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미동포 아동의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한 한국학 기반 문화 교육

        이정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5 한국어 교육 Vol.26 No.2

        The essence of Korean Culture Education for Korean-American Children is to instill an identity of a Korean-American. The priority should be given to develop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gain comparative perspectives through learning both Korean culture and American culture. In order for this to transpire, Korean culture education needs to be based on authentic Korean contents, and there is also a necessity for a curriculum that incorporates elements of Korean studies with American culture. In particular, since culture education is aimed for young children, it needs to be motivating and provoke cultural curiosity in children. Furthermore, appropriate cultural items need to be selected for students in order for them to relate with emotionally. In this study, the aim was to suggest a ‘Culture Education based on Korean Studies to develop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recommend ways to improve educational content and methodologies. The study proposed contents for a school curriculum fit for a 32 week curriculum at local Korean Language Schools. In particular, the proposed contents can be applied to class activities, such as Korean fairy tales, folk songs, traditional games which allow for a comparative perspective of Korean and American culture. In turn, this will allow heritage children to properly recognize the commonalities and cultural differences of the Korean and American local culture, and improve cultural sensitivity to act appropriately in each culture.

      • KCI등재

        한국계 미국인에게 교육출세론의 의미: 결사적 동기로서 역설적 신화

        오욱환 한국교육학회 2011 敎育學硏究 Vol.49 No.4

        Korean Americans have successfully attained grade, test score, college admission and graduation. And they do their business well without making any trouble. Therefore they are glorified as ‘model minority.’ However, they have not been able to translate their academic achievement into equivalent occupational prestige and earnings. American labor market is segmented by race and ethnicity. Taking unfriendly circumstances into consideration, Korean American parents have pushed their children to get ahead through excellent educational achievement. The parents have channeled their children’s life course to get some prestigious jobs. Therefore, their children cannot plan their own future and seem to be a scapegoat of symbolic violence. Unfortunately, the children do not have any sound alternatives which are necessary to assert their own rights for designing future. Because impressively-achieved Korean economic growth and social development have greatly raised the citizens’ standard of living, Korean Americans cannot set their living standard off to the advantage. Korean Americans’ situation is turning urgently if they want to show their successful American life, which has been necessary to keep their pride and elated face. Nowadays early study abroad has boomed in Korean society. Many young Koreans are coming to the United States to study with affluent financial capital and cultural capital. Their conduct makes Korean Americans upset. Korean American parents and children should compete with American Whites, Blacks, Spanishes, other Asians, Koreans staying for early study abroad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ns in Korea. This kind of situation urges Korean Americans to obsess over getting-ahead through education. 한국계 미국인들은 ‘모범 소수민족’으로 부추겨지고 있지만 인종과 민족에 의한 차별을 피할 수는 없다. 이들은 높은 학력과 성취동기를 가지고 미국으로 이주했지만 구조적 불평등을 극복하는 데 한계를 느낀다. 그렇지만 이들은 개인적 자존심과 민족적 우월감을 고수하면서 자녀들의 교육과 출세에 몰입한다. 이들은 자녀들에게 탁월한 교육적 성취를 통해 재산과 명예가 보장되는 직업을 갖도록 촉구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교육과 출세는 인과적으로 연결된 철칙처럼 강조된다. 한국계 부모들의 자녀교육열을 더욱 가열시키는 조건들이 최근 추가되고 있다. 압축적 경제 성장으로 한국 국민들의 생애기회가 아주 높아짐에 따라 미국 시민으로서의 생활이 더 이상 돋보일 수 없게 되었다. 여기에 더하여 미국에서의 학력과 학벌을 쉽게 획득하려는 조기유학이 성행하면서 희생과 헌신을 바탕으로 하는 한국계 미국인 부모들의 자녀교육열이 빛을 잃어가고 있다. 한국계 미국인 부모들은 (1) 흑인들과 히스패닉계를 제치고 백인들을 따라잡기 위해, (2) 아시아계 소수민족들을 따돌리기 위해, (3) 조기유학으로 미국의 학력과 학벌을 쉽게 취득하려는 한국인들과 차별화되기 위해, (4) 한국에 거주하는 친·인척들과 친구들에게 체면이 구겨지지 않기 위해 자녀교육에 더욱 몰입하고 있다. 이 때문에 그 자녀들도 결사적 동기를 가지고 교육출세론이라는 구속과 자유가 동반된 역설적 신화를 쫒고 있다.

