regional innovation and decentralization. In the history of lifelong education, there have been so many efforts to realize the value of local community by many life long educators in local area.   So, we need to revive and reestablish the new concept of community oriented lifelong education in local area which is called “local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This new concept inherits the value of local community in ‘community education’ and also overcomes its narrow conceptual limits. And local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contains five conceptual components, ① education for development of total local community, ② education for realization of individual community resident, ③ resident-driven education, ④ local knowledge-centered education, and ⑤ local resource-priority education. This concept of local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presents the real principles that we must pursue to inherit the traditions of adult education-ancestors.   최근 지역을 기반으로 평생교육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지역사회교육이 평생교육의 원형으로서 다시 강조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 평생교육을 중심으로 발생하고 있는 여러 가지 우려스런 현상들은 전통적인 지역사회교육을 통해 강조했던 공동체적 성격이 최근지역 평생교육의 활성화 과정 중에서 상당히 약화되고 있음을 반증한다. 전통적인 지역사회교육에서 우선적으로 되살려야 할 본질적 가치는 지역공동체성이며 현대사회에서도 이러한 지역공동체성은 매우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지역공동체성을 추구하기 위한 평생교육의 노력이 지역의 비영리조직을 중심으로 지금까지도 끊임없이 이어져오고 있다. 이러한 전통을 반영하는 새로운 용어로서의 ‘지역공동체 평생교육’은 지역공동체성의 의미를 상실하고 있는 기존의 ‘지역사회교육’의 개념적 한계를 극복하고 지역공동체성과 지역화를 재차 강조한다. 지역공동체 평생 교육은 지역공동체의 발전, 지역구성원의 성장, 지역공동체 구성원의 주도적 참여, 지역적 지식의 강조, 지역 자원의 우선적 활용을 그 원리로 한다. 최근 지역사회에서 이러한 성격을 가진 다양한 지역공동체 평생교육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학문적 관심과 지원이 요구된다.

      • KCI등재

        헌법상 교육권과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

        정성범,백윤철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법학논총 Vol.42 No.4

        In the modern society, the necessity of lifelong education is increasing and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in connection with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citizens through learning and the linkage with the economic, cultural and social development of the region. At this point, this study suggests institutionalized projects for the revitalization of lifelong education in local governments through analysis of the responsibility for lifelong education of local governments and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I want to find a solu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research objectives, first, the role of local autonomous bodies and lifelong learning city performance for lifelong education revitalization suggested in the Lifelong Education Law should be analyzed and the areas that can be systematically mandated are identified and suggested. Second, it analyzed the preliminary researches on the various projects promoted in the lifelong learning cities in Korea, typified the projects, found out the institutionalized projects and suggested the pla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ystematic requirements for establishing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system in local self - government, such as establishment of lifelong education council, establishment of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plan, establishment of dedicated lifelong education department,. Second, the use of lecturers banking facilities and public facilities should be systematically mandated to revitalize lifelong education. Third, although there is no legal ground at present, many lifelong learning cities have been continuing, and it has been necessary to institutionalize learning clubs and lecturer dispatching projects with clear business res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systematic guideline and system through the case analysis rather than the case study of the results of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and to raise the question of the role of the state which enables all local governments to practiceIt has its significance. 본 연구는 평생교육이 지역사회교육, 지역사회개발 측면에서 모든 지방자치단체가 체계적으로 운영해야 할 영역이며 평생학습도시 사업은 그 기반을 구축하는데 큰 성과를 거두었으므로 평생교육법과 평생학습도시 사업에 대한 문헌 분석을 통해 지방자치단체에서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의무적으로 제도화해야 하는 영역과 지방자치단체에서 활발히 추진되고 있는 사업을 유형화하여 제도화 가능한 사업을 발굴하고 그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평생교육이 헌법상 교육권을 실현하고, 제도적으로 의무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간단한 의견 제시에 그쳤으며 심도있는 연구를 통해 제도화 방안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며, 평생학습도시 사업의 유형화에 있어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제시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가 평생학습도시 사업의 성과를 사례 제시에서 벗어나 사례 분석을 통해 체계적인 지침과 제도를 만들어 모든 지방자치단체들이 실천할 수 있는 국가의 역할에 대한 문제 제기에 의의를 둔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지방자치단체에서 평생교육 영역이 하나의 행정서비스로 자리매김하여 체계적으로 운영되기 위한 심도있는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지역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광역수준 지역평생교육체제화의 분석과 발전과제

