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형서점에 나타난 복합문화공간의 플랫폼화 특성 연구

        윤지효 ( Yoon Jihyo ),윤재은 ( Yoon Jaee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오프라인 서점들은 온라인 서점의 확장에 위기를 맞게 되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했다. 이는 대형서점들의 복합문화공간으로의 변화로 이어졌다. 대형서점들은 사회적 트렌드를 반영하고 해외의 모범적 사례들을 벤치마킹하여 책 판매공간에서 벗어나 다양한 시설들과 복합화를 이루게 되었다. 또한, 소비자 중심의 사회문화적 플랫폼으로 거듭나기 위해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에 발맞추어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사회에 나타난 복합문화공간의 사회적 특성을 바탕으로 대형서점의 공간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분석을 통해 대형서점에 나타난 복합문화공간의 플랫폼화 특성을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대형서점의 개념과 공간적 인식을 고찰했고 이론적 고찰을 통해 대형서점에 나타난 문화적 공간요소들을 도출했다. 이후 연구의 명확성을 위해 플랫폼의 정의를 정리했고, 공간플랫폼의 기능 및 유형 정리를 통해 플랫폼화 요소들을 추출했다. 추출된 요소들을 통해 대형서점의 분석요소로 사용하고 복합문화공간의 플랫폼화 현상을 분석했다. (결과) 서울 내 규모가 가장 큰 지점인 교보문고 광화문점, 교보문고 강남점, 영풍문고 종로본점, 아크앤북 시청점을 각각 세 가지 공간 유형으로 나누어 플랫폼화 현상 분석을 진행했다. 그 결과 대형서점 및 복합문화공간은 절대적 공간이 아니라 플랫폼화 요소들이 서로 연결되고 확장되는 공간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복합문화공간의 플랫폼화 현상에 대해 국내 대형서점을 중심으로한 선행연구와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사례분석을 진행하여 플랫폼 공간의 문화적 가치와 공간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플랫폼요소들은 개별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연관되어 있기에 복합문화공간을 계획할 때는 정형화된 절대성과 공간의 단절을 피하고 가능성, 우연성, 확장성 등을 열어 두어야 한다. 대형서점에서 나타난 플랫폼화 요소들을 비슷한 경향으로 재구성하여 문화적 플랫폼화 특성인 비확정적, 비제약적, 탈영역적 공간성을 발견했다. 비확정적 공간성은 절대적 공간과 여기에 포함된 유무형의 요소들이 다양한 기능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계속해서 변화하는 것이다. 비제약적 공간성은 다른 분야와 융복합을 이루고 이를 시도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인 진화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뜻한다. 탈영역적 공간성은 경계를 없애 열린 공간을 조성하고 사용자들을 유도하여 교류를 증진시키는 특성을 나타낸다. 앞으로 계획되는 대형서점을 포함한 복합문화공간은 이러한 플랫폼적 요소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열린 공간의 가능성을 생성시키는 공간이 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expansion of online bookstores has created a crisis for offline bookstores, which requires a solution. This led to the transformation of large bookstores into complex cultural spaces. Large bookstores reflected social trends and benchmarked exemplary overseas cases, leading to complexization with various facilities beyond the book sales space. In addition, it actively reflects consumer lifestyles to become a consumer-oriented sociocultural platform. Keeping pace with this phenomen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arge bookstores based on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platformization characteristics of complex cultural spaces that appear in large bookstores. (Method) This study considers the concept and spatial perception of large bookstores through prior research, and derives cultural spatial elements that appeared in large bookstore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Subsequently, it defines the platform and extracts the elements of platformization using the function and type arrangement of the spatial platform. The study uses the extracted elements as the analysis elements for a large bookstore, and examines the phenomenon of platforming a complex cultural space. (Results) This study divided the largest branches in Seoul, Kyobo Bookstore in Gwanghwamun, Kyobo Bookstore in Gangnam, Yeongpoong Jongno Main Bookstore, and Arc & Book in City Hall, into three types of spaces to analyze the phenomenon of platformiz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large bookstores are not absolute spaces, but spaces where platform elements are connected and expanded. (Conclusions)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cultural value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platform space by conducting case analysis based on prior research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centered on large domestic bookstores on the platformization of complex cultural spaces. As platform elements do not appear individually but are related to each other, when planning a complex cultural space, it is necessary to avoid the standardized absoluteness and disconnection of space, and to consider possibility, contingency, and expandability. By reconstructing the platform elements that appeared in large bookstores with similar tendencies, I discovered indeterministic, unconstrained, and post-regional spatial characteristics of cultural platformization. Indeterminate spatiality is the absolute space and the tangible and intangible elements contained therein are constantly changing to accommodate various functions. Unconstrained spatiality refers to a space where continuous evolution occurs in the process of achieving convergence with other fields. Post-regional spatiality creates an open space by removing boundaries and promotes exchange by inducing users. In the future, complex cultural spaces including large bookstores are expected to become spaces that create possibilities of open spaces by actively utilizing these platform elements.

