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수와 사회정의: 마가복음 11:15-17

        이태호 ( Tae Ho Lee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2 성경과신학 Vol.61 No.-

        예수님의 성전 정화사건은 사복음서에 모두 나오는 매우 중요한 사건이다. 또한 마가복음을 보면 이 사건 후 바리새인들과 사두개인들이 예수님을 죽이려고 모의를 시작했다는 기록이 나올 정도로 중요한 사건이다. 그렇다면 이사건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었기에 이들이 예수님을 죽이려고까지 했을까? 전통적으로 학자들은 예수님의 성전에서의 행동이 성전을 정화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전통적인 견해에 따르면, 예수님은 성전의 바깥 뜰에 있는 상업적 행위가 예배의 내적이고 영적인 것을 방해하기 때문에 분노하신 것이다. S.G.F Brandon은 예수는 성전행동을 통해 실제로 종교적 귀족계급을 혁명적으로 공격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E, Lohmeyer는 예수님의 성전사건은 이스라엘의 배타성에 대하여 반대한 것으로 생각한다. 많은 학자들은 예수님의 행동은 성전의 파괴를 의미하는 상징적 행동이라고 생각하는데 이것에는 예수님의 행동이 종말론적 메시아적 행동이라는 견해와 선지자적 행동이라는 견해 그리고 비 메시아적 종말론적 행동이라는 3가지 견해가 있다. 또한 어떤 학자들은 예수님의 성전행동은 성전제사제도의 종말을 나타낸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렇듯 예수님의 성전행동에 대하여는 학자들 간에 하나의 확립된 견해가 없다. 따라서 성전정화사건을 기록하고 있는 마가복음의 구절을 자세하게 해석하여 그 의미를 확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당시를 연구한 문헌에 의하면 그 당시에는 성전체제에 의하여 운영되는 억압적인 경제제도가 존재했다. 성전이 경제활동의 중심으로 자리 잡고유대 팔레스틴의 경제를 지배하였는데 그 체제는 가난한 자들에게 불리한 제도였다. 백성들은 과중한 세금에 시달렸고 빚더미 속에서 신음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지배체제의 중심에 대제사장과 그 가문이 존재했다. 대제사장들은 성전 내에 상점들을 소유하고 있었으며 성전경제제체의 직접적인 수혜자였다. 그래서 그 당시에는 이러한 압제에 대항하는 여러 번의 대중적 메시아 운동과 대중적 선지자운동이 일어났었는데 이 운동들의 목표는 선지자적인 정의를 회복하는 것이었다. 매매자를 쫓아내고 환전상의 테이블과 비둘기 판매상의 의자를 뒤집어엎으며 손에 무엇을 들고 다니는 것을 금하는 네 가지 행동을 하신 후에 예수님은 이사야 56:7과 예레미아 7:11의 말씀을 하셨는데 이것은 모두 선지자적인 정의의 개념을 보여주는 것이다. 더더군다나 이 행동이 유월절전야에 일어난 것도 이스라엘이 이집트의 압제로부터 벗어난 날이 유월절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따라서 예수님의 성전정화사건을 보는 가장 그럴듯한 시각은 예수님의 성전정화사건이 전체적인 성전체제의 부정의와 이것을 희생제사로 덮으려는 것에 대한 선지자적이고 메시아적인 상징적 행동이라고 보는 것이다. 예수님이 보여준 선지자적인 정의의 개념, 즉 가난한자에 대한 돌봄과 억압에 대한 저항, 비폭력적 행위 그리고 집단으로부터 배제됨에 대한 저항은 오늘날 우리에게도 깊은 의미를 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오늘날 교회가 과연 예수의 가르침을 올바로 따르고 있는지에 대한 반성이 필요하다. 최근 한국에서는 정의론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그것은 그만큼 한국사회가 정의에 대하여 목마르고 정의롭지 못한 사회라는 반증이다. 우리 주님이신 예수님은 무엇보다도 정의를 주장하며 정의를 위하여 사신 분이다. 이러한 예수님을 따라 정의로운 사회를 위하여 정의의 복음을 전파하고 실천하는 교회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것이 마가복음 11:15-17까지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이다. Jesus` Temple action is important for understanding his death. Most scholars agree with the assertion that Jesus` death was caused by his Temple action. Therefore,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this Temple action will clarify Jesus`` mission with respect to Israel and make his execution intelligible. However, there is no scholarly consensus about the meaning of Jesus`` Temple action. Some scholars assert that Jesus cleansed the Temple, and others think that Jesus` action in the Temple was a symbolic demonstration of the Temple`s destruction. Some scholars assert that Jesus tried to occupy the Temple. Why did Jesus come into the Temple precinct, casting out sellers and buyers, overturning the table of the money changer, and prohibiting carrying something? Traditionally many scholars have called Jesus`` Temple action "cleansing" because they think Jesus cleanses or purifies the Temple. S.G.F. Brandon asserted that Jesus was in effect attacking the sacerdotal aristocracy with his disciples and crowd. E. Lohmeyer thought that Jesus`` action in the Temple opposed the exclusiveness of Israel. J. D. G. Dunn and Ben Witherington III argue that the cleansing was eschatological in nature, performed with the conviction that the Temple had to be made ready for its eschatological function in a renewed Zion. Other scholars think that Jesus pronounced the oracles and parables of judgment against the ruling institutions of Jewish Palestine, the Temple, and the High Priesthood. G. Bornkamm, E. Chavez, and W. Stegemann think that Jesus`` action in the Temple signifies the end of the Temple sacrificial system. There is no single convincing argument to interpret Jesus`` action in the Temple. Therfore, I think that the best strategy to find the meaning of Jesus` action in the Temple is to interpret the Markan passages in the first century Mediterranean context using social scientific modeling. There was an oppressive economic system operated by the Temple hierarchy in the first century Palestine. Because of this environment, there were popular prophetic and messianic movements that aimed for the restoration of the prophetic justice. In this context, we can analyze Jesus` four actions and the sayings of Jesus at the Temple. Driving out Sellers and Buyers, Overturning the tables of money changers and chair of dove sellers, and prohibiting carrying something in the temple were actually attacks on the injustice of monopoly and unjust gain of temple authority because all activities in the temple were organized by temple authorities.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Jesus` four actions in the Temple show his prophetic justice motive very well. After doing these four actions, Jesus proclaimed the word. Jesus` saying was a combination of Isaiah 56:7 and Jeremiah 7:11. My argument is that these two passages both have a common theme: prophetic justice. Isaiah 56:1-8 and Jeremiah 7:1-15 are about prophetic justice. One more important clue is that Jesus did his action in the Temple at the Passover. The annual Passover festival in which the people celebrated God`s liberating from oppressive foreign rule became a flash point for potential protest against Roman domination during the first century. In conclusion, Jesus made a symbolic prophetic action against the Temple because of its breach of prophetic justice and its religious cover-up. Jesus`` four actions in the Temple show his criticism against the injustices of the Temple system based upon his theme of prophetic justice. Jesus`` citation of Isaiah 56:7 and Jeremiah 7:11 have a common theme of prophetic justice. Finally, the time of Passover was the time of covenant, liberation, and justice. Justice was not a minor subtheme for Jesus. Jesus not only emphasizes love but also justice. Korean conservative churches too much emphasize love, forgiveness, and blessing. However, Jesus our Lord also emphasizes justice, which gives us new direction to go.