        권인탁 교육종합연구원 2014 교육종합연구 Vol.12 No.1

        This study is to explore strategies for improving local lifelong education after analyzing on local lifelong education systems at the metropolitan city/province level. It is analyzed on the national lifelong education system, the current practice of local lifelong education system, and the function of metropolitan city/province for lifelong education. Strategies for improving local lifelong education systems at the metropolitan city/province level are suggested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1) forming visions and directions for local lifelong learning, (2) activating metropolitan city council for lifelong education, (3) division between general administration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for operating a lifelong education implement organization, (4) building a linkage system of lifelong education adminstration between metropolitan city and city/county/district, (5) supporting establishment and business events of lifelong education improvement institute attached at metropolitan city/province, (6) expanding programs for improving lifelong education of metropolitan city/province, (7) support for building a lifelong learning city in the city/county/district. (8) placement through cultivating professional lifelong educators and reinforcing their competence, (9) building local resource development system, (10) forming lifelong learning operation system leaded by people, (11) building system for activating study circles, (12) supporting network system for activating local lifelong education, and (13) operating lifelong learning information system at the metropolitan government level.

      • 평생교육의 지역화와 대학의 시대적 비전

        권대봉,이정의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14 한국평생교육 Vol.2 No.1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인구학적 변화와 맞물려 평생교육에 대한 국가적 관심이 증대하고 있는 시점에서 평생교육의 근간을 지역으로 보고 지역대학이 수행해야 할 역할과 비전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평생교육의 지역화와 지역대학의 역할을 논의하면서 지역대학이 평생학습사회건설의 지역 보고(寶庫)임을 확인하고, Hutchins(1970), Faure et al.(1972), Edwards(1997) 등의 학습사회 모형에 터해 지역대학이 나아가야 할 시대적 비전을 3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창조경제를 견인하는 두뇌창고로서의 지역대학, 둘째, 문화융성을 지원하는 가슴창고로서의 지역대학, 셋째, 지역사회 통합을 구현하는 손발창고로서의 지역대학이다. 이러한 비전 구현을 위한 미션으로는 평생직업교육으로 창조경제 견인 일자리 창출, 평생인문교육으로 문화융성 지원, 사회공헌형 평생교육으로 지역사회통합 기반 마련을 제시하였다. National interest on lifelong education has increased as drastic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changes have occurred in Korea. This study is an attempt to explore the vision and role of the local colleges by assuming the basis of lifelong education is localization. To do this, this paper discusses the localization of lifelong education and the role of local colleges. In addition, this paper identifies that local colleges are the treasure depot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Based on the learning society models of Hutchins(1970), Faure et al.(1972), Edwards(1997), this paper proposes three visions that local colleges should seek in the lifelong learning society: Local college as a brain depot towing creative economy; Local college as a heart depot supporting cultural prosperity; Local college as a hand and foot depot realizing local community cohesion. In addition, this paper proposes missions to realize the visions including creating jobs through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supporting cultural prosperity through lifelong liberal arts education, and realizing community cohesion through lifelong education programs contributing to the community.

      • KCI등재

        지역평생학습 활성화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과 과제

        하봉운(Ha Bong-Woon) 경기연구원 2009 GRI 연구논총 Vol.11 No.1

        This paper discusses on the principles of role and tasks related to the lifelong education in local governments to promote local lifelong educational developments. Under the educational autonomy system having an independent education committee and educational superintendent, responsibility of the local government should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developing policy alternatives for local education. Since 2001, the local governments have developed and supported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with a cooperation with Ministry of Education, the central government education author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gulations related to local government’s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to suggest directions to make an ordinance by examining trends and current status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policies. In this study, the role and tasks of local government to stabilize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is suggested in accordance with the regulations.