      • KCI등재후보

        한국계 미국인 교수의 영어회화 수업의 장애요인

        김양희(Kim Yaung hee),박종원(Park Chong wo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대학에서 레포츠과학부를 전공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어회화를 지도하는데 있어 한국계 미국인 교수가 직면하는 어려운 점들을 탐구하였다. 주된 연구방법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적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한국계 미국인 교수 1명과 영어회화를 수강하는 레포츠과학부 전공 신입생 2명이다. 레포츠과학부를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영어회화를 지도할 때 직면하는 어려움에 대하여 원어민 교사의 인식이나 생각을 영어회화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와의 심층 면담을 통해 주로 도출하였다. 지지하는 증거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해당 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두 명의 학생에 대한 추가 면담을 실시하였다. 주 자료는 면담을 통해 확보하였고 Nvivo 2를 사용하여 코딩을 하고 분석을 하였다. 영어회화 학생 지도의 어려움에 관하여 사회문화적 (10.5%), 심리적(16.4%), 제도적(35.2.4%), 언어적 요인(37.6%)의 네 가지 상위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연구 참여자들은 이러한 요인들을 영어회화의 주요 장애요인으로 지목하였다. 이러한 요인들 중에서 특히 영어회화를 담당하고 있는 원어민 교수는 언어적 요인의 하부 노드인 단어지식의 부재를 결정적인 요인으로 지목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에서 레포츠과학부 전공 학생들을 지도하는 원어민 교사나 교재개발자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difficulties of a Korean-American Teacher in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to the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taking an English Conversation class. The study followed a qualitative case study approach. Participants were one Korean-American teacher and her two physical education students in a freshman English Conversation class. The primary sources of data were collected from a series of in-depth interviews of the teacher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about her perceptions and ideas concerning difficulties when she teaches the English Conversation to the physical education majoring students. After the teacher's interviews, interviews with two students were also conducted to validate the findings from the teacher interviews. These data were coded and analyzed via Nvivo 2. Emerged patterns, which later were developed into themes, are sociocultural, institutional, psychological, and linguistic facto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nominated these factors as obstacles in teaching and learning to speak English. Among these factors, the teacher voices the lack of the ability of word knowledge as one of the most dominating factor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provided for the native-speaker teachers teaching physical education students and the textbook developers in a Korean university setting.

      • KCI등재

        해외 대학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의 방향성 - 중남미 지역을 중심으로 -

        김지형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9 외국어교육연구 Vol.3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 대학의 한국어 및 한국학 교육과정 설계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중남미 지역 대학의 한국어․한국학 교육 현황을 조사․분석하였고, 한국어 관련 학과가 개설된 주요 대학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시사점과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안적 한국어 교육과정으로서 한국어와 한국학이 연계되는 교육과정 설계를 제안하였고,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온라인 한국어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온라인 교육과정이 갖는 장점을 일곱 가지로 정리하여 그 특징을 보이고자 하였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direction of curriculum design in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at universities overseas. It looks into how the universities in Central and South America teach the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and analyses the curricula of the universities that offer a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or its analogies. Based on the research and analysis, the study identifies what to improve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ose universities. As a result, the study suggests designing the curricula of the courses by connecting the Korean language with Korean studies as an alternative to the established ones. This study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nline education curriculum with seven advantages.