      • KCI등재

        예수와 여성

        정기문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3 동국사학 Vol.54 No.-

        According to the attitude of ancient people women were unclean, vicious and malicious, inferior to men. So they were kept in their habitats and prohibited from participating in public life. As the Jews of the time of Jesus generally shared this attitude, they didn’t allow any public role to women. Since second century the established Christianity also had this attitude. It regulated women as source of evil and relegated them to an inferior position in the world. But recently scholars who have deep interest in the history of women have published many works. These works suggested that the women of the early Christianity had more higher position than generally acknowledged. Furthermore they played public role in the church. For example they were leaders of household churches, and preached in the pulpit. This paper placed high value on these works and reexamined the role of four women who helped greatly Jesus, and made attempts to give them new meaning. First, Mary, the mother of Jesus was generally regarded as a silent being who played no role after giving birth to Jesus. But according to the Gospel of John she was an active leader of Jesus. When Jesus hesitated to show himself to the world, she advised Jesus to make water into wine. This advice was an active act to give Jesus strong stimulus to play his role in the world. Second, a Samaritan woman gave Jesus a cup of water. Then she asked Jesus the right place in which one ought to worship God. As Jesus replied the right answer, she realized Jesus was Christ and said to Samaritans the fact. So she made clear that the role of Messiah was to abolish the boundaries among nations, and Jesus was the very Messiah. Third, Mary, the sister of Lazarus was an intelligent women. When Jesus taught the gospel she participated actively in hearing his saying. When Jesus was to accomplish his final mission, that is the Passion, she poured an expensive perfume on Jesus’ feet and wiped his feet with her hair. According to Matthew, an women poured an expensive perfume on Jesus’s head. I think this woman is the very Mary, the sister of Lazarus, and her pouring was crowning Jesus King of Jews. Fourth, Mary Magdalene was a companion of Jesus when Jesus lived. As Jesus was crucified all his male disciples fled away. But she attended Jesus at his death, came to the Jesus’s tomb, and met the resurrected Jesus before any disciple. This means Jesus regarded her the most important disciple. In sum women played important roles in decisive moments of Jesus Life. Jesus allowed them to take charge of public roles. Therefore the attitude of Jesus on Women was very different from that of later Christians. 최근 여성과 기독교의 관계를 연구하는 대부분의 학자들에 따르면 예수는 결코 여성에 대해서 부정적인 태도를 취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여성에게 중요한 역할을 부여함으로써 여성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수립하려고 했다. 이런 연구에 의하면 예수는 여성을 가르치고, 여성에게 기적을 베풀고, 여성의 질병을 고쳐주고, 여성을 하느님 나라 운동에 적극 동참시킴으로써 고대 세계에 만연하였던 성적 차별을 철폐하고자 했다. 이렇게 여성의 입장에서 예수와 초기 기독교를 바라보려는 새로운 시각이 대두되고 자리 잡아가고 있다. 이 논문은 예수의 인생에서 여성이 갖는 의미를, 예수가 여성에게 취했던 태도뿐만 아니라 여성이 예수에게 끼친 영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즉 예수가 여성에게 일방적으로 영향을 끼친 것이 아니라 예수와 여성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다는 관점을 수립하고자 시도하였다. 그 결과 네 명의 여성이 예수의 일생과 사역을 적극적으로 이끌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는 일반적으로 예수를 출산 한 후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는 침묵하는 존재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그녀는 예수의 활동을 적극적으로 이끌었다. 그녀는 예수가 세계에 자신을 내세우는 것을 주저할 때, 물을 포도주로 만들라고 권고하였다. 예수는 이 권고를 받고 비로소 세상에 자신의 권능을 알리기 시작하였다. 예수는 사마리아 우물가에서 한 여인을 만났다. 그녀는 예수가 그리스도라는 것을 깨달았고, 또한 하느님을 예배하는 데 있어서 장소가 중요하지 않다는 사실을 선포하게 하였다. 이는 예수의 사역이 유대의 울타리를 벗어나 보편적인 성격이 있음을 널리 알리는 일이었다. 따라서 사마리아의 여인은 예수로 하여금 그의 사역이 온 세계에 미친다는 것을 알리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나자로의 누이인 마리아는 예수의 발에 비싼 향유를 붓고 그녀의 머리카락으로 예수의 발을 닦았다. 마리아의 이 행위는 예수를 유대의 왕으로 임명하는 대관식에 해당한다. 마태복음의 저자가 마리아가 예수의 머리에 향유를 부었다고 진술한 것이 이 행위의 성격을 명확히 규정한다. 막달라 마리아는 예수가 살아있었을 때 그의 동반자이었고, 예수가 부활했을 때 최초로 그를 만났다. 그녀는 예수의 남성 제자들보다 더 높은 권위를 가지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결론적으로 여성들은 예수 생애의 결정적인 순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녀들은 예수를 적극적으로 이끌고, 인정하고, 도왔다. 그녀들의 도움을 받으며 예수는 그의 사역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예수의 출생에 대한 고찰