      • KCI등재

        대학과 지자체의 평생교육 연계 유형 탐색

        전광수(Jeon Kwang S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8

        본 연구는 대학과 지자체의 평생교육 연계 유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남의 28개 대학 평생교육원 중에서 지자체와 연계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3개 대학을 대상으로 하여 사업의 구조와 내용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7년 2월 10 일부터 3월 2일까지 약 한 달이 소요되었다.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먼저 A대학교는 프로그램의 공동 기획과 운영 속에서 질적 성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었는데, 특히 주변 지자체로의 연계를 확대하고 있었다. B대학교는 지자체의 평생교육 사무를 대학과 연계하여 추진하고 있었고, C대학교는 지자체와 공동으로 사업을 추진해가고 있는 구조적 특 징을 보이고 있었다. 이는 지자체들과의 연계 확장형, 지역 평생학습관의 공동 운영형, 평생교육 목적 사업에의 지자체와 공동 대응형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종합해보면, 지역의 평생교육 진흥을 위해 대학과 지자체는 지역 사회 안에서 나름의 방식으로 서로 간의 협력을 모색해 나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물론 그 안에서 지속적으로 해결해 나가야 할 과제들도 있다. 대학과 지자체가 지속적인 협력과 논의 구조를 정립하는 것과 교육프로그램의 질적인 제고, 서로 간의 역할 분담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점들이 고려된다면 앞으로 대학과 지자체의 연계는 더욱 견고해질 것이며, 이와 연계하여 연구들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ere is a major goal the study is trying to achieve: research the linkage between university and local community for developing local lifelong education via a case study. To achieve the goal of the study, a university located in Chung-Nam Province and a local community which have been working and carrying forward lifelong education program are chosen as a target of the case study. By analyzing the structures and contents of the lifelong education project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the university, we categorize them into a variety of typ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tudy shows that the way the university and the local community link together is categorized as the type of building up partnership which goes beyond the simple agreement, the type of running a lifelong learning center communally with a local community in order to increase participation opportunities for local residents, the type of responding cooperatively to metropolitan lifelong education project, etc. Overall, it is found that the local community and university have looked for their own ways to cooperate each other within the local society to promote the local lifelong education. There are also some tasks to solve consistently. For example, the local community and the university should form substantial cooperation, expand discussion time, enhance the quality of the educational programs, and divide their roles fairly. If these aspects is considered and solv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university and local community will be strengthened.

      • KCI등재

        뉴스 빅데이터를 활용한 지역평생교육 토픽 분석: ’03∼’18년 지역매체 기사를 중심으로

        김태종,박상옥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8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5 No.4

        This study conducted a topic analysis using online news big data to openly and critically reflect the issues(topics) underlying local lifelong education. In four periods between 2003 and 2018, 14,514 news related to lifelong education was collected through BigKinds operated by the Korea Press Foundation. And five topics were extracted at a time using one of the Topic Analysis Techniques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ocal lifelong education was emphasized more as a tool for policy goals such as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and job creation than for educational purposes. Second, the model of lifelong education policy has proved to be the market model in all administrations. Third, unlike the first and second and third periods when the education system was used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economy, Education alienated people, including women,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have emerged as major issues in the fourth phase.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administration of education programs aimed at underprivileged people has pushed ahead with policies based on the importance of education. The conclusions wer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nd presented a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local lifelong education. This study broadened the focus of research on local lifelong education, focusing on existing specific regions, institutions, communities and individuals. Through an empirical and systematic analysis of big data, we secured diversity in our lifelong education research method focused on existing interviews, cases, literature studies, and surveys. The academic significance is that by analyzing the phenomenon of education in combination with various theoretical systems, the study has activated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education, journalism, and data engine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for lifelong education and directions for implementation. By critically analyzing the topics inherent in the local lifelong education, we have a policy of understanding, reflecting, and drawing new discourse to present a direction of practice. 이 연구는 지역평생교육에 잠재되어 있는 이슈(토픽)를 드러내 비판적으로 성찰하기 위해, 온라인 상에 존재하는 뉴스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토픽 분석을 수행하였다. 2003년부터 2018년까지 정권별로 4개 시기로 구분하여, 9개 지역매 체에서 보도한 평생교육 관련 뉴스 14,514건을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운영하는 빅카인즈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그리고 토픽 분석기법의 하나인 LDA(잠재 디리클레 할당) 기법을 사용하여 시기별로 5개 토픽을 추출하였으며,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평생교육은 교육적 목적보다는 지역경제 발전이나 일자리 창출 같은 정책목표의 도구적 수단으로서 보다 강조되었다. 둘째, 평생교육정책 모형은 모든 정권에서 시장 모형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평생교육을 활용하여 지역경제 발전을 지향했던 제1∼3기와 달리, 제4기에서는 여성⋅노인⋅장애인 등 교육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한 지역평생교육 운영을 주요 이슈로 삼아 정책을 추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 평생교육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특정 지역⋅기관⋅공동체⋅개인 중심의 지역평생교육 연구의 지평을 확대하고, 빅데이터 분석방법을 통해 실증적⋅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 써, 기존 면담⋅사례⋅문헌연구, 설문조사에 편중된 평생교육 연구방법의 다양성을 확보했다. 지역평생교육 현상을 다양한 이론체계와 결합하여 분석함으 로써, 교육학-언론학-데이터공학의 학제간 연구(interdisciplinarity)를 활성화했 다는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 결과는 평생교육 정책입안 및 추진방향 설정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지역평생교육에 내재된 토픽을 비판적 으로 분석함으로써, 지역평생교육을 이해⋅성찰하고 새로운 담론을 이끌어 내어 실천의 방향을 제시했다는 정책적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지역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자체 역할 과제 탐색: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배영주 한국성인교육학회 2014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7 No.4