      • KCI등재

        태평양전쟁기 미국유학생 임창영의 독립운동과 한인교육재단 설립

        윤종문(Yoon, Jong Mun)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2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 No.78

        본 연구는 태평양전쟁기 미국유학생 임창영의 독립운동과 전후 재건방안의 특징을 살폈다. 미국유학은 임창영의 인생에서 일대 변곡점이었다. 1930년 3월 평양숭실전문학교를 졸업한 그는 학교 교장이었던 조지 새년 맥큔의 도움을 받아 미국유학을 갈 수 있었다. 9월부터 펜실베니아주 이스톤에 소재한 라파엣대학에서 신학을 배웠다. 1941년에는 프린스턴대학교 정치과에 진학하였으며, 1943년과 1946년에 정치학 석사, 박사를 받았다. 임창영은 한국의 독립을 위해 뛰었다. 1937년 9월 뉴욕에서 중국후원회에서 상무위원으로 미국 연방정부를 대상으로 對韓 무기원조, 미국에 거주하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일화배척을 주장했다. 그리고 중국에서 일본을 상대로 전쟁을 벌이고 있는 중국인들을 지원하는 활동을 했다. 1942년 워싱턴 D.C.에서 열린 ‘한인자유대회’에 참여했다. 여기서 미국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국 독립의 필요성을 환기시켰다. 임창영은 1944년 5월부터 주미외교위원부가 한국 독립과 전후 국가건설을 준비하고자 협찬회를 조직하자 교육부장을 맡았다. 그가 교육부장을 맡은 것은 이후 전개할 미국유학 청원 활동과 연관있는 것이다. 임창영은 1944년 10월 ‘한인교육재단’을 만들었다. 미 연방정부는 한국독립운동가들이 요구하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승인을 들어주지 않을 것이라고 결론내렸다. 이에 방향을 돌려 독립이후 한국 재건에 필요한 전문인력 양성 방안에 관심을 돌렸다. 전후 한국에 필요한 과학자, 기술자 등을 미국에서 양성해야 한다는 취지에서 한인교육재단을 설립했다. 미국에 유학 중인 한인 학생, 미주한인 1.5, 2세대들을 대상을 미국 고등교육기관에서 전문분야 훈련을 시켜야 하며, 여기에 필요한 비용은 연방정부가 제공해 줄 것을 요청했다. 미 연방정부는 예산부족의 이유로 임창영의 요청을 거절했다. 임창영의 구상은 실천되지 못했지만, 해방 전후 다수 인사들이 독립에만 관심을 보이고 있을 때 독립 이후 한국 재건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전문인력 양성을 구상하고 준비했다는 것은 분명 남다른 구석이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ning Liem’s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post-war reconstruction plan during Pacific War. His study in the U.S. was a truning point in his life. He graduated from Pyongyang Soongsil College in March 1930. He went to America to study with the help of George S. McCune, the Pyongyang Soongsil College’s principal. He studied theology at Lafayette College in Easton, Pennsylvania since September. In 1942, he had studied Department of Politics University of Princeton. He had received his MA and Ph.D in Politica Science in 1943 and 1946. Channing Liem had running for Korea’s Independence. In September 1937, he served as a member of a standing committee of The China Aid Society in New York. He had claimed Arms Aid to Korea to the U.S. Federal Government, boycott against Japanese goods to citizens living in the U.S.. He was active in supporting the Chinese in the war against Japan in China. In 1942, he participated in the ‘Korean Freedom Conference’ held in Washington D.C. He reminded the American citizens of the need for Korean independence. The Korean Commission organized a Sponsorship Committee to prepare for Korea’s independence and post-war national construction in May 1944. He served as the Minister of Education in the Sponsorship Committee. This was related to the petition for studying in the United States to be developed later. Channing Liem had established American Foundation for Korean Education in October, 1944. He concluded that the US federal government would not grant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pproval that Korean independence activists demanded. He turned his attention to ways to shape the professional manpower required for Korea’s reconstruction after Independence. American Foundation for Korean Education was established with the goal of nurturing scientists and engineers necessary for Korea after the war in the United States. He insisted that Korean American students studying in the United States, 1.5 and second-generation Korean Americans, should be trained in a specialized field at an America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He asked the federal government to provide the necessary expenses for this. The US federal government rejected Liem’s request due to lack of budget. His ideas were not put into practice. After independence, when many people were only interested in independence after liberation, it was clearly different that they planned and prepared the professional manpower absolutely necessary for Korea’s reconstruction after independenc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미국 초등학생의 한국 민속무용 학습경험에 관한 의미 찾기