      • 실내 온도 분포를 고려한 대공간 부하계산 방법

        명제민(Je Min Myoung),송두삼(Doo Sam Song) 대한설비공학회 2017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7 No.6

        In a room with a high level of indoor floor height, the temperature difference is more severe than the difference between the vertical temperature in an office or a residential area. This phenomenon is called temperature stratification. This phenomenon causes airflow due to temperature difference in one space. Especially, the phenomenon becomes more serious as the floor space is higher, which causes difficulties in indoor air conditioning. In the case of the large space, the residential area occupied by the people occupies a smaller area than the space, and the load is calculated more than necessary if the air space load of the large space is calculated by using the existing load calculation method. This increases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In this study, we compare the load calculated by the method using the calculation method complemented with the thermal characteristics of the large space and the large space calculated through the conventional load calculation method by simulation.

      • KCI등재

        대공간의 기계배연 시스템에 대한 설계 및 수치해석적 분석

        김정엽,안찬솔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5 No.5

        Because of extended floor height in large space, smoke generated in fire would possibly reach to hundreds of thousands CMH and more difficulty in limiting the smoke than normal building requires effective smoke control system design and operation for a large space. In this study, design of mechanical smoke control for a large space was carried out based on existing design standard with regard to large space model and numerical analysis was also carried out using 3D numerical analysis method. Numer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while changing flow rate of mechanical exhaust, which was followed by analysis of the result. As a result of implementing the design by incorporating major design factors including thickness of smoke layer, heat release rate, mass flow rate of plume, air supply velocity, maximum flow rate per exhaust outlet and minimum distance between exhaust outlets, total exhaust flow rate was calculated as 527,459 CMH when building height was 25 m and heat release rate of steady state was 5,275 kW. And the less the exhaust flow rate, the lower the smoke layer height and higher the smoke layer temperature. 대공간은 높은 층고로 인해서 화재시 연기 발생량이 수십만 CMH에 달할 수 있으며, 연기의 국한화가 일반 건물에 비해 어렵기 때문에 대공간에 효과적인 연기제어 시스템의 설계와 운영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대공간 규모의 해석모델에 대해서 현재 제시되어 있는 설계기준을 근거로 대공간의 기계배연 시스템에 대한 설계를 수행하고, 3차원 수치해석 기법을 활용하여 설계안에 대한 수치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설계안의 배연량을 변경해 가며 수치해석을 수행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기층 두께, 발열량, 플럼의 질량유량, 공급공기의 속도, 배기구 1개당 최대유량 및 배기구간 최소거리 등의 주요 설계인자를 반영하여 설계를 수행한 결과 대공간의 건물높이가 25 m이고 정상성상의 발열량이 5,275 kW인 경우 전체 배연량은 527,459 CMH로 계산된다. 그리고 기계배연 시스템에 서 배연량이 감소하면 연기층 높이가 낮아지고 연기층의 온도가 상승한다.