        정기문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4 동국사학 Vol.56 No.-

        I examined the sources that appeared in the New Testament on Jesus’ birth and lineage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and historical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There are three candidates for the birthplace of Jesus, Bethlehem, Nazareth, Samaria. Typically the most preferred birthplace is Bethlehem, the authors of Matthew and Luke argued so. I concluded this thesis is false by three reasons. First, Mark didn’t say so. Second, because Bethlehem was prophesied as the birthplace of the Messiah in the Old Testament, Matthew and Luke chose it in terms of theology. Third, almost all people who lived in the period of Jesus thought Jesus was from Nazareth. The thesis that Jesus was from Samaria is based on the statements of the Gospel of John. Many Samaritans who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of Jesus after the death of Jesus became key members of Johannine community. They claimed that Jesus was from Samaria. Therefore this thesis is a theological makeup. The claim that Jesus was a descendant of David don’t have any historical ground. If someone had claimed that he was a descendant of David, he would have lost his life. Because the rulers of Israel were not descendants of David, they would kill those who claimed the lineage of David. The descendants of David didn’t live any longer in the period of Jesus. Some people including the authors of Matthew and Luke thought Jesus as a descendant of David. But this thesis is a theological makeup. Considering other sources of early Christianity, we could confirm this fact. Mark and Pauline epistle gainsaid the argument. Also the fact that many people thought Mary was a descendant of David in 1-2century showed us that the genealogy of Jesus was not fixed but fluid.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 lineage of Jesus is an artifact. 예수의 출생과 혈통을 파악하는 것은 초기 기독교를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지 못하였다. 비판적인 태도를 견지하는 학자들이 예수의 출생과 혈통은 너무나 신화적인 것이라고 쉽게 단정하고, 깊은 논의를 진행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예수의 출생지와 혈통을 비판적 관점으로 재구성하고자 시도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먼저 신약 성경에는 예수의 출생지 후보지로 베들레헴, 나자렛, 사마리아가 나온다. 일반적으로 가장 선호되는 출생지는 베들레헴이지만, 이는 마태복음과 누가복음의 저자가 만들어낸 허구이다. 예수의 출생지는 나자렛으로 판단되는데, 사복음서에서 모두 예수가 나자렛 사람이라고 불렸는데, 나자렛이 작고 신학적으로 무의미한 도시였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예수의 출생지를 조작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예수가 베들레헴에서 출생했다는 이야기는 신학적인 이유에서 창작된 것으로 판단되는데, 베들레헴이 메시아의 출생지로 구약에 예언되어 있기 때문이다. 마태복음과 누가복음이 전하는 베들레헴 출생설에 대한 설명이 상이할 뿐만 아니라 두 복음서보다 먼저 쓰인 마가복음에 베들레헴 출생에 대한 암시가 전혀 없다는 사실이 이를 입증한다. 한편 예수가 사마리아 사람이었다는 주장은 예수 사후 기독교 운동에 참가한 사마리아 사람들이 만들어낸 이야기라고 생각된다. 이런 이야기가 존재한다는 것은 초기 기독교 시절에 예수의 출생지가 명확히 고정된 것이 아니라 유동적이었음을 의미한다. 예수가 다윗의 후손이었다는 주장은 역사적으로 성립하기 힘들다. 예수 사후에 예수의 혈통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는데, 시기적으로 일찍 기록된 마가복음과 바울 서신은 그렇게 생각하는 자들에게 ‘틀렸다’는 메시지를 분명히 보냈다. 그렇지만 예수를 다윗의 후손이라고 생각하는 신자들이 존재했으며, 그들은 예수의 족보를 만들어서 예수가 다윗의 후손이라고 주장하고자 하였다. 그런 노력은 여러 사람에 의해서 다양하게 진행되었다. 이 사실은 마태복음과 누가복음의 족보가 상이한 것, 예수의 혈통을 아버지인 요셉 쪽으로 계수할 것인지, 아니면 마리아 쪽으로 계수할 것인지에 대해서 이견이 있었다는 사실에서 확인된다.

      • KCI등재

        예수와 성전

        정기문 ( Jung Gi-moon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5 서양고대사연구 Vol.41 No.-

        신약 성경에 성전에 대한 예수의 태도 세 가지가 관찰된다. 먼저 예수는 당시의 여느 유대인과 다름없이 예루살렘 성전의 제사에 정기적으로 참여하였다. 그는 태어난 지 8일 만에 성전에서 할례를 받았으며 죽기 직전에도 유월절을 기념하여 성전을 순례하였다. 이는 예수가 예루살렘 성전과 그곳에서 행해지는 의례를 당연한 것으로 여겼음을 보여준다. 예수가 이런 태도를 취했던 것은 역사적으로 ‘사실’일 가능성이 높다. 그의 제자들이 성전과 성전 의례를 당연한 것으로 여겼음이 확실하기 때문이다. 예수는 또한 성전의 정화자이었다. 그는 예루살렘 성전에 올라가 성전에서 장사를 하고 있는 상인들의 탁자를 엎어버렸다. 최근 예수의 성전에 대한 문제 제기를 ‘정화’가 아니라 파괴를 상징하는 것으로 보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 주장은 예수와 성직자들의 대립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데서 나온 오류이다. 예수는 성직자들이 백성들을 착취하는 것을 안타까워했으며, 특히 가야파가 성전 제사에 쓰일 제물 판매소를 올리브 산에서 성전 내로 옮긴 것을 반대했다. 예수의 성전 정화 사건은 이 맥락에서 보아야한다. 마지막으로 예수는 성전 파괴 예언자이었다. 그는 묵시종말론을 신봉했고 ‘그 날’이 오면 메시아가 오셔서 부패하고 타락한 성전을 허물고 완벽한 새로운 성전을 지을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 파괴는 장차 올날에 이루어질 것이지 지금 당장 이루어질 것은 아니다. 그 날이 오기까지 현실 성전은 존중받아야 하며, 그 안에서 어떤 문제점이 있으면 정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수는 성전의 존중자이고, 정화자이며, 동시에 파괴자이었다. If Jesus were the founder of Christianity, he would try to abolish Judaism. According to this view Jesus was expected to demolish the Temple of Jerusalem because it was considered to be a pillar of Judaism. The saying of Jesus, “Destroy this temple, and I will raise it again in three days” in the New Testament seems to support this view. But the issue was not so simple because there are three aspects of Jesus’ relationship to the temple. First, Jesus went periodically to the Temple and observed the rituals of the Temple. Furthermore he accepted the Temple and the rituals as normal and valid in teaching the people. Therefore Jesus respected the temple in the traditional manner. Second, Jesus cleansed the Temple. At the end of his life, Jesus entered the Temple. He overturned the tables of the money changers and the benches of those selling doves. Sanders viewed the purpose of Jesus in this accident as a symbolic demonstration of the obsoleteness of the Temple. But as Chilton pointed out, some of the contemporaries of Jesus also tried to cleanse the Temple. While they did violently criticize the Temple, they did not deny the validity of the Temple. We should interpret the actions of Jesus in the Temple in light of this respect. He wanted to clear the Temple of the corruptions of priests and traders. Third, there is an image of Jesus as a destroyer of the Temple. He said, “Not one stone of the Temple here will be left on another. Every one will be thrown down.” I think this prophecy was authentic. But some of Jesus' contemporaries misunderstood what he said about the Temple. They thought Jesus was threatening to destroy the Temple. The reason for their misunderstanding is that Jesus predicted the end of the world would be very imminent. Therefore the three aspects of Jesus to the Temple were not contradictory but complementary.

      • KCI등재

        연구논문 : 예수와 여성

        정기문 ( Gi Moon Jung ) 동국사학회 2013 동국사학 Vol.54 No.-

        최근 여성과 기독교의 관계를 연구하는 대부분의 학자들에 따르면 예수는 결코 여성에 대해서 부정적인 태도를 취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여성에게 중요한 역할을 부여함으로써 여성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수립하려고 했다. 이런 연구에 의하면 예수는 여성을 가르치고, 여성에게 기적을 베풀고, 여성의 질병을 고쳐주고, 여성을 하느님 나라 운동에 적극 동참시킴으로써 고대 세계에 만연하였던 성적 차별을 철폐하고자 했다. 이렇게 여서의 입장에서 예수와 초기 기독교를 바라보려는 새로운 시각이 대두되고 자리 잡아가고 있다. 이 논문은 예수의 인생에서 여성이 갖는 의미를, 예수가 여성에게 취했던 태도 뿐만 아니라 여성이 예수에게 끼친 영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즉 예수가 여성에게 일방적으로 영향을 끼친 것이 아니라 예수와 여성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 받았다는 관점을 수립하고자 시도하였다. 그 결과 네 명의 여성이 예수의 일생과 사역을 적극적으로 이끌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는 일반적으로 예수를 출산 한 후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는 침묵하는 존재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그녀는 예수의 활동을 적극적으로 이끌었다. 그녀는 예수가 세계에 자신을 내세우는 것을 주저할 때, 물을 포도주로 만들라고 권고하였다. 예수는 이 권고를 받고 비로소 세상에 자신의 권능을 알리기 시작하였다. 예수는 사마리아 우물가에서 한 여인을 만났다. 그녀는 예수가 그리스도라는 것을 깨달았고, 또한 하느님을 예배하는 데 있어서 장소가 중요한지 않다는 사실을 선포하게 하였다. 이는 예수의 사역이 유대의 울타리를 벗어나 보편적인 성격이 있음을 널리 알리는 일이었다. 따라서 사마리아의 여인은 예수로 하여금 그의 사역이 온 세계에 미친다는 것을 알리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나자로의 누이인 마리아는 예수의 발에 비싼 향유를 붓고 그녀의 머리카락으로 예수의 발을 닦았다. 마리아의 이 행위는 예수를 유대의 왕으로 임명하는 대관식에 해당한다. 마태복음의 저자가 마리아가 예수의 머리에 향유를 부었다고 진술한 것이 이 행위의 성격을 명확히 규정한다. 막달라 마리아는 예수가 살아있었을 때 그의 동반자이었고, 예수가 부활했을 때 최초로 그를 만났다. 그녀는 예수의 남성 제자들보다 더 높은 권위를 가지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결론적으로 여성들은 예수 생애의 결정적인 순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녀들은 예수를 적극적으로 이끌고, 인정하고, 도왔다. 그녀들의 도움을 받으며 예수는 그의 사역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다. According to the attitude of ancient people women were unclean, vicious and malicious, inferior to men. So they were kept in their habitats and prohibited from participating in public life. As the Jews of the time of Jesus generally shared this attitude, they didn`t allow any public role to women. Since second century the established Christianity also had this attitude. It regulated women as source of evil and relegated them to an inferior position in the world. But recently scholars who have deep interest in the history of women have published many works. These works suggested that the women of the early Christianity had more higher position than generally acknowledged. Furthermore they played public role in the church. For example they were leaders of household churches, and preached in the pulpit. This paper placed high value on these works and reexamined the role of four women who helped greatly Jesus, and made attempts to give them new meaning, First, Mary, the mother of Jesus was generally regarded as a silent being who played no role after giving birth to Jesus. But according to the Gospel of John she was an active leader of Jesus. When Jesus hesitated to show himself to the world, she advised Jesus to make water into wine. This advice was an active act to give Jesus strong stimulus to play his role in the world. Second, a Samaritan woman gave Jesus a cup of water. Then she asked Jesus the right place in which one ought to worship God. As Jesus replied the right answer, she realized Jesus was Christ and said to Samaritans the fact. So she made clear that the role of Messiah was to abolish the boundaries among nations, and Jesus was the very Messiah. Third, Mary, the sister of Lazarus was an intelligent women. When Jesus taught the gospel she participated actively in hearing his saying. When Jesus was to accomplish his final mission, that is the Passion, she poured an expensive perfume on Jesus` feet and wiped his feet with her hair. According to Matthew, an women poured an expensive perfume on Jesus`s head. I think this woman is the very Mary, the sister of Lazarus, and her pouring was crowning Jesus King of Jews. Fourth, Mary Magdalene was a companion of Jesus when Jesus lived. As Jesus was crucified all his male disciples fled away. But she attended Jesus at his death, came to the Jesus`s tomb, and met the resurrected Jesus before any disciple. This means Jesus regarded her the most important disciple. In sum women played important roles in decisive moments of Jesus Life. Jesus allowed them to take charge of public roles. Therefore the attitude of Jesus on Women was very different from that of later Christians.

      • KCI등재

        예수 복음의 기원 - 마가복음 1:9-11 주해와 역사적 진정성 증명 -

        신현우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13 신약연구 Vol.12 No.3

        The apostolic proclamation that the crucified Jesus is the Messiah(Acts 2:36) is the hard-core essence of the cannonical Gospels(Mark 1:1, 15:39;John 20:31). It is the Gospel which the apostles proclaimed(Acts 5:42). What is the origin of this Gospel of Jesus? Why Jesus, though he recognized his own Messianic identity, accepted his death on the cross? Mark 1:9-11shows us that God revealed to Jesus that Jesus is the Messiah who is to suffer for his people. According to the voice of God, Jesus is the beloved Son of God, with whom God is well pleased. The usage of the expression ‘the Son of God’(in Ps 1:2, 7, Mark 14:61, 4 Ezra 7:28 etc.) shows that it refers to the Messiah. God’s ‘beloved Son’reminds us of Jer 31:20, where Israel as God’s beloved son is promised to experience the new exodus and the new covenant(Jer 31:16-17, 21, 31-33). This intertextual connection indicates that Jesus as Messiah and representative of Israel will provide his people with the long awaited new exodus and covenant. The expression ‘be well pleased with’is reminiscent of Isa 42:1, where the servant of God is said to be well pleased with by God. Since Jesus is said to be well pleased with by God, Jesus is this servant of God who will suffer for his people (Isa 53) though he is at the same time the Son of God, i. e. the kingly Messiah of Ps 2:7. When Jesus was baptized by John the Baptist, God revealed to Jesus his Messianic identity and his mission for the new exodus and covenant through the way of the suffering servant of God. This revelation explains why Jesus,though he recognized his own glorious Messianic identity(Mark 8:29; 14:61-62), ironically accepted the humiliating suffering. Therefore, the apostolic Gospel (that the crucified Jesus is the Messiah) originates from God’s revelation which combines the kingly Messiahship with the suffering servantship in Jesus.

      • KCI등재

        예수는 견유 철학자이었는가?

        정기문(Jung Gi-moo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8 역사문화연구 Vol.68 No.-

        역사적 예수에 대한 다양한 의견 가운데 20세기 말에 가장 주목을 받았던 견해는 그가 견유학파 스승이었다는 주장이다. 이 견해는 예수를 신적인 존재로 보는 기독교의 견해는 물론 예수를 종말론자로 파악해왔던 기존 시각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것이었다. 이 견해는 20세기 후반 독일의 초기 기독교 연구 대가인 타이센(Gerd Theissen)이 본격적으로 그 가능성을 제시한 이후 북미에서 역사적 예수 연구를 주도하고 있는 ‘예수 세미나’, 그리고 국제 Q 프로젝트 회원 다수로 부터 폭 넓은 지지를 받고 있다. 특히 역사적 예수에 대한 3세대 연구를 주도하고 있는 버튼 맥과 크로산이 이 견해를 널리 알리는데 공헌하였다. 또한 이 견해는 최근에 발견된 토마복음, 그리고 20세기 후반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Q 복 음의 지지를 받고 있다. 따라서 예수가 견유학파의 스승이라는 주장이 어떤 맥락에서 제기되었으며 그 근거는 과연 타당한 것인지 깊이 숙고 해 보는 일은 역사적 예수의 실체에 다가가는데 있어서 중요한 과제이다. 이 논문은 이런 문제 의식을 가지고 예수 견유 철학자론의 전개 과정을 살펴보고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버튼 맥을 비롯하여 예수가 견유철학자였다고 주장하는 다수의 학자들은 예수가 묵시종말론자가 아니였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예수 는 세례 요한의 제자였는데 그가 묵시종말론자였다는 것을 부정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리고 예수의 제자들이 세운 예루살렘 교회가 묵시종말론을 신봉했다는 사실은 바울의 글을 통해서 확인된다. 이렇게 예수의 스승과 제자가 모두 묵시종말론자였다면 예수를 묵시종말론자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예수가 견유학파이었는지를 측정할 수 있는 또 다른 지표로 제시할 수 있는 것은 그가 사회에 대해서 어떤 태도를 취했는가이다. 리프 바지나 버튼 맥은 예수가 대안 없이 비판과 냉소를 일삼는 묵시종말론자의 전형적인 태도를 보여주었다 고 주장했다. 그러나 버튼 맥 자신이 예수에게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는 모습을 관찰 할 수 있다고 주장했으며, 크로산은 예수의 하느님 나라 운동이 철저한 평등 지향적 대안 사회를 추구했다는 것을 인정하였다. 더욱이 예수는 공동식사를 통해서 추종자를 결집시킴으로써 사회 운동을 전개하였다. 바로 이 때문에 그를 추종하는 기독교 신자들이 생겨난 것이다. 이 점에서 예수는 결코 사회를 사시(斜視)로 바라보며 기이한 행동을 일삼는 견유학파 철학자이기보다는 새로운 세 상의 도래를 꿈꾸는 종교개혁가이었다. Today there are too many pictures of historical Jesus. The most interesting thesis of these is that Jesus is a teacher of Cynics. This view is so innovative that it perplexed Christians and scholars. It upsets the view of Christians who regard Jesus as God and the view of majority of scholars who regard Jesus as an apocalypticist. If the proponents of this thesis were insignificant scholar this thesis could not have attracted many people s attentions. But the proponents of this thesis such as Gerd Theissen, Button Mack, Dominic Crossan are so weighty and influential in the study of historical Jesus that no one could disregard it. So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ground of this view and to criticise it. The discovery of manuscripts of Nag Hammadi, expecially the Gospel of Thomas made scholars to believe that there were saying Gospels prior to narrative Gospels. This removed the doubt of the existence of Q Gospel. Recognizing the meaning of the Q Gospel, Hoffman and Theissen argued in 1970 that Jesus and his followers were cynic preachers. The teachings of Jesus which are contained in Q Gospel are very similar to the doctrine of Greek cynics. Leif Vaage examined the saying of Jesus and the teachings of Greek cynics, and concluded that all the early preaching and saying of Jesus could be found in the teachings of Greek cynics. And John S. Kloppenborg analyzed the sequence of sayings of Jesus in Q Gospel. He argued that there are three strata of sayings in the terms of sequence. The first is hortatory instructions, the second is Judgement materials, the third is the addition of narrative passages such as temptation account. Synthesizing these opinions Burton Mack argued that the early Q community which produced Q 1 were cynics. According to his opinion Q 1 is wisdom sayings. The wisdom contained in Q1 is of Greek cynics and the mode of living of Jesus and his followers is of Greek cynics. I opposed this thesis of Burton Mack. First we cannot give up the image of apocalyptic Jesus. His Teacher, John the Baptist and his followers such as the Jerusalem Church and Paul were apocalypticists. If Jesus were not apocalypticist we can not explain this situation. And many sources of early christianity such as synoptic Gospels, Gospel of Hebrews confirmed Jesus was an apocalypticist. And the scholars who argued that Jesus was a cynic contradict themselves. Generally they saw Jesus as a social reformer and argued that early Christianity was an alternative to the established society. But Greek cynics did not present any constructive alternative to the established society. So Jesus was different from the Greek cynic.

      • KCI등재

        그리스도와 신비한 연합의 시각으로 본 '예수의 역사적 실재성과 그 의미'

        권호덕 한국개혁신학회 2003 한국개혁신학 Vol.14 No.-

        The historical critical theology of the nineteenth century to the early twenty century failed to discover the historical of Jesus. It had doubted the historical existence of Jesus Christ. This result was led from the problems that are still remained in the historical-critical method. However, without the assumption on the Reality of the historical existence of Jesus Christ, Christianity cannot exist. We are going to consider the historical existence of Jesus Christ and its significance through another method. In particular, we are going to confirm the historical existence of Jesus Christ through the theory called “The mysterious union with Chris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oint out and to discuss about this theory (the mysterious union with Christ). The mysterious union with Christ comes through the Holy Spirit that Jesus Christ sends us and causes faith inside us which cause us to grasp Christ and leads us to the mysterious union with Him. This union is impossible without the premise of the historical existence of Jesus Christ. The conception of “the first fruit of the resurrection” explains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Jesus Christ in the history and the people who will be going to experience the physical resurrection at the end. So to speak, what Paul explained about the physical resurrection at the end, is based on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Baptism is an event, in which the Holy Cross and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is applied to the christians. In Chapter 6 of the Romans, Paul points out that the two steps of baptism depicts the same picture of the Holy Cross and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Therefore, baptism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vents in Christians life can only be explained based on the Holy Cross and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The Holy Communion teaches and disciplines Christians time consciousness. The Bible verses about the Holy Communion teach us to remember a point in the past of our lives. That one point would be the death of Jesus Christ. Especially the verse, “Remember me” implicates the meaning that the past event manifests in the presence. As the Holy Communion takes place it means that the past of the historical existence of Jesus Christ still applies in the presence. On the other hand, the Holy Communion leads us to another point which lies in the future. This point would be the Second Advent of Christ. It implicates the horizontal dimension, the association with our brothers and sisters in Christ. There is in the presence a tension which exists between the past and the future. We are not going to corrupt as long as this tension exists. According to this theory, communion causes Christians to live in an structural consciousness. In other words, Christians are people who live with the historical mind, which contains the remembrance of the Holy Cross in the past, and the anticipation of the Second Advent of Christ in the future. The Idea of Imao Dei from the perspective of a mirror reveals Gods glory that could not be seen through our naked eyes. Jesus Christ, who is Imogo Dei, showed us who God is. Humanbeing also can play the same role. In terms of chronology, we can still see Jesus Christ from 2000 years ago in the devout Christians around us. Rev. Son Yang Won could be one example for that. He is a Christian who has experienced the mysterious union with Christ and revealed Jesus Christ who lives in him. He connected his life with the Holy Cross and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from 2000 years ago. Through Rev. Son it was possible for unbelievers to recognize the historical existence of Jesus Christ. Through E. Troltsch's concept of 'Analogie', which belongs to the historical-critical Method, we can prove the historical reality of Jesus. Rev. Son Yang Won, a historical person, would be a good analogy, who reveals the historical reality of Jesus. E. Troltsch mentioned that if all the present events can lie in a continuous correlation, the events from the past can be accepted as truth. There is a continuous correlation between Rev. Sons life during the twenty century and the Bible, which is a record of the past events. The rise and the destruction of Christianity depends on the historical existence of Jesus Christ, in the post modernism world which is in the middle of the flood- tied of pluralism. If this historical reality remains as unconfirmed, Christianity will be falled into the docetism. Because of the many unsolved problems in the historical- critical method, it is not worth it to argue about those methods, but to give consequence to the doubt of the historical existence of Jesus Christ itself. The life of Christian it self, such as baptism, communion provide us indirect evidence of the existence of Jesus Christ. The causes of many current Problems within the Christianity, consist in the dualistic docetic way of thinking, failing to notice the historical reality of Jesus. Passing over the historical reality of Jesus could be responsible for the daring wicked act of current Christians. To keep our identity as Christians it is important to confirm the historical existence of Jesus Christ.

      • KCI등재

        예수 가족의 활동에 대한 재평가

        정기문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022 서양고대사연구 Vol.63 No.-

        It has been regarded that, far from participating in it, the members of Jesus’ family took hostile attitudes towards the ministry of Jesus. The descriptions of the Synoptic Gospels regarding the family of Jesus are supposed to support this view. However, several scholars have tried to correct this view, because the Nag Hammadi Text, which was discovered in 1945, contained sources which were contradictory to the traditional view. For example, the Gospel of Philip and the First Revelation of James stated that the family of Jesus, such as the mother, brothers and sisters of Jesus supported Jesus in the ministry of Jesus. Furthermore, the discovery of the Qumran documents enhanced the historical value of the Gospel of John. In this paper, I have tried to rethink the traditional view. First, I have tried to correct the misinterpretation of Mark 3:21, which were regarded as evidence for the traditional view. We should connect Mark 3:21 to Mark 3:20, instead of Mark 3:31, because the subject of Mark 3:21 is not the family of Jesus but the followers of Jesus. Second, I have examined the historicity of the descriptions of the Gospel of John regarding the family of Jesus. The Gospel of John reveals the acts of the family of Jesus with regard to his ministry. If we accept the possibility of the participation of the family of Jesus in his ministry, we can explain more reasonably the fact that the members of Jesus’ family were the founders and key members of the Jerusalem Church. So we should rethink our opinions in relation to the attitudes of the family of Jesus with respect to his ministry.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 예수의 형제 야고보를 비롯한 예수의 가족은 예수의 공생애에 적대적인 태도를 취했던 것으로 인정되어 왔다. 이는 마가복음을 비롯한 공관복음이 전하고 있는 기사를 사실로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20세기 중반 이후 이 견해를 근본적으로 재고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 예수의 가족들이 예수의 공생애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음을 뒷받침하는 기록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나그함마디 문서에 포함되어 있는 야고보 제1 계시록, 필립보 복음 등은 예수의 형제와 어머니, 자매가 예수의 공생애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쿰란 문서의 발견 이후 요한복음의 역사적 가치가 재평가되었다. 그런데 요한복음은 예수의 가족이 예수에게 긍정적인 태도를 취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문제 의식을 갖고 이 논문은 예수의 가족이 예수의 공생애에 참가했는지를 살펴보았다. 먼저 전통적으로 예수의 가족이 예수에게 적대했다는 근거로 이용되어온 기사, 즉 마가복음 3:21의 기사를 점검하였다. 일반적으로 3:21은 3:31과 연계해서 해석되었다. 그러나 3:21은 3:20과 연계해서 해석할 때 좀 더 자연스럽다. 이 경우 이 기사는 예수의 가족이 예수와 적대했다는 전통적인 견해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반면 요한복음이 전하고 있는 예수의 가족에 대한 상은 새로운 평가를 받아야 한다. 나그함마디 문서와 히브리인들의 복음을 비롯한 외경 복음이 이 견해의 역사성을 뒷받침하기 때문이다. 예수의 가족이 예수의 공생에 참가했다고 해석할 경우 지금까지 해명하기 곤란했던 문제, 즉 예수의 가족이 예루살렘 교회의 창설자이자 주요 구성원이었다는 사실을 좀더 합리적으로 해명할 수 있다.

      • KCI등재

        역사적 예수의 부활에 대한 연구자들의 주장들과 이에 대한 고찰

        최재덕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9 선교와 신학 Vol.47 No.-

        본 연구의 첫 번째 부분에서는 인간의 죽음이후의 상태에 대한 사상을 면밀히 검토하여 완전죽음과 영혼불멸이라는 상반된 입장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기독교는 영혼불멸은 아니지만 사후 영혼의 존속이라는 점에서 후자와 공통되는 부분이 있음을 밝혔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그러한 사상적 흐름의 맥락에서 오늘날 역사적 예수를 연구하는 대표적인 다섯 학자의 예수 부활에 대한 주장들을 파악한 뒤 그 주장의 적절성 여부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그런데 이들의 주장은 신학적인 관점으로 볼 때 보수적인 입장에서 매우 진보적인 입장에 이를 정도로 매우 달랐다. 우선 부활을 역사적으로 측면에서 연구할 수 있다는 주장과 그렇게 할 수 없기에 신학적인 측면에서만 연구해야 한다는 입장으로 대별할 수 있다. 마이어는 부활의 특이성과 사실성은 인정하지만 이를 역사적으로 입증하는 데는 유보적인 입장을 취한다. 샌더스도 그와 비슷한 입장에서 시작하지만 예수의 부활의 사실성을 인정하면서 이 사건이 예수의 제자들을 변화시켜 예수 운동이 원시교회로 이어지게 되었다는 점을 인정한다. 라이트는 예수의 부활은 역사적으로 객관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는 가장 보수적인 입장을 취하지만 부활의 사실성 보다는 부활의 의미를 규명하는데 집중한다. 보그는 부활한 예수가 영적 실재로서 예수의 제자들과 함께 한다는 점을 적극적으로 주장하면서도 육체적 부활의 측면은 부정한다. 그러나 이는 신령한 몸으로의 부활에 대한 바울의 증언과 반대되는 가현설적인 입장에 빠질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고전 15:44-46). 크로산은 기독교 신앙은 부활절신앙이 아니었다는 도발적인 주장을 한다. 그는 부활은 그리스도인들이 역사적 예수의 구현된 삶과 죽음을 계속해서 경험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계속해서 동일한 생활방식의 공동체를 형성해 가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크로산은 부활한 예수는 “신적인 지혜”로서 평등한 세상을 추구하는 그의 제자들과 함께 한다는 점을 인정하지만 이러한 지혜가 영적인 존재인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다. 또한 예수의 부활에 대한 성서의 기록의 사실성을 부정하면서 이를 원시교회의 지도자들이 교회내에서의 지위를 확립하려는 의도에서 나온 산물로 본다. 이는 오직 순수한 마음으로 복음을 전하기 위해서는 순교를 마다하지 않았던 사도바울과 복음서 기자들을 교회권력에 몰두하는 지도자들로 만드는 잘못된 주장이다. 학자들 간의 이러한 차이는 이들이 견지하고 있는 세계관에서 오는 것으로 판단된다. 즉 초월적 세계와 초월적인 하나님의 존재와 계시의 인정여부에 따라 현격하게 다른 입장을 취하는 것이다. 복음서와 바울서신 그리고 신약성서의 대부분의 내용이 초월적 존재와 세계를 상정하고 있기에 이를 배제한 설명이나 주장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부활의 역사성의 연구에 있어 결정적으로 중요한 것은 예수의 부활의 사실성을 강력하게 주장하는 사도 바울의 증언을 역사적 진정성이 있는 문헌으로 보는가의 여부이다. 그런 점에서 부활은 하나님께서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를 일으키신 초월적인 사건이며 전적인 하나님의 행위라는 것이 이 연구의 결론이다.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does focus on examining the varying opinions on the postmortem state of human beings. Two major contrasting thoughts have prevailed from ancient times to the modern era; one being Annihilationism, the idea believing the perdition of the soul and body at the time of death, and the other being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lthough Christianity does not believe in the absolute immortality of the soul, it does teach the continuation of the soul under God’s permission, and therefore shows similarity to the latter branch of thought. In the second part of this study, I examine and criticize the relevancy of the arguments of five scholars who could be said to represent the study of the Historical Jesus after identifying their claims on the resurrection of Jesus. Their points are markedly different when judged by a theological spectrum, as they range from the conservative to the progressive. Their arguments are large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maintains the position that we can study resurrection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while the other group takes the position that we must study resurrection only from a theological perspective, while deeming a historical perspective to be impossible. J. Meier argues that the modern person can believe in miracles. Accordingly, he accepts the resurrection of Jesus as a possible fact, but takes a stance claiming that we can not prove it historically. Starting from a similar position to that of Meier, E. P. Sanders argues that Jesus’ movement was continued into the Early Church by his disciples who had been changed by the resurrection of Jesus. N. T. Wright takes the most conservative stance among the five scholars. He affirms that the resurrection of Jesus can be proved historically and objectively. But he seems to concentrate more on delving out the meaning of the resurrection than strengthening the factuality of it. M. Borg affirms that the followers of Jesus, both then and now, continued to experience Jesus as a living spiritual reality, but denies the physical aspect of the resurrection of Jesus. In other words, the matters of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are both affirmed in his argument. But Borg’s this argument goes against that of Apostle Paul, who upholds the physical nature of “the spiritual body”(I Cor. 15:44-46). J. D. Crossan makes a provocative claim that “the Christian faith was not a Easter faith.” But the Scripture immediately denies this kind of an assertion(Rom. 1:4; 6:5; Phil. 3:10-11). Crossan concurs with the opinion that the risen Jesus is “the wisdom of God” that existed with his disciples who sought a world of equal rights, but he never mentions whether this figure is equal to the Holy Spirit. Denying the authenticity of the biblical text on the resurrection of Jesus, Crossan regards it as a product from the midst of the power struggle to take authority within the Church. However, his interpretation is erroneous in making the Apostle Paul and the authors of the Synoptic Gospel leaders obsessed with solidifying their positions in the church leadership. The difference among these scholars seem to arise from their contrasting views of the world. That is, their differing opinions stem from their differing world views according to their belief in the existence of a transcendental world and a transcendental God and his revelation, in addition to a host of other factors. The Gospels, the Pauline writings and most of the New Testament presuppose the reality beyond this world, which is, in other words, the supernatural world. Accordingly, any explanation or thesis is limited in scope when excluding this world view.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 the study on the historicity of the resurrection of Jesus is whether you judge the resurrection text testified by Apostle Paul to be a historically reliable authentic text. Resurrection is entirely the action of God, a supernatural incident raising the crucified J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