        This study is begun in awareness that our local governments have seen the meaning of local lifelong education in a narrow sense. Local lifelong education could have various several meanings, but they have put their attention only to a limited part of them, so they came to bring out an limited result of their related policy and businesses for activating of local lifelong education. In this study, I made an conceptual analysis of local lifelong education and ensured the meaning of it and its activating, and I did an case study on a city of Gwangju with it. Because I wanted to find out some practical problems for activating of local lifelong education. As a result, I can find that despite the gradual expansion, the level of activation of lifelong education in the city are below par yet, and the lifelong education for the community growth and development is in very poor situa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to solve the problems, I can present three role tasks of local governments for activating local lifelong education and I urged local government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the lifelong education for community growth and development and take the lead. 이 연구는 지역평생교육 활성화에 대한 지자체의 그동안의 관심과 노력이 평생교육 영역에 한정되어 지역성을 담보하는 데 한계를 갖지 않았는가 하는 자각에서 시작된다. 연구자는 지역평생교육의 개념적 의미를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평생교육’과 ‘지역공동체 성장을 겨냥하는 평생교육’을 포괄하는 것으로 정교화하고, 실제 지역에서 그것이 어느 정도로나 활성화되었으며 그것을 위한 지자체 노력이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를 전 지자체가 평생교육에 나서고 있는 광주광역시 대상으로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점증적인 평생교육 확장세에도 불구하고, 아직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평생교육’의 기회 제공이나 참여 확보 모두에서 충분하지 못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지역공동체 성장을 겨냥하는 평생교육’은 매우 열악한 상황임을 포착할 수 있었다. 이러한 한계점을 해소하는 방향에서 연구자는 지자체가 앞으로 수행해야 할 실천적 역할 과제를 몇 가지로 제시하였으며, ‘지역공동체 성장을 겨냥하는 평생교육’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나서야 함을 촉구하였다.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장애인 평생교육 관련 조례 분석 연구

        명소연 ( Myeong So-yeon ),한경근 ( Han Kyoung-gun ),장철승 ( Jang Chul-seung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9 No.2