      • KCI등재

        국내 대형 백화점 내 옥외 휴게 공간 디자인 구성 요소 분석

        이미연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3

        The department store clearly shows the identity of the department store and leaves the memory for the consumer. The average person has the most memories of entering and leaving the space. In other words, the space itself, where the consumer goes, has a great influence. The rest area of the department store is divided into indoor and outdoor, and these two spaces can present different charms to consumers. Among them, the outdoor rest area has a larger area than the indoor rest area, and there are various points that can have different charms from the indoor rest area, so we will try to find ways to attract consumers. Based on this, this study was able to consolidate the total of four large department stores located in the top ranking by integrating the sales ranking and the area ranking centering on the outdoor spaces in large domestic department stores. Among the spatial design elements, the three types are analyzed as space-limited elements (1st), spatial modification elements (2nd), and behavioral elements (3rd), and then surveys are conducted based on this to re-analyze the opinions preferred by consumers. And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As a result, in the space-limited element (1st), the porcelain material part of the floor part, the LED facility in the space modification element (2nd), and the behavioral element (3rd) are visually achromatic, naturally friendly, warm atmosphere, and olfactory Was found to prefer comfort, aural comfort, and tactile comfort. The satisfaction of the outdoor rest space in the department store was all seen as normal. Other opinions are not found unless there is a big promise, or because you can see opinions that are not interested in outdoor rest areas, you need to increase the attention and use of the place by applying content or marketing techniques that fit the trend. It is judged. Through this study, we hope that it will be the basis for planning outdoor rest spaces in department stores, and we hope that it will become a large-scale distribution retail store that is always evolving. 백화점은 그 백화점만의 아이덴티티를 뚜렷이 보여주며 소비자에게 기억을 남겨준다. 보통 사람은 그공간에 들어서기 전과 들어섰을 때의 기억이 머릿속에 가장 남는다. 즉, 소비자가 다니는 그 공간 자체가 큰 영향을 미친다. 백화점의 휴식 공간은 실내와 실외로 나뉘게 되는데 이 두 공간은 소비자들에게 각각 다른 매력을 선사할 수 있으며 표현될 수 있다. 그 중 실외 휴게 공간은 실내 휴게 공간 보다면적이 넓고 실내 휴게 공간과는 또 다른 매력을 느낄 수 있는 점들이 다양하기 때문에 소비자들을 끌어들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국내 대형 백화점 내 옥외 공간을 중심으로 매출 순위와 면적 순위를 통합하여 상위 순위에 위치하는 대형 백화점 총 4개를 속출할수 있었다. 공간 디자인 구성 요소 중 공간 한정 요소(1차), 공간 수식 요소(2차), 행위적 요소(3차) 로 세 유형들을 분석한 뒤 이것을 토대로 설문 조사를 실시해 소비자가 선호하는 의견들을 재분석하여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결과적으로 공간 한정 요소(1차)에서는 바닥부분 중 포세린 재질 부분, 공간 수식 요소(2차)에서는 LED시설물, 행위적 요소(3차) 시각적으로는무채색계열에 자연친화적이고 따뜻한 분위기, 후각적으로는 쾌적함, 청각적으로는 평온함, 촉각적으로는 편안함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백화점 내 옥외 휴게 공간 만족도는 모두 보통으로 볼수 있었다. 기타의견으로는 크게 약속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찾아지지는 않는다거나 옥외 휴게 공간에 무관심한 부분이 나타났었기 때문에 트렌드에 맞는 콘텐츠나 마케팅 기법을 적용시켜 그 장소의주목성과 이용도를 높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백화점 내 옥외 휴게 공간 계획에 있어 기초가 되길 바라며 늘 발전하는 대규모 유통 소매점이 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주거단지 조성에 있어서의 공공녹지계획의 특징에 관한 기초연구 -일본 타마 뉴타운의 공공녹지체계를 사례로-

        염성진 ( Sung-jin Yeom ) 한국환경과학회 2018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7 No.8

        In order to address housing issues, alleviate the concentration of urban populations, and resolve other issues regarding residential spaces, large residential complexes have been developed in Korea since the 1970s. The changes to the residential culture due to such development projects propagated rapidly, making the apartment complexes the most representative form of housing in Korea. In developing such large-scale complexes, plans for public open space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formulating the quality of residential environment, have been mostly the same, only utilizing the spaces remaining after planning other types of spaces. The current study looks at the case of Tama New Town development project, a Japanese new town development project that has a similar public open space system in large scale residential complex development projects in Korea. In doing so, the current study aims to identify the features of public open space plans. In the conclusion, the study first finds that various public open spaces must be reviewed and introduced in term of predicting social demands. Second, the study suggests the policy-makers should actively introduce pedestrian paths as a public open space. Third, the study deduces the planning implications of applying the principle of original landscape preservation.