        김정하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19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7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s of Korean folk dance targeting overseas schoolchild of cultural diversit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by understanding and researching the learning experiences in Korean folk dance targeting the fifth graders of J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the city of Hilo, Hawaii in the United States. The Korean folk dance lesson was applied to total 20 fifth graders(single class) of J elementary school in Big Island, Hawaii in the United States, for 12 weeks from January to May 2018.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meanings of learning experiences in Korean folk dance of Americ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tal six categories were drawn such as 1) communication with a new culture, 2) a new perception of Korea, 3) slow, but highly-absorbing dance, 4)a beautiful dance when performed together, 5) Pleasure to continuously dance, and 6) a dance making body and mind healthy. The results of this study verified that the Korean folk dance was a positive factor on overseas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vitalizing the perception of Korean folk dance targeting overseas adolescents based on such positive effects of Korean folk dance. 본 연구는 미국 초등학생들이 한국 민속무용 학습을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이해하고 탐구하여 문화다 양성과 다문화교육관점에서 해외 초등학생에게 한국민속무용의 교육적 의의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미국 하와이주 빅아일랜드 J 초등학교 5학년 1학급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2018년 1월부터 5월까 지 12주 동안 한국민속무용 수업을 적용하다. 미국 초등학생의 한국 민속무용 경험의 의미를 질적 연구방 법으로 접근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6개의 범주의 결과로 나타났다.1) 한국의 전통 문화와의 만남 2) 함께 해야 더 아름다운 춤 3) 몸과 마음이 건강해지는 춤 4) 느리지만 몰입이 강한 춤 5) 계속 춤추고 싶은 즐거움 6) 새로운 문화와의 소통 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 민속무용이 해외 초등학생에게 긍정적인 요인을 확 인하으며, 이러한 한국 민속무용의 긍정적인 효과는 폭넓은 세계 문화의 이해와 소통하는 로컬 인재를 위한 세계화 시대에 초등학생을 위한 한국 춤의 방향과 다문화교육으로써 무용교육의 과제에 미미하나마 바 람직한 향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해 보며 해외 청소년에게 한국 민속무용을 인식시키는 활성화 실행에 대한 기초자료로써 제공되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변화하는 대중음악 교육 환경에 있어 한국 재즈학의 위치와 의미론에 관한 성찰

        김 책 한국대중음악학회 2018 대중음악 Vol.- No.22

        본고에서는 오늘날 한국의 음악교육 환경의 교과서, 교과과정, 범교과에 있어 점진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대중음악에 관한 총체적 연구가 개진되기에 앞서, 재즈학(Jazz Studies)이란 용어의 개념적, 맥락적 쟁점들을 선결문제로서 성찰해보고, 이를 교육과 문화 전달이라는 일반론적 테제들과 연관지어 다루어야 할 지점이라는 것을 우리 음악 사회에 설득하고자 했다.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벌어지는 재즈학과 관련된 이론적 개념과 쟁점들을, 2장 한국 재즈의 역사와 기원, 3장 위치와 정체성, 4장 즉흥연주 관습이라는 사회문화적 쟁점을 각론으로 구성하여 음악교육학적 연구질문들을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본 논문에서는 오늘날 한국의 음악교육 환경에 있어 재즈학, 광의에 있어 대중음악을, 기존의 소위 서양 고전 낭만음악 위주의 커리큘럼에서 비교적 등한시되던 즉흥연주, 디아스포라, 문화접변, 그리고 대중음악, 아프리칸아메 리칸음악 등 다양한 타자의 음악문화라는 함의를 포용할 수 있는 적실성 있는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and reflect the conceptual, contextual issues of Korean Jazz studies as a prerequisite questions before holistic researches on popular music in general which is facing a radical rapid and super competitive challenges recently. Reaching the moment to persuade korean society to build general theory structures surrounding these issues, the contents are dealing with the theoretical concepts and issues on the 2nd chapter: The epoch and history of Korean Jazz, The 3rd chapter: Location and Identity of Korean Jazz, The 4th chapter: Improvisation customs in contemporary korean music society. And this article also is recommending to revaluate the characteristic agents of Jazz and popular music(diaspora, acculturation, improvisation, music as a multicultural expression) -which used to be defined as counter form of authentic western fine art music- as a promising cultural resources for future generation’s music education in genera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