        이 연구는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에서 제정된 장애인 평생교육 조례 분석을 통하여 각 지 자체의 장애인 평생교육 관련 조례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장애인 평생교육 추진체제 구축을 위한 제정 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2곳 지자체 장애인 평생교육 조례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추진체제 필수 요소에 따라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각 지자체의 장애인 평생교육 추진체제의 일반적인 구조는 지자체장이 장애인 평생교육 사업 추진의 책임자이고, 시·도 지자체인 경기도와 광주광역시에서는 전반적인 평생교육 계획 수립 및 의사결정의 협의·조정·자문 기구로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위원회’ 와 같은 협의체가 구성되어 있으며, 조례가 제정된 11개 시·도 및 시·군·구 지자체에서는 장애인 평생교육센터나 학습장의 평생교육시설 설치에 대해 규정되어 있다. 사천시와 군산시에서는 장애인 평생교육 추진시설 운영에 관한 사항의 협의·조정·자문 기구로 ‘운영위원회’와 같은 의사결정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 평생교육 조례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첫째, 일반과 교육 행정부분의 역할이 상호 강화되어야 한다. 둘째, 시·도평생교육협의회 구성은 지역사회 내 장애인 평생교육 주체의 대표성과 전문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셋째, 장애인 평생교육 추진 시설의 기능과 조직 구성, 담당인력 배치에 대한 규정이 구체적으로 명시화되어야 한다. 넷째, 장애인평생교육시설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관련 협의체 구성이 필요하다. 다섯째,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예산 확보와 지원 사항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 of each Korean municipality's ordinance on lifelong education for disabled persons through the analysis of it and to propose directions for establishing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system for the disabled based on the analysis. To this end, 12 local governments' lifelong education ordinances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and the contents of those ordinanc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promotion system. The result shows that the structure of the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system of each municipality is as follows: Above all,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are in charge of promoting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r the disabled. And specifically in Gyeonggi-do and Gwangju metropolitan city, councils such as 'Lifelong Education Support Committee for Disabled Persons' are formed as consultation, coordination, and advisory bodies for planning and decision-making for overall lifelong education. And, in 11 cities, provinces and municipalities which have enacted such ordinances,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such as lifelong education centers and learning centers for the disabled are installed. Lastly in Sacheon City and Gunsan City, decision-making mechanisms such as the 'Steering Committee' are established as consultation, coordination, and advisory bodies for dealing with the issu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directions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were discussed. First, the roles of general administration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should be mutually strengthened. Second, the composition of the city / provincial education council should be structured so as to ensure the representativeness and professionalism of the main players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in the community. Third, the regulations on the functions, organization and staffing of the facilities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should be specified. Four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related councils for the smooth operation of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Fifth, the budget and support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should be specified.

      • KCI등재

        일가(一家) 김용기(金容基)의 지역공동체 평생교육 사상에 관한 연구

        오혁진(Oh Hyuk-Jin) 한국평생교육학회 2008 평생교육학연구 Vol.14 No.1

          평생학습시대 및 지역화 시대의 도래와 더불어 지역공동체를 지향하는 평생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그러나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지역공동체 평생교육에서 추구하는 지역공동체의 성격, 지역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한 평생교육의 유형과 실천 원리 등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일가 김용기의 생애와 사상은 지역공동체 평생교육의 이해와 실천을 위한 의미있는 연구의 사례가 될 수 있다. 일가 김용기는 일제하 봉안이상촌 운동에서부터 가나안 농군학교의 설립에 이르기까지 전 생애에 걸쳐 지역공동체 형성을 위한 평생교육 사업을 지속적으로 펼쳐왔다. 일가 김용기가 추구했던 지역공동체는 보편적 인류애를 바탕으로 지역의 경제적 자립을 추구하는 생태적 공동체라 볼 수 있다. 그는 사회변화와 운영조직체계의 변화에 맞추어 지역공동체 평생교육의 방식을 적절하게 변용하였고, 그럼에도 내용과 방법 면에서 공동체적 가치를 지속적으로 강조하였다. 또한 지역공동체의 형성과 발전을 위해 전인교육적인 평생교육의 실시와 더불어 무형식적, 비형식적, 준형식적 평생교육을 총체적으로 활용하였다. 이와같은 김용기의 생애와 사상은 세계화 시대에 생태적, 자립적인 지역공동체를 추구하는 지역공동체 평생교육의 발전을 위해 매우 큰 의미를 가진다.   Nowadays, the importance of local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increased gradually through the advent of the age of lifelong learning and localization. However, the study is insufficient on the nature and conditions of local community which the local community lifelong educators must achieve, and the ways and action principles of local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But the life and thought of Ilga Kim, Yong-Gi give us many meaningful suggestions as to theory and practice of local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All his life, he tried local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constantly from Bongan Ideal Village to Canaan Farmers" School. The local community which he tried was ecological, economically self-reliant and universal to all humankind. He transformed suitably the ways of local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needs of social change and the expansion of educational organization. But, the importance of the sense of community had been emphasized constantly in the aspects of contents and methods. And he used all kinds of formal, nonformal and informal approach synthetically. In the age of economic globalization, his thought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and the realization of ecological and self-reliant local community to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