      • KCI등재

        설계 쟁점에 따른 한국 대형 공원 설계의 비판적 분석

        박선희,배정한 국토연구원 2013 국토연구 Vol.76 No.-

        Since the 2000s, a number of large parks have constructed in Korea. These large parks work like infrastructure in urban field. Then, how to design the large parks? As part of the answer to this question, this study proceeds that the following discussion. First, this study derives the three concepts as design issues of a large park: publicity, ecology, aesthetics. Through the large parks design, designers intend to restore and expand the value of the publicity of the park. And they intend to integrate the city and ecosystems. Besides, they overcome the limits of traditional aesthetics of the park. If so, how these design directions appear in the actual design? In order to do this, this study analyzes the design competition winners for the leading three large parks that occurred in Korea. These competitions are as following: Ttukseom Forest Park Design Competition(2003), International Design Competition for Central Open Space in Multi- 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2007), and International Competition for Master Plan of the Yongsan Park(2012). As a result, large parks suggest a new role to the space of parks. The large parks designs transformed a park to an operated and organic space. However some problems have found in designs, so designers should review it. In addition, due to a new strategy of large parks, the intrinsic function of the park is overlooked. So recovering the intrinsic function of the park is required. 2000년대 이후 한국의 도시에는 다수의 대형 공원이 계획˙조성되었다. 이들 대형 공원은 도시와의 관계 속에서 기반시설처럼 작동한다. 그렇다면 대형 공원은 어떻게 설계되는가? 본 논문은 이에 대한 답의 일환으로 먼저 공공성, 생태, 미학이라는 세 가지의 설계 쟁점을 도출하였다. 대형 공원 설계에서는 공원의 공공성 가치를 회복하고 확장시키고자 한다. 또한 도시와 생태계를 통합하고, 전통적 공원 미학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그렇다면 이러한 설계 방향은 실제 설계에서 어떻게 구체적으로 나타나는가? 본 논문은 ‘뚝섬 숲(안) 조성 현상공모(2002)’, ‘행정중심복합도시 중앙녹지공간 국제 설계공모(2007)’, ‘용산공원 설계 국제공모(2012)’의 수상작들을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대형 공원은 공원의 역할에 새로운 좌표를 제시했다. 각각의 설계안들은 공원을 도시 내에서 보다 작동적이고 유기적인 공간으로 만들고자 했다. 그러나 다각도에서 설계상의 한계가 나타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지속적인 피드백이 필요하다. 한편, 대형 공원 설계에서 간과되는 일상적이고 사소한 공원 본연의 역할을 되돌아보게 된다. 공원의 본질적인 역할과 가치에 대한 재검토를 통해 공원 설계의 성숙한 진화를 모색해야 한다.

      • KCI등재

        온라인의 등장으로 인해 변화한 체험적 관점에서의 오프라인 상업공간 역할 연구

        이원정,박서준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9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 of offline space that can not be replaced by online space and to suggest the role of the design in physical space, especially commercial space. The Amazon Books offline store and Tsutaya bookstore Daikanyama were selected as an example, and the analytical model was created using Bernd N. Schmit’s ‘Experience marketing theory’ and Christian Mikunda’s ‘The third place the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pace in which various experiences occur at the same time is called the ‘Holistic Experience’ space where the experience marketing and the third space share the same goals. In both presented cases, ‘Concept Line’ characteristic appeared strongly in the space where the holistic experience occurred. The ‘Concept Line’ is related to the brand image of the target company in relation to the visitor. Therefore, commercial offline facility have advantage over online by providing a brand image of the company through a design based on ‘Holistic Experience’ and establishing a new relationship with the visitor, not simply for designing for sale.

      • 사례조사를 통한 대공간의 열환경 분석에 관한 연구

        정성진(Seong-Jin Jeong),윤해동(Hae-Dong Yun),변운섭(Woon-Seob Byun) 대한설비공학회 2009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9 No.-

        Recently, the size of Large Space has been gradually enlarg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because they’re used not only for indoor events, but also for various outdoor sports, for example, baseball or soccer. Therefore, there are more demands for developing indoor environment control technology to establish indoor thermal-environment which is proper for different events held in Large Space. This study aims at offering some basic data which can be referred to as the construction guide for the full-scaled construction of Large Space in Korea by arranging the matters to be attended to in designing, and controlling technologies for efficient Large Space design.

