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역개발(地域開發)과 지역문화행정(地域文化行政)에 대한 공무원(公務員)들의 의식조사(意識調査)

        이해익 ( Hae-ik Lee )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 2001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논문집 Vol.2 No.3

        According to the advanced localization era followed by the settlement of the local autonomous system, every local government has encountered many critical tasks for its local development. It has faced the realities that it should draw the blueprint and achieve its plans for its local development, for itself without the aid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Although local governments in Korea have a lot of limits, such as the shortage of local taxes and the other financial problems, especially in lower local entities, they propels the development plans for sightseeing and local culture toward the local development. This study analyses the situations of the local culture development as a means of local developments in KyunggiDo, and assesses the realities and problems in current proceeding administration for the local culture, through the subjects of civil servants from Osan. The results is following : 1. Positive evaluation about the impacts of the local culture for the local development. The local official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their local cultures. 2. Negative evaluation about the real culture administration. The local officials responded negatively on the only actions in management and PR of the local traditional cultures and very negatively on the seeking and spreading of citizen's living culture. 3. Strong need for the efforts for local culture development. Local officials should give the more efforts for the local culture development to be applied for real lives rather than culture administration for show. First of all, the chief executives and councilmen should refresh the mind for local culture business and the local governments should train out the professional officials for local culture development.

      • 지역문화진흥을 위한 법제연구

        김명용 한국지역발전학회 2007 지역발전연구 Vol.6 No.2

        The year 2001 was marked as the year of local culture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On March 1, 2003, a local culture network was established in Gyeongju. Also, in 2005, there were loud cries for the enactment of a law on the promotion of local culture. Such phenomena are products of the decentralization and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policies of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The need is on the increase to further foster local culture in line with the decentralization policies of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The implementation of unbalanced growth policies in the process of radical modernization has deepened cultural unbalance among locals following the unbalanced development in the areas of economy, society and education, leading to weakening the foundation of regional culture promotion led by local governments and the civic sector and lacking in peculiar local culture programs that appeal to local residents. The change of outside environment such as the operation of hi-speed trains and the enforcement of five-day working week system gives us an opportunity with a crisis in regard to the development of regional culture, and the promotion of local culture in the 'knowledge information industry age' will be both the motive of the recovery of local economy and the foundation of attainment of cultural-democratic welfare for the people. The current Promotion of Local Cultural Institutes Act has its own limits in the promotion of local culture and arts. To overcome such limits, a Local Culture Development Act should be introduced to create a fund, train specialized manpower and improve local cultural infrastructures, which will replace the existing Promotion of Local Cultural Institutes Act with its partial adoption. The Local Culture Development Act, as its major contents, needs to include the training of local culture personnel, the expansion of cultural facilities, the utilization of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and providing of relevant information, the strengthening of support activities for the civic sector, etc. One of the important functions of the cultural policies is to upgrade cultural infrastructures, including the formation of cultural organizations, the maintenance of facilities, and the improvement of information systems. To vitalize the culture and arts activities, it needs to form human organizations of artists, etc. concerned, to install physical facilities of theaters, art museums, etc., and furthermore to build information systems related to culture and arts. Based on such cultural infrastructures, it will be possible to accomplish the promotion of local culture which form the keynote of balanced local development and cultural welfare for the people.

      • KCI등재후보

        지방문학과 문화콘텐츠

        정영길 ( Young Gil Jeong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3 한국문화연구 Vol.24 No.-

        지방문학은 지방 문화의 중요한 요소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가 대부분 중앙에 집중되어 있다. 이런 이유로 지방은 상대적으로 박탈감이 더 큰 편이다. 이 점은 지방문학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지방 문화는 중앙에 종속된 변방 문화가 아니다. 또 다른 하나의 중앙 문화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지방 문화는 지역의 정체성을 근간으로 이런 가치를 창출해 낼 수 있어야 한다. 지역마다 다양한 문화적 가치가 충만해야 국가 경쟁력도 향상될 수 있다. 지방문학은 지방 문화의 필수 자산이다. 문학이 언어 예술인 바 지방 문화도 결국은 언어라는 매체를 통하여 구체화 되고 또 알려지게 된다. 그러므로 지방자치 단체는 이런 점을 감안하여 지방문학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물론 지방문학 스스로도 중앙문단으로부터 소외된 디아스포라(diaspora)에 불과하다는 부정적인 변방의식을 극복해야 한다.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통하여 진정한 애향심을 고취시키는 적극적인 이산문학 역할을 해야 한다. 지방문학을 활용하면 지역의 문화유적 답사를 더 활성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논산이라는 지방 소도시의 경우를 통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박범신의 문학비가 있는 강경을 시발점으로 나태주와 박용래 시의 배경이 된 장소를 순례하여 일화를 상기해 보는 것은 의미가 있는 일이다. 또 일제 강점기 건물들을 둘러보면서 김주영의 『객주』나 조정래의 『태백산맥』에 나오는 현장을 둘러보는 것도 도움이 된다. 그리고 지역의 관련 있는 문화유산을 활용하면서 윤증(尹拯), 김장생(金長生), 이색(李穡) 등의 고전 작품의 배경이 된 장소를 답사하는 것도 의미 있는 여정이 될 수 있다. 발길을 연산이나 은진으로 돌려 『백범일지』에 소개된 김구가 부모님을 모시고 와서 살려 했던 동네나 김수환 추기경의 할아버지가 거주했던 마을을 답사해 보는 것도 보람이 있다. 이런 문학적 자산을 활용하여 유럽 각국에서 널리 애용하는 ``지역 관련 문학 작품 낭독회``를 개최하는 것은 손쉽게 해 볼 수 있는 사업 가운데 하나다. 또 논산시처럼 이런 작품을 따로 모아 책으로 발간한 뒤 이를 시민들에게 무료로 배부하면 애향심고취 측면에서 효과가 클 것이다. 이런 사업은 많은 예산을 들이지 않고도 시행할 수 있기 때문에 좋은 지방 문화 콘텐츠로 계발이 가능하다. 소규모 사업이지만 이런 종류의 행사는 지방 문화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지역의 전통문화나 관광 명소와 연계한 문화콘텐츠 계발도 추진해 볼 만한 사업이다. 논산의 경우는 계백장군의 황산벌 전투를 소재로 한 문학 작품을 상정해 볼 수 있다. 또 강경의 젓갈축제를 이용하여 『객주』에 나오는 보부상(褓負商) 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것도 좋은 문화콘텐츠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광활한 탑정호(塔亭湖)의 장점을 살려 호수 주위에 문학 작품을 통한 명상센터를 건립하는 것도 경쟁력 있는 문화 사업이 될 것이다. 나아가 호수를 주제로 한 문학 작품을 공모하여 중국의 비림(碑林)과 같은 시 공원(詩碑公園)을 조성하는 것도 고려해 볼 만하다. 아무튼 지방 문화 활성화의 관건은 지방자치 단체의 의지와 중앙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금처럼 다른 지역과 유사한 기념관을 짓거나 축제 위주의 행사에 재정을 낭비해서는 곤란하다. 이런 비정상적인 사업에 치중하면 개성 있는 지방 문화를 창출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지방자치 단체는 미래에 대한 전망을 바탕으로 경쟁력 있는 문화콘텐츠 계발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마찬가지로 중앙 정부도 이런 지방자치 단체를 엄선하여 좋은 사업에는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그래야 또 다른 중앙으로서의 지방 문화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Local-literature is the important point of local culture, but most of politics, economics, society, and culture are concentrated in center that causes comparative deprivation in the province. This fact could refer to local culture as well. However, local culture is not subjugated and lower culture, compared with the center, because it would be called another central culture. Local culture based on regional identity should create the value successfully. National competitiveness would have an advantage if each region has a various cultural value. Local-literature is necessary property of local culture because literature is known as the art of language. Local culture is finally embodied with advertising through language. It results that a local autonomous entity should be interested in local-literature. Local-literature should overcome the concept that it is just a diaspora isolated from literacy circles in the metropolis and should be dispersion literature through yearning, which inspires the real local patriotism. According to the case study of small town Nonsan, we confirm that exploring regional historic sites could be vitalized with using local-literature moderately. Setting Park Bum-Sin`s literary memorial stone as an orgin, we could visit the places backgrounds of Na Ju-Tae`s and Park Yong-Rae`s poem. By looking around the buildings built in Japanese colonial era, we could also explore the places backgrounds of Kim Ju-Young`s and Jo Jung-Rae`s novel. In addition, we could be worthwhile to explore the places: a village where Kim Gu had wanted to move with his mother and a town where the cardinal Kim Su-Hwan had lived. We could enjoy looking around historic sites related of Yoon Jeung and Kim Jang-Saeng, well-known scholars in Jo-sun dynasty. Naturally, a local autonomous entity with using it would be advanced if it is used in whole Europe and applied in a public reading of literary work. This event would be valued for the vitalization of local culture. Furthermore, it would be connected with local traditional culture or tourist attractions for cultural contents development. For example, in Nonsan, we could create the literary work from General Gye-Baek`s Hwang San Bul Battle. Also, we can provide people to experience as a merchant at Kang-gyuong`s Salted Fish Festival and build an annex for meditation near the Tap-jung Lake in order to distinguish hugeness as an advantage. It is a good idea to open a contest of literary work based on ``lake`` with forming a park like Bi-rim Park in China. The most important matter of vitalization of local culture is made by a local autonomous entity`s will and central government`s support. Each region should escape the prejudice which buiding similar memorial halls like other regions have done is the proper way to hold its towns or villages. In addition, it should not waste finance from events focused on several festivals because wasting finance results that it would be impossible to create local culture with a unique characteristic. Local autonomous entities, therefore, should focus on competitive cultural contents development with an outlook. Central government should fully support these local autonomous entities as well for invigoration of local culture, especially good businesses.

      • KCI등재

        글로컬리즘과 지역문화연구

        홍순권 ( Soon Kwon Hong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0 石堂論叢 Vol.0 No.46

        최근 학계에서는 글로컬라이제이션을 글로벌라이제이션에 대한 보완적 또는 대안적 현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이러한 ``글로칼적인`` 세계화의 중요한 특징은 교류의 주체가 반드시 국가일 필요는 없으며 오히려 국가의 경계를 넘어서 지역단위 또는 개별 생산단위 주체간의 직접적인 교류가 확대된다는 데 있다. 이는 ``지역의 자립``과 ``지역과 지역간 네트워크``를 통한 새로운 차원 수평적 관계의 새로운 공동체간 관계의 형성이라는 이념적 지향을 담고 있다. 오늘날 글로컬리즘에 대한 관심의 고조 현상은 세계화에 대응한 지역(지방)의 자율성에 대한 인식의 확대와도 조응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것은 지역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새로운 해석에 대한 욕구를 반영한다. 그러나 이러한 지역문화에 대한 관심은 산업화의 관점에 머물고 있을 뿐, 아직은 ``글로컬리즘`` 시대에 걸맞은 지역문화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새로운 가치의 창출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글로컬리즘에 의한 지역문화 개념을 새롭게 정립할 필요가 있다. 글로컬리제이젼을 문화학의 관점에서 재해석해 보면, ``글로컬리즘``이란 인간적 삶의 표현으로서의 문화가 생산되는 공동체로서의 지역을 바탕으로 하는 문화적 관계망을 의미하는 개념이 된다. 한마디로 ``세계적인 동시에 자국적인[지역적인] 공간``이 ``글로벌-로컬 공간``이며, 이러한 공간의 발전이 바로 ``글로컬리즘 공간``이다. 이러한 문화 공간을 해석하는 문화이론이 곧 ``문화-글로컬리즘``이다. 지역문화는 중앙과의 관계 속에서가 아니라 그 자체로서 독자적인 생산과 소비, 그 양자를 매개하는 유통의 문화공간으로 파악되어야 한다. 즉, 글로컬리즘의 관점에서는 민족문화에 있어서 지역문화의 자립화와 국제간 교류(세계화)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며 지역문화의 정체성을 민족문화의 범주를 뛰어넘어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각에서 우리는 현대 도시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다각적으로 파악하고, 도시문화의 실상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중심으로 세계 여러 도시문화의 비교 연구를 통해 다문화주의 또는 글로컬리즘 시대의 도시화, 즉 지역문화의 이상적 모델을 탐구할 수 있다. 오늘날 도시문화의 특징적 현상인 이주문화, 다문화 또한 글로컬리즘의 해석이 요구되는 지역문화 연구의 주요한 과제이다. The concerns about the local culture have grown rapidly since the local autocracy system began in the early 1990s in Korea. As a reflection of such a phenomenon, the concept of the glocalization or glocalism has widely spreaded so far recently in the academical society of Korea. The ``glocalization`` is a newly-coined word which was combined with both words,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The glocalization or the glocalism means that the today`s world has inclination to develop both the globalization and the localization which are quite different and contradicted each other in appearance. The glocalization or the glocalism was used as a business terminology at least before 1990, but it is used now also as a cultural or sociological concept explaining the new phenomenon which happens between the regions(local communities) nowadays. The ``Hanlyu``(the spread of the Korean styles) is often incited as one of examples which support such a view. The glocalization does not mean the parallel phenomenon of both the globalizaion and localization. It expresses a will to make the new formation of the horizontal relation between the local communities through the various information networks. In other word, it could be translated into the inter-local rel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inter-national relation. It is generalized more and more rapidly in a few decades. It is a cultural-social phenomenon internationally, but can not be identified with the cutural imperialism. Today the great concern about the glocalism demands the new recognition on the local culture. That is, we have to study and interpretate the local culture new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localism. Because the local culture is not the sub-culture subjective to the national or global culture, but it belongs to its independent category of the local culture itself from the viewpoint of glocalism. In short, the space of glocal cuture explained as a local space and a global space at same time. This explanation of cutural space, so-called ``the culture glocalism`` is supported by the culture theorist such as Ramond Williams and other theorists on cultural science. There are many examples which explain the glocal phenomenon of culture in the past pre-modern society as well as in modern or post-modern society. Through all the times the best example of the glocal cultural space is the city. As we know, the city has been and is now the symbolic space of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local communities. Especially, the open ports of the modern East Asia will be good examples of the research if we want to study the urban culture as a local culture at this time from the view of the glocalism. So, I suggest the joint research of culture, history, and the other social sciences about the he open ports of the modern East Asia, which will help us understand more deeply the phenomenon of the cultural glocalism in the 21th century.

      • KCI등재후보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지역교회의 과제

        조용훈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05 기독교사회윤리 Vol.10 N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sponsibility of the local church for the improvement of local culture. Local culture defined as a shared set of beliefs, customs, and ideas that held residents in a certain region together in self-identified groups. Local culture plays a key rol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and make a community. However, local culture in Korea has been destructed by Japanese rule, modernization, urbanization, and now threatened by globalization. As the inauguration of the local self-government 1995 in Korea, more 1,000 local cultural festivals as the highlight of local culture held in nationwide. But they have many problems like as commercialization, uniformization, and alienation of the residents etc. What is the tasks of the local church for the revival and improvement of local culture? First, we need the theology of the local church. A church is universal as well as local. Every Church is finding its place in the local culture and its congregation are mostly residents in a certain region. In this background, the branch church strategy for the church growth by a mega church is to be criticized. Second, we need the indigenization theology. Originally Korean culture stood apart from Christianity. For this reason there was conflict between Church and the local culture when Christianity was first introduced into Korea. Every local culture are rooted in traditional culture, we should make a great efforts to reconcile Christianity with the traditional culture and make harmony. Third, we need the theology of culture and the theology for culture. Culture is nothing but a means of evangelization by the church but also the missionary goal. Therefore we need to the theology that interpret the meaning of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gospel. And every church has to be equipped its members to take the responsibility of cultural mandate in this secular world. Last, we need the refine strategy for the culture mission of the church. The church should be open its material and human resources to the local community. And the finding and training the experts for the culture mission, the developing the historic and cultural site related to the Christianity, and the construction of the church building with an aesthetic value are included to the tasks of the local church.

      • KCI등재

        지역민속에 의한 지역문화 창출의 준거와 방향 -안동지역의 네 가지 민속문화를 중심으로

        임재해 국립민속박물관 2008 민속학연구 Vol.0 No.23

        지역민속을 자원으로 지역문화 창출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여러 지역을 대상으로 관념적 논의를 하는 것보다 구체적인 지역민속 자료로 지역문화 창출 사례를 다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연구자가 살고 있는 안동지역 민속 가운데 가장 두드러진 네 가지 민속, 곧 하회별신굿, 동채싸움, 놋다리밟기, 성주풀이 등을 중심으로 지역문화 창출의 준거와 방향을 논의하였다. 하회별신굿은 마을굿으로서 가장 작은 범주의 지역문화이되, 현재는 마을을 넘어 고을로, 다시 고을을 넘어 세계로 뻗어가고 있다. 그런데 처음부터 고을 단위로 전승되는 동채싸움과 놋다리밟기는 고을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한 채 지역축제에 공식적으로 연행되는 것이 고작이다. 성주풀이는 그럴 기회도 없다. 안동이 성주신앙의 본향이자 민족신앙의 구심점인데도 성주풀이는 지역문화답게 전승되지 않는다. 민족신앙은 죽어 있는데 마을신앙은 세계화되어 있는 것이 안동문화의 현실이다. 그러므로 지역문화 창출의 준거를 하회탈춤에서 찾을 필요가 있다. 하회탈춤은 탈과 탈춤, 마을이 제각기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어 상승효과를 내며, 하회탈춤의 상설공연과 공적인 연행 기회가 다양하게 보장되어 있다. 따라서 다른 민속도 문화재로 지정하고 그 민속이 공적인 연행이 지속되도록 해야 한다. 가장 전승력이 약한 성주풀이의 경우도 성주굿과 성주의 본향을 모두 문화재로 지정하고 성주신앙 박물관, 성주공원, 성주굿 축제를 통해 공적으로 성주풀이를 연행할 수 있게 되면 지역이 성주신앙의 메카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하회탈춤이 세계화되어도 지역문화 창출의 성공이라고 만족할 수 없다. 민속문화로서 본디 기능과 의미를 상실하고 있는 까닭이다. 전승자들이 본디 탈춤 정신은 이어받지 않고 형식과 기법만 전수하여 기득권을 누리는 탓이다. 따라서 지역 민속을 본디 모습대로 전수하는 데서 머물지 말고 본디 정신과 이치를 이어받아서 현대상황에 맞게 재창조해야 하며, 지역민속의 창조력을 바탕으로 우리 시대의 새로운 문화를 창출하는 데까지 나아가야 지역문화가 발전적으로 성장할 것이다. 그러므로 민속문화의 이치와 기능에 토대를 둔 지역문화 창출이 바람직하다. This study seeks to suggest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culture based on local folk customs. It is better, in this case, to deal with the issue using a specific material, rather than suggesting an abstract discussion in an attempt to cover various exampl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standards and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using the four folk cultures prevalent in the Andong area, where I reside: Hahoebyeolsingut, Dongchaessaum, Notdalibalgi and Seongjupuli. The Hahoebyeolsingut, a village rite of exorcism, belongs to the smallest category of folk culture. However, it is expanding itself to become a local culture, and even a form of global culture. On the contrary, Dongchaessaum and Notdalibalgi are local cultures, but they have yet to expand beyond their initial confines, and are only being officially performed in the local festivals. Seongjupuli does not even have such opportunities for display. Although Andongis the place of origin of the Sung-ju faith, and the center of faith, Seongjupuliis not inherited as a local culture. The present state of the Andongculture is that even as the faith of the people has died, the faith of the village has become globalized. Therefore, the cornerstone of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culture should be the Hahoebyeolsingut. There is a synergy effect with regard to the Hahoebyeolsingut, since the masks, the dance, and the village are all enlisted as national treasures separately. Also, the dance has been guaranteed to run on a continual basis, and in various official performances. Therefore, other folk cultures also have to be enlisted as national treasures, so that their performances can be guaranteed on an official and periodical basis. Seongjupuli has the weakest transmission rate of all the folk cultures being discussed here. But if the exorcism performance, and the locality of the origin of Sung-ju, are all enlisted as national treasures, then this becomes another matter. The impact of this would be even more significant if Seongjupuli is guaranteed to run on an official and periodical basis accompanied by such activities as the establishment of the museum of Sung-ju faith, the Sung-ju Park, and the Sung-ju exorcism performance festival. With all these efforts, the area can definitely develop into the Mecca of the Sung-ju faith. Globalization of the Hahoebyeolsingut should not in itself satisfy us. This is because it has lost its original function and meaning as a folk culture. Also, those who transmitted this culture, while they have inherited the form and technique of the dance, did not inherit the original spirit. Therefore, we should not stop at transmitting the original cast of the folk culture. Instead, we should strive to recreate it, having understood and absorbed its spirit, and adopt the present context. Only when we create our own new culture based on the creative power of the local culture, will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the local culture be truly possible.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should b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inner principles of the workings of folk culture.

      • KCI등재

        글로컬리즘과 지역문화연구

        홍순권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0 石堂論叢 Vol.0 No.46

        The concerns about the local culture have grown rapidly since the local autocracy system began in the early 1990s in Korea. As a reflection of such a phenomenon, the concept of the glocalization or glocalism has widely spreaded so far recently in the academical society of Korea. The ‘glocalization’ is a newly-coined word which was combined with both words,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The glocalization or the glocalism means that the today's world has inclination to develop both the globalization and the localization which are quite different and contradicted each other in appearance. The glocalization or the glocalism was used as a business terminology at least before 1990, but it is used now also as a cultural or sociological concept explaining the new phenomenon which happens between the regions(local communities) nowadays. The ‘Hanlyu’(the spread of the Korean styles) is often incited as one of examples which support such a view. The glocalization does not mean the parallel phenomenon of both the globalizaion and localization. It expresses a will to make the new formation of the horizontal relation between the local communities through the various information networks. In other word, it could be translated into the inter-local rel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inter-national relation. It is generalized more and more rapidly in a few decades. It is a cultural-social phenomenon internationally, but can not be identified with the cutural imperialism. Today the great concern about the glocalism demands the new recognition on the local culture. That is, we have to study and interpretate the local culture new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localism. Because the local culture is not the sub-culture subjective to the national or global culture, but it belongs to its independent category of the local culture itself from the viewpoint of glocalism. In short, the space of glocal cuture explained as a local space and a global space at same time. This explanation of cutural space, so-called ‘the culture glocalism’ is supported by the culture theorist such as Ramond Williams and other theorists on cultural science. There are many examples which explain the glocal phenomenon of culture in the past pre-modern society as well as in modern or post-modern society. Through all the times the best example of the glocal cultural space is the city. As we know, the city has been and is now the symbolic space of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local communities. Especially, the open ports of the modern East Asia will be good examples of the research if we want to study the urban culture as a local culture at this time from the view of the glocalism. So, I suggest the joint research of culture, history, and the other social sciences about the he open ports of the modern East Asia, which will help us understand more deeply the phenomenon of the cultural glocalism in the 21th century. 최근 학계에서는 글로컬라이제이션을 글로벌라이제이션에 대한 보완적 또는 대안적 현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이러한 ‘글로칼적인’ 세계화의 중요한 특징은 교류의 주체가 반드시 국가일 필요는 없으며 오히려 국가의 경계를 넘어서 지역단위 또는 개별 생산단위 주체간의 직접적인 교류가 확대된다는 데 있다. 이는 ‘지역의 자립’과 ‘지역과 지역간 네트워크’를 통한 새로운 차원 수평적 관계의 새로운 공동체간 관계의 형성이라는 이념적 지향을 담고 있다. 오늘날 글로컬리즘에 대한 관심의 고조 현상은 세계화에 대응한 지역(지방)의 자율성에 대한 인식의 확대와도 조응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것은 지역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새로운 해석에 대한 욕구를 반영한다. 그러나 이러한 지역문화에 대한 관심은 산업화의 관점에 머물고 있을 뿐, 아직은 ‘글로컬리즘’ 시대에 걸맞은 지역문화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새로운 가치의 창출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글로컬리즘에 의한 지역문화 개념을 새롭게 정립할 필요가 있다. 글로컬리제이젼을 문화학의 관점에서 재해석해 보면, ‘글로컬리즘’이란 인간적 삶의 표현으로서의 문화가 생산되는 공동체로서의 지역을 바탕으로 하는 문화적 관계망을 의미하는 개념이 된다. 한마디로 ‘세계적인 동시에 자국적인[지역적인] 공간’이 ’글로벌-로컬 공간‘이며, 이러한 공간의 발전이 바로 ’글로컬리즘 공간‘이다. 이러한 문화 공간을 해석하는 문화이론이 곧 ’문화-글로컬리즘‘이다. 지역문화는 중앙과의 관계 속에서가 아니라 그 자체로서 독자적인 생산과 소비, 그 양자를 매개하는 유통의 문화공간으로 파악되어야 한다. 즉, 글로컬리즘의 관점에서는 민족문화에 있어서 지역문화의 자립화와 국제간 교류(세계화)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며 지역문화의 정체성을 민족문화의 범주를 뛰어넘어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각에서 우리는 현대 도시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다각적으로 파악하고, 도시문화의 실상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중심으로 세계 여러 도시문화의 비교 연구를 통해 다문화주의 또는 글로컬리즘 시대의 도시화, 즉 지역문화의 이상적 모델을 탐구할 수 있다. 오늘날 도시문화의 특징적 현상인 이주문화, 다문화 또한 글로컬리즘의 해석이 요구되는 지역문화 연구의 주요한 과제이다.

      • KCI등재후보

        지방 문화예산 재정 분석을 통한 지방문화 발전방향

        김소형(Kim So Hyoung) 글로벌경영학회 2009 글로벌경영학회지 Vol.6 No.1

        21세기의 최고 부가가치 창출을 할 수 있는 것은 “문화산업(cultural industry)”이라는 말에서 알수 있듯이 현재 문화예술, 문화지식, 문화예술 창의성에 대한 의식의 전환이 일어나고 있다. 특히, 지방분권화가 이루어지면서 문화예술정책이 중앙정부에서 지방정부로, 국가차원에서의 예술발전에서 지역의 특성을 살린 문화예술 정책으로 변환되면서 문화예술이 지방발전과 대표산업이 될 것이라는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본 연구는 실제 지방자치단체에서 문화예술 분야의 재정이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사례분석을 통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원주지역의 2006년부터 2008년까지의 3년의 문화예술 재정분석을 통하여 지방의 문화예술 재정이 어떻게 운용되고 있는 지를 살펴보고, 원주, 청주의 2008년 자료를 비교하여 원주지역과의 차이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지원을 받은 문화예술단체의 재정실태를 알아보기 위해서 지방문화원의 세입 세출자료 비율 분석을 기반으로 하여 문화예술단체의 재정운용 현황을 추정해 보기로 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 첫째, 재정지원에 앞서 각 지역의 문화예술 장기적 계획의 필요성, 둘째, 지역문화예술인들의 의견 및 적극적 사업 참여, 셋째, 각 예산 사업에 대한 성과평가, 넷째 순수문화예술에 대한 기금 조성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로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하였기 때문에 실제 다른 지역과 일반화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또한 재정 투입자료만을 가지고 분석하여서 각 사업의 성과를 분석할 수 없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향후 연구는 각 지방자치단체의 자료 수집을 통해 문화예술의 재정적 운용의 통계적 분석이 이루어지고 공적자금의 투자 대비 효익을 분석해야 할 것이다. Culture is one of the essential parts in our daily lives as we refer to the modern society as The era of culture . In other words, the level of culture of a city or a nation is a core barometer of competitiveness and the basic factor for th national development. In particular, cultural interchange is regarded as a part of diplomacy as exchanges among nations are getting active. Far from the past when it was a more option as a quality of life, culture, nowadays, is becoming a must that shows the present and the future of a city and a nation. Likewise, culture is the one thing that its people and residents should have the right to enjoy and create as their own, In this regard, cultural promotion is the major agenda for three components:Government, citizens and corporations. Culture, in particular, is heavily influenced by local factors in that it spreads on the basis of traditional geographical features. We studied to research problems how local public finance used, and had cultural budget standard and so on. The research method was analyzed using local public finance data from 2006 to 2008 in wonju. And We compared with local public finance data in Chung-ju(2008). In Wonji, cultural budget provided a financial support to advance the specific items that invested a many revenue source. We were studied how local culture group depend on public finance and It was of 50% or more in whole budget. The result can suggest the following. First, Local government need to master plans of local culture and culture-industry. Second, local cultural budget will reflect an opinion of local culture-group. Third, Local culture items should be evaluated the performance about future effect of city, effect of next a generation and so on. Last, The fund creation of local culture will be necessary because the support will come to be few about traditional pure culture, considering an economic environment.

      • KCI등재

        중국 지역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지역축제 발전전략: 항저우시 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国际动漫节)을 중심으로

        오혜정,진기가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7 아태연구 Vol.24 No.1

        Recently, for regional activation through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each and every provincial government in China is developing and improving culture resource representing each city as well as lo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mong them, industrialization of ‘local culture’ utilizing ‘local culture content’ resource is playing a key role not only in developing local society but also maximizing economic value. Thus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industry is attracting a great deal of global notice as it can create high additional value in economics as well as highlight the local image in culture. Local festivals are being progressed with the local resources in the center, and in which traditional culture resources created and handed down in local historic correlation are festivalized. A local festival is a specific genre that industrializes local culture and the contents, and achieves various effects of improved image, enhanced infra-structure, and economic benefits to the hosting city. Expecting these various effects, each local government is planning and pushing forward a productive local festival every year with an events-focused tourism marketing. With a recent rapid growth of culture industries, China also has a high regard on culture in a view of local economic development. Culture is regarded as an important resource and element of local economic growth and each local has recognized to have a great potential to develop its culture industries with its profound culture resources. Therefore, this study has suggested concepts, and categorized and characterized culture resources in a local festival in an example of China Cartoon & Animation Festival, a representative of various local festivals with profound traditional culture resources in Hangzhou city, Zhejiang Province, a leading culture city of Yangtze River Delta Economic Rim. On the basis of categorization on this study, we can classify roles of local festivals & enterprises, local festivals & customers, local festivals & governments, suggest development strategies for local culture industries of Hangzhou city, and forecast its possibilities for constant progress. Furthermore, we can suggest activation plans for Korea-China Joint-produced Animations and policy support for their global market advance, and contribute to make the hands-on scheme of corporation. 지역문화산업의 변화 원인으로는 각 지역 환경의 변화뿐만 아니라 각 정부의 추진전략, 지역문화산업콘텐츠의 확대, 방송통신 수단의 발전에 따른 미디어혁명, 한류, 국내 문화산업의 성숙화 등이 있다. 이러한 지역문화산업의 변화는 지역재생, 지역발전의 활성화, 도시경쟁력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각 지역별로 추진하고 있는 지역문화산업 및 지역축제의 발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중국은 각 지역별로 다양한 문화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2000년대 이후 문화를 이용한 산업발전을 중시하기 시작하면서 현재 각 도시별로 다양한 지역축제를 선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강삼각주 경제권을 대표하는 문화도시로서 다양한 지역축제가 열리고 있는 저장성 항저우시의 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을 사례로 들어, 지역축제 문화자원에 대한 개념 제시 및 분류를 통해 그 특징을 서술하고 있다. 아울러 지역축제와 기업, 지역축제와 소비자, 지역축제에서의 정부의 역할로 분류하여 항저우시를 대표하는 지역문화산업의 발전전략 제시를 통해 항저우시의 지역축제에 대한 지속적인 발전 가능성을 전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지역문화예술교육 현황 및 정책 연구 : 창원시 문화예술교육을 중심으로

        유영재(Young-Jae Yoo)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20 사회융합연구 Vol.4 No.3

        지역문화예술교육 내실화 및 활성화 방안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창원시의 문화예술 프로그램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지역문화와 연계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지역문화예술교육의 질 제고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지역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문화예술교육강사와 수혜자의 인식 및 요구사항 등을 조사하였다. 지역 내의 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는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지자체의 내실 있는 운영 프로그램이 요구되고 있으나, 지금까지는 예술교육 사업현황과 효과 분석을 위해 진행된 설문조사는 전국이나 경남도 단위로 실시되어 지역 현황을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2018년에 실시한 창원시 문화예술교육강사, 수혜자 대상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지역문화예술교육의 효과, 문화예술 향유 및 활동,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개선사항과 지원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서 지역문화예술교육 실현을 위한 지역문화예술교육협의체의 필요성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지역문화예술교육강사의 처우 개선 및 연수, 지역을 연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예술 및 체험 프로그램,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예산 지원 등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는 창원시 문화예술교육 현황 및 정책 연구라는 점에서 향후 지역문화콘텐츠를 활성화하고, 지역문화예술 정책 논의에 기여할 것이다. To internalize and promote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terest and demand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are increasing. There are various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programs, and policies are being promo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quality of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by identifying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and artistic programs in Changwon City and suggesting ways to link them with the local culture. For this purpose, the recognition and requirements of the instructors and beneficiarie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were researched. Although substantial operation programs of local governments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are required at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sites in the region, surveys conduct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effectiveness of arts education projects have been held nationwide or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which made it difficult to figure the current status of the region.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conducted in 2018 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structors and beneficiaries in Changwon, this study looked at the effects of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cultural and artistic enjoyment and activities, and improvements and support measures to promote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is led to the need for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council and suggested approaches such as improvement and training of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structors, development of regional education programs, needs of arts and experience programs, and budget support for promoting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Given that this is a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and policie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Changwon, it will promote local cultural contents in the future and contribute to discussions on local culture and arts poli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