      • KCI등재

        대형 공공도서관의 보이드 공간 계획 특성

        문은미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8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7 No.6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esign of void spaces in public libraries today which activates public spaces as they combine with original programs in them. As they are built as the large scaled complexes of cultural and public facilities, public libraries tend to have void spaces which act as central attraction to provide spectacle and symbolic identity to visitors. As case studies, the study analyzes the design characters of these void spaces in five recent built and internationally well-known public libraries, Amsterdam Central Library, Stuttgart City Library, Library of Birmingham, Tianjin Binhai Public Library, and Qatar National Library. The study finds the followings as the results. First, the void spaces are designed in three forms, the plaza style, the corridor style, and the theater style. Although these three forms identify characters of void spaces of the libraries, they tend to merge into one void space as the size of the library becomes big. Second, the void spaces in space composition have the single layout style, the central layout style, and multi-layout style. The single layout style is found in the big sized library, while the central layout style tends to combine with vertical open space in the middle of the library. Third, the void spaces of the libraries have the functions of transition, congregation, and connection. The void spaces tend to be inner plazas and corridors where visitors transfer from public domain to private domain and from dynamic space to static space. The void spaces are also a large single space where visitors find ways as well as meet various book stacks and reading spaces in the libraries as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new technology of media and interfaces. The void spaces often shape like theaters with stages in the centers and stepped reading areas in the edges. Public libraries, today, have huge void spaces with bold and strategic design. Thus they build public domain in-side and combine book stacks and reading area in the spac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ypology and the design character of the void spaces in public libraries and suggests new design approaches of the libraries in current speedy technological and social changes. 오늘날 대도시의 도서관은 대표적인 문화시설이자 공공시설로 대형화, 복합화 되면서 마치 쇼핑몰이나 복합상업시설처럼 대형 보이드 공간이 적용된 사례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방문자들에게 흥미로운 스펙터클을 제공하는 입체적인 보이드 공간은 도서관 고유의 프로그램과 유기적으로 통합됨으로써 현대도시의 공공영역으로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도서관의 상징적 중심이자 공공 영역인 보이드 공간의 역할과 중요성을 이해하고 도서관에 적용되는 보이드 공간의 계획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문헌조사를 통해 도서관에 적용되는 보이드 공간의 개념과 역할을 조사하여 도서관의 보이드 공간을 광장형, 가로형, 극장형 세 가지 유형으로 정의하였다. 최근 10년 이내에 완공된 공공도서관으로 국제적인 지명도가 있는 건축가가 설계한 암스테르담, 슈투트가르트, 버밍엄, 천진 빈해 공공도서관과 카타르 국립도서관, 5개관을 대상으로 보이드 공간에 대한 사례조사와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공공도서관 보이드 공간 계획의 특성을 아래와 같이 요약하였다. 첫째, 도서관은 광장형, 가로형, 극장형 특성을 가지는 중심적인 보이드 공간에 도서관 고유의 정체성을 표현한다. 도서관의 보이드 공간은 서가와 열람공간으로 둘러싸여 경계를 형성한다. 둘째, 보이드 공간은 이용자가 순환하거나 관통하면서 책과 열람석으로 둘러싸인 개방적이고 연속적인 실내경관의 변화를 체험하도록 보이드 공간의 형태와 배치를 구성한다. 셋째, 도서관의 보이드 공간은 출입구 홀과 로비, 계단, 에스컬레이터 등 이용자의 동선이 집중되는 공공영역뿐 아니라 열람, 서가, 미디어 영역을 포함하여 대형화, 단일화 특성을 보인다. 정보를 저장하고 검색하는 미디어의 종류와 인터페이스 방식의 변화는 주제별로 여러 층에 분산되었던 서가와 열람공간을 개방된 보이드 공간 안으로 통합시킨다. 이는 도서관에서 정적, 사적 영역으로 간주되었던 서가와 열람공간이 사회적 교류와 정보의 교환을 포괄하는 보다 공적인 영역으로 유입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넷째, 보이드 공간은 가장자리를 따라 배열된 일련의 계단식 열람석이 마치 극장의 객석처럼 보이드 중심을 내려다보도록 배치하는 극장형 공간 특성을 가진다. 보이드 공간의 중심은 원형극장, 어린이 공간, 문화유적, 물과 빛 등 도서관의 지역적, 문화적 특성을 표현하는 상징 요소를 배치하고 있다. 다섯째, 도서관의 보이드 공간은 도서관 출입구에서 연결되는 실내광장이나 실내가로의 특성을 가지며 보이드 공간을 경계로 공적 영역에서 사적 영역, 동적 영역에서 정적 영역으로 전환되는 전이적 특성을 가진다. 오늘날 공공도서관에서 보이드 공간은 대담하고 전략적으로 공공영역을 구축하고 있으며 서가와 열람석을 통합하여 도서관 고유의 공간 특성을 부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에서 보이드 공간의 유형과 계획특성을 제시하여 급속한 환경변화에 직면하고 있는 향후 도서관 공간계획의 방향을 제시했음에 의의를 가진다.

      • 체험요소에 의한 대형서점의 문화 공간 조사

        리금희(Li, Jin-Ji),김남효(Kim, Nam-Hyo),김주연(Kim, Ju-Yeo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4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1

        Recently, the bookstores of small and medium scaled business have been difficulty discontinued due to the advent of online bookstore business market. There are several attempts have been made to the marketing strategy for the activation with large bookstores. In this study, we researched the activation by combined the experienced factors with ‘Pine & Gilmore’ theory for the cultural space in large bookstores. The selected cases located in Seoul were analyzed both extracted and classified by experiential factors appeared the cultural space in large bookstores. From the result, the cases have been designed and enabled to improve all of the cultural and experience space. But, they would not clearly done the representation with a main concept as the cultural space, that have been introduced and performed only in small individual space status. The list of results from this survey should be configured to put the emphasis on a particular cultural space forming the atmosphere,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experience the local culture and history factors applied for the activation of a large bookstore. In the future, the experiential elements should be considered complex planning with four aspects